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형지I&C
1,250원(+29.94%)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올리패스
4,030원(+30.00%)
: 전환사채 발행 검토 - 형지글로벌
3,640원(+30.00%)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KD
828원(+29.98%)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제이준코스메틱
4,575원(+29.97%)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자연과환경
787원(+29.87%)
: 경상권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 아시아종묘
2,335원(+25.88%)
: 대규모 산불 피해 지속 속 토양 회복 필요성 등에 따른 비료 수요 증가 전망 - 에스와이
4,785원(+25.10%)
: 경상권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 오리엔트정공
11,100원(+20.78%)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티엑스알로보틱스
21,900원(+19.67%)
: 경상권 산불 피해 지속 속 中 궈싱즈넝 소방로봇 국내 독점판매계약 체결 이력 부각 - 오리엔트바이오
1,855원(+17.78%)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형지엘리트
2,580원(+16.48%)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덕신이피씨
1,741원(+16.07%)
: 경상권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 에어레인
18,140원(+15.69%)
: 알래스카 LNG 사업, 최대 6,300조원 규모 탄소비용 부담 분석 속 탄소중립 기술 부각 - 이화공영
1,615원(+15.11%)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지속 - 금강공업
4,465원(+12.05%)
: 경상권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 스튜디오미르
3,665원(+11.06%)
: 신작 애니메이션 '데빌메이크라이(Devil May Cry)' 키아트 뉴욕 타임스퀘어 빌보드 공개 소식 - 효성오앤비
6,610원(+10.54%)
: 대규모 산불 피해 지속 속 토양 회복 필요성 등에 따른 비료 수요 증가 전망 - 한컴라이프케어
3,745원(+9.66%)
: 경상권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 밸로프
882원(+9.29%)
: 자회사 G.O.P, 배틀로얄 게임 '아수라장' 일본 정식 출시 소식 - 네이처셀
29,100원(+9.19%)
: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美 FDA 혁신 치료제 지정 모멘텀 지속 속 美 FDA와 4월 미팅 확정 사실 부각 - HLB테라퓨틱스
9,160원(+9.18%)
: NK치료제 최종 분석 단계 돌입 소식
테마시황
- 대규모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 건설 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건설 대표주 테마 및 건설 중소형 테마도 상승.
- 알래스카 LNG 사업, 최대 6,300조원 규모 탄소비용 부담 분석 속 탄소중립 기술 부각.
- 주요 엔터사 실적 성장 전망.
-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 지속.
- 반면,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발표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등 테마 하락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락 영향 등에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 MS,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투자 취소 소식 등에 전선/ 전력설비 테마 하락.
- 알래스카 LNG 사업, 최대 6,300조원 규모 탄소비용 부담 분석 속 조선/ 조선기자재/ LNG/ 철강 중소형/ 피팅/밸브 등 알래스카 LNG 관련 테마 하락. 특히, 조선 테마는 한국형차기구축함 사업자 선정 연기 소식 등도 부담으로 작용.
- 현대제철(-3.29%) 4월 인천공장 전면 셧다운 소식 등 철강 업황 둔화 속 철강 주요종목 테마 하락.
-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하락 속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하락.
- 비트코인 가격 하락 등에 가상화폐/ 두나무 테마 하락.
- 제대혈, 바이오시밀러, 탈모 치료, 줄기세포, 보톡스, 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제약업체, 코로나19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모듈러주택/ 조림/ 재난/안전/ 공기청정기/ 농업/ 비료
대규모 산불 피해 지속 및 이재명 대표, 모듈형 주택 지원 소식 등에 상승
- 지난 21일부터 경북·경남·울산·충북 등에서 잇따라 발생한 10개 중·대형 산불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역대 최악의 산불 재난으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현재까지 산림청이 산불 통계를 시작한 1987년 이후 가장 많은 27명이 산불로 인해 대피 및 진화 과정에서 사망했으며, 피해 면적도 역대 최대였던 2000년 동해안 지역 산불 규모를 1만ha 이상 넘어섰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중대본부장인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역대 최악의 산불로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며, "이재민 구호와 지원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산불이 진정될 때까지 경북 지역에 상주하며 관련 작업을 총괄 지휘하라"고 긴급 지시.
- 한편, 이재명 대표는 전일 산불이 난 경북 안동을 찾아 신속한 지원을 약속했음. 이 대표는 안동체육관을 방문해 이재민을 위로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신속하게 생계 터전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주거 지원 등을 미리 준비해야 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행정안전위원회 등과 협의해 조립식 모듈형 주택 등 이재민 지원 방안을 살필 예정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자연과환경, 에스와이, 덕신이피씨, 동신건설, 이건산업, 파라텍, 케이웨더, 위닉스 등 모듈러주택/ 조림/ 재난/안전 / 공기청정기 테마가 상승. 아울러 토양 회복 필요성, 조림 및 복구사업 활성화, 토양 유실방지 등을 위해 비료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 속 아시아종묘, 효성오앤비, 조비 등 농업/비료 테마도 상승.
건설 대표주
건설 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건설 업종에 대해 25~26년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라 내년부터 착공이 회복되고, 27년부터는 주택 매출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주택 마진은 내년까지 기계적으로 상승하고 27년부터는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의 변화에 따라 마진이 더 상승할 것으로 추정. 특히, 내년까지 마진이 기계적으로 상승하는 이유는 공사비가 올라 계약금과의 스프레드가 축소(원가율 상승)된 2021~2022년 공사 현장이 완공되고, 그 자리를 공사비가 오른 만큼 계약금을 받아 GPM 10% 이상 나오는 현장이 대신하면서 나타나는 믹스 개선이라고 언급.
- 아울러 주택주는 모두 올해부터 27년까지 매년 순이익이 증가하는 구간이라며, 전월세 가격 상승, 매매 가격 상승이라는 업황 회복 시그널이 확인되면 업종 밸류에이션 상향에 따라 전반적인 주택주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 DL이앤씨, 현대건설 등 건설 대표주 테마가 상승. 한편, HDC현대산업개발은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508,646주(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6-26) 공시.
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알래스카 LNG 사업, 최대 6,300조원 규모 탄소비용 부담 분석 속 탄소중립 기술 부각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금일 기후 싱크탱크인 기후솔루션은 지난 2023년 공개된 미국 에너지부(DOE)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최종 환경영향평가서'를 인용한 보도자료를 통해 탄소포집저장기술 적용 여부에 따라 LNG 프로젝트의 총 탄소비용은 약 3,300조원에서 최대 6,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이는 64조원인 사업비의 100배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해당 사업의 탄소 리스크가 심각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음.
- 이와 관련, 기후솔루션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청정에너지 전환이 시급한 이 시점에 한국이 핵심 투자자로 참여하게 된다면, 그동안 시장에서 모두가 외면해온 막대한 리스크를 떠안을 것이 분명하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에어레인, 이건산업, 한솔홈데코, 그린케미칼 등 일부 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가 상승.
- 반면, HJ중공업,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미포, 태광, 동양철관, 휴스틸, 세아제강, 비에이치아이, 일승 등 알래스카 LNG 사업 관련 테마들은 하락. 특히,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는 한국형차기구축함 사업자 선정이 연기된 점도 연일 부담으로 작용.
이재명 정치테마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영향 지속 등에 상승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음. 서울고법 형사6-2부(최은정 이예슬 정재오 부장판사)는 전일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 판결을 깨고 이 대표에게 무죄를 선고. 재판부는 이 대표가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모른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과 경기 성남시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용도 지역 상향 변경이 국토교통부 협박에 따라 이뤄졌다고 발언한 것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
- 재판부는 '김문기 모른다' 발언과 관련한 공소사실을 '성남시장 재직 시절 김문기를 몰랐다', '김문기와 골프 치지 않았다', '도지사 시절 공직선거법 기소 이후 김문기를 알았다' 등 세 갈래로 나눠 이 대표의 네 가지 발언의 허위 사실 여부를 각각 판단했으며, 재판부는 1심에서 유죄가 인정됐던 이른바 '골프 발언'에 대해서도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거짓말한 것으로 볼 수 없고 허위성 인정도 어렵다"고 무죄로 봤음. 특히, 이 대표가 호주 출장 중 김 전 처장과 찍은 사진에 대해서도 "10명이 한꺼번에 찍은 사진으로 골프를 쳤다는 사실을 뒷받침할 수 없다"고 판단. 또한, 백현동 발언과 관련해서도 의견 표명에 해당해 허위사실 공표죄로 처벌할 수 없다고 밝힘.
- 이에 검찰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에 불복해 상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동신건설, 형지I&C, 형지엘리트, 형지글로벌, 디젠스 등 이재명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부품 등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발표 소식 등에 하락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서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오벌오피스)에서 행한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생산된 자동차에는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외국 기업들이 미국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 이어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업들이 돌아오고 있다”며 “이미 그들(기업)은 미국 내 부지를 알아보고 있다”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20일 취임한 이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한 것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두 번째로 현재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부과하는 관세 평균인 2.5%보다 무려 10배나 높은 수치임. 특히,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시행되면 한국도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전체 대미 수출의 27%인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에 달했음. 이는 전세계 자동차 수출 규모(707억8,900만달러)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고 전해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트럼프 행정부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 조치가 테슬라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 머스크 CEO는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테슬라도 이번 조치에서 무사하지 않다. 관세가 테슬라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크다"고 설명했으며, "이것은 다른 나라에서 수입되는 테슬라 자동차 부품의 가격에 영향을 줄 것이며 그 비용은 사소하지 않다"고 강조.
- 이 같은 소식 속 HL만도,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 성우, 모티브링크, 코리아에프티, 삼화전기, 코스모신소재, 엔켐, 나라엠앤디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 전기차, 2차전지 등의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락 영향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2.60(-3.27%) 급락한 4,508.74를 기록. 엔비디아(-5.74%), 브로드컴(-4.78%), AMD(-4.02%), 마이크론 테크놀로지(-2.18%), 퀄컴(-1.10%) 등이 하락.
- 특히, 중국의 새로운 환경 규제책이 엔비디아의 중국 내 판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엔비디아가 급락세를 연출. 지난밤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은 중국·이란·파키스탄·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기업·기관 80곳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고 밝혔으며, 여기에 엔비디아의 고객사인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 인스퍼그룹의 자회사 6곳 등이 포함됐음. 또한, 26일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 최고 경제계획기관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가 중국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때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칩을 쓰도록 하는 규정을 도입했다고 보도했음. 이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현재 엔비디아의 H20 칩이 중국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데, 이 제품은 강화된 규정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케이씨텍, 테크윙, 펨트론, 사피엔반도체, 가온칩스, 퀄리타스반도체, 네패스, 리노공업 등 반도체 테마가 하락.
전선/ 전력설비
MS,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투자 취소 소식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미국의 증권사 TD코헨(TD Cowen)은 MS가 미국과 유럽에 예정된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짐. 이번에 프로젝트가 중단된 데이터센터의 소비전력은 2기가와트(GW) 수준으로, 이는 150만~20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 수준으로 알려짐. 앞서 TD코헨은 지난달 21일 보고서를 통해 MS가 최소 두 곳의 민간 운영업자와 체결했던 데이터센터 임차 계약을 취소했다고 전한 바 있음.
- 한편, 지난 25일 알리바바그룹 차이충신 회장은 홍콩에서 열린 HSBC 글로벌 투자 서밋 행사에 참석해 "AI용 데이터센터 건설에 버블 조짐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음. 차이충신 회장은 일부 프로젝트는 활용 계약을 체결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자금조달에 나서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사람들이 투기적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면서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고 언급.
-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일렉트릭, 가온전선, LS ELECTRIC, 일진전기, LS에코에너지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가 하락.
리포트요약
#기아
[한화투자 / 김성래,권지우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01,400원]
[1Q25 Preview] 신차 효과로 펀더멘털 개선
- 1Q 매출액 27.8조원(+5.9% YoY), 영업이익 3.2조원(-5.3% YoY) 전망
- ’25년 신차 효과가 펀더멘털 개선에 기여
- 4월 CEO Investor Day 중요
#SK하이닉스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260,000원 / 현재가 214,000원]
범용 메모리 업황 회복
- 메모리 업황 회복
- 2025년 영업이익 33조원(+42%YoY)으로 상향
#현대건설
[하나 / 김승준,하민호 / =BUY / 목표가 ▲51,000원 / 현재가 34,450원]
눈 앞에 과속방지턱만 넘기면, 밟을 수 있다
- 투자포인트: 이익의 개선, 꾸준한 수주, 개발 사업의 시작
- 리스크: 현대엔지니어링의 사고
#현대차
[한화투자 / 김성래,권지우 / =Buy / 목표가 =310,000원 / 현재가 222,000원]
[1Q25 Preview] 정면 돌파
- 1Q 매출액 44.1조원(+8.5% YoY), 영업이익 3.5조원(-0.2% YoY) 전망
- 대외 불확실성 정면 돌파
#삼성전자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61,400원]
봄이 오나 봄
- 메모리 업황 회복
- 2Q25 1bnm DRAM, 2H25 HBM3e 및 1cnm DRAM 판매 확대 기대
#녹십자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31,300원]
알리글로는 이제 시작
- 2025E 매출액/OP: 1.85조원/724억원(OPM: 3.9%) 전망
- 알리글로 미국 성장은 이제 시작
- 녹십자 투자의견 BUY/목표주가 170,000원 유지
#GS건설
[하나 / 김승준,하민호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7,150원]
업황 턴어라운드가 절실
- 투자포인트: 주택의 개선
- 리스크: 이니마 매각 이후의 비전
#삼성SDI
[신영 / 박진수 / =매수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208,500원]
핵심 고객향 판매 회복 필요
- 1분기 고객 재고조정 강도 심화,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큰 폭 하회
- 2분기에도 적자 지속 예상, 미국 배터리 예상 판매량도 하향 조정
#동양철관
[한국IR / 현재가 1,085원]
기술분석보고서
- 강관 및 합금동 제작 판매
- 2024년 영업이익 3배 이상 증가
- 세계적인 대구경강관 종합전문 기업을 위한 준비
#한샘
[KB / 장문준,강민창 / ▼HOLD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44,000원]
업황 부진의 무게가 너무 크다
- 2025E 매출액 1.93조원 (+1.1% YoY), 영업이익 417억원 (+33.8% YoY)
- 추정 가능한 이익 기반의 고배당 전략이 중요하다
- 매출 변화에 따른 믹스변화와 원가율 안정화 그에 따른 배당정책 연결이 중요
#LS ELECTRIC
[NH투자 / 이민재 / =Buy / 목표가 ▲310,000원 / 현재가 193,200원]
기대가 우려를 해소하는 모습
-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직접적인 수혜 시작
- Unexpected earning으로 발생하는 밸류에이션 매력
#삼성중공업
[대신 / 이지니 / N Buy / 목표가 N 17,000원 / 현재가 14,070원]
고진감래
- 미국의 LNG 방향성과 유가 하락 구간에서 최대 수혜 기업
- 높은 수익성의 해양플랜트(FLNG)를 수주 받는 국내 유일 조선사
- 중국 Wison 조선소 제재로 셔틀탱커 수주 과독점 가능 전망
#HD현대미포
[대신 / 이지니 / N Buy / 목표가 N 130,000원 / 현재가 104,600원]
베트남이 Phoint
- 베트남조선소는 낮은 비용, 반복건조 효과로 수익성 증대 가능
- 캐파 확장으로 24년 15척 -> 30년 23척까지 건조 가능
- LNG 연료 추진 선박 발주량 증가에 따라 LNG BV 수요 증가
#LG이노텍
[신한투자 / 오강호,서지범 / =매수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74,800원]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집중
- 1) AI 강화, 2) 이벤트로 하반기 주가 반등 타이밍
- 1Q25 Preview: 추정치 상향, 하반기 밸류에이션 재평가 구간으로 판단
- Valuation & Risk: 추정치 하향에도 밸류에이션 부담은 제한적
#롯데케미칼
[유안타 / 황규원,박현주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68,100원]
업황/재무 빌드업 + PBR 0.2배
- 롯데케미칼㈜은 국내 순수 석화업체 대표주자
- 2025년 기업가치 회복 스토리 : 1) 에틸렌 회복 빌드업, 2) 재무부담 축소 빌드업, 3) 밸류에이션 바닥 탈출 중
- 에틸렌 업황 회복 빌드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신 / 이태환 / =Buy / 목표가 ▲760,000원 / 현재가 667,000원]
이번 유상증자는 추진력을 얻기 위함
- 3.6조원 유상증자 결정. 방산/조선 설비 및 지분 투자 목적으로 사용
- 유동성 확보는 필요했으며, 반복될 차입?상환과 실기를 피하고 싶었을 것
- 시장 확대와 함께 경쟁강도 상승 중. 적기 투자를 통해 시장 선점 가능
#SK텔레콤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5,800원]
4월 전략 - 55,000원이 바닥, 완만한 반등 예상
- 매수 의견/12개월 목표가 7만원 유지, 재료 부족하지만 주가는 싸다
- 1분기 실적 양호할 전망, 배당금 정체에도 주가 반등 예상
- Multiple 하락하긴 어려운 시점, 바닥 다지며 주가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
#KT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9,800원]
4월 전략 - 역대급 실적/배당 발표 가능성에 주목
- 매수/목표가 7만원 유지, 통신서비스 업종 12개월/4월 Top Pick 제시
- 인건비/경비 절감 효과 나타나면서 1분기 연결 영업이익 사상 최대치 예상
- 1분기 배당금 600원 수준 예상, 700원 발표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LG유플러스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760원]
4월 전략 - 투자 전략상 매수 적기입니다
- 1분기 실적 양호할 것, 3년 만의 이익 증가 전환/밸류업 기대감 높아질 전망
- 수급/재료 양호할 시점, 매수 하실 거면 차라리 빨리 하세요
#LG유플러스
[대신 / 김회재 / =Buy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760원]
유뿔도 가자
- 25년 이익 개선. OP 1.03조원(+19% yoy), 3년 만에 OP 1조원 복귀 전망
- 공매도 재개에 따른 외인 유입시 3사 중 가장 유리. 외인 비중 35%
- 25년 총주주환원 3.1~3.8천억원(+9 ~ +35% yoy) 전망
#에코바이오
[한국IR / 현재가 3,485원]
기술분석보고서
- 바이오가스에 기반한 ESG 전문기업
-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 바이오가스법 등으로 바이오가스 정제·발전 사업 확장 기대
#에스엠
[한국투자 / 안도영 / =매수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105,000원]
네가 알던 내가 아냐
- 25년에 나타날 이익률 상승
- 포트폴리오 세대 교체로 저연차 비중 빠르게 확대. 2분기 전원 출격
- 자회사 교통 정리. 적자 개선에 디어유 연결 편입 효과까지
#한화오션
[DS투자 / 양형모,강태호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0,400원]
실적 서프라이즈 & LNG선 수주 증가 전 매수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추정
- 4월부터 재개 될 수주 증가 사이클
- 대한 우려는 기우다.
#한화오션
[대신 / 이지니 / N Buy / 목표가 N 90,000원 / 현재가 70,400원]
팔방미인
- 공정률 정상화로 매출의 성장세는 가팔라질 것으로 판단
- 수주잔고 중 고부가가치 선종의 비중 증가로 마진 성장 가시화
- 방산 계열사의 해외 조선사 인수로 창출해낼 시너지 기대
#태웅
[NH투자 / 곽재혁,정연승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4,800원]
전 세계에서 찾는 K-단조
- 해상풍력과 조선이 있는데, SMR까지 할 줄 아는 단조업체
- 1분기: 비수기지만, 수익성 개선 방향 명확
#한국항공우주
[대신 / 이태환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9,000원]
커지는 필리핀 기대감
- ‘25년 완제기수출은 폴란드?말레이시아 수출 바탕으로 큰 폭 증가 예상
- 필리핀과 약 1조원 규모의 FA-50 12기 추가 수출 논의 진행 중
- 올라간 Peer그룹 눈높이와 뚜렷한 중장기 성장성 감안하면 상승여력 높음
#산일전기
[NH투자 / 이민재 / N Buy / 목표가 N 90,000원 / 현재가 57,600원]
이유 있는 증설
-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시점
- 증설 계획으로 발생한 밸류에이션 매력
#현대로템
[대신 / 이태환 / N Buy / 목표가 N 150,000원 / 현재가 106,000원]
흑표 전차 나가신다
- 폴란드향 K-2 1차 인도 본격화로 매출 성장 및 우수한 수익성 증명
- K-2는 수출지역 확장성이 높음. 폴란드향 2-1차 계약도 목전으로 파악
- K-2 인도계획량 증가, 레일솔루션 정상화 바탕으로 큰 폭의 이익성장
#LG전자
[신한투자 / 오강호,서지범 / =매수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84,800원]
밸류에이션을 좌우할 신성장 필요
- 컨센서스 상향. 차세대 성장 동력이 주가 기울기 결정
- 1Q25 Preview: 1분기 실적 추정치 상향. 2025년에 주목할 성장Key
- Valuation & Risk:. 신사업 성장 가속화 → 밸류에이션 재평가
#하나마이크론
[신한투자 / 남궁현,송혜수 / =매수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13,110원]
한국 1등 OSAT
- 중장기 성장 구간 진입. 한국 OSAT 중 주목해야 할 업체
- 1Q25 Preview: 1분기 계절성 비수기를 고려하면 실적 방어 성공
- Valuation & Risk: 외주 물량 회복 가시화 시 실적 상향 가능성
#셀트리온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235,000원 / 현재가 185,400원]
뚜렷한 이익 성장 구간
- 2025E 매출액/OP: 4.74조/1.38조원(OPM: 29.2%) 전망
- 트럼프 2기 의약품 관세에 가장 민첩하게 대응
- 셀트리온 투자의견 BUY/목표주가 235,000원 유지
#LIG넥스원
[대신 / 이태환 / =Buy / 목표가 ▲350,000원 / 현재가 254,000원]
이제는 고고도까지 방어
- ‘25년 UAE 천궁-2 매출 증가로 매출 믹스 개선효과 기대 가능
- 사우디(‘26년), 이라크(‘27년) 등 매년 대형 수출 양산이 더해질 것
- L-SAM 양산 연내 예정. 향후 중동 중심으로 수출 가능할 것
#현대글로비스
[하나 / 송선재,강민아 / =BUY / 목표가 =164,000원 / 현재가 128,000원]
과도한 우려
- 과도한 우려에 따른 주가 하락은 매수의 기회를 제공
- 해외 생산이 늘어나도 수출은 줄지 않았고, 현대글로비스의 PCTC 매출액도 증가
- 해외 생산이 늘어나면 CKD와 해외 물류가 성장
#일진전기
[NH투자 / 이민재 / N Buy / 목표가 N 40,000원 / 현재가 27,950원]
증설에 따른 이익 증가의 원년
- 전력기기 증설에 따른 이익 확대
- 돋보이는 밸류에이션 매력
#코오롱인더
[유안타 / 황규원,박현주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30,850원]
아라미드 턴어라운드 + PBR 0.3배
- 코오롱인더㈜는 국내의 중형 규모의 복합 화학업체임
- 2025년 기업가치 빌드 업 : 1) 아라미드 회복 사이클, 2) 재무부담 완화, 3) 밸류에이션 바닥 탈출 시도
- 성장축인 아라미드 회복 사이클
- 투자마무리로 재무부담 완화
#듀켐바이오
[그로쓰리서치 / 김주형,진재현 / 현재가 13,500원]
방사성 진단 의약품 국내 점유율 1위
-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국내 선두 기업
- 레켐비의 수요를 3배로 누리다
- 글로벌 허브 기업으로 도약
#삼성바이오로직스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1,300,000원 / 현재가 1,072,000원]
중장기 CMO 성장 모멘텀 유효
- 2025E 매출액/OP: 5.52조/1.57조원(OPM: 28.5%) 전망
- 생물보안법 시행 시 중장기 수혜 전망
- 삼성바이오로직스 투자의견 BUY/TP 1,300,000원 유지
#파마리서치
[한국투자 / 강시온,박정인 / =매수 / 목표가 ▲380,000원 / 현재가 337,500원]
레벨업 트리거, 다수 대기 중
- 커져가는 수출 기대감
- 내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이끄는 의료기기 내수 시장
- 목표주가 38만원으로 상향, 추가적인 EPS 상승 요인도 다수 존재
#슈프리마
[키움 / 오현진 / 현재가 27,700원]
매력적인 투자처로의 변화 주목
- 견조한 실적 흐름 속 성장 모멘텀 강화 주목
-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변화를 보여줄 시점
#화승엔터프라이즈
[NH투자 / 정지윤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8,710원]
점유율 상승 사이클
- 변한 건 주가 뿐
- 1Q25 Preview: 순항 중
#코스메카코리아
[지엘리서치 / 박창윤 / 현재가 44,600원]
글로벌 ODM 강자, 지속적인 실적 성장세 확인
- 주요고객사_아누아, 세타필, 엘리자베스아덴 등 국내외 500여 브랜드
- 미국 OTC(일반의약품) 선케어 시장 진출 통한 성장 가능성 확대
#펌텍코리아
[한화투자 / 한유정 / =Buy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7,550원]
만약 시장이 변하는 거라면요?
- 기대치를 상회할 1분기
- 병(Bottles & Jars)에서 튜브(Tubes), 펌프(Pumps)로
#HD현대일렉트릭
[NH투자 / 이민재 / =Buy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333,000원]
밸류에이션 매력이 발생한 시점
- 다시금 시작될 랠리
- 꾸준한 실적 성장으로 돋보이는 밸류에이션 매력
#한화시스템
[대신 / 이태환 / =Buy / 목표가 ▲42,000원 / 현재가 34,250원]
한화 방산의 소금 같은 존재
- 폴란드 K2, TICN 4차 매출 확대 구간. ‘25년 M-SAM, KF-21 추가 예정
- 한화그룹 캡티브 물량 바탕으로 ICT도 안정적인 매출 및 이익 성장 중
- 방산 수익성 개선과 별개로 연결예정 필리조선소 실적 상황은 유의 필요
#에이피알
[유안타 / 이승은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69,800원]
1Q25 preview: stronger than expected
- Medicube tops beauty category in Amazon’s Big Spring Sale 2025
- Short-term share momentum: Amazon sales
- Mid- to long-term investment highlights: B2B channel expansion
#에이피알
[유안타 / 이승은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69,800원]
1Q25 Preview: 1분기 예상보다 더 강하다
- 美 아마존 Big Spring Sale에서 메디큐브, 뷰티 부문 1위 등극
- 단기 주가 모멘텀: 아마존 매출 성과
- 중장기 투자 포인트: B2B 채널 확장
#BGF리테일
[흥국 / 박종렬,송지원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09,000원]
밸류업이 필요한 시점
- 1Q OP 336억원(+3.0% YoY), 견조한 실적 전망
- 2025년에도 양호한 실적 흐름 지속될 것
#HDC현대산업개발
[하나 / 김승준,하민호 / N BUY / 목표가 N 33,000원 / 현재가 19,770원]
TOP PICK이고, 상승여력 70% 봅니다
- 이익 증가의 배경: 서울원 아이파크, 천안 아이파크 시티, 파주메디컬 클러스터
- 리스크: 잠재된 영업정지의 우려
#효성중공업
[NH투자 / 이민재 / =Buy / 목표가 =600,000원 / 현재가 476,500원]
북미 매출 증가 시 이익 개선 본격화
- 차곡차곡 잘 채워둔 곳간
- 밸류에이션 매력이 가장 뛰어난 회사
#동국생명과학
[LS / 정홍식 / 현재가 9,980원]
조영제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성
- 안정적인 성장 흐름
- 영상의학 Device(S/W) 고성장
- 조영제 Capa 증설
#에스바이오메딕스
[그로쓰리서치 / 김주형,진재현 / 현재가 25,350원]
AD/PD 2025 국내 참가 기업
- 세포를 이용한 난치성 질환 치료 목표 기업
- 블록버스터 파이프라인 등장
- 올 하반기, FDA 3상 신청 예정
#SK바이오팜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104,100원]
불확실성을 이길 강한 실적
- 2025E 매출액/OP: 7,489억/1,797억원(OPM:24%) 전망
- 2nd Product의 빠른 도입을 기대하며
- 일단 Xcopri 실적만 고려해도 최소 10조원은 평가 받아야
#HD현대중공업
[대신 / 이지니 / N Buy / 목표가 N 360,000원 / 현재가 288,000원]
조선 터줏대감
- 고부가가치선박 중심의 수주 잔고가 인도되며 이익 확대
- 엔진사업부의 제품 믹스 개선으로 이익 개선 효과
- 이지스 구축함 건조 이력으로 미 해군 군함 건조 기대
#KCC글라스
[LS / 김세련 / 현재가 31,700원]
반전을 노려보는 2025년
- 입주 피크아웃과 저가 수입유리 유입에 따라 실적 부진
- 인도네시아 판유리 본격 가동, 유통부문 호실적과 신차 사이클
#LG에너지솔루션
[신영 / 박진수 / =매수 / 목표가 =420,000원 / 현재가 360,000원]
2분기 빠른 회복 전망
- 1Q25 Preview: 환율 효과로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상회 예상
- 2분기 Telsa, GM 중심 판매 회복 예상
#DL이앤씨
[하나 / 김승준,하민호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41,950원]
2Q25 실적이 변곡점
- 투자포인트: 안정적인 재무상태, 주택마진의 개선
- 리스크: 경쟁사 대비 높은 주택마진 추정치
#이에이트
[한국IR / 현재가 3,340원]
기술분석보고서
- 입자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업체
- 성장 잠재력이 큰 디지털 트윈 시장
- Multi-GPU 기술에 의한 시뮬레이션 경쟁력 보유
[출처:fnguide, infostock, 네이버증권 등]
'재테크 스터디노트 > 증시 및 리포트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28.금] 테마종목 및 리포트요약 정리 (1) | 2025.03.28 |
---|---|
[25-03-26.수]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2) | 2025.03.26 |
[25-03-25.화]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5.03.25 |
[25-03-24.월]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5.03.24 |
[25-03-21.금]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1) | 2025.03.21 |
[25-03-20.목]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1) | 2025.03.21 |
[25-03-19.수]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1) | 2025.03.19 |
[25-03-18.화]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5.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