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디에이치엑스컴퍼니
1,111원(+29.94%)
: 투자주의환기종목사유 일부해제 - 앤디포스
2,290원(+29.82%)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한가 - KD
601원(+29.81%)
: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 캐리
4,635원(+19.46%)
: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 티엘비
23,000원(+19.36%)
: PCB/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엔비디아 주도 '소캠(SOCAMM)' 공식 발표 속 소캠용 인쇄회로기판(PCB) 기술 개발 이력 부각 - NE능률
4,485원(+17.25%)
: 오는 24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尹 대통령 탄핵심판 지연 가능성 등에 윤석열 테마 상승 - 큐리언트
8,700원(+16.00%)
: 최대주주 동국바이오제약 대상 7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모멘텀 지속 등 - 아센디오
3,210원(+15.68%)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관리종목 지정 사유해소 등 - 한텍
30,450원(+15.34%)
: 美 트럼프 행정부 LNG프로젝트 최대수혜 전망 속 신규상장 이틀째 급등 - 베셀
1,160원(+15.31%)
: 투자주의환기종목 해제 - 티움바이오
3,445원(+15.22%)
: 100억원 규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 젬백스
40,000원(+14.29%)
: PSP(진행성핵상마비) 치료제 임상 결과 발표 기대감 지속 등 - 티앤알바이오팹
4,800원(+14.29%)
: 美 기능성 화장품 시장 공략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 - 네오크레마
7,410원(+12.96%)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모멘텀 지속 - 메지온
29,200원(+12.74%)
: 정기주주총회 전 현황 안내 홈페이지 공지 - 소프트센
332원(+12.54%)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 엠젠솔루션
1,231원(+12.52%)
: 개별 영업이익 흑자전환 모멘텀 지속 및 AI 재난안전 신사업 순항 기대감 지속 등 - 와이오엠
884원(+12.33%)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및 투자주의환기종목해제 - 레이저옵텍
10,350원(+12.26%)
: 미용 의료기기 주목도 상승 속 피부미용 의료기기 제품 보유 및 글로벌 확장 부각 등 - 저스템
9,400원(+11.77%)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 쓰리에이로직스
10,030원(+11.20%)
: 엔비디아 주도 '소캠(SOCAMM)' 공식 발표 속 LPDDR5 솔루션 기술 보유 부각 - 푸드나무
2,300원(+11.11%)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제품 가격 인상에 따른 마진 스프레드 확대 기대감 - 코퍼스코리아
906원(+10.09%)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 케이엔제이
18,050원(+10.06%)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 하나마이크론
13,480원(+9.86%)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 태성
29,550원(+9.65%)
: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등에 PCB/반도체 관련주 상승 - 하이스틸
4,600원(+9.39%)
: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 기대감 속 미국 석유협회(API)로부터 API 5L 등 주요 인증 취득 사실 부각
테마시황
-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등에 삼성전자(+2.49%), SK하이닉스(+2.62%) 등 반도체 관련 테마가 상승.
- 중국인 단체관광객 '한시 비자면제' 3분기 시행 소식에 면세점, 일부 화장품, 여행, 카지노,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등 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 제품 가격 인상에 따른 마진 스프레드 확대 기대감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 내주 알래스카 주지사 한국 방문 기대감 및 美 '민감 국가' 목록에서 한국 제외 기대감 등에 셰일가스, 종합상사, 피팅/밸브, 자원개발, 조선기자재, LNG, 남-북-러 가스관사업 등 일부 알래스카 LNG 사업 관련 테마 상승. 두산에너빌리티(+5.88%), 한전산업(+3.60%) 등 원자력발전 테마도 상승.
- 반면, HLB 간암 1차 치료제 美 FDA 승인 재차 불발 속 바이오 투자심리 위축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mRNA, 유전자 치료제/분석, 제대혈, 줄기세포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0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여파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 테마 하락.
-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 속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하락.
- 오는 24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尹 대통령 탄핵심판 지연 가능성 등에 정치 테마주 하락.
반도체 관련주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등에 상승
- 美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일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마이크론의 2025 회계연도 2분기(12~2월) 매출은 38% 증가한 80억 5,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79억1000만 달러)상회, 조정 주당순이익도 1.56달러로 시장 예상치(1.43달러)를 상회. 특히, HBM 매출이 1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강력한 실행력과 AI 수요 증가라고 설명.
- 아울러 마이크론은 2025 회계연도 3분기(3~5월) 매출 가이던스를 86억달러에서 90억달러로 제시. 당초 월가에서 기대했던 84억7,000만달러를 상회했으며, 회계연도 3분기 EPS 중간값도 1.57달러로 시장 기대치 1.52달러보다 높았음. 이와 관련,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CEO는 "회계연도 3분기에 데이터센터 등을 중심으로 D램과 낸드 플래시 수요가 증가해 사상 최대의 분기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3월1~20일까지 수출액이 35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15억3,000만 달러) 증가. 특히, 반도체 수출이 11.6% 증가했고, 반도체 수출 비중은 19.9%로 1.3%p 상승.
-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하나마이크론, 이오테크닉스, 디아이티, 저스템, 넥스틴, 티에스이, 티에프이, 유진테크, ISC, 케이엔제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中 소비 관련주
중국인 단체관광객 '한시 비자면제' 3분기 시행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면제를 오는 3분기 중 시행할 예정. 이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는 2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주재로 경주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의 '방한관광 시장 글로벌 성장전략'을 발표했으며, 우선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 비자면제 시행계획을 다음 달 중 발표할 계획임.
- 정부는 베이징·상하이 등 중국 1선 도시를 중심으로는 20∼30대 개별관광객을 유치하고 2·3선 도시를 겨냥해 스포츠, 미식, 뷰티, 종교, 문화예술 등 테마형 관광상품을 개발해 단체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힘쓸 계획을 내비쳤음. 또한,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기존 방한 핵심층인 20∼30대 여성 외에도 타 연령층과 남성 관광객 유치에 힘쓰기로 했으며, 일본인의 3대 선호 테마인 쇼핑·미식·뷰티를 집중적으로 홍보하는 것에서 나아가 미래세대는 수학여행, 남성은 패션과 스포츠, 중장년층은 미식과 자연 등으로 세분화해 맞춤형 홍보를 펼칠 계획임.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콜마비앤에이치, 클리오, 네이처셀, 한국화장품, 펌텍코리아, 파마리서치, 코스메카코리아, 롯데관광개발, 노랑풍선, 글로벌텍스프리, 호텔신라, 하이브, 디어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화장품/ 여행/ 카지노/ 엔터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제품 가격 인상에 따른 마진 스프레드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3월 들어 음식료 업종의 주가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최근 음식료 업체들과 외식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이는 원달러 환율과 주요 원재료인 유지, 코코아, 커피 등의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누적된 결과라고 언급. 단기적으로는 연이은 가공식품·외식 업계의 가격 인상이 국내 가공식품 산업과 외식 산업의 수요 회복에 걸림돌이 되겠지만, 음식료 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향후 원가 안정 시 마진 스프레드 확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진다고 설명.
- 아울러 라니냐 발생 시기가 지연되며 곡물 가격의 하향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글로벌 소맥 생산·수출 상위 기업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음식료 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 푸드나무, CJ프레시웨이, 빙그레, 에스앤디, 대상, CJ제일제당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
HLB 간암 1차 치료제 美 FDA 승인 재차 불발 속 바이오 투자심리 위축 등에 하락
- HLB그룹의 간암신약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다시 한번 보완요청서(CRL)를 발급, 승인이 불발됐음. HLB, 간암 1차 치료제(리보세라닙, 캄렐리주맙 병용요법) 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 Complete Response Letter)수령 공시. 리보세라닙은 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으로 사용하므로, 캄렐리주맙이 승인요건을 갖출때까지 결정을 보류한다고 밝힘. 이에 HLB의 미국 내 종속회사 Elevar Therapeutics, Inc.는 상기 보완사항에 대해 신속히 보완하여 FDA에 재승인 신청을 진행할 예정.
- 진양곤 HLB 회장은 이날 오전 유튜브를 통해 미국 FDA가 간암 1차 치료제로 신약 허가를 신청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해 다시 한번 보완 요청서, 즉 CRL을 보내왔다고 밝힘. 이어 "작년 5월 1차 CRL은 캄렐리주맙의 CMC(제조·품질관리)와 BIMO(임상 현장 실사) 두 가지였으나 이번 CRL은 캄렐리주맙 CMC 지적 사항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라며 "CRL에는 미비점이 무엇인지 적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서제약은 FDA와 빠르게 접촉해 보완할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
- 이 같은 소식 속 제약/바이오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고, HLB, HLB생명과학, HLB제약, HLB제넥스 등 HLB 그룹주를 비롯해 대화제약, 유한양행, 아이큐어, 메드팩토, 오스코텍, 올리패스, 앱클론, 한올바이오파마 등 제약업체,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0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여파 등에 하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5,950,500주(3.60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 이번 유증을 통해 해외 지상 방산, 조선해양, 해양 방산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밝힘.
- 이와 관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향후 수년간 얼마를 벌게 되겠지만, 문제는 투자의 시급성으로 유럽의 라인메탈 등 상당수 경쟁 기업이 최근 투자에 들어가고 있다며, 남은 2∼3년을 골든 타임이라고 생각하고 이번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밝힘. 이에 대해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가 크고 1999년 이후 첫 유상증자인 점을 고려해 중점심사 대상으로 심사할 계획임.
- 메리츠증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해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면서도 연간 투자 목표액이 한해 2조원을 초과하지 않기에 연간 영업이익이 2조원을 웃도는 회사의 이익체력만으로 가능했을 것이란 아쉬움이 존재한다고 밝힘. 또한, 다올투자증권은 유럽과 중동 방산 현지화와 미국 전투함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당위성은 공감하지만 자금조달 방식은 아쉽다면서도 회사가 제시하는 긴박한 투자 환경과 전략의 성공 가능성에 동의한다면 유증 충격에 따른 주가하락을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
-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한화 그룹주를 비롯해 RF시스템즈, SNT모티브, 풍산, RF머트리얼즈, 코츠테크놀로지, 현대위아,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하락.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 속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하락
- 지난밤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에서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유용한 양자 컴퓨터가 나오는 데에는 20년은 걸릴 것이라고 했던 자신의 지난 1월 발언에 대해 사과했음. 젠슨 황 CEO는 1월 발언과 관련, "내 첫 반응은 '그들이 상장기업인지 몰랐다. 양자컴퓨팅 회사가 어떻게 상장기업일 수 있지'였다"며, 자신의 발언으로 주가가 급락한 부분에 대해 미안함을 나타냈음. 이어 "나는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해 온 사람으로, 엔비디아를 설립하고 쿠다(CUDA)를 개발해 현재의 컴퓨팅 플랫폼으로 만드는 데 20년이 넘게 걸렸다"며, "5, 10, 15, 20년이라는 범위는 나에게 그리 긴 시간은 아니다"라고 덧붙였음. 다만, "이 기술은 엄청나게 복잡해 성숙해지는 데 수년이 걸린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발언을 굽히지는 않았음.
- 이에 지난밤 아이온큐(-9.27%), 디 웨이브 퀀텀(-18.02%), 퀀텀 컴퓨팅(-11.71%), 리게티 컴퓨팅(-9.24%) 등 양자컴퓨팅 관련주들이 급락했음.
- 이 같은 소식에 아이씨티케이, 아이윈플러스, 엑스게이트, 한국첨단소재, 케이씨에스, 딥마인드, 한울소재과학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하락.
정치 테마주
오는 24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尹 대통령 탄핵심판 지연 가능성 등에 하락
- 헌법재판소는 전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를 오는 24일 오전 10시에 진행한다고 발표. 한 총리 탄핵심판은 지난달 19일 변론을 마치고 선고만 남겨둔 상태로 법조계에서는 한 총리 탄핵이 기각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어,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조만간 복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함.
- 언론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선고일을 윤석열 대통령보다 먼저 지정하면서 정국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고 전해짐. 윤 대통령 사건은 변론 종결 후 23일 넘게 선고기일을 잡지 못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26일) 전후에 선고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음. 다만, 26일 고교 3학년 전국 모의고사가 예정돼 있는 점도 변수로 서울시교육청은 선고 당일 헌재 인근 초중고교를 모두 휴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어 26일 선고가 이뤄진다면 모의고사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전해짐. 이에 4월 초중순까지 선고가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디젠스, 형지I&C, 동신건설, 일성건설 등 이재명, 평화홀딩스, 대영포장 등 김문수, 디티앤씨알오, 오파스넷 등 한동훈 테마 등이 하락.
- 반면, NE능률 등 일부 윤석열 테마는 상승.
리포트요약
#비상장
[NH투자 / 오세범,목진원 / 현재가 없음]
아플 땐 닥터나우
- 아직 온라인이 지배하지 못한 비대면 진료 시장
- 모든 의료 라이프를 닥터나우와 함께
- 비대면 진료전문 파트너들과의 협업 강화
#유한양행
[대신 / 이희영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31,100원]
2025 ELCC(유럽폐암학회) Preview
- 2025 ELCC Abstract: MARIPOSA mOS HR 0.77 → 0.75로 개선
- 2025 ELCC Preview: 아미반타맙+레이저티닙 총 4개 임상 결과 발표
#기아
[현대차 / 장문수 / =BUY / 목표가 =155,000원 / 현재가 96,000원]
ESG Report
- ESG 총평: 비전 수립 및 차별화된 ESG 가치 창출을 통하여 대외적으로 인정 받고 있음
- 환경(E): RE100 중간 목표 상향 조정 2030년의 목표는 66% 달성으로 23년 당시 로드맵 보다 3%p 상승한 수치이며 권고사항 대비 6%p 높은 수치
- 사회(S): DEI 인식 강화를 위해 구성원 대상 교육 실시 조직에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의 가치 극대화 하고자 노력
- 지배구조(G): 고객 안전 중심 조직체계 강화 위해 품질조직과 안전을 관활하는 KASO 설립
#SK하이닉스
[현대차 / 노근창,윤동욱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210,000원]
ESG Report
- ESG 총평: 소재 재활용과 책임 광물 조달 통한 ESG 경영 지속
- 환경(E): 온실가스 배출량 최소화와 반도체 소재 재활용 통한 친환경 노력
- 사회(S): 협력사 상생과 책임 있는 광물 조달
- 지배구조(G): 꾸준한 주주환원과 재무건전성 확보
#금호건설
[현대차 / 신동현 / =MARKETPERFORM / 목표가 ▲2,800원 / 현재가 2,630원]
LH 발주 증가와 이익률 정상화
- 2025년 LH 시설공사 발주계획은 약 17.8조원으로, 전년실적대비 +11.3% 증가한 수준
- 또한 증가하는 분양물량은 주택 수주 및 매출을 견조하게 지탱할 것으로 추정
- 신규 현장 비중 증가에 따른 점진적인 원가율 안정화는 이익 흑자전환에 기여할 것
#하림지주
[BNK투자 / 김장원 / =매수 / 목표가 =8,000원 / 현재가 5,740원]
양재동 부지 개발을 학수고대하는 이유
- 비상장자회사 중심으로 계열구조 변화
- 사업 진행이 구체화 될 부지개발과 식품사업
#포스코퓨처엠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MARKETPERFORM / 목표가 =145,000원 / 현재가 143,500원]
ESG Report
- ESG 총평: 탑티어 친환경 미래 소재 기업으로 가기 위한 여정
- 환경(E): 2025 년 탄소중립 로드맵과 함께 배터리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경영 고도화
- 사회(S): 안전보건 경영을 최우선시하며 소싱 리스크 관리 고도화
- 지배구조(G): 윤리·준법 경영 확산으로 거버넌스 전방위 내실 다지기
#현대차
[현대차 / 장문수 / =BUY / 목표가 =330,000원 / 현재가 202,500원]
ESG Report
- ESG 총평: P 글로벌 주관의 지속가능성 평가(CSA)에서 높은 평가 획득, 특히 환경정책, 전략적 인사관리 지속가능한 브랜드 지표에서 성과 창출하며 동종 산업 내 1위로 평가
- 환경(E): 모든 사업장과 생산공장 국제표준에 따른 환경경영시스템(EMS) 구축
- 사회(S): 글로벌상생협력센터,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을 통하여 협력사와의 동반 성장을 위해 노력하며 주요 대기업의 동반성장수준 평가하는 동반성장지수에서 2023년 4년연속 최우수 등급 획득
- 지배구조(G): 투명한 주주환원 정책 제공 위하여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공시 분기배당 실시 및 지속적인 자사주 소각 정책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삼성전자
[현대차 / 노근창,윤동욱 / =BUY / 목표가 =71,000원 / 현재가 60,200원]
ESG Report
- ESG 총평: 친환경 경영과 중소기업, 주주와의 상생 추구
- 환경(E): 재생에너지와 공정가스 감축 통한 2050 년 탄소 중립 달성 목표
- 사회(S):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지원 통한 상생 추구
- 지배구조(G): 꾸준한 주주환원 통한 주주가치 제고 노력
#삼성SDI
[삼성 / 장정훈,서지현 / =BUY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202,500원]
1분기 약하나, 2분기 고객사 수요 회복 기대
- 1분기 실적은 예상치 하회하나, 2분기 흑자 기대감 유효
- 글로벌 OEM의 각형 수요 확대 + 노스볼트 파산 반사 수혜 + 전고체 양산 기대감
- 유상증자에도 불구 밸류에이션 매력 여전
#삼성SDI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BUY / 목표가 =240,000원 / 현재가 202,500원]
ESG Report
- ESG 총평: 초격차 배터리 기술로 시장 선도하며 장기적 ESG 경영 완성을 위한 밑거름 쌓기
- 환경(E): 탄소 저감과 함께 지속가능한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 전략
- 사회(S): 파트너사와의 동반성장을 중심으로 공급망 지속가능성 제고
- 지배구조(G): 투자 확대에 따른 주주환원 기대치 낮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
#한올바이오파마
[유안타 / 하현수 / =Buy / 목표가 ▼42,000원 / 현재가 29,400원]
너무 늦지는 말아야.
- Batoclimab, MG와 CIDP 결과 공개
- 차이 벌리고 있는 Vyvgart
#현대모비스
[현대차 / 장문수 / =BUY / 목표가 =380,000원 / 현재가 270,500원]
ESG Report
- ESG 총평: Innovation with Responsibility Mobility by Clean Technology라는 비전 하 Green Acceleration, Inclusive Business, Responsible Growth의 3대 추진전략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 위해 노력
- 환경(E):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켐페인에 참여 2030년까지 사업장 내 급속 충전기 12개 포함 총 200개의 충전인프라 구축 목표
- 사회(S): 유엔 글로벌 콤팩트 회원사로 참여 인권 노동 기준에 대한 지속가능 목표 준수 노력
- 지배구조(G): 총 16개 BU/부문으로 리스크 관리 세분화하여 신속한 관리체계 마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DB금융투자 / 서재호 / =Buy / 목표가 =880,000원 / 현재가 722,000원]
유상증자 코멘트
-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공시(25/03/20)
- 주주가치 희석에 따른 단기적인 주가 조정 불가피, 중장기 사업확장 기대감은 유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차 / 곽민정 / =BUY / 목표가 =630,000원 / 현재가 722,000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증자
- 동사는 3월 20일 장 종료 후 3.6조원 규모의 유상 증자 발표
- 구체적으로는 해외방산 1조 6,000억원, 국내 방산 9,000억원, 해외 조선 8,000억원, 무인기 투자 3,000억원 등으로 이번 유상 증자를 통해 육해공을 아우르는 글로벌 탑 플레이어로 도약하고자하는 계획을 밝힘
-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 상승에는 긍정적이나, 주주가치 희석은 아쉬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교보 / 안유동 / 현재가 722,000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결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규모 유상증자(3.6조원) 결정
- 시점이나 자금 조달 형태는 아쉬우나 투자 필요성은 공감. 유래 없는 재무장 시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메리츠 / 이지호 / 현재가 722,000원]
유상증자 Comment
- 전일 3.6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 발표
- 조달 자금의 사용처 별 분류
- 시기와 목적은 뚜렷하나, 방법에 대한 아쉬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신한투자 / 이동헌,이지한 / 현재가 722,000원]
3.6조원 유상증자 발표, 단기 불확실성 요인, 중장기 효과는 기대
- 3.6조원의 대규모 유상증자 발표
- 단기 급락 불가피, 아쉽지만 남은 기대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성 / 한영수,정소연 / ▼HOLD / 목표가 ▲725,000원 / 현재가 722,000원]
대규모 유상증자 결정
- 대규모 증자 계획 발표
- 영향 점검, 아직까지 설명 가능한 주가
- 추가 상승여력 정당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DS투자 / 양형모,강태호 / ▼NEUTRAL / 목표가 ▼750,000원 / 현재가 722,000원]
머리로는 이해되는데, 마음은 아프네
- 유럽 방위비 증액도 자국 내 지출이 많을 전망인데
- 보여줘야 할 것은 매출 성장률을 넘어서는 수주잔고 성장률인데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다올투자 / 최광식 / ▼HOLD / 목표가 ▼700,000원 / 현재가 722,000원]
필요한 투자, 불꽃 같은 자본조달
- 증자비율 13.05%, 3.6조원 유상증자 발표. 희석 요인으로 적정주가 하향
- 유럽과 중동 방산 현지화 및 JV를 위한, 미국 전투함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당위성은 공감하지만, 자금조달 방식은 아쉬움. 향후 5년간의 CAPEX는 2025년 연결 영업이익 3.5조원(지상방산 1.9조원)과 이후의 꾸준한 이익에서 충분히 조달 가능해 보이기 때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NH투자 / 이재광,정연승 / 현재가 722,000원]
성장하는 글로벌 방산시장, 현지 생산 통한 확장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조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 발표
- 지상방산: 해외 1.6조원, 국내 1.2조원 투자 계획. 현지 생산 체제 구축 통한 글로벌 시장 확대 목표
- 해양: 8,000억원 지분 투자 계획. 호주 오스탈 인수를 통한 미국 내 영역 확대 시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키움 / 이한결 / 현재가 722,000원]
3.6조원 유상증자 관련 코멘트
- 3월 20일 장 마감 후 3.6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공시
- 자금 운용 계획은 해외/국내 방산, 해외 조선, 무인기용 엔진 투자 금액으로 집행 예정
- 중장기 방산 수요 확대에 투자가 필요한 상황은 맞지만 단기적으로 주가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한국전력
[NH투자 / 이민재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2,000원]
유의미한 컨센서스 상회
-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2025년 영업이익
- 여전히 필요한 추가적인 요금 인상
- 1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
#삼성증권
[한국투자 / 백두산,안현빈 / =매수 / 목표가 =65,000원 / 현재가 46,250원]
스토리가 좋다
- 핵심경쟁력과 주주환원 스토리
- 해외주식 수수료수익이 국내주식 수익을 역전. 해외파생상품까지 가세
- 주주환원과 신규 비즈니스
#SK텔레콤
[현대차 / 김현용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6,300원]
ESG Report
- ESG 총평 : 가중치가 높은 사회 및 지배구조에서 다소 부진하며 BB 등급으로 하락
- 환경(E) : 23년 재생에너지 사용률 8.6% 달성, 30년까지의 중기 목표 65% 향해 순항중
- 사회(S) : 구성원 AI 리터러시 및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속, 다양성 존중도 개선
- 지배구조(G) : 사외이사 비중 55.6%로 소폭 하락했지만 대기업 평균치 대비로는 상회
#기업은행
[현대차 / 김한이 / N BUY / 목표가 N 19,000원 / 현재가 15,780원]
총주주환원율 vs. 배당수익률
- 25F 지배순익 2.71조원, 전년대비 2.3% 성장 전망
#KT
[현대차 / 김현용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50,700원]
ESG Report
- ESG 총평: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전 부문 개선되며 전년비 1단계 상승한 AA 등급 획득
- 환경(E): 30년 재생에너지 비율 56% 목표로 23년말 태양광 발전소 101개소 8MW 운영
- 사회(S): 고객정보보호 인식 제고 및 교육 실시, AI 교육 포함 디지털 학습플랫폼 활성화
- 지배구조(G): 사외이사 비율 80%로 국내 최고 수준 & 이사회 참석률 90%대 유지
#동성화인텍
[지엘리서치 / 박창윤 / 현재가 23,650원]
LNG선 보냉재 강자, 지속적 실적 개선 기대!
- 주요 고객사_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중국 후동중화조선
- LNG 연료탱크, 부유식 LNG 설비, LNG 재기화 설비 등 신사업 확장
#두산에너빌리티
[KB / 정혜정 / N BUY / 목표가 N 34,000원 / 현재가 25,500원]
SMR 파운드리의 등장
- SMR 시장의 개화, 글로벌 신규 대형 원전 증가, 국내외 가스터빈 기자재 수요 확대가 견인하는 장기 성장
- 2025년 연결 매출액 15.8조원 (-2.5% YoY), 영업이익 1.2조원 (+16.7% YoY): 매출 믹스 개선에 따른 이익 증가 전망
- 리스크 요인: 1) 그룹사 지배구조 개편 시도 2) 국내외 주요 원전 도입 스케줄 변동
#NAVER
[현대차 / 김현용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208,000원]
ESG Report
- ESG 총평: 전 부문 섹터 평균 압도하며 AA 등급 유지했고, ESG 랭크 상위 3% 기록
- 환경(E): 재생에너지 사용량 21% 증가했고, 2025년까지 업무차량 30% 전기차 전환
- 사회(S): 국내 최초 프라이버시 강화 보상 제도 안착시켰고, 이용자 케어 처리율도 98%
- 지배구조(G): 실적 성장에도 이사보수 한도액 동결하고, 사외이사 비율은 57% 유지
#광주신세계
[한국IR / 김태현,변해민 / 현재가 29,550원]
꾸준한 주주환원 정책의지
- 광주 및 호남 지역을 상권으로 하는 백화점
- 밸류업 발표 후 주주가치 제고 노력 기대
- 광천터미널 복합화 사업을 통한 성장 기대
#키움증권
[한국투자 / 백두산,안현빈 / =매수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29,400원]
여전한 해외주식 강자
- 브로커리지 수혜와 저평가 상태 감안해 증권 업종 탑픽으로 제시
- 올해도 성장할 해외주식
- 해외주식을 둘러싼 프로모션과 편의성 제고 정책
#CJ프레시웨이
[현대차 / 하희지 / =BUY / 목표가 =31,000원 / 현재가 22,550원]
점차적인 개선 중
- CJ프레시웨이 1Q25 연결 기준 매출액은 7,848억원(+7.3%yoy). 영업이익 116억원(+10.6%yoy, OPM 1.5%) 시현 전망
- 1) 식자재유통: 1Q25 매출 +8.0%yoy, 영업이익 +15%yoy 전망
- 2) 푸드서비스: 1Q25 매출 +6.1%yoy, 영업이익 +10.6%yoy 전망
#신한지주
[현대차 / 김한이 / N BUY / 목표가 N 68,000원 / 현재가 47,550원]
가시성 높은 주주환원규모, 증익 기대
- 25F 지배순익 5.0조원, 전년대비 9.9% 성장 전망
- 25F BPS 121,705원에 Target PBR 0.56x 적용
#신한지주
[NH투자 / 정준섭,이승준 / =Buy / 목표가 =73,000원 / 현재가 47,550원]
꾸준한 주주환원, 높은 예측 가능성
- 주주환원율 43%에도 PBR 0.4배
- 1Q25 지배순이익 1조4,400억원 예상
#산일전기
[미래에셋 / 조연주 / N 매수 / 목표가 N 90,000원 / 현재가 62,000원]
계속되는 성장 스토리
- 24년 수출 비중 90% 기록, 그 중 미국이 63%로 압도적인 비중
- CAPA 증설 효과로 25년에도 외형 성장세 지속 전망
#디지털대성
[신한투자 / 주지은,박현진 / =매수 / 목표가 =9,600원 / 현재가 7,250원]
상반기 실적에 주목하자
- M&A 효과 본격적으로 드러날 시점
- 4Q24 Review: 눈높이에 부합하는 실적
- Valuation & Risk: 부담 없는 밸류에이션
#비에이치아이
[KB / 한제윤 / 현재가 19,330원]
SMR 주기기 시장 진입 가능성에 주목
- 기업개요: 발전용 기자재 관련 사업, 원전 보조 기기 사업 영위
- 투자포인트 1) 한국 기업들의 선제적인 Teaming에 따른 수혜 가능성 내재 2) SMR에서는 주기기 플레이어로 도약 가능
- 리스크 요인: SMR 프로젝트 지연/취소 가능성, SMR 시장 개화 시기
#아이티엠반도체
[한국IR / 백종석,김혜빈 / 현재가 12,800원]
점진적인 실적 개선 기대
- 이차전지 보호회로, 전자담배 OEM 사업 전문기업
- 2025년 스마트폰 시장 트렌드는 AI 기능 강화, 트라이폴드 스마트폰 시장 본격화
- 2025년, 점진적인 실적 개선 기대
#하나금융지주
[현대차 / 김한이 / N BUY / 목표가 N 81,000원 / 현재가 62,200원]
변동성 높던 자본비율, 기대 상회 여부가 관건
- 25F 지배순익 3.8조원, 전년대비 1.9% 성장 전망
- 25F BPS 165,803원에 Target PBR 0.49x 적용
#하나금융지주
[NH투자 / 정준섭,이승준 / =Buy / 목표가 =86,000원 / 현재가 62,200원]
가파른 TSR 개선 기대
- 적극적인 자본비율 관리와 주주환원 확대
- 1Q25 지배순이익 1조246억원 예상
#원익머트리얼즈
[신한투자 / 김형태,여현석 / =매수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2,150원]
저평가된 주가, 높아질 회복 기대감
- 레거시 재고 소진 가속화, 업황 회복 기대감 지속될 전망
- 4Q24 Review: 외형 축소 불가피했으나 원가 절감으로 수익성은 개선
- Valuation & Risk: 과거 회복 구간의 밸류에이션 반영 가능한 시점
#KB금융
[현대차 / 김한이 / N BUY / 목표가 N 104,000원 / 현재가 82,300원]
비이자 부문 강자. 하반기 주주환원 확대 고대
- 25F 지배순익 5.51조원, 전년대비 8.5% 성장 전망
- 25F BPS 171,015원에 Target PBR 0.61x 적용
#KB금융
[NH투자 / 정준섭,이승준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82,300원]
1분기 CET1비율 개선 전망
- 다시 한번, 밸류업 대표 종목 탈환 시도
- 1Q25 지배순이익 1조6,295억원 예상
#와이솔
[KB / 이창민 / =BUY / 목표가 =9,000원 / 현재가 6,450원]
경쟁 심화 vs. 전방 수요 회복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소폭 하회 전망, 경쟁 심화에 따른 중화 OEM향 실적 부진 영향
- 중국 로컬 업체들의 스마트폰 판매 호조에 따른 수혜 기대
#이마트
[한국투자 / 김명주,전유나 / =매수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78,900원]
1Q25 Preview: 올해 뭘 보여줄 지 설렘
-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31.9% 상회할 전망
- 비효율을 줄이고, 매장 효율성은 높이고
#파크시스템스
[한국IR / 박성순,김혜빈 / 현재가 203,000원]
반도체 시장 침투는 진행형
- 원자현미경 제조 업체
- 높은 기술력 바탕으로 반도체 시장 침투 중
- 중국 제재 우려에도 성장 기대되는 2025년
#리가켐바이오
[현대차 / 여노래 / =BUY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98,800원]
ADC 바이오텍의 영광스러운 진화에 동참하라
- 항암제의 CES, AACR 2025에서 리가켐이 직접 선보이는 미래
- 파트너사의 3종 파이프라인도 공개. 재미있는 타겟과 플랫폼 기술의 결과를 확인하자
- 파트너사의 임상 진입도 가속화 중. 쏠쏠한 오노 약품공업의 마일스톤들도 기대
- 좋은 항체들의 재활용: 바이오배터 개발사로의 진화
#동아에스티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46,250원]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R&D 파이프라인 확장
- 연초 이후 주가는 약 20% 하락: R&D 파이프라인의 공격적인 확장에 따른 비용 증가, 모멘텀 부재에 기인
- 실적 전망: R&D 투자가 지속되어 R&D 비용 증가에 따른 적자 지속될 전망, 다만 이뮬도사 판매 로열티 유입으로 적자 폭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됨
#코스맥스
[NH투자 / 정지윤 / =Buy / 목표가 ▲225,000원 / 현재가 180,600원]
All Time High
- 분기 매출 우상향 추세 지속 전망
- 1Q25 Preview: 한국과 태국 법인의 선전
#솔루엠
[IR큐더스 / 최가윤 / 현재가 17,750원]
2024년 실적 Review & 주요 FAQ
- 솔루엠 2024년 실적 리뷰
- 솔루엠 주요 FAQ
#우리금융지주
[현대차 / 김한이 / N BUY / 목표가 N 22,000원 / 현재가 16,730원]
저평가 가장 큰 종목. 대기중인 호재들 귀추 주목
- 25F 지배순익 3.1조원, 전년대비 1.1% 성장 전망
- 25F BPS 49,493원에 Target PBR 0.44x 적용
#우리금융지주
[NH투자 / 정준섭,이승준 / =Buy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6,730원]
상위사와 격차 갈수록 축소될 전망
- 3분기 발표할 기업가치 제고 계획이 관건
- 1Q25 지배순이익 7,677억원 예상
#넥스틴
[신영 / 박상욱 / =매수 / 목표가 ▲83,000원 / 현재가 58,900원]
HBM 밸류체인에 본격 편입
- 2025년 실적은 상저하고일 전망
- 넥스틴도 이제 HBM 밸류체인
- 아이리스의 잠재력도 무시 못 함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BUY / 목표가 =520,000원 / 현재가 334,500원]
ESG Report
- ESG 총평: 글로벌 탑티어 배터리社로서 미래 에너지 사업 선도
- 환경(E): 순환형 배터리 생태계 구축과 함께 탄소 네거티브 실현 전략 구체화
- 사회(S): 돋보인 제품 품질 리스크 관리
- 지배구조(G): 이사회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및 다양성 확보
#LG에너지솔루션
[삼성 / 조현렬,김원영 / =HOLD / 목표가 ▼380,000원 / 현재가 334,500원]
46시리즈로 휴머노이드 시장 개척
- 휴머노이드 핵심 키워드, 46시리즈 & Tesla
- 1Q25 preview, 컨센서스 상회
- View, 불확실성 해소 전까진 보수적 투자의견 유지
#HPSP
[NH투자 / 류영호,윤진호 / =Buy / 목표가 ▼37,000원 / 현재가 28,250원]
안정적인 실적 속 아쉬운 성장세
- 올해는 내년을 위한 준비 기간
- 올해 실적은 상저하고 전망
#심플랫폼
[키움 / 오현진 / 현재가 없음]
B2B 중심 성장이 주목되는 AIoT 플랫폼 업체
- 산업용 AIoT(AI + IoT) 플랫폼 전문 업체
- 25년 적용 산업 확대로 성장 본격화 주목
#에이직랜드
[LS / 정우성 / =Buy / 목표가 =44,000원 / 현재가 32,850원]
단골 만드는 중
- 4Q24 실적은 매출액 462억원(+93.8% yoy), 영업이익 -93억원(적전)으로, 당사의 기존 추정치(매출액 307억원, 영업이익 42억원) 대비 매출액은 상회, 영업이익은 하회
- 외형 확대, but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신규 Core 레퍼런스 필요
#사피엔반도체
[메리츠 / 양승수 / 현재가 18,230원]
NDR Review: 깨어나는 가능성, 드러나는 잠재력
- 전방시장의 트렌드 및 향후 성장성
- 사피엔반도체의 경쟁력
- NRE 계약 확대의 의미와 본격적인 제품 매출 전환 기대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삼성 / 조현렬,김원영 / 현재가 56,600원]
휴머노이드 개화가 신규 사업에 긍정적
- 2023년 5월 이수화학으로부터 인적분할된 신설법인으로, TDM, NOM/NDM과 같은 정밀화학 부문 외 신규 사업(전고체 배터리 소재)을 영위
- 2024년 기준 P/E 211배이나, 향후 전방 산업 회복 가능성 감안하면 하락 가능
- 전고체 배터리 관련 성장 모멘텀 부각될 경우, 여타 업체보다 투자 심리 크게 개선 가능
#코오롱티슈진
[한국투자 / 위해주,이다용 / N 매수 / 목표가 N 100,000원 / 현재가 48,000원]
이 기세로 DMOAD 승인까지 간다
- 환자는 많은데 약이 없는 OA 시장
- TG-C: 세계 최초 무릎 OA DMOAD 신약 승인 전망
[출처:fnguide, infostock, 네이버증권 등]
'재테크 스터디노트 > 증시 및 리포트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27.목]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1) | 2025.03.27 |
---|---|
[25-03-26.수]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2) | 2025.03.26 |
[25-03-25.화]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5.03.25 |
[25-03-24.월]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5.03.24 |
[25-03-20.목]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1) | 2025.03.21 |
[25-03-19.수]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1) | 2025.03.19 |
[25-03-18.화]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5.03.18 |
[25-03-17.월] 테마종목 및 리포트요약 정리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