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스터디노트/증시 및 리포트요약

[25-04-01.화] 증시테마 및 리포트 요약 정리

by 미니토이 2025. 4. 1.

 

 

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형지글로벌 7,980원(+29.97%)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동신건설 61,100원(+30.0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및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 이스타코 1,968원(+29.99%)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 비비안 1,003원(+29.9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일성건설 4,190원(+29.9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및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 오리엔트정공 13,070원(+29.9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디젠스 2,195원(+29.88%)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형지엘리트 3,240원(+29.86%)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에이텍 37,200원(+29.84%)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오리엔트바이오 2,055원(+29.73%)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형지I&C 2,105원(+29.7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에이텍모빌리티 22,100원(+29.6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iMBC 5,260원(+29.56%)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미디어 테마 상승
  • 수산아이앤티 18,220원(+29.4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CS 2,035원(+27.99%)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평화홀딩스 6,600원(+26.2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김문수 테마 상승
  • 위세아이텍 9,270원(+25.78%)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코이즈 1,661원(+25.74%)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토탈소프트 9,810원(+24.97%)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카스 2,340원(+24.93%)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부방 2,005원(+21.5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한동훈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한솔PNS 1,885원(+20.99%)
    : 최대주주 한솔홀딩스, 동사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 진행 모멘텀 지속
  • KD 1,283원(+20.7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 동원금속 1,920원(+20.38%)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한빛레이저 6,530원(+20.26%)
    : 삼성SDI-현대차·기아 고성능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추진 소식 속 삼성SDI 및 현대차·기아에 레이저 제조 장비 공급 이력 재부각
  • 프럼파스트 6,080원(+20.16%)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세종시 관련주로 부각
  • 프리엠스 11,960원(+19.7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엠오티 10,530원(+18.58%)
    : 삼성SDI-현대차·기아 고성능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추진 소식 속 삼성SDI 탭웰딩 장비 독점 공급사로 부각
  • 코나아이 29,600원(+18.4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이재명 테마 상승
  • 아가방컴퍼니 5,500원(+17.90%)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정책주로 부각되며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 경남스틸 5,140원(+17.6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홍준표 테마 상승
  • 와이오엠 1,283원(+17.17%)
    : 최대주주 변경
  • 종근당바이오 23,300원(+17.14%)
    : 보툴리눔톡신 국내 허가 소식
  • 대영포장 1,466원(+16.35%)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김문수 및 윤석열 테마 상승
  • 밸로프 884원(+15.86%)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김문수 테마 상승
  • 꿈비 8,120원(+15.83%)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정책주로 부각되며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 제이준코스메틱 5,150원(+15.47%)
    : 화장품 테마 상승 및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대상홀딩스 12,760원(+15.16%)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등에 한동훈 테마 상승
  • 갤럭시아머니트리 7,660원(+15.02%)
    : 헌법재판소,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테마시황

  • 3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반도체 테마도 상승.
  • 美 제재로 中 선박 건조 취소 소식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헌법재판소, 오는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정치/인맥(이재명, 김문수, 한동훈, 안철수, 오세훈 등), 미디어 및 취업,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건설 중소형 등 정책 관련 테마 상승.
  • 한국 화장품 수출, 미국 시장 1위 소식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여행, 카지노, 면세점,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게임/모바일게임, 항공/저가항공사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 트럼프 美 대통령 북한과 소통 관련 발언 등에 남북경협, 철도 테마 상승.
  • 中 드론 택시 세계 최초 상업 운항 허가 소식 등에 드론/ UAM 테마 상승.
  • 美, 러시아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 속 국제유가 급등 영향 등에 정유/ LPG, 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 상승.
  • 반면, 편의점, 통신, 2차전지, 백화점, 육계, 비료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반도체 관련주

3월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상승

  •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월 수출이 582억8,000만달러로 2022년 3월(637억9,000만달러)에 이어 3월 기준 역대 2위를 기록했다고 밝힘. 지난 1월 수출은 전년보다 10% 감소했지만, 2월 플러스로 전환한 데 이어 3월까지 두 달 연속 증가.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전년대비 5.5% 증가한 26억5,000만달러로 나타났음. IT 품목들은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만에 모두 동시 흑자를 기록한 가운데,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HBM, 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호조세에 따라 11.9% 증가하면서 플러스 전환했음.
  • 이날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낸드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고, D램 가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음. 메모리카드·USB용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대비 9.61% 오른 2.51달러를 기록. 낸드 가격은 지난해 9월부터 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인 뒤 올해 1월 반등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3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과 같은 1.35달러로 집계. D램 가격은 지난해 8월 하락 전환한 뒤 9월(-17.07%), 11월(-20.59%)에는 두 자릿수가 급락했고, 12월부터 변동이 없는 상태가 지속.
  •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바이든 행정부 때 미국에 투자한 반도체 기업에 지급하기로 약속한 보조금의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했음. 트럼프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에 대한 투자자를 지원하는 ‘미국 투자 액셀러레이터’ 사무소를 상무부 내에 만들라고 상무부 장관에게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이 사무소에 상무부의 반도체법 프로그램 사무소(CPO)도 책임지라고 지시했음.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CPO에 대해 "전임 행정부보다 훨씬 나은 합의를 협상해 흥정(bargain)에 따른 이득을 납세자에 가져다주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테크윙, 어보브반도체, 리노공업,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美 제재로 中 선박 건조 취소 소식 속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美 에너지 메이저 기업 엑슨모빌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예정이었던 액화천연가스벙커린선(LNGBV) 신조 계약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엑슨모빌은 지난달 2만 큐빅미터(cbm·부피의 단위)급 LNGBV 2척을 건조할 슬롯을 중국 조선소를 통해 확보했으며 조만간 공식 입찰을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슬롯을 확보하는 이 옵션을 끝내 행사하지 않았음. 지난 30일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엑손모빌이 중국 조선소 슬롯 옵션을 행사하지 않은 것은 미국 정부의 대중국 항만 수수료 부과 계획이 실제 선박 발주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USTR 중국 제재안의 첫 수혜로 확인됐다고 언급.
  • 美 의회조사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세계 선박 인도량은 중국이 51%로 가장 많았고 한국(28.3%), 일본(15.4%) 순이었다며, 중국 선사 및 선박에 수수료 부과 가능성이 커지면서 비 중국산 선박에 대한 프리미엄도 붙는 상황이라고 알려짐. 이에 조선업계 관계자는 "엑손모빌이 수주를 취소한 대형 LNGBV는 중국과 한국 조선소에서만 만들 수 있어 한국으로 물량이 올 수 있다. 현재 한국 조선소는 수년 치 일감이 쌓여 있어 슬롯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언급.
  • 금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3월 수출액은 582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1%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음. 특히, 3월 선박 수출은 32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51.6% 급증, 2023년 12월 이후 15개월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
  •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태웅, 동성화인텍, 인화정공, HD현대마린솔루션, SK오션플랜트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정치/인맥

헌법재판소, 오는 4일 오전 11시 尹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소식 속 상승

  •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선고할 예정. 탄핵소추안이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재적 300명 중 204명이 찬성하며 가결된 이후 111일만에 인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탄핵심판 선고일은 마지막 변론 기일 기준으로는 38일만임. 헌법재판관들은 연일 평의를 열어 치열한 법리 판단을 이어나간 것으로 전해졌으며,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재판관 내 이견이 상당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형지글로벌, 형지I&C, 오리엔트정공, 동신건설, 에이텍, 오리엔트바이오, 디젠스 등 이재명 테마를 비롯해 대상홀딩스, 오파스넷 등 한동훈, 진양화학 등 오세훈, 경남스틸 등 홍준표, 안랩 등 안철수, 평화홀딩스 등 김문수, SG글로벌 등 김동연,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등 우원식, 넥스트아이 등 이준석, NE능률, 덕성 등 윤석열 등 테마가 상승. 또한, 정책주로 부각되는 대성창투, 원티드랩, 오픈놀 등 취업, 꿈비, 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 등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KD, 이화공영, 일성건설 등 건설 중소형탄핵 수혜주로 꼽히는 iMBC, YTN, SBS 등 미디어 테마가 상승. 아울러 유라테크/프럼파스트/대주산업 등 세종시 관련주도 상승.

화장품

한국 화장품 수출, 미국 시장 1위 소식 등에 상승

  • 전세계적으로 K뷰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이 분야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한국산 화장품이 프랑스를 제치고 수출 국가 1위를 차지했음.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국제무역위원회 자료를 인용해 한국의 작년 대미 화장품 수출액이 17억100만 달러(약 2조5,073억원)를 기록했음. 서구권에서 인지도가 높은 명품 브랜드 화장품을 주로 판매하는 프랑스(12억6,300만 달러‧약 1조8,617억원)를 넘어선 수치임. 블룸버그는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에스티로더, 일본 제조업체 시세이도가 올해 1분기 순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어려움을 겪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한국 화장품의 약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
  • K뷰티의 선전은 한류의 확산때문으로 K팝과 K드라마가 전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기업들은 제품 협찬을 활용해 스틱 밤부터 LED 페이스 마스크까지 다양한 제품을 미국 시장에 판매했음. 이를 반영하듯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작년 한국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약 15조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음.
  • 中 한한령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전일 중국의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이달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두 달째 확장 국면을 지속된 가운데, 중국이 한국 콘텐츠를 언급하면서 한한령이 해제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음. 코스맥스는 내년 완공을 목표로 중국 상하이에 사옥을 건설하고 있으며, 코스메카코리아는 중국 시장을 총괄하는 코스메카차이나 총경리로 중국 로컬 화장품 브랜드 프로야(PROYA)에서 영업직을 지낸 김형렬을 선임한 바 있음. 애경산업은 중국 MCN 기업인 신쉔그룹과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사업을 효율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글로본, 삐아, 제이준코스메틱, 실리콘투, 애경산업, 잉글우드랩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등

트럼프 美 대통령 북한과 소통 관련 발언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질문에 대해 "나는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라는 발언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연락(reach out)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Well, I do)"고 답했으며, 2017년 집권 1기 초기에 김 위원장을 '리틀 로켓맨'(little rocket man)으로 언급했던 상황 등을 거론하면서 "어느 날 그들이 만나고 싶어 한다는 전화를 받았다. 우리는 만났고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라고 언급했음. 이어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we have, there is communication)"라면서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다시피 그는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이고 매우 스마트한 사람"이라고 평가했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일신석재, 제이에스티나, 좋은사람들, 인디에프, 현대엘리베이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또한, 부산산업, 대아티아이, 옵티시스 등 철도 테마도 상승.

드론/ UAM

中 드론 택시 세계 최초 상업 운항 허가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드론 택시가 세계 최초로 상업 운항에 나설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중국민용항공총국이 광둥성 이항홀딩스와 안후이성 허페이 허이항공 2곳에 자율 여객 드론에 대한 운항인증서(OC)를 발급했다고 보도했음. 이 인증서는 민간 무인항공기에 대한 최초의 인증서로, 중국중앙TV에 따르면 인증서를 받은 기업은 승인된 공역에서 상업적 운항을 수행하고 유료 여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이항 관계자는 “차량 공유 서비스 예약처럼 ‘저고도’ 항공편을 예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상업 운영 지역을 계속 넓혀 광저우 여러 지역에 저고도 운송 허브를 구축하고 관광·상업용 여객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허이항공 관계자는 “지역 내 공원과 같은 장소에서 상업 여객 서비스를 본격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베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기산텔레콤, 디티앤씨, 에이럭스 등 드론/UAM 테마가 상승.

정유/ LPG 등

美, 러시아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 속 국제유가 급등 영향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 러시아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 등에 급등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12달러(+3.06%) 상승한 71.48달러에 거래 마감. 트럼프는 지난 주말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휴전 협상 결렬이) 러시아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면 난 러시아에서 나오는 모든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그것은 당신이 러시아에서 원유를 구매한다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며 "모든 원유에 25~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지난밤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상승하는 등 뉴욕증시에서 위험 선호 심리가 살아난 점도 국제유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흥구석유, 한국가스공사, SH에너지화학 등 정유/LPG/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가 상승.

 

 

리포트요약

#하이트진로

[NH투자 / 주영훈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19,230원]

높아진 이익 체력
  • 경쟁사의 가격 인상 진행
  • 1Q25 Preview: 시장 눈높이 부합 전망

#CJ대한통운

[NH투자 / 정연승,곽재혁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6,300원]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 진입
  • 변하지 않은 투자 포인트, 하반기 이익 모멘텀 부각을 기대
  • 신규 서비스 관련 비용으로 1분기 택배 수익성 둔화 불가피

#SK하이닉스

[현대차 / 노근창,윤동욱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190,700원]

연간 실적 Consensus가 매분기 올라갈 것으로 예상
  • 부족한 HBM Capa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 NAND Capa를 HBM으로 할당하고 있으며 청주 M15X의 조기 가동을 위해 장비 반입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
  • AI 메모리 반도체 대표 기업으로서 Buy & Hold 전략 권고

#SK하이닉스

[NH투자 / 류영호,윤진호 / Buy / 목표가 290,000원 / 현재가 190,700원]

1Q25 Preview: 부각될 실적 안정성
  • 중장기 기술 변화를 선도 중
  • 비수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이어갈 것

#현대건설

[한국투자 / 강경태,남채민 / 매수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5,950원]

2025CEO Investor Day 후기: Re-rating을 앞둔 멀티플
  • 핵심 I: 대형 원전 18개, SMR 5개 프로젝트 수주 pool 확인
  • 국내외 3.5세대 대형 원전 대표 노형부터 SMR까지 커버리지
  • 핵심 II: 건축/주택 부문에서 13% 이상의 공사 마진을 달성할 것

#한화

[대신 / 양지환 / Buy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0,950원]

지분 증여로 정면 돌파
  • 김승연 회장 보유지분 11.3% 세 아들에게 각각 4.9%, 3.2%, 3.2% 증여
  • 한화 그룹의 일련의 행보와 관련된 시장의 오해와 억측을 불식시킬 전망
  • 한화 주가 할인 해소 및 영업 및 지분가치로 재평가 받을 것으로 판단

#한화

[SK / 최관순 / 매수 / 목표가 54,000원 / 현재가 40,950원]

지분증여로 승계 관련 주가 불확실성 해소
  • 김승연 회장, 지분증여 결정
  • 지분증여로 승계 관련 주가 불확실성 해소

#KG케미칼

[한국IR / 김선호,이희경 / 현재가 3,600원]

KG그룹을 대표하는 비료회사
  • 비료회사이자 KG그룹 대부분의 회사를 연결종속회사로 인식
  • KG 정밀화학
  • 추가 주주가치 제고 계획 필요

#삼양식품

[IBK투자 / 김태현 / 매수 / 목표가 1,080,000원 / 현재가 860,000원]

숨 고르기는 끝났다
  • 1Q25 실적,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 해외 실적 성장 및 점유율 상승세 지속
  • 세계가 밀양 2공장 준공을 기다린다

#대한항공

[iM / 배세호 / Buy / 목표가 31,000원 / 현재가 21,300원]

Deep Value 구간
  • 1Q25 연결 영업이익 4,973억원(-7.5% YoY, +5.5% QoQ) 예상

#현대제철

[NH투자 / 이재광,이승영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5,000원]

컨센서스 하회하는 실적 예상
  • 미국 제철소 건설 추진, 성장 동력으로 기대
  • 1Q25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예상

#POSCO홀딩스

[BNK투자 / 김현태 / 매수 / 목표가 400,000원 / 현재가 278,500원]

하반기에 업황의 긍정적 모멘텀 기대
  • 1Q 철강 실적 개선되나, 이차전지소재는 부진 지속
  • 하반기가 철강, 이차전지소재 모두 중요한 변곡점

#POSCO홀딩스

[NH투자 / 이재광,이승영 / Buy / 목표가 390,000원 / 현재가 278,500원]

전분기비 개선되는 실적 전망
  • 2분기부터 철강산업에 긍정적인 요인들이 실적에 반영될 전망
  • 1Q25 Preview: 기저효과 및 철강 밀마진 개선으로 전분기비 개선

#POSCO홀딩스

[신한투자 / 박광래,한승훈 / 매수 / 목표가 330,000원 / 현재가 278,500원]

철강/인프라는 개선 예상. 에너지소재는 아직…
  • 전년동기대비 이익 증가 및 에너지소재 흑자전환이 필요
  • 1Q 영업이익 5,715억원(+495.4% QoQ) 전망. 컨센서스 소폭 하회 예상
  • Valuation & Risk: 중장기적 관점에서 우려보다는 기대를 가져야할 때

#SPC삼립

[한화투자 / 한유정 / 현재가 59,800원]

제가 알던 SPC삼립 맞나요?
  • 단기 투자포인트: ① 신제품 중심의 Bakery 실적 성장 기대
  • 중장기 투자포인트: ② Bakery 수출 확대
  • 중장기 투자포인트: ③ SPC그룹 글로벌 사업 시너지

#SPC삼립

[하나 / 심은주,고찬결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9,800원]

1Q25 Pre: 야구인이 캐리 중
  • ‘크보빵’이 뭐길래
  • 1Q25 Pre: 시장 기대 부합 예상
  •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보유

#삼영전자

[LS / 정홍식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030원]

2025년 하이브리드 콘덴서 기대감
  • 하이브리드 콘덴서 사업 본격화
  • 2025년 수익성개선 기대감
  •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영업이익 < 이자수익

#삼성전자

[현대차 / 노근창,윤동욱 / BUY / 목표가 71,000원 / 현재가 57,800원]

프리미엄과 범용 모두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Foundry 사업부는 Tier1고객 부족과 Captive 거래선의 부진으로 연내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 동사 주가는 1) Valuation 매력과 2) 자사주 소각, 3) 범용 메모리 제품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기술 초격차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주가 재평가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

#삼성SDI

[한국투자 / 최문선,홍예림 / N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88,500원]

소형전지 업황 회복과 비용 개선이 절실
  • 전기차에 소형전지까지 업황 부진
  • 연구개발비 딜레마

#벽산

[NH투자 / 심의섭,목진원 / 현재가 2,165원]

선행 지표들은 반등을 가르키기 시작
  • 화재 안전 관련 법규 강화로 무기단열재 수요 급증
  • 견조한 그라스울 수요와 업황 회복이 맞물리며 재성장 국면 진입 전망

#삼성전기

[현대차 / 김종배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29,100원]

IT 불확실성 속에서도 MLCC 성장스토리는 유효
  • 중국 정부의 IT 보조금은 1분기 단기 실적보다는 연간에 걸쳐 일부 드러날 것으로 예상됨
  • IT 수요 외에도 전장, Server향 MLCC 매출이 확대되며 Mix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판 내에서도 FC-BGA 매출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
  • 신사업 모멘텀 역시 현실화되고 있음

#한샘

[한국투자 / 강경태,남채민 /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40,850원]

1Q25 Preview: 배당만 보자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 B2B 부진을 B2C로 만회
  • 2025년에도 고배당 매력도 부각될 것
  • 중립 의견 유지, 단기 밸류에이션 개선 힘들 것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신한투자 / 이동헌,이지한 / 현재가 627,000원]

신한 속보; ㈜한화 지분 증여, 유상증자 논란 정면돌파
  • ㈜한화 김승연 회장 보유 지분 일부 증여로 본격적인 3세 경영 개막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본업 집중의 힘을 보여줄 때

#한국전력

[LS / 성종화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1,650원]

전력직접구매 제도 이슈 관련
  • 전력직접구매 제도는 2003년부터 시행 중이나 그동안은 유명무실
  • 한전 전기요금 인상으로 기업들 전력 직접구매 Need 증가
  • 3/28 산자부 전기위원회 '전력직접구매제도 정비 위한 규칙개정안' 의결
  • 한전 입장에선 아쉬움. 요금 경쟁력 열위로 요금 인상 동력 저하 우려

#기업은행

[BNK투자 / 김인 / 매수 / 목표가 16,500원 / 현재가 14,220원]

배당주로서의 매력 유효(향후 분기 및 반기배당과 연결 배당성향 제시 필요)
  • 1Q25 Preview: 경상적 대손비용 증가로 소폭 감소 예상

#KT&G

[대신 / 정한솔 / N Buy / 목표가 N 130,000원 / 현재가 101,100원]

견고한 내수, 가속화되는 글로벌
  • 일반 궐련 → 궐련형 전자담배 수요 이동 지속
  • 실적 개선과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 기반 견조한 주가 예상

#LG디스플레이

[현대차 / 김종배 / BUY / 목표가 13,500원 / 현재가 8,810원]

분명 잘하고 있다
  • OLED 패널 중심의 Business Portfolio를 구축하고 있으며, 현재는 B2B IT LCD를 제외하고 OLED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지난 해 일회성 비용, IT OLED의 예상치 하회로 인해 기대치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전년 대비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되었고, OLED 중심의 외형성장과 인건비와 감가상각비 축소로 인해 올해 역시 큰 폭의 이익 개선이 이뤄질 것

#주성엔지니어링

[NH투자 / 류영호,윤진호 / Buy / 목표가 46,000원 / 현재가 38,150원]

높아지는 기대감
  • 올해는 중장기 성장을 위한 모멘텀 확보 기간
  • 양호한 1분기 실적 전망

#LG생활건강

[NH투자 / 정지윤 / Hold / 목표가 340,000원 / 현재가 312,500원]

신뢰를 쌓아가는 과정
  • 점진적인 펀더멘털 개선, 속도보다는 방향에 초점
  • 1Q25 Preview: 컨센서스 소폭 하회 예상

#현대홈쇼핑

[NH투자 / 주영훈 / Buy / 목표가 65,000원 / 현재가 49,400원]

주주환원 정책 확대 기대
  • 저평가 매력
  • 1분기, 전년 대비 소폭 하락 전망

#큐렉소

[SK / 박찬솔 / 현재가 7,980원]

실적 회복 과정
  • 큐렉소: 인공관절 수술로봇
  • 2025년 다시 정상궤도 진입

#현대로템

[다올투자 / 최광식 / HOLD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105,000원]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2026년 수출절벽 예상치 그대로 두지만, 폴란드-슬로바키아 K2 협상 등으로 K2PL의 2차 계약이 임박했다고 판단
  • K2의 단가가 1차 실행계약보다 높아서, 2026~2027년 실적과 적정주가 상향도 가능

#현대백화점

[SK / 박찬솔 / 현재가 59,900원]

영 앤 트랜디 에코붐
  • 현대백화점: 판교/더현대서울/무역점/본점 하드캐리
  • 현대백화점: 백화점 기업
  • 문화공간으로의 역할

#현대글로비스

[대신 / 양지환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12,400원]

관세에 대한 우려 과도
  • 2025년 1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 전망
  • PCC운임 인상, 비계열물량 확대, CKD부문 매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추정
  • 관세 우려로 과도한 주가 조정, PER 5배 수준으로 적극적인 대응 추천

#테크윙

[현대차 / 박준영,윤동욱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31,400원]

고객사 확대 및 적용 공정 증가 예상
  • HBM용 테스트 장비 산업에 Cube Prober라는 새로운 방식의 프로브스테이션을 도입중
  • 최근 동사의 2025년 납품 물량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지며 주가가 부침을 겪고 있음
  • 하지만 두번째 고객사의 퀄리피케이션 테스트 결과가 임박함에 따라 주가 반등의 트리거가 될만한 이 벤트들이 다가오고 있다고 판단됨

#나스미디어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3,700원]

25년 키워드는 회복, OTT, 옥외
  • 전년보다는 양호한 실적 전망
  • 25년 키워드는 회복, OTT, 옥외

#DGB금융지주

[신한투자 / 은경완,박현우 / 매수 / 목표가 11,500원 / 현재가 8,980원]

실적 정상화의 원년
  • 실적 턴 어라운드 기대감 유효
  • 1Q25 Preview: 대손비용률 하락에 따른 호실적 기대
  • 은행업종 Top Picks 추천

#덴티움

[미래에셋 / 김충현 / 현재가 71,100원]

역사적 저점 밸류에이션을 벗어날 좋은 마중물
  • 덴티움의 3대주주로 올라선 행동주의 펀드
  • 역사적 저점 밸류에이션 벗어날 좋은 마중물이 될 것

#덴티움

[삼성 / 정동희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71,100원]

행동주의 펀드 지분 매입 공시, 속단은 이르지만 긍정적
  • 침체된 주가를 깨우는 행동주의 펀드 주주 공시
  • 투자 목적은 ‘일반 투자 목적’으로 향후 구체적인 주주 행동 확인 필요
  • 장기간 부진했던 주가 고려 시 긍정적 시그널이나, 단기 변동성 심화 가능 주의

#서진시스템

[메리츠 / 정지수 / 현재가 20,550원]

ESS에 이은 우주 사업 성장
  • 알루미늄 소재 가공 1위 업체
  • 2025년 영업이익 1,714억원(+57.6% YoY) 전망
  • 글로벌 최대 민간 우주기업의 메인 벤더로 부상

#덕산네오룩스

[현대차 / 김종배 / BUY / 목표가 51,000원 / 현재가 27,000원]

주가, 실적은 지금이 저점. 적극적인 비중 확대 전략 유효
  • OLED에 대한 글로벌 세트업체의 수요는 지속되고 이로 인해 IT OLED로의 전환은 순항 중이며, 중국 내 OLED 전환으로 인한 M/S 하락은 국내 업체들에게는 큰 우려사항이 아님(기존 중국 Exposure가 매우 낮음)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종 고객사의 패널 업그레이드는 지속되고 있고, 이는 동사의 실적으로 충분히 증명되고 있음

#엠플러스

[그로쓰리서치 / 이재모 / 현재가 7,630원]

조립장비 전문기업에서 2차전지 장비, 부품, 소재분야 글로벌 리더로 도약
  • 2025년 전고체배터리, 각형배터리 向
  • 대규모 수주 기대2025년 매출액 2,143억원, 영업이익 204억원 전망(컨센서스)

#크래프톤

[한화투자 / 김소혜 / Buy / 목표가 440,000원 / 현재가 334,500원]

1분기 호실적에도 다소 아쉬운 inZOI 초반 성과
  • 1Q25 실적은 시장 기대치 상회 추정
  • 놀랄만한 초기 성과는 아닌 상황, 향후 업데이트 성과 중요

#크래프톤

[하나 / 이준호 / BUY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334,500원]

봄은 온다
  • 1Q25 Pre: 컨센서스 상회. 분기 최대 영업이익 전망
  • 배틀그라운드 성장, 신작 출시 이상 무

#BGF리테일

[한국투자 / 김명주,전유나 / 매수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09,400원]

1Q25 Preview: 올해 봄은 겨울이었나봄
  •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17.3% 하회할 전망
  • 올해 소매산업 내 편의점 채널의 M/S 회복 어려움

#효성중공업

[LS / 성종화 / Buy / 목표가 600,000원 / 현재가 428,500원]

1Q25 호조 & 올해도 호실적 지속 전망
  • 1Q25 영업실적 YoY 대호조, 컨센서스 부합, 당사 전망치 소폭 초과 전망
  • 2025년 연결영업실적도 매출 고성장, 수익성 개선 등 호실적 지속 전망
  • 보편관세 영향 제한적. 미국 초고압변압기 생산공장 보유 & Capa 증설

#마이크로디지탈

[IBK투자 / 이건재 / 현재가 8,850원]

진정한 바이오 소부장 대표 기업으로 확정!
  • 어제(31일) 한국경제 기사를 통해 마이크로디지탈의 북미 핵심 파트너사인 A사가 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FORTUNE 500기업 중 216위에 랭크된 Parker Hannifin이라는 것이 밝혀짐
  • 이는 국내 반도체 소부장 기업이 ASML, Lam Research, Applied Materials와 같은 글로벌 기업에 장비를 공급한 것과 같은 수준으로 평가받을 만한 것이라 분석됨

#우리금융지주

[BNK투자 / 김인 / 매수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6,500원]

높은 배당수익률과 적극적 주주환원정책 실천 중
  • 4Q24 Preview: 명퇴비용 발생으로 지배주주순이익 감소 예상

#LG에너지솔루션

[한국투자 / 최문선,홍예림 / N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334,500원]

최고의 배터리 회사지만 불확실성과 밸류에이션이 부담
  • AMPC를 제외하면 연간 영업적자 예상
  • 안정되지 않은 비용 구조도 실적의 변수

#LG에너지솔루션

[IBK투자 / 이현욱 / 매수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334,500원]

전방 수요 확인 먼저
  • 25년 1분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상회
  • 아직 불확실성 지속되는 단계, 수요 확인 먼저

#DL이앤씨

[메리츠 / 문경원 / Buy / 목표가 52,000원 / 현재가 41,600원]

1Q25 Preview: 예상된 허들
  • 마지막으로 악성 현장 털어낼 1Q25
  • 예고된 1Q25 부진이 연간 실적을 대변하는 것은 아님
  • 원가율 개선이 가장 가시적인 회사. 여전히 투자 매력도 높음

#F&F

[NH투자 / 정지윤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63,400원]

우려 대비 양호
  • 점진적 내수 회복과 중국 성장에 기대를 걸어볼 시점
  • 1Q25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예상

#밀리의서재

[한국IR / 김태현,변해민 / 현재가 12,300원]

다각화된 판매 채널 통한 성장 기대
  • 전자책 구독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
  • 투자포인트1. 다각화된 판매 채널 전략에 따른 성장 기대
  • 투자포인트2. 지속적인 R&D를 통한 고객 확장 기대

#에코프로머티

[신영 / 박진수 / 현재가 57,800원]

하반기부터 판매, 손익 모두 긍정적
  • 25년 외판 비중 확대로 판매량 점프업
  • 인도네시아 그린에코니켈 연결 편입 효과와 통합 밸류체인 구성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 기대

#더본코리아

[리딩투자 / 유성만 / 현재가 28,950원]

앞으로 잘할게유~
  • 약 25 개의 브랜드로 국내외 프랜차이즈 사업 확대
  • B2B&B2C 유통사업 확장 등 푸드테크 사업으로 확장노력
  • 24년에도 호실적, 올해도 무난한 실적 성장이 지속될 전망

 

 

[출처:fnguide, infostock, 네이버증권 등]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