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스터디노트/증시 및 리포트요약

[25-03-17.월] 테마종목 및 리포트요약 정리

by 미니토이 2025. 3. 17.

 

 

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콜마홀딩스 9,280원(+29.97%)
    :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美 행동주의 달튼, 동사 경영권 참여 시도
  • 센서뷰 1,697원(+29.94%)
    : 이스라엘 소재 엔비디아 연구소에 고주파 RF 계측·측정용 케이블 조립체 공급 소식
  • 씨케이솔루션 18,760원(+25.07%)
    :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리튬포어스 1,007원(+21.62%)
    : 리튬 및 일부 안철수 테마 상승
  • 오리엔트정공 9,640원(+20.20%)
    : 尹 대통령 탄핵 선고 임박에 일부 이재명 테마 상승
  • 에스엠씨지 4,670원(+19.59%)
    : 방한 관광객, K-뷰티 결제율 상승 소식 속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 애니젠 11,600원(+13.73%)
    : 화장품 테마 상승 및 HLB 간암 1차 치료제 병용요법, 美 FDA 승인 임박 등에 HLB그룹 피인수 사실 재부각
  • 아이에스티이 13,900원(+13.28%)
    :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SK하이닉스 차세대 저전력 낸드 개발 착수 소식 속 PECVD 장비 퀄테스트 통과 이력 부각
  • 디엔에프 11,500원(+12.41%)
    : 엔비디아 GTC 기대감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알테오젠 439,500원(+12.12%)
    : 아스트라제네카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ALT-B4)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
  • 주성엔지니어링 37,900원(+11.96%)
    : 엔비디아 GTC 기대감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데브시스터즈 37,500원(+11.94%)
    : 쿠키런: 킹덤 4주년 맞이 특별전 누적 관람객 11만 명 돌파 소식 등
  • 디에이피 2,225원(+11.42%)
    : 9.98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 인크레더블버즈 2,965원(+11.26%)
    :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자본잉여금으로 결손금 해소 기대감 지속
  • 한국항공우주 95,000원(+10.85%)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뚜렷한 성장 기간 도래 분석 등
  • 코스텍시스 7,660원(+10.85%)
    : 배터리업계, 25년을 저점으로 실적 정상화 기대감 등에 전기차 테마 상승
  • 한화시스템 38,850원(+10.84%)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본업 성장 및 필리조선소 턴어라운드 기대감 지속 등
  • 와이씨 11,460원(+10.83%)
    : 엔비디아 GTC 기대감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대화제약 16,400원(+10.81%)
    : 경구형 파클리탁셀 제제 리포락셀액(리포락셀) 中 시장 진출 본격화 소식 지속 부각
  • 인화정공 33,800원(+10.10%)
    : 매카시 전 의장, 美군함 건조 법개정 추진 및 주요 조선사 수주 소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HLB제약 26,950원(+9.11%)
    : 간암 1차 치료제 병용요법, 美 FDA 승인 임박 등에 HLB 그룹주 상승
  • 휴온스글로벌 47,450원(+9.08%)
    : 견조한 실적 성장세 전망 등에 미용기기/보톡스 테마 상승

 

 

테마시황

  • 엔비디아 GTC 기대감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 매카시 전 의장, 美군함 건조 법개정 추진 및 주요 조선사 수주 소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유럽 재무장 수혜 기대감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견조한 실적 성장세 전망 등에 미용기기/ 의료기기/ 보톡스 테마 상승.
  • 엔비디아, GTC서 유리 기판 관련 언급 기대감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등 영향 등에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 尹 대통령 탄핵 선고 임박 속 이재명, 김동연, 오세훈, 김문수, 안철수 등 테마 상승.
  • 배터리업계, 25년을 저점으로 실적 정상화 기대감 등에 일부 2차전지/ 전기차 등 테마 상승.
  • 카이스트 교수팀,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시간 단축 기술 개발 소식 등에 리튬 테마 상승.
  • 방한 관광객, K-뷰티 결제율 상승 소식 속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 반면, 업황 둔화 국면 지속 전망 등에 석유화학 테마 하락.
  • 쏘카(-9.55%) 급락 속 렌터카 테마 하락.
  • LS전선·대한전선, 英 내셔널그리드와 HVDC 공급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지난주 부각됐던 전선 테마 하락.

반도체 관련주

엔비디아 GTC 기대감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27%) 급등 등에 상승

  • 엔비디아는 현지시간으로 3월17~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세계 최대 AI 컨퍼런스인 'GTC 2025'를 개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GTC 행사에 참여해 HBM, 기업용 SSD 등의 AI 관련 메모리를 전시할 예정. 시장의 관심은 현지시간 18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기조연설에 쏠리고 있음.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디램 공급이 수요 회복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밝힘. 1분기 DDR4 재고가 정리된 후 2분기부터 DDR5 위주로 디램 공급 부족이 부각되면서 ASP가 상승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의 1b nm, 1c nm 양산 ramp up 지연과 디램 3사의 HBM 비중 확대가 25년 공급 부족의 주 원인이 될 것으로 분석.
  • 지난 14일 뉴욕 주식시장이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급등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5.55(+3.27%) 상승한 4,598.79를 기록. AI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5.27%)는 상승했으며, AMD(+2.92%)도 상승 마감.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1.46%)는 상승했으며, D램 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6.23%)도 상승 마감.
  •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와이씨, 주성엔지니어링, 테크윙, 디엔에프, 이오테크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매카시 전 의장, 美군함 건조 법개정 추진 및 주요 조선사 수주 소식 등에 상승

  • 지난 14일 언론에 따르면, 방한 중인 케빈 매카시 전 미국 하원 의장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난 자리를 통해 한국에서 미국 군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법률 개정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짐. 한 참석자에 따르면, 매카시 전 의장은 “한국의 조선 기술이 세계 최고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미국 현행법상 선박 건조는 자국에서만 가능하지만, 미국 선박을 한국에서도 수리·건조할 수 있도록 법안 개정 등을 활용해 양국이 협력하면 좋겠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음.
  • 한화오션, 아시아 지역 선주와 2.32조원(최근 매출액대비 31.4%) 규모 공급계약(컨테이너선 6척) 체결(계약기간:2025-03-14~2028-03-17) 공시. 삼성중공업, 오세아니아 지역 선주와 1.93조원(최근 매출액대비 24.2%) 규모 공급계약(셔틀탱커 9척) 체결(계약기간:2025-03-14~2028-12-31) 공시.
  • 한편,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기자재의 실적은 보냉재, 엔진이 주도하고 있다며, 향후 4년간 트럼프 정책에 따른 에너지, 조선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단기 실적보다 우량 기자재 업체의 희소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또한,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이 현실화되더라도 조선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며,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 의지가 확고하다고 언급했음.
  • 이에 금일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인화정공, 동방선기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유럽 재무장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LS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유럽 재무장에 따른 방위산업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러-우 전쟁 후 모멘텀(상승 동력)이 없을 것이라 예측됐던 것과 달리 현재 시장은 유럽 재무장과 국내 기업 수혜에 집중하는 모습이라며, 국내 방산주의 매출·마진 증가율이 글로벌 업체들을 웃돌고 있지만 멀티플 측면에선 20% 이상 할인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
  • 아울러 유럽 재무장은 단기간 내에는 EU 자체적으로는 힘들 것이라며, 유럽의 제조업 역량 부족이라는 산업적인 부분을 차치하더라도 EU 내 서유럽 및기타 유럽 지역 간 입장 차이로 정치적 합의에 도달하기까지는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언급. 이어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은 대한민국-동유럽, 서유럽 연합, 미국, 이스라엘, 중국, 러시아, 제3세계(인도, 터키) 7개의 시장 참여자들이 주요 시장인 동유럽, 북유럽, 중동, 남중국해 시장을 공략하는 형태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 글로벌 지정학적 상황과 산업적 역량을 고려할때 단기적으로 우리나라 방위산업체가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
  • 이 같은 소식에 한국항공우주, 엠앤씨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일단조, 휴니드,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코츠테크놀로지, 현대로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미용기기/ 의료기기/ 보톡스

견조한 실적 성장세 전망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용의료기기 업종이 설 연휴로 인한 MoM 및 YoY 기저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견조한 수출을 기록했다고 밝힘. 2024년 외국인 관광객 미용 성형 의료 용역에 대한 부과세 환급은 103만건으로 YoY +169% 증가했으며, 2025년2월 전체 의료관광 소비 금액 및 피부과 소비 금액은 각각 953억원과 488억원으로 YoY +61%, +105% 증가했다고 언급.
  • 아울러 2025년3월 여행 성수기 돌입과 함께 의료 관광 소비 금액 MoM 증가가 기대된다며, 2025년에도 해외 진출 국가 확대에 따른 매출 성장과 함께 인바운드 의료 관광객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가 동반되며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들의 실적 성장 기대가 가능하다고 설명.
  •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제테마, 휴온스글로벌, 휴메딕스, 동방메디컬, 에이피알 등 미용기기/ 의료기기/ 보톡스 등 테마가 상승.

유리 기판

엔비디아, GTC서 유리 기판 관련 언급 기대감 등에 상승

  • 엔비디아는 현지시간으로 3월17~21일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세계 최대 AI 컨퍼런스인 'GTC 2025'를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콘퍼런스 둘째 날인 18일로 예정된 젠슨 황 CEO( 최고경영자)의 기조연설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특히, 엔비디아는 최근 발열 문제 해결을 위해 유리기판 활용에 나서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음.
  • 한편, 최근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기가 이르면 연내 유리기판 시제품 생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삼성전기는 세종 사업장에 유리기판 시제품(파일럿) 라인을 구축 중으로, 오는 5월까지 구축을 마친 후 램프업(생산량 확대)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앞서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지난 1월 열린 CES 2025에서 "올해 반도체 유리기판 샘플(시제품)을 프로모션할 계획"이라며, "고객사 2~3곳에 샘플을 공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 이 같은 소식에 나인테크, 한빛레이저, 삼성전기, 아이씨디, HB테크놀러지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컴퓨팅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등 영향 등에 상승

  • 지난 14일 美 증시가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영향으로 3대 지수 급반등한 가운데, 양자암호 관련주들이 급등세를 기록. 특히, 파이퍼샌들러가 양자컴퓨터의 미래가 이제 현실이 됐다며 디 웨이브 퀀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면서 디 웨이브 퀀텀(+46.89%)이 급등세를 이어갔고, 아이온큐(+16.99%), 리게티 컴퓨팅(+28.23%), 퀀텀 컴퓨팅(+29.14%) 등 여타 양자컴퓨팅 관련주도 동반 급등세를 기록.
  • 이 같은 소식에 한국첨단소재, 파인텍, 아이씨티케이, 아이윈플러스, 큐에스아이 등 양자암호/컴퓨팅 테마가 상승.

이재명 등 정치 테마

尹 대통령 탄핵 선고 임박 속 상승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이번 주 20~21일에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헌재는 이번 사건처럼 정기 선고일이 아닌 별도의 특별기일을 지정해 선고하는 경우 통상 2∼3일 전 선고일을 당사자들에게 알려왔는데, 이날 또는 18일 중 헌재가 선고일을 발표하고, 이번 주 후반에는 사건을 매듭지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고 전해짐.
  •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남녀 1,501명을 대상으로 여야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6.9%로 1위를 기록.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전주 대비 0.8%p 하락한 18.1%로 2위를 기록했으며, 뒤이어 홍준표 대구시장 6.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6.3%, 오세훈 서울시장 6.2%,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2.4%의 지지도를 나타냈음.
  • 이 같은 소식 속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형지I&C, 코나아이, 에이텍모빌리티 등 이재명 테마가 상승. SG글로벌 등 김동연, 밸로프, 대영포장 등 김문수, 진양화학, 진양폴리 등 오세훈, 디티앤씨알오, 태양금속, 오파스넷 등 한동훈 테마도 상승. 또한, 안철수 의원이 이명박 전 대통령을 답방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써니전자, 안랩 등 안철수 테마도 상승.

2차전지 등

배터리업계, 25년을 저점으로 실적 정상화 기대감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5년에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약 YoY +13%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글로벌 전기차 침투율은 13.7%을 달성하며 또하나의 이정표를 지날 것으로 전망. 국내 배터리 업체들 역시 큰 변곡점을 지나고 있지만, 전방산업인 자동차 산업은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이라는 굉장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고, 배터리는 분명 게임체인저의 역할이 예상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상당한 투자가치를 보유하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밝힘.
  • 이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으로 대표되는 국내 배터리 업계는 2025년을 저점으로 실적의 정상화를 거치게 될 것으로 전망. 업종 평균적으로는 1Q25을 저점으로 지속적인 어닝개선을 통해 밸류에이션 합리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2Q25부터는 실적을 자극할 수 있는 전기차 생산량이 확인될 것으로 전망되고 AMPC가 반영되기 시작해 실적의 하방을 형성해 줄 것으로 분석.
  • 아울러 지난 14일 美 증시에서 테슬라(+3.86%), 루시드그룹(+2.96%), 리비안(+1.32%) 등 전기차 관련주들이 일제히 반등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 이에 금일 모티브링크, LG화학, 율촌화학, 대주전자재료, 신흥에스이씨, 엘앤에프 등 일부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리튬

카이스트 교수팀,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시간 단축 기술 개발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최남순 교수 연구팀이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과 협력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을 개발하여 배터리내 리튬 이온 이동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으로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상온에서 15분 내로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전해짐.
  • 이와 관련, KAIST 최남순 교수는 "리튬이온전지의 충전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음극 계면층 기술과 전해질 시스템을 제시했다"라고 언급. 이어 "이번 연구는 기존 고리형 카보네이트 전해질 소재(EC)의 한계를 극복하는 니트릴계 전해질 기술(isoBN)로 충전 시간 단축에 따른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기는 데 큰 진전을 이루며 향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드론, 우주 항공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리튬이온전지의 고속 충전 기술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한편, 지난 13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미래기술연구센터는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 서울대 한정우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기능성 탄소 보호층'을 도입한 고성능 리튬 황 전지 개발에 성공했다고 알려짐. 기존 리튬이온전지를 뛰어넘는 400Wh/㎏의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 만큼 전기차와 드론 등 경량 고성능 배터리가 요구되는 분야에서의 파급력이 기대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리튬포어스, 하이드로리튬, 이엔플러스, 광무 등 리튬 테마가 상승.

화장품

방한 관광객, K-뷰티 결제율 상승 소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한국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 11% 가량이 한국에서 K-뷰티 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음. Visa는 ‘비자, 글로벌 트레블 인사이트’ 보고서를 통해 자국에서는 쉽게 구할 수 없는 해외의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여행 트렌드가 증가하고 있다며, 그 예로 K-뷰티와 두바이초콜릿을 꼽았음.
  • 지난해 4분기 기준 비자 카드를 소지한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11%가 한국 내 오프라인 화장품 및 스킨케어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 및 결제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2022년 4분기(9.4%)보다 약 1.6%P(포인트) 증가한 수치임. 한국과 인접한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일부 중동 국가 여행객의 K-뷰티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지난해 4분기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을 방문한 여행객의 22%가 오프라인 뷰티 스토어에서 제품을 구매했고, 필리핀(21%)과 인도네시아(20%) 여행객 5명 중 1명이 한국에서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을 구입한 것으로 전해짐.
  • 또한, 中 경기 부양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도 지속. 봉준호 감독 '미키17' 中 개봉 및 중국의 APEC 정상회의 준비기구인 중국아태협력중심이 이르면 이달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한다는 소식 등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이날 오후 재정부, 상무부, 인민은행 등이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소비 진작 관련 상황을 소개할 예정.
  • 이 같은 소식 속 비엘팜텍, 에스엠씨지, 애니젠, 네오팜, 인크레더블버즈, 잉글우드랩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

업황 둔화 국면 지속 전망 등에 하락

  •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석유화학산업의 둔화 국면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석유화학제품의 저조한 스프레드는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 2027년까지 증설 사이클이 지속됨에 따라 글로벌 가동률(수급 밸런스)은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힘. 미국 석유 증산 정책, OPEC+ 감산 종료, 러우 전쟁 종결 등 원재료 가격의 하향 안정화 요인이 존재하나 악화된 수급 상황 속 원재료 가격 하락 시 제품 가격이 동반 하락하며 스프레드가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 유가가 하락하는 구간이 아니라 바닥에서 반등하는 시점에 본격적인 스프레드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
  • 롯데케미칼에 대해서는 1분기 매출액 5.2조원(+5.7% q-q), 영업적자1,192억원(적자지속q-q, 영업이익률-2.3%)으로 시장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 다만, 2분기는 유가하락에 따른 역래깅 영향으로 적자폭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
  • 이 같은 소식 속 롯데케미칼, SK이노베이션, SKC, 태광산업, 그린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하락.

 

 

리포트요약

#비상장

[키움 / 김학준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없음]

스트라티오코리아-단파적외선 센서를 기반으로 신시장 개척
  • 미답의 게르마늄 단파적외선 센서시장
  • 낮은 단가의 적외선센서는 시장 확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기아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99,500원]

실적과 유럽, 그리고 러시아
  • 1분기 실적은 미국 중심의 견조한 글로벌 판매, 원화 약세로 컨센서스 상회 예상
  • 유럽 전기차 수요 고성장 시기에, EV 시리즈와 PBV 집중 출시로 M/S 성장 전망
  • 2024년 하반기 이후 모멘텀 부재, 멕시코 관세 우려로 주가는 고점 대비 35% 하락

#기아

[대신 / 김귀연 / Buy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99,500원]

자사주 매입 통한 배당락 변동성 축소 기대
  • 2025년 상반기 자사주 매입 3,500억원 확정
  • 배당락에 따른 변동성 확대 => 자사주 수급/4월 CID 통한 방어 기대
  • 배당락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시, 저점 매수 전략 유효

#기아

[하나 / 송선재,강민아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99,500원]

자기주식 3,500억원 취득 및 소각 예정
  • 상반기 3,500억원, 하반기 3,500억원의 자기주식 매입/소각을 진행
  • 3월 17일까지 주식을 매수하면 주당 6,500원의 배당금 수령
  • P/E 4배 이하와 주주환원이 주가를 지지

#CJ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27,800원]

올리브영 지배구조 변화 추진
  • 올리브영 신한 SPC로부터 자사주 조기 매입
  • 중복 상장 피하는 올리브영 + CJ 합병설 힘 얻어

#포스코퓨처엠

[다올투자 / 유지웅 / N BUY / 목표가 N 185,000원 / 현재가 137,400원]

소재업체 중 가장 고객사 다변화
  • 2025년을 기점으로 GM/Ford/Stellantis 향 미국 양극재 공급 본격화

#신세계

[상상인 / 김혜미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49,700원]

멀리 보기 위한 재정비
  • 어려울 때일수록 몸집을 가볍게
  • 내수 경기 부진 지속에도 양극화 수혜 가능할 전망

#삼성SDI

[다올투자 / 유지웅 / N BUY / 목표가 N 240,000원 / 현재가 191,400원]

주가는 바닥, 고객사 다변화 가속화 시점
  • 커버리지 재개, 밸류에이션 저점 도달로 저가매수 전략 유효
  • 2025년 동사 최대 모멘텀으로는 1) 스타플러스 에너지 가동에 따른 미국 M/S 상승 2) 아우디 및 BMW향 재고저정 마무리 및 헝가리공장 46파이 수주 3) GV90을 시작으로 현대차 그룹향 수주확대 가능성 존재

#삼성SDI

[DB금투 / 안회수 / Buy / 목표가 290,000원 / 현재가 191,400원]

유상증자 결정과 인내의 시간
  • 2조원 유상증자 공시
  • 인내의 시간

#삼성SDI

[NH투자 / 주민우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91,400원]

희석 반영 이후 반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
  • 2조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발표

#삼성SDI

[흥국 / 정진수,유준석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91,400원]

중장기 핵심 사업이 구체화되다
  •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유상증자 결정
  • 중장기 핵심 사업이 구체화되기 시작

#삼성SDI

[LS / 정경희 / Hold / 목표가 165,000원 / 현재가 191,400원]

2조 유증 내용 점검
  • 3월 14일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결의 공시
  • 보유자산(삼성디스플레이 등) 매각보다 유증 선택 주가에 부정적일 수 있어

#삼성SDI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BUY / 목표가 240,000원 / 현재가 191,400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증자. 다만, 영업이익 1조원 복귀는 '27년
  • 삼성SDI 약 2조원 규모 유상증자 발표. 미래 경쟁력 확보 및 재무구조 안정화 차원에서 필요한 증자. 전고체 전지 라인 확보 및 GM 합작공장 증설 등에 주로 사용될 전망
  • 전고체 전지 양산 차질 없는 진행 시그널은 긍정적
  • 향후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활용한 투자 역시 기대

#삼성SDI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91,400원]

신한 속보; 배터리 투자 확대를 위한 유상증자 발표
  • 유상증자로 인한 주주가치 희석 이슈 및 재무구조 악화로 발표 당일 주가는 6% 급락하며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 기록
  • 25년 예상 EBITDA(3조원) 대비 높은 CapEx(25년 5조원, 26년 6조원)로 자금 조달 불가피했으나 추가 대 규모 조달 우려는 제한적(계열사 지분 활용 등)
  • 그럼에도 미래를 위한 투자는 지속되어야하며 증자 목적이 각형 고객사 확대 및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성장 동력 확보라는 차원에서 긍정적

#미래에셋증권

[SK / 설용진 / 매수 / 목표가 11,000원 / 현재가 9,550원]

양호한 방향성에 축소되는 불확실성
  • 해외주식, 퇴직연금 등 주요 사업부문에서 높은 경쟁력 보유
  • 최근 넥스트레이드 출범에 따라 개인투자자 중심으로 거래대금 추가 확대 기대되는 상황에서 동사 수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날 전망
  • 해외 부동산 관련 불확실성도 점진적으로 개선 예상
  • 25E 지배순이익 8,928억원(+0.4% YoY) 전망. 향후 넥스트레이드 거래대금 등 반영하여 실적 추정치 조정할 계획

#DN오토모티브

[하나 / 송선재,강민아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20,600원]

DN솔루션즈의 상장 소식
  • DN솔루션즈가 5월 16일 거래소 상장될 예정
  • DN오토모티브의 지분율은 84.8%에서 69.4%로 하락
  • DN오토모티브의 부채비율이 100% 이하로 하락할 전망

#이수페타시스

[메리츠 / 양승수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40,300원]

독야청청
  • 1Q25E Preview: ASP 상승 지속, 컨센서스 상회 전망
  • 2025년 연결 영업이익 1,695억원(+62.7% YoY) 전망

#롯데케미칼

[NH투자 / 최영광 / Hold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74,100원]

여전히 업황은 둔화 국면
  • 다운사이클 아직 진행 중, 저조한 스프레드 장기화 전망
  • 1Q25 Preview: 1~2월 유가 강세 효과로 적자폭 축소

#한화에어로스페이스

[DB금투 / 서재호 / Buy / 목표가 880,000원 / 현재가 705,000원]

다양한 파이프라인, 재무장의 수혜
  • 자주포/MLRS/탄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 보유 기업, 유럽 재무장의 수혜
  • 더 이상 폴란드가 전부가 아니다

#더존비즈온

[미래에셋 / 김수진 / 매수 / 목표가 84,000원 / 현재가 66,300원]

제4인뱅 철회, 더 잘할 수 있는 것에 집중
  • 제4인뱅 철회, 갑작스럽지만 잘한 결정
  • 데이터 기반의 금융 관련 서비스, 더 유리한 방식으로 계속할 것
  • 목표주가 84,000원으로 하향하지만, 투자의견 '매수' 유지

#삼성물산

[iM / 이상헌,장호 / Buy / 목표가 188,000원 / 현재가 119,600원]

SMR 사업 확대 및 지배구조 수혜
  • 한수원과 협력하여 대형원전 및 SMR 사업 등 수출 활성화 가시화 될 듯
  • 루마니아?스웨덴 등 유럽 시장 SMR 사업 확대 가시화

#제일기획

[KB / 최용현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7,680원]

글로벌 광고 대행사들보다 높은 성장을 기대
  • 중장기적으로 높은 협상력은 지속될 것
  • 해외 자회사들의 디지털 성장 가속화 기대
  • 2025년은 이익률 개선을 기대

#한글과컴퓨터

[부국 / 이준규 / N Buy / 목표가 N 27,000원 / 현재가 20,250원]

시련을 넘어 다시 성장세로
  • 2025년 예상실적 매출액 3,609억원(+8.8% yoy), 영업이익 602억원(+16.6% yoy) 추정
  • 클라우드 사업(2023년 119억원 → 2024년 427억원)은 2025년에도 성장 지속 전망

#파라다이스

[NH투자 / 이화정,문소영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320원]

일장일단의 구간
  • 엔화 강세 수혜 + 호텔 신축 부담
  • 1Q24 Preview: 영업 비용 상승 영향 불가피할 것

#CJ ENM

[KB / 최용현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5,300원]

다양한 광고 Value Chain에서 시너지 기대
  • 통합 광고 마케팅, 경매형 도입 통해 광고 단가 상승 기대
  • 티빙 트래픽 야구 시즌 시작되며 반등 확인
  • 원플랫폼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선 장기적으로 진정한 ‘원플랫폼’ 될 필요

#에스티아이

[신한투자 / 남궁현,송혜수 / 매수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20,900원]

스토리 및 밸류에이션 매력적
  • 우호적인 현물가 흐름 확인 + 사업 고도화 지속 고무적
  • 4Q24 Review: 실적 서프라이즈 배경은 ACQC의 매출 확대
  • Valuation & Risk: 현재 12개월 선행 P/E 6.1배 수준으로 저평가

#키움증권

[SK / 설용진 / 매수 / 목표가 157,000원 / 현재가 120,700원]

브로커리지 그 잡채
  • 거래대금 증가에 따른 수혜는 가장 크게 나타날 전망
  • 초대형 IB 신규인가 가능할 경우 신사업 통한 이익체력 제고 기대
  • 25E 지배순이익 8,432 억원(+1.0% YoY) 전망

#한국항공우주

[DB금투 / 서재호 / Buy / 목표가 98,300원 / 현재가 85,700원]

뚜렷한 성장 구간 도래
  • 확보된 예산, 높아지는 훈련기/전투기 수요
  • 25~26년은 실적성장의 가속화 구간, 밸류에이션 부담은 점차 낮아질 것:

#LG생활건강

[한화투자 / 한유정 / Buy / 목표가 360,000원 / 현재가 327,000원]

브랜드 성장은 확인 완료, 이제는 소비 회복 기다리기
  • 기대치에 부합할 1분기
  • 브랜드 성장은 확인 완료, 이제는 소비 회복 기다리기

#웹케시

[유진투자 / 박종선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9,990원]

4Q24 Review: 신제품 출시 효과 기대
  • 4Q24 Review: 지난해 1분기를 저점으로 연속 3분기 동안 전년동기 대비 매출 성장세 지속은 긍정적임
  • 1Q25 Preview: 기존 서비스의 수수료 인상 및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인하여 매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함
  • 목표주가를 11,000원에서 13,000원으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 BUY를 유지함

#큐렉소

[상상인 / 하태기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9,420원]

다시 의료로봇 수출증가 가능성에 주목
  • 정형외과 의료로봇에 앞서가는 기업
  • 인도 수출 회복, 해외시장 신규 개척이 추진되고 있다

#현대로템

[DB금투 / 서재호 / Buy / 목표가 148,000원 / 현재가 101,600원]

지상전의 중심. K전차의 성장은 이제부터
  • 1) 전차 수요 확대- 유럽 지역의 Capa 부족과 긴급 수요에 따른 수혜 기대
  • 2) 수주 기대감 지속: 25년 중동/동유럽 국가 중심으로 수주 기대

#LG전자

[KB / 김동원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0,500원]

실적 서프라이즈 기대
  • 목표주가 130,000원으로 상향
  • 1분기 추정 영업이익 1.4조원, 역대 최대
  • 인도 IPO = 주주환원↑, 관세전쟁 반사이익

#엘앤에프

[다올투자 / 유지웅 / N BUY / 목표가 N 95,000원 / 현재가 73,400원]

최종 고객사에 거는 기대
  • 2025년 동사 양극재 출하량은 6.7만톤(YoY +32%)으로 추정하며, 4Q24를 기점으로 가파른 반등추세 예상

#현대백화점

[상상인 / 김혜미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59,000원]

가장 매력적인 선택
  • 일회성 비용 발생에도 전사 실적 성장세 시현
  • 2025년은 전 부문(본업+자회사)의 회복을 기대

#LIG넥스원

[DB금투 / 서재호 / Buy / 목표가 330,000원 / 현재가 276,000원]

수출 확대와 안정적인 실적 성장 구간
  • 계속되는 수출 기대감, 방어 시스템의 핵심 무기 파이프라인
  • 안정적인 실적 성장과 다양한 고객군을 확보해 나가는 구간
  • 목표주가 330,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나스미디어

[KB / 최용현 / BUY / 목표가 19,000원 / 현재가 14,540원]

AI 광고 플랫폼 강화
  • 구글 SSP, DSP 모두 담당하게 되면서 수혜 기대
  • OTT 통합 상품 시너지로 취급고 증가 예상
  • 플레이디 매각 자금으로 AI 플랫폼 투자 강화

#네오팜

[하나 / 박은정,김다혜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1,790원]

P/E 7배 수준에 불과
  • 화장품 매출 20% 성장
  • 제로이드 & 리얼베리어 중심 성장
  • 2025년: 국내 성장 채널 확대 + 수출 지역 접점 확대 목표

#GKL

[NH투자 / 이화정,문소영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680원]

점진적인 개선 기대
  • 우호적 외부 환경이 만들어 낼 레버리지
  • 1Q24 Preview: 일반VIP 중심의 완만한 성장

#이마트

[상상인 / 김혜미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84,100원]

먼저 출발한 주가
  • 가시화되기 시작한 노력의 결실
  • 올해 더욱 가속화 될 수익성 개선의 성과

#아이쓰리시스템

[현대차 / 곽민정 / BUY / 목표가 97,000원 / 현재가 57,000원]

보이는 모든 길은 아이쓰리시스템으로 통한다
  • 4Q24 실적은 매출액 300억원(+2.9% qoq, -3.3% yoy), 영업이익 37억원(+30.2% qoq, 45.2% yoy)를 기록
  • 영업이익률 증가 요인은 냉각형 모듈 수출 비중 증가에 기인하였으며, 2024년 동사의 수출과 내수 비중은 6:4로 수출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2023년 수출과 내수 비중은 5:5였음)

#에코프로비엠

[다올투자 / 유지웅 / N HOLD / 목표가 N 125,000원 / 현재가 112,500원]

밸류에이션 입증까지 다소 시간 소요
  • 커버리지 재개, 중장기 매력도 점검
  • 동사는 하이니켈 기반 삼원계 배터리 핵심 공급업체로, SK 및 삼성SDI향이 주력 공급라인

#펌텍코리아

[교보 / 권우정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47,450원]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수주
  • 4Q24 Re: 역대 최대 실적 기록
  •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수주

#펌텍코리아

[하나 / 박은정,김다혜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47,450원]

월 수주 신기록 경신
  • 월 수주 신기록 경신, 바쁘다 바빠
  • 펌프사업부 +16%, 튜브사업부 +18%
  • 2025년에도 수주 강세 흐름 여전

#BGF리테일

[상상인 / 김혜미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04,300원]

점진적인 회복 기대
  • 만만치 않은 영업환경, 트래픽 창출로 극복
  • 2025년 객단가 및 효율 확대 기대

#에이비엘바이오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7,650원]

4가지 성장 축
  • 2025년 상반기에는 ABL001 및 ABL111의 임상 데이터 공개, 하반기는 ABL301의 임상 1상 결과 발표와 Grabody B의 신규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기대됨
  • 네 가지 성장 축: Grabody B 플랫폼/파이프라인 성과가 2025년 ABL바이오 기업가치 상승을 견인할 전망

#현대오토에버

[DB금투 / 남주신 / Buy / 목표가 210,000원 / 현재가 136,700원]

AW 2025 참관 후기: NNNEO 미래 공장의 AI S/W 기술 확인
  • SDF 구축 솔루션 전시, 스마트팩토리 요소 기술 11가지 시연

#현대오토에버

[대신 / 김귀연 / Buy / 목표가 210,000원 / 현재가 136,700원]

우려보다 반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때
  • 현대오토에버,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 산업전(AW2025) 참가
  • 공개된 보수적인 가이던스, 얼마나 상회할지가 관건
  • 주가 소외 지속. 우려보다는 반등 트리거에 대한 고민 필요할 때라 판단

#이지바이오

[유진투자 / 허준서 / BUY / 목표가 10,000원 / 현재가 4,800원]

펀더멘털 이상無! Easy하게 BUY요
  • 소폭 하회한 이익의 원인은 회계적 요인, 펀더멘털 이슈 없어
  • 회계적 비용이라 현금 유출 없음, 펀더멘털 견고!
  • 유럽 구제역 리스크 확대 중, 미국 공급능력 부각 가능성

#LG에너지솔루션

[다올투자 / 유지웅 / N BUY / 목표가 N 440,000원 / 현재가 326,500원]

변화의 중심에 서서
  • 최대 고객사인 GM의 2025년 미국내 EV판매성장 지속, 2026년 미국내 일본OE 및 현대차, 그리고 글로벌 EV업체향 물량의 현지생산 본격화 예상

#스마트레이더시스템

[KB / 김현겸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1,550원]

북미 진출이 가시권, 자율주행 4D 이미징 레이다 업체
  • 기업개요: 4D 이미징 레이다 원천기술 보유업체
  • 체크포인트: 1) 자체 레이다 센서로 만든 ‘스쿨버스 안전 솔루션’ 판매 승인 2) 모빌리티 제품군인 드론 (배송, 방산), 차량 (자율주행)용, 특수차량용 시장 확대 및 수요 증가 예상 3) 산업용 고객사인 LG전자 에어컨 적용 레이다 매출 기대

#사피엔반도체

[유진투자 / 박종선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9,660원]

콥데이 後記: 하반기 2세대 AR 출시 수혜
  • 콥데이 및 공시 분석: 올해말 2세대, 내년말 3세대향 제품 공급과 함께 본격적인 실적 성장 수혜 기대
  • 현재 주가는 본격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2026년에는 31.1배 수준. 2027년 폭발적인 실적 성장을 기대함
  • 계약 공시 & 향후 전망

#성우

[지엘리서치 / 박창윤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8,750원]

4680향 Topcap Ass'y로 탑라인 기대한다.
  • 글로벌 모바일기기 제조사향 소형 원통형 2차전지 부품 공급 이력
  • 2024년 전방산업별 매출 비중_2차전지 80.3%, 존정 맟 ESS 등 19.7%

#시프트업

[미래에셋 / 임희석 / 매수 / 목표가 98,000원 / 현재가 56,900원]

매력적인 구간. 매수 타이밍
  • 길고 길었던 에반게리온 콜라보 종료
  • 트래픽은 여전히 고점을 갱신 중

 

 

[출처:fnguide, infostock, 네이버증권 등]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