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증시 및 리포트요약

(25.02.06 목)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by 미니토이 2025. 2. 6.

 

 

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삼일씨엔에스 4,120원(+29.97%)
    : 전남 고흥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공급사 선정 소식
  • 램테크놀러지 4,860원(+29.95%)
    :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온코크로스 13,070원(+29.92%)
    : 의료AI 테마 상승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속 AI 플랫폼 ‘랩터 AI(RAPTOR AI)’ 보유 부각
  • 와이씨켐 25,000원(+29.80%)
    :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에스앤디 56,000원(+29.78%)
    : 4분기 역대 분기 최대 실적 및 수익성 달성
  • 범양건영 3,560원(+28.75%)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 필옵틱스 38,300원(+24.96%)
    : PCB(FPCB 등)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씨앤지하이테크 13,580원(+21.68%)
    :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한화비전 37,150원(+21.21%)
    :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2.31%) 지수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신테카바이오 8,600원(+19.78%)
    :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기대감 지속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등
  • 아이엠 1,670원(+17.85%)
    : 베트남 종속법인 회계감사 우려 불식 속 내달 회계감사 순항 전망
  • 더존비즈온 88,000원(+17.65%)
    : 지난해 사상 첫 연 매출 4,000억 돌파 등
  • 켐트로닉스 24,550원(+17.18%)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SK바이오팜 127,000원(+17.16%)
    : 지난해 흑자전환 등
  • 현대로템 71,500원(+17.02%)
    :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달성 등
  • 삼양식품 809,000원(+14.91%)
    : 지난해 실적 호조 및 북미/유럽 매출 확대 기대감 등
  • HB테크놀러지 2,635원(+14.57%)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인스피언 9,540원(+14.11%)
    :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오픈AI·소프트뱅크 협업 기대감 속 삼성전자 개인정보 분리 보관 및 파기 관련 솔루션 관리 이력 지속 부각
  • 한빛레이저 4,545원(+13.77%)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제이앤티씨 21,750원(+13.76%)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DL이앤씨 35,150원(+13.75%)
    : 올해 양호한 실적 가이던스 제시 등
  • 자람테크놀로지 46,750원(+13.75%)
    :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삼성전자-엔비디아 등 참여 리스크 파이브 기반 통신반도체 양산 추진 소식
  • 코미코 41,800원(+13.13%)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업황 우려에도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
  • 클로봇 16,470원(+12.96%)
    : 삼성전자 美 스타게이트 협력 기대감 속 로봇 산업 확대 수혜주로 지속 부각
  • 티씨케이 81,300원(+12.76%)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 전진건설로봇 42,050원(+12.43%)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 PI첨단소재 19,780원(+12.26%)
    :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업황 턴어라운드 전망 등
  • 모아라이프플러스 1,279원(+12.19%)
    : 22.75억원 규모 건강기능식품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 모니터랩 5,540원(+12.15%)
    : 보안주(정보) 테마 상승 속 라온시큐어와 제로 트러스트 보안 사업 추진 소식
  • 디와이디 885원(+12.03%)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 삼부토건 999원(+11.87%)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 이녹스첨단소재 29,200원(+11.24%)
    : PCB(FPCB 등)/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지난해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및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
  • 케이피에스 7,430원(+11.23%)
    : 자회사 배터리솔루션즈, BYD 리사이클링 협력사 등록 절차 진행 및 LFP 전처리시설 완공 소식 부각
  • HD현대건설기계 70,900원(+11.13%)
    :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206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및 총 486.22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등
  • 테스 22,350원(+10.92%)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삼성전자와 108.72억원 규모 반도체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
  • SOOP 127,900원(+10.64%)
    : 글로벌 전략 변화로 디레이팅 해소 분석
  • 케어젠 33,950원(+10.59%)
    : 마이오키, 미국식품의약국으로부터 NDI로 승인
  • 에이럭스 13,200원(+10.46%)
    : 美 정부, 中 드론 규제 수혜주 분석 등
  • 아이톡시 1,208원(+10.42%)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 에스와이스틸텍 7,510원(+10.28%)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 사이냅소프트 20,600원(+10.28%)
    : 올해 AI 기반 B2C SW 론칭 기대감 부각

 

 

테마시황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2.31%) 지수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기대감 지속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등에 의료AI 테마 상승.
  • 美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속 전력기기 슈퍼사이클 지속 전망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 샘 올트먼 오픈AI CEO, 범용AI 도달 위해 '핵융합' 필요 발언 부각 등에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 노보노디스크,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 정부 부처-민간기업 등 보안 우려에 따른 딥시크 접속 차단 소식 등에 정보보안 테마 상승.
  • 구글 퀀텀 AI 설립자, 5년 내 상용 양자컴퓨팅 앱 출시 언급 소식 등에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상승.
  • DL이앤씨(+13.75%)가 지난해 연간 및 4분기 실적 발표, 올해 매출액 7.8조, 영업이익 5,200억 전망 속 급등한 가운데, 건설 대표주 상승.
  • 카카오(+4.86%)가 오픈AI와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NAVER(+1.31%)가 이해진 창업자 7년만에 이사회 복귀 방침 속 상승한 가운데, 인터넷 대표주 상승.
  • 갤럭시 S25시리즈 역대 최대 사전판매량 기록 등 흥행 모멘텀 지속 등에 갤럭시 부품주 테마 상승.
  • 美 국채금리 하락, 암젠/노보 노디스크 실적 호조 소식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mRNA, 유전자 치료제/분석, 화이자, 모더나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 반면, 미국의 대중국 관세 발효 속 중국의 대미 관세 조치 발표 후 미국의 추가 관세 등 재보복 조치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희토류 테마 하락.
  • 동해서 추가 유망구조 발견 소식에 이번주 초 시장에서 부각됐던 피팅/밸브, LPG, 일부 자원개발 등 대왕고래·마귀상어 관련주 하락.
  • 샘 올트먼 오픈AI CEO 방한에 부각됐던 AI 챗봇, 로봇 등 테마 하락.

유리 기판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는 반도체 유리기판을 생산하기 위해 복수의 소재·부품·장비 회사들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삼성 반도체 사업부(DS) 내 구매팀 주도로 논의가 진행 중이로 삼성만의 독자적인 공급망 구축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사업 추진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으로 그동안 유리기판은 반도체 업체 중에선 인텔이, 부품·소재 업계에선 앱솔릭스, 삼성전기, LG이노텍 등이 준비하고 있는 정도로만 알려짐. AMD는 유리기판을 공급 받아 자사 반도체 칩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 AI 시대 개화로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유리기판을 선점하면 차세대 반도체 제조, 즉 GPU와 같은 시스템 반도체를 만드는 파운드리도 강화할 수 있고, 자체 시스템 반도체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어 삼성 반도체 사업 전반 경쟁력을 끌어올릴 핵심 기술로 활용도가 높아 사업 추진을 결정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음. 실제로 유리기판을 보유하게 되면 고성능 반도체를 만들고 싶어하는 고객사의 위탁생산 주문을 받을 수 있고, 여기에 HBM까지 한 꺼 번에 패키징하는 서비스도 가능해지는 것으로 알려짐.
  • 이와 관련, 와이씨켐, 씨앤지하이테크, 필옵틱스, 켐트로닉스, HB테크놀러지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美,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 발표 예정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美 행정부가 다음 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종전 구상을 공개할 것으로 전해짐. 5일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특사인 키스 켈로그가 현지시간으로 14~16일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MSC)에서 우크라이나전 종전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 특히, 이번 계획의 주요 내용은 분쟁을 동결시키고 러시아 군이 점령한 영토를 인정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에 러시아의 재침공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것임.
  • 디와이디, 삼부토건, 에스와이스틸텍, SG, 대모, 전진건설로봇, 진성티이씨, 에스와이, 범양건영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등의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빅테크 AI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필라델피아 반도체(+2.31%) 지수 급등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트럼프 관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4.91(+2.31%) 상승한 5,091.50를 기록. 엔비디아(+5.21%), TSMC(+2.22%), 마이크론 테크놀로지(+3.24%), 브로드컴(+4.30%) 등이 상승.
  • MS·메타·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이 AI 투자를 확대한다는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 전일 실적을 발표한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올해 AI 인프라 등에 약 750억 달러(109조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힘. 이는 시장 추정치인 597억 3천만 달러를 25% 상회하는 수치임.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도 지난해보다 60% 늘어난 800억 달러를 AI 분야에 투자하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도 650억 달러 투자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또한,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엔비디아의 AI 칩인 블랙웰을 탑재한 AI 데이터 센터 시스템을 공개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짐. 슈퍼마이크로컴퓨터(+7.99%)는 "블랙웰을 활용한 AI 데이터 센터용 서버를 대량 생산 및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리노공업, 한화비전, 테스, 티씨케이, 케이씨텍, 넥스틴, 이오테크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의료AI

샘 올트먼 오픈AI CEO, 의료용 챗GPT 개발 기대감 지속 및 AI 신약개발업체 '리커전' 긍정적 임상 결과 발표 등에 상승

  • 최근 한국을 방문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의료용 챗GPT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는 발언 속 관련주들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올트먼 CEO는 최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개발자 워크숍 ‘빌더 랩’에 참석해 "우리는 의료 그룹이 모든 오픈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기업용 제품에 대해 HIPAA(미국 건강 보험 관련법)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 있다"며,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많은 생명을 구하고 좋은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고 언급한 바 있음.
  • 아울러 AI 신약개발 바이오텍 리커전 파마슈티컬스가 AI를 기반으로 개발한 REC-994의 해면상 혈관기형 임상2상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AI 신약개발 분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5일 리커전은 국제 뇌졸중 컨퍼런스에서 CCM 환자의 REC-994 2상 연구에서 12개월 데이터를 공개했으며, 임상 결과 안전성 및 내약성에 이상 신호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12개월 치료 후 50%의 환자가 평균 병변 부피가 감소했다고 언급.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온코크로스, 신테카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딥노이드, 루닛, 토마토시스템, 셀바스헬스케어 등 의료AI 테마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美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속 전력기기 슈퍼사이클 지속 전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국에서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전력기기 기업들이 미국 내 공장 증설과 생산설비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데이터센터는 미국 전체 전기 소비량의 약 10%를 차지할 정도로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데이터센터용 전력 수요 증가로 초고압 변압기, 배전반, 전선 등 전력기기 시장이 호황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음.
  •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달 울산 공장 시설 증설과 미국 앨라배마주 제2공장 건립에 약 4,000억원을 투자해 765킬로볼트(kV·kilovolt)급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을 확대한다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초고압 변압기 합산 생산능력을 연 400개에서 약 510개로 30%가량 늘릴 예정임. LS일렉트릭은 올 연말 준공을 목표로 미국 텍사스주 3,300㎡ 규모 땅에 공장을 짓고 있으며, 미 유타주 배전반 공장 생산 시설도 증설중에 있음. 효성중공업은 미 테네시주 초고압 변압기 공장에 시험·생산설비 증설을 진행중이며, 창원 공장 증설과 함께 약 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효성중공업, LS, LS에코에너지, 일진전기, 가온전선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상승.

핵융합에너지

샘 올트먼 오픈AI CEO, 범용AI 도달 위해 '핵융합' 필요 발언 부각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AI를 위한 전력 문제와 관련해 핵융합이 필요하다고 발언하며 지속적으로 투자를 이어온 사실이 부각되고 있음. 올트먼 CEO는 미국 핵융합 스타트업인 헬리온에너지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오고 있으며, 헬리온에너지는 지난달 4억2,500만 달러(약 6,162억원)를 모금한 것으로 알려짐. 이번 모금에는 올트먼 CEO를 포함한 기존 투자자를 비롯 재일교포 3세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음.
  • 한편, 헬리온에너지는 2023년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28년 핵융합발전소를 가동해 전기 생산에 성공하겠다는 계획. 올트먼 CEO는 지난해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에너지) 돌파구 없이는 그곳(범용 AI)에 도달할 방법이 없다. 우리는 핵융합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음.
  • 이에 금일 다원시스, 일진파워, 비츠로테크 등 핵융합에너지 테마가 상승.

비만치료제

노보노디스크,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덴마크 제약기업 노보노디스크가 지난 분기 비만 치료제 위고비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나면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달성했다고 전해짐. 지난해 4분기 노보노디스크의 순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30% 증가한 856억8,300만 덴마크크로네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367억3,700만 크로네로 전년동기대비 37% 증가, 이는 시장 예상치 336억 크로네를 상회한 수준이라고 알려짐.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위고비 매출이 198억6,600만 크로네로 전년동기대비 107% 급증.
  • 노보노디스크는 올해 매출 성장률이 고정환율 기준 16%~24%, 영업이익 성장률은 19~2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러한 전망에는 당뇨병 및 비만 치료 분야에서 경쟁 심화 및 지속적인 가격 압박, 최근 예상보다 높은 판매량 증가와 일부 제조시설의 생산 역량 제한으로 인한 주기적인 공급 제약 및 의약품 부족 가능성도 반영돼 있는 것으로 전해짐.
  • 한편, 노보노디스크는 차세대 비만 치료제 중 하나인 카그리세마(CagriSema)의 2번째 핵심 임상 3상 결과가 1분기 안에 나올 것이며, 올해 안에 새로운 임상 3상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디앤디파마텍, 펩트론, 인벤티지랩, 블루엠텍, 라파스, 압타머사이언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한편,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물질 특허 2심 소송에서 승소한 HK이노엔도 상승.

정보보안

정부 부처-민간기업 등 보안 우려에 따른 딥시크 접속 차단 소식 등에 상승

  • 중국 AI 딥시크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외교와 안보, 통상 분야 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음. 국방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경찰청, 금융위, 금감원 등이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 또한, 국내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도 딥시크 사용 금지 사례가 잇따라 나오고 있음.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했으며, LG유플러스도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은행권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음.
  • 모니터랩, 인스피언, 신시웨이, 샌즈랩, 에스넷 등 정보보안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양자컴퓨팅

구글 퀀텀 AI 설립자, 5년 내 상용 양자컴퓨팅 앱 출시 언급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구글 퀀텀 AI 설립자이자 책임자인 하트무트 네벤은 "5년 이내에 양자 컴퓨터로만 해결할 수 있는 앱이 등장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구글 퀀텀 AI를 설립했을 때 우리의 비전은 자연의 '운영 체제'라고 할 수 있는 양자 역학을 이용해 사회의 가장 큰 난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대규모 양자 컴퓨터를 구축하는 것이었다"며 "우리 팀은 장기 로드맵을 수립했고, 윌로우는 상용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향한 여정에서 시간을 크게 앞당겨 줄 것"이라고 강조.
  • 양자 컴퓨팅이 상용화되려면 20년 이상 필요할 것이라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전망과 대비되는 입장으로 더불어 전기차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 신약 연구, 신재생 에너지 등 재료 과학 분야에서 양자컴퓨팅이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했음.
  • 한편, MS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는 3일 야후파이낸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대해 "젠슨황이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앞으로 3~5년 안에 이러한 기술 가운데 하나가 매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만큼 충분한 큐비트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힘.
  • 케이씨에스, 엑스게이트, 시큐센, 아이씨티케이 등 일부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리포트요약

#SK하이닉스

[신영 / 박상욱 / 매수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198,800원]

HBM 대장주
  • 2025년 SK하이닉스 HBM 점유율 60% 초과할 전망. HBM 판매 확대에 따른 수익 증대 전망됨
  • 다만 단기적으로 변동성 확대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
  • 딥시크와 관세에 대한 우려가 해소돼야 유의미한 주가 상승 보여줄 것으로 전망됨

#삼양식품

[한화투자 / 한유정,이다연 / Buy / 목표가 1,000,000원 / 현재가 704,000원]

분기 최대 매출 달성
  • 기대치에 부합한 4분기
  • 수출도, 믹스도, 환율도 기대 이상
  •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아니라면

#삼양식품

[유진투자 / 김진우 / BUY / 목표가 931,000원 / 현재가 704,000원]

순항 중
  • SKU 효율화 작업을 통해 근로투입시간 및 공장 생산성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
  • 2025년 연간 매출액 2조원(+17%yoy), 영업이익 4,191억원(+22%yoy), 영업이익률 20.6% 전망

#삼양식품

[현대차 / 하희지 / 현재가 704,000원]

Chill 불닭
  • 삼양식품 4Q24 연결 기준 매출액은 4,808억원(+47%yoy), 영업이익은 873억원(+64%yoy, OPM 18.2%)로 시장 컨센서스 대비 매출 +9% 상회, 영업이익 부합
  • 2025년 삼양식품 실적 상저하고 예상

#삼양식품

[대신 / 정한솔 / Buy / 목표가 900,000원 / 현재가 704,000원]

성장성 재확인
  • 4Q24 매출액 4,808억원, 영업이익 873억원(OPM 18.2%) 기록
  • 매출액 QoQ 10% 성장했으나 일회성 마케팅비 증가로 수익성 하락
  • 여전히 높은 해외 성장성으로 음식료 업종 내 Top-Pick 유지

#삼양식품

[DS투자 / 장지혜,김대성 / BUY / 목표가 1,000,000원 / 현재가 704,000원]

여전히 견조한 해외 성장
  • 4Q24Re: 해외 수출 호조로 실적 기대치 부합
  • 25년 CAPA 확대와 지역 확대를 통한 차별적인 실적 성장 전망

#롯데정밀화학

[DB금융투자 / 한승재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40,900원]

25년. 연간 이익 성장 재개
  • 4Q24 영업이익 122억원, 그린소재 둔화 및 일회성 비용 반영
  • 1Q25E 영업이익 157억원, 정기보수로 이익 반등 폭 제한
  • 기울기가 더디지만 다시 이익 성장 재개

#롯데정밀화학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매수 / 목표가 54,000원 / 현재가 40,900원]

시선은 하반기로
  • 25년 실적 개선세 여전히 유효
  • 일회성 및 그린소재 부진으로 컨센서스 하회
  • 우려보다는 기대를

#롯데정밀화학

[iM / 전유진,장호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40,900원]

글리세린 구조적 강세의 반사수혜
  • 목표주가 5.5만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영업이익 122억원(+18.4%QoQ) vs 컨센서스 189억원
  • 2년 최고점 달한 글리세린 vs 2년째 제자리인 프로필렌

#롯데정밀화학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0,900원]

반도체용 소재인 TMAC의 추가 투자 가능성
  • 작년 4분기 영업이익, 전 분기 대비 18.4% 증가
  • 글리세린 가격 상승에 따른 반사수혜
  • TMAC 증설분, 올해 실적에 온기 반영 전망

#롯데정밀화학

[하나 / 윤재성,김형준 / BUY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0,900원]

아쉬운 단기 실적 vs. 팜유/천연가스 강세의 수혜
  • 4Q24 영업이익 컨센 43% 하회. 1Q25 실적은 전분기와 유사할 것
  • 팜유(CPO) 강세와 트럼프의 바이오디젤 정책 변화가 ECH 개선을 견인
  • 2025년 이익 회복 전망. 1Q25가 저점. 팜유/천연가스 강세 수혜에 주목

#신세계

[DB금융투자 / 허제나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29,900원]

일회성 비용 제거하면 기대치 부합
  • 일회성 비용 제거 시 기대치 부합한 실적
  • 25년 백화점과 면세 모두 비용 절감에 초점

#신세계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29,900원]

인력과 지점 효율화
  • 4Q24 순매출액 1.82조원(+5.9%, 이하 yoy), 총매출액 3.19조원(+2.1% yoy), 영업이익 1,061억원(-48.5%) 기록
  • 2025년 계획 1) 백화점: 강남, 청담, 본점 등 핵심 점포 리뉴얼 및 재오픈, 2) 면세점: 객단가 높은 명품 매장 오픈 및 시장 경쟁 완화 레버리지, 3) 인터내셔널, 까사미아, 라이브쇼핑 비용 절감 노력
  • 손익 개선 포인트: 1) 부산 면세점 철수로 100억 절감, 2) 공항 면세점 임차료 기저 완화, 3) 백화점 판촉비 100억원 축소 노력

#신세계

[한화투자 / 이진협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29,900원]

: 더 이상 후순위가 아니다
  • 후순위가 될 이유가 사라졌다

#신세계

[NH투자 / 주영훈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29,900원]

대규모 일회성 비용 반영
  • 점진적으로 회복될 '25년
  • 4분기, 예상보다 컸던 일회성 비용

#신세계

[삼성 / 백재승,임지영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29,900원]

수익성 중심 전략이 이어질 것
  • 소비 경기 둔화 영향 및 일회성 인건비 반영이 겹쳐진 4Q24 실적
  • 수익성 중심 전략 이어질 것

#신세계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29,900원]

아직은 안개 속
  • 본업 최악 지났으나, 면세점은 아직 시간 필요
  • 소비와 날씨, 일회성 비용에 울다
  • 목표주가 하향 조정하나 하방은 탄탄

#신세계

[LS / 오린아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29,900원]

일회성 비용의 그림자
  • 일회성 비용의 그림자
  • 수익성 제고 기조 지속

#신세계

[한국투자 / 김명주 / 매수 / 목표가 195,000원 / 현재가 129,900원]

다행히, 주가 하방은 탄탄
  •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28.4% 하회
  • 면세점과 백화점 모두 아쉬운 환경이 지속되는 중
  • 다행인 점은 주가 하방은 탄탄

#신세계

[키움 / 박상준 / 현재가 129,900원]

최악의 구간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
  • 4Q24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061억원으로 YoY -49% 감소
  • 최악의 구간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

#신세계

[IBK투자 / 남성현 / 매수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29,900원]

예상치 못한 변수
  • 연결기준 4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
  • 2025년은 보릿고개

#신세계

[대신 / 유정현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29,900원]

경기 요인, 일회성 비용 등으로 컨센서스 하회
  • 백화점 부문 늦더위와 소비 경기 부진으로 실적 부진 예상
  • 면세점 공항 임차료, 일회성 비용 등으로 영업적자 확대
  • 2025년 실적 경로 상저하고 예상

#삼성전자

[신영 / 박상욱 / 매수 / 목표가 73,000원 / 현재가 52,900원]

HBM 기대감 존재
  • 동사의 12개월 선행 PBR은 0.88배로 역사적 저점 부근에 위치함
  •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와 4분기에 각각 HBM3E 12단, HBM4 진입을 목표하고 있음
  • 경쟁사 대비 납품 시점이 늦지만 밸류에이션 고려시 하방 압력 적다는 판단

#GS건설

[미래에셋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7,300원]

여러 비용 요인이 반영된 4분기 실적
  • 영업이익, 시장 예상치 23% 하회
  • 매출 둔화는 아쉬우나, 영업이익 개선은 유효

#GS건설

[신한투자 / 김선미 / 매수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17,300원]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 보수적 계획
  • 보수적 계획 하에 주택 민감도 하락. GS이니마가 중요
  • 다수의 일회성 비용에도 믹스 개선 기대는 유효
  • GS이니마 매각 따라 valuation 변동 예상

#GS건설

[신영 / 박세라 / 매수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7,300원]

이익 안정화
  • 신사업과 플랜트의 이익 개선세가 돋보인 실적
  • 주택 매출 공백을 메울 소중한 플랜트 매출
  • 저수익 사업 비중 축소, 점진적 이익 개선의 시작, 투자의견 매수 유지

#GS건설

[현대차 / 신동현 / BUY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17,300원]

주택과 플랜트의 이익률 상승에 주목하자
  • 4Q24 연결 매출액 3조 3,865억원(+2.0% yoy, +8.9% qoq), 영업이익 405억원(흑자전환 yoy, -50.5% qoq, OPM 1.2%)으로 컨센서스 하회
  • 인프라 및 그린부문 원가 반영과 국내외 대손 관련 판관비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기대치 하회. 그러나 별도 주택 및 플랜트부문 수익성이 개선된 점은 긍정적

#GS건설

[한국투자 / 강경태,남채민 / 매수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17,300원]

조용히 한 계단씩 올라가는 중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33% 하회, 90%를 하회한 주택 원가율에 주목
  • 플랜트, 신사업 매출 성장에 힘입어 2025년 영업이익은 60%대 성장

#GS건설

[삼성 / 허재준 / BUY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17,300원]

여전히 유효한 중장기 청사진
  • 4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 2025년 가이던스
  • 목표주가 하향하나 BUY 투자의견 유지

#GS건설

[NH투자 / 이은상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7,300원]

외형 방어와 원가율 안정
  • 일회성 손실 반영과 플랜트 매출 상승 본격화

#GS건설

[유안타 / 장윤석 / Buy / 목표가 24,500원 / 현재가 17,300원]

선명해진 원가율 개선의 방향성
  • 4Q24 영업이익, 당사 추정 및 컨센서스 각각 -18%, -23% 하회
  • 매출 감소 vs 이익 성장
  • 원가율 하향 추세에 주목

#GS건설

[다올투자 / 박영도,차윤지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7,300원]

View: 우리도 2025년은 수익성: 매수가능 구간 진입
  • 매출액 당사추정치와 컨센서스 부합. 영업이익 당사추정치와 컨센서스 크게 하회. 추가 원가 반영과 대손 설정 등이 원인
  • 대규모 적자 영향에서 벗어나 정상실적 구간에 들어감에 따라 12개월 선행 영업이익 기준 적정주가 22,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Buy로 변경
  • 이제는 매수가능 구간에 진입했다고 판단

#GS건설

[LS / 김세련 / Buy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17,300원]

잘하는 걸 더 잘하기
  • 주택 외 사업부 정산 지연에 따른 비용 반영, 주택 마진은 호조 지속
  • 개선될 ROE와 수주잔고 고려, 차선호주 추천 유지

#GS건설

[하나 / 김승준,하민호 / Neutral / 목표가 19,000원 / 현재가 17,300원]

2025년 주택건축의 감소
  • 4Q24 잠정실적: 컨센서스 하회
  • 2025년 전망: 매출액 12.1조원, 영업이익 4,009억원

#GS건설

[대신 / 이태환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7,300원]

상반기 긍정적 변동성 기대
  • 4Q24 Review 일회성 비용에 가려진 긍정적 신호
  • 상반기 긍정적 변동성 기대

#GS리테일

[DB금융투자 / 허제나 / Buy / 목표가 21,000원 / 현재가 15,490원]

약해진 편의점 모멘텀
  • 예상대로 부진했던 실적
  • 편의점 실적 모멘텀 둔화, 기저 부담은 상반기까지 지속
  • 비효율 사업부 손익 개선 방향성 명확, 편의점 회복을 기다릴 때

#GS리테일

[한화투자 / 이진협 / Buy / 목표가 21,000원 / 현재가 15,490원]

: 비용의 늪
  • 4Q24 매출액 2.96조원, 영업이익 277억원을 기록해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
  • 비용 통제가 필요

#GS리테일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5,490원]

단기 실적 부진보다 아쉬운 저성장
  • 편의점 산업 저성장 국면 진입, 결국은 기존점
  • 전 사업부 실적 부진
  • 밸류에이션 회복을 위해서는 기존점 성장 필요

#GS리테일

[삼성 / 백재승,임지영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5,490원]

선택과 집중이 꾸준히 요구될 것
  • 아쉬운 4Q24 실적
  • 과감한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

#GS리테일

[LS / 오린아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5,490원]

허리띠 조르는 2025년
  • 비용 부담 지속
  • 허리띠 조르는 2025년 될 것

#GS리테일

[키움 / 박상준 / 현재가 15,490원]

수익성 중심의 경영전략 지속 전망
  • 4Q24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77억원으로 YoY -49% 감소
  • 수익성 중심의 경영전략 지속 전망

#경동나비엔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0,300원]

1분기부터 성장과 수익성 반등
  • 4분기 일시적 물량 감소와 비용 증가로 실적 부진
  • 25년 1분기 성장률과 수익성 정상 수준으로 회복
  • 시장은 크게 실망했지만 25년도 20% 이상 성장 가능

#HD한국조선해양

[KB / 정동익,서준모 / 현재가 225,500원]

4Q24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 HD한국조선해양: 조선3사 영업이익 개선으로 양호한 실적 기록
  • HD현대중공업: 추가성과급 지급 등 일회성 비용 발생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상회
  • HD현대미포: 저가수주 물량 영향으로 수익성 개선 지연
  • HD현대삼호: 4분기 영업이익률 10.0% 기록
  • 2024년 연간 상선 신규수주는 188.4억 달러로 연간 수주목표치 대비 163.8% 달성

#LS ELECTRIC

[신영 / 권덕민 / 매수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220,500원]

이어지는 초고압변압기 수혜
  • 초고압변압기 수혜와 더불어 배전기기 수혜 기대
  • 2025년 부산 공장 증설 완료 후 2026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할 전망
  • 2024년 KOC전기 인수를 통해 2025년부터 외형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고려아연

[메리츠 / 장재혁 / 현재가 795,000원]

4Q24 실적발표 업데이트
  • 연결매출 3조 4,426억원(+7.4% QoQ, +42.6% YoY)
  • 연결영업이익 1,328억원(-11.4% QoQ, +24.5% YoY)
  • 공개매수 위한 사채발행, 유산스 등으로 부채 증가

#삼성중공업

[미래에셋 / 정동호 / 매수 / 목표가 18,700원 / 현재가 13,400원]

FLNG 중심의 이익개선 시작
  • 영업이익 컨센서스 18.1% 상회
  • 무난한 가이던스, 2025년은 FLNG의 저력을 확인할 시점

#삼성중공업

[DB금융투자 / 서재호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3,400원]

호실적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 컨센서스 상회
  • 25년에도 계속되는 증익, 보수적인 성장 가이던스

#삼성중공업

[신영 / 엄경아 / 매수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3,400원]

이번에도 재미없고, 성실한 실적 발표
  • 4분기 영업이익률 6.5%까지 상승한 삼성중공업
  • 2025년 보수적인 가이던스 제시, 올 해도 실적 초과달성 가능할 듯
  • 기준 순자산가치 산정 시점 변경으로 목표주가 상향

#삼성중공업

[유진투자 / 양승윤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3,400원]

드러나기 시작했고, 달라진 해양
  • 삼성중공업의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조 7,004억원(+11%yoy), 영업이익 1,743억원(+121%yoy, OPM 6.5%)를 기록.
  • 2025년 가이던스는 매출액 10조 5,000억원(+6%yoy), 영업이익 6,300억원(+25%yoy), 신규 수주 98억달러

#삼성중공업

[IBK투자 / 오지훈 / 매수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3,400원]

또 보수적인 가이던스 제시, 초과 달성 전망, 기대
  • 4Q24 Re: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그러나 대규모 파생상품평가 손실로 지배주주순이익 적자전환
  • 2025년 매출액 10.5조원, 영업이익 6,300억원, 수주 98억불로 보수적인 가이던스 제시
  • 최선호주 의견 유지

#삼성중공업

[iM / 변용진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3,400원]

꾸준한 실적상승 기대, 사라진 FLNG 경쟁
  • 4분기 매출 2조 7,004억원/영업이익 1,742억원
  • 25년 가이던스 매출 10조 760억원/영업이익 6,300억원/수주 98억달러

#삼성중공업

[NH투자 / 정연승,곽재혁 / Buy / 목표가 17,200원 / 현재가 13,400원]

보수적 가이던스에 실망하지 말자
  • 보수적 25년 수주 가이던스, 중장기 FLNG 파이프라인 기회는 여전
  • 4분기: 영업이익 시장컨센서스 상회, 러시아 관련 파생상품 손실 발생

#삼성중공업

[상상인 / 이서연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3,400원]

앞당겨진 해양 매출
  • 4Q24 매출액 2조 7,004억원, 영업이익 1,742억원 기록
  • 2025년 목표: 수주 98억달러, 매출액 10.5조원, 영업이익 6,300억원 제시

#삼성중공업

[신한투자 / 이동헌,이지한 / 현재가 13,400원]

신한 속보; 4Q24 기대치 상회, 다소 보수적인 ’25년 가이던스
  • 4Q24 Review 해양 공사 순항으로 서프라이즈, 러시아 프로젝트 회계 평가손 반영
  • ’25년 가이던스는 다소 보수적이나 풍부한 잔고와 편안한 사업 환경으로 순항

#삼성중공업

[한국투자 / 강경태,남채민 / 매수 / 목표가 17,000원 / 현재가 13,400원]

FLNG 시장 내 독점적 지위 구축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18% 상회, 수익성 좋은 해양 매출 급증
  • 세전이익 적자, 계약 해지한 러시아 프로젝트발 선물환 평가손실 때문

#삼성중공업

[다올투자 / 최광식 / BUY / 목표가 19,000원 / 현재가 13,400원]

보기 좋은, 편안한 가이던스
  • 4Q24 OPM 6.5%로 성장 확인. 2025년에 OPM 6.0% 가이던스는 보수적일 뿐, 당사의 7.6% 유지
  • 2025년 분기별로 YoY, QoQ 이익 증가 또는 수익성 개선을 보면서 편안한 투자 가능
  • 미국 조선 스토리에서 특수선을 제외하고는 공통 수혜이고 FLNG에서는 나홀로 돋보이는 것에 비해, 저평가 심각

#삼성중공업

[키움 / 이한결 / BUY / 목표가 19,000원 / 현재가 13,400원]

상선과 해양 모두 순항 중
  • 4분기 영업이익 1,742억원, 컨센서스 상회
  • 보수적인 25년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실적 달성 기대

#삼성중공업

[메리츠 / 배기연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3,400원]

4Q Review: 그럼에도 탑픽을 유지하는 이유, FLNG
  • 4분기 세전손실 쇼크, 냉정하게 들여다보기
  • 2025년 회사의 목표: 실망 보다는 FLNG 특화 조선소로 환골탈태의 과정

#삼성중공업

[삼성 / 한영수 / BUY / 목표가 16,200원 / 현재가 13,400원]

너무 놀랄 필요 없는 이유
  • 4Q24 실적, 영업이익률 개선에 주목
  • 할인은 불필요

#삼성중공업

[SK / 한승한 / 매수 / 목표가 17,000원 / 현재가 13,400원]

FLNG가 끌어올린&올릴 실적
  • 해양부문 기자재 조기 투입으로 시장 예상치 상회
  • ‘25 년 수주 및 실적목표 초과달성 전망

#삼성중공업

[하나 / 위경재 / BUY / 목표가 17,000원 / 현재가 13,400원]

FLNG 반영, 이익 증가
  • 4Q24 Re : 영업실적 컨센서스 상회
  • FLNG에 주목할 시점
  • 가격 매력 높이는 Target Multiple

#현대위아

[대신 / 김귀연 / Buy / 목표가 61,000원 / 현재가 38,650원]

최선을 다해
  • 현대위아 관련 시장 관심: 미국 관세/열관리/기계사업 매각/2025년 전망
  • 단기 실적 모멘텀 제한적이나, 기계 매각/HEV 엔진/열관리 성장성 유효
  • 2025년 수익성 개선 => 2026년 성장성 증명하는 시기가 될 것

#더존비즈온

[한화투자 / 김소혜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4,800원]

AI SW 대장주 재차 확인
  • 일회성 하나 없는 서프라이즈 기록
  • 별도 영업이익률 30.7%까지 개선, 여기에 AI 매출 붙으면?

#에스원

[LS / 리서치센터 / Buy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59,000원]

[NDR 후기] 배당 금수저
  • 인프라서비스 성장성이 견인한 4분기
  • 유관 다각화 신사업 투자, 배당 증가 기대

#삼성에스디에스

[신영 / 정원석 / 매수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27,300원]

AI 성장은 계속된다
  • 2025년은 동탄 데이터센터West wing의 AI 서버 증설에 따른 GPUaaS 매출 성장 기대
  • 고성능 오픈소스 모델이 등장하고, LLM 토큰 비용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기업 고객들의 AI 도입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 패브릭스, 브리티 코파일럿 등을 보유한 동사에게 수혜 예상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삼성 / 장정훈,서지현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1,250원]

고객사 수요 회복을 기다리며
    지 4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
  • 손익 회복 시점은 기존 예상보다 늦지만 2025년 연간 영업흑자 기대 유효

#KT

[신영 / 정원석 / 매수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6,450원]

국내 AI 생태계와 함께가는 KT
  • 국산 LLM 개발을 위한 학습 수요의 증가는 국내 AI 스타트업들을 GPUaaS 고객사로 두고 있는 KT클 라우드에 성장의 기회가 될 것
  • LLM 토큰 비용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기업 고객들의 AI 도입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 25년 1분기부터 MS와의 AI 사업을 본격화할 KT에게 기회 요인

#신세계인터내셔날

[SK / 형권훈 / 매수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350원]

모멘텀을 기다리며
  • 영업이익 시장 컨센서스 하회
  • 리브랜딩과 해외 사업의 성과를 기다리자

#신세계인터내셔날

[한화투자 / 이진협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0,350원]

: 제조 코스메틱 비중 확대에 주목
  • 점진적 업황 회복 기대

#신세계인터내셔날

[키움 / 조소정 / BUY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350원]

악재는 끝, 경기만 반등하면 회복할 듯
  • 4Q: 매출 성장 제한적이었던 가운데, 비용 부담 증가 영향
  • 보유 자사주 1% 소각, 배당금 400원 지급 결정

#신세계인터내셔날

[신한투자 / 박현진,주지은 / 매수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350원]

오직 M&A 효과
  • 해외 패션 성장 회복, 어뮤즈 인수 효과 부각
  • 매출 부진에 따른 고정비 부담 지속 중
  • 실적 추정치 하향, 밸류에이션도 하향

#NAVER

[신영 / 서정연 / 매수 / 목표가 320,000원 / 현재가 229,000원]

딥시크, 오픈소스 고마워
  • 한국에서 AI에 가장 많이 투자한 기업이며 한국형 AI모델 개발에 적합한 방대한 데이터 보유
  • AI활용한 자체 모델을 지속 개발 및 고도화 중에 있으며 상용화를 통해 본업 수익성 강화 뿐만 아니라, B2B 판매를 통한 수익화도 꾀할 전망
  • 서치플랫폼 실적 개선 이미 시작,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상향하며 목표주가 32만원으로 상향함. 업종 최선호주로 추천

#카카오

[신영 / 서정연 / 매수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3,200원]

딥시크도 고맙지만 오픈AI는 더 고마워
  • 딥시크 등장이 AI 개발 관련 비용 하락을 야기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동사에 긍정적으로 작용
  • Open AI와의 협업이 카나나 출시를 앞둔 시점에서 성공적 안착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 우세
  • 탑티어와 협업에도 불구하고 AI 기술 활용에 따른 수익화와 이익 레버리지 가능여부에 대한 증명이 과제

#키움증권

[교보 / 김지영,장민지 / Buy / 목표가 163,000원 / 현재가 117,000원]

일회성 비용을 감안 시, 견조한 경상이익
  • 2024년 당기순이익 8,151억원, YoY 140.9% 증가
  • 목표주가 163,000원 유지, 업종내 Top picks도 유지

#키움증권

[SK / 설용진 / 매수 / 목표가 157,000원 / 현재가 117,000원]

국내 증시 부진을 상쇄하는 해외주식 경쟁력
  • 4Q24 지배순이익 1,461 억원(+흑자전환 YoY) 기록
  • 2 차 밸류업 공시 등 향후 이벤트에 주목

#키움증권

[다올투자 / 김지원 / BUY / 목표가 173,000원 / 현재가 117,000원]

일회성 외에는 양호했지만
  • 연결 지배순이익 1,461억원(YoY 흑전, QoQ -31.0%)으로, 컨센서스 대비 -18.9% 하회
  • [수수료부문] (1) Brokerage 수익 증가. 해외주식 거래대금 상승 및 평균 수수료율 상승 효과. (2) IB 수익 증가. M&A 및 신규 PF 딜 진입에 따른 수수료수익 증가
  • [비수수료부문] (1) 순이자이익 증가. 채권 등 유가증권 이자수익 증가, (2) 운용 및 기타이익 감소. 연결 자회사 충당금 부담 가중

#키움증권

[LS / 전배승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17,000원]

해외주식 수수료가 국내를 상회
  • 운용이익 감소로 실적 둔화
  • 해외주식 수익이 국내를 상회
  • 기존 의견 유지

#키움증권

[유안타 / 우도형 / Buy / 목표가 165,000원 / 현재가 117,000원]

괜찮아 경상이익은 양호하니까
  • 4Q24 순이익 컨센서스 18.8% 하회
  • IB관련 수익은 긍정적, 주주환원 관련 모멘텀도 기대

#키움증권

[한국투자 / 백두산,안현빈 / 매수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17,000원]

4분기보다는 2025년을
  • 자회사 부진 등으로 순이익은 컨센서스 19% 하회
  • 해외주식 중심으로 경상 이익체력 확대된 점에 주목

#키움증권

[대신 / 박혜진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17,000원]

우수했으나, 앞으로가 중요하다
  • 4분기 순이익 1,464억원, 충당금 및 손상차손 반영으로 컨센서스 하회
  • 해외주식 호조에 힘입어 BK수수료수익은 사상최대 달성
  • 다만 약정기준 해외주식 MS 1위 수성 못한 것으로 파악, 목표주가 하향

#한양이엔지

[LS / 정홍식 / 현재가 16,120원]

반도체 엔지니어링 솔루션 기업
  • 기업개요
  • 실적동향
  • 체크포인트

#대우건설

[메리츠 / 문경원 / Hold / 목표가 3,800원 / 현재가 3,225원]

매출 감소 두드러질 2025년
  • 4Q24, 일회성 비용을 압도했던 정산 이익, 도급 증액 효과
  • 매출 하락, 수주 성장이 교차할 2025년
  • 역대급 저점 밸류에이션 매력적이지만 아직은 기다릴 시기

#대우건설

[한화투자 / 송유림,이다연 / Buy / 목표가 4,700원 / 현재가 3,225원]

[4Q24 Review] 올해도 이어질 매출 감소 여파
  •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대폭 상회
  • 늦춰지는 이익 턴어라운드 시점

#대우건설

[KB / 장문준 / 현재가 3,225원]

[AI 실적속보] 4Q24 실적 요약
  • 2024년 4분기 매출액 2.6조원 (-4.7% YoY, +3.9% QoQ), 영업이익 1,212억원 (+55.5% YoY, +94.4% QoQ)을 기록
  • 매출액은 컨센서스 2.6조원에 부합, 영업이익은 컨센서스 640억원을 89.4% 상회
  • 주택 현장 준공에 따른 정산이익 및 도급증액, 나이지리아 플랜트 사업 현장에서의 도급증액 등이 실적 호조의 주요 원인

#리노공업

[신영 / 박상욱 / 현재가 203,000원]

딥시크가 쏘아올린 온디바이스AI
  • 온디바이스AI 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가 전망됨
  • AI가 디바이스로 확산되면서 더 높은 성능의 프로세서요구, 프로세서의 스펙이 고도화될수록 사용되는 소켓 가격도 상승
  • AI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소켓 수요, ASP 상승이 전망됨

#산일전기

[흥국 / 박희철 / BUY / 목표가 92,000원 / 현재가 71,600원]

증명할 한 해
  • 매출액 1,084억원, 영업이익 340억원
  • 신규 수요 중심으로 적극적인 미국 공략 지속

#산일전기

[IBK투자 / 김태현 / 매수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71,600원]

핵심은 탄탄한 고객 기반과 폭넓은 시장 대응력
  • 4Q24 영업이익이 시장기대치를 28% 상회
  • 하반기부터 2공장 증설 효과 본격화

#산일전기

[LS / 성종화 / Buy / 목표가 105,000원 / 현재가 71,600원]

실적 대호조 지속 & 공격적 증설로 고성장 확보
  • 4Q24 영업실적 yoy, qoq 대호조 & 당사 및 컨센서스 전망치 대폭 초과
  • 2공장 1차 증설분 Full 가동 시 연간 매출 Capa 6,000억원으로 71% 급증
  • 25 년 매출 가이디언스는 매우 보수적. 25 년 이후 전망치 대폭 상향
  • TP 105,000 원으로 상향, Buy 유지. 펀드멘털 압도적. 밸류 여력 상당

#산일전기

[유안타 / 손현정 / Buy / 목표가 87,500원 / 현재가 71,600원]

폭발적 성장, 증설로 한 단계 더
  • 2024년 Review: 매분기 사상최대 실적
  • 2025년 전망: 증설 효과 반영
  • 목표주가 87,500원으로 상향 조정

#산일전기

[DS투자 / 안주원,김진형 / BUY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71,600원]

믿고 가는 실적 + 오버행 소멸
  • 24.4Q Review: 컨센서스 대폭 상회한 실적 달성
  • 2025년에도 실적은 레벨업

#인텍플러스

[메리츠 / 김동관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2,180원]

어려운 업황을 지나는 중
  • 4Q24E Preview
  • OSAT와 메모리 신규 고객사가 성장 견인
  • 주력 고객사 투자 재개 및 신장비 사업 성과에 주목

#현대로템

[KB / 정동익,서준모 / 현재가 61,100원]

4Q24 수정 영업이익 2,897억원, 또 다시 어닝 서프라이즈!
  • 사상최대 분기 영업이익 달성
  • 환율상승과 폴란드향 K2전차 납품 증가가 실적개선의 배경
  • 4분기 방산수출 영업이익률은 37%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추정

#티씨케이

[유안타 / 백길현,박현주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72,100원]

업황에도 불구하고 외형 성장은 지속될 전망
  • 4Q24 영업이익 205억원, 컨센서스 하회

#엘앤에프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3,100원]

단기 모멘텀 유효하나 고객사 다각화 필요
  • 4분기: 대규모 적자 지속
  • 단기 테슬라 모멘텀 유효하나, 고객사 다각화 시급
  • 목표주가 11만 원으로 하향, 투자의견 BUY 유지

#엘앤에프

[신영 / 박진수 / 매수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3,100원]

판매 기준 저점 통과
  • 재고평가손실 영향 지속
  • 2분기 신제품 양산 효과 본격 반영, 3분기 기점 흑자전환 예상
  • 목표주가 11만원으로 15% 하향

#엘앤에프

[교보 / 최보영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3,100원]

컨센서스 하회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 1Q25 Preview 아쉽지만 2분기 성장을 대비

#엘앤에프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매수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3,100원]

긴 터널의 끝을 향해
  • 조정의 끝자락
  • 일회성 및 고정비 부담 지속으로 컨센서스 하회
  • 주가 하방 경직성은 견고

#엘앤에프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MARKETPERFORM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83,100원]

매출액 턴어라운드는 긍정적. 추스림의 시간
  • 4Q24 실적은 당사 전망을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이나, 매출액 반전은 긍정적
  • 4Q24 실적은 매출액 3,654억원(+3.9% qoq, -44.4% yoy), 영업적자 -1,497억원(적지 qoq, 적지 yoy) 기록하여 당사 전망을 하회
  • 재고자산 축소 가속화 및 매출 성장세 전환 등 긍정적 요인 있음. 향후 수익성 개선 시점이 주가 저점이 될 전망

#엘앤에프

[iM / 정원석,손우성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3,100원]

Tesla향 차세대 2170, 4680 배터리의 수혜
  • 4Q24 원재료 가격 하락세에 따른 손실 확대로 대규모 적자 발생
  • 점진적인 물량 증가와 원재료 가격 안정세로 하반기 흑자전환 전망

#엘앤에프

[삼성 / 조현렬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83,100원]

- 경쟁사 대비 수요 가시성이 보다 뚜렷
  • 4Q24 review, 컨센서스 하회
  • 1Q25 preview, 판매량 회복세 지속 전망
  • 2025년 Key issue, 신규제품 상업화
  • View, 경쟁사 대비 수요 가시성 뚜렷

#엘앤에프

[유안타 / 이안나 / Buy / 목표가 96,000원 / 현재가 83,100원]

영업이익 기준 컨센 하회 실적
  • 영업이익 기준 컨센 하회 실적 기록
  • 2025년, 주요 고객사향 수요 증가 시작
  • 목표주가 96,000원으로 하향 조정

#엘앤에프

[IBK투자 / 이현욱 / 중립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83,100원]

최악을 지나는 구간
  • 24년 4분기, 지속되는 부진
  • 2025년 BEP 수준 근접 예상

#엘앤에프

[메리츠 / 노우호 / 현재가 83,100원]

고객선 프리미엄 감안해도 낙관하기는 이른 시점
  • 2024년 연간 매출액 1.9조원, 영업적자 -5,102억원을 기록
  • 기저효과 감안해도 2025년 외형성장성은 돋보일 전망
  • 중장기 사업 Road-map 여전히 유효. 단, 재무 건전성 우려를 불식시킬 반전의 계기 필요

#엘앤에프

[키움 / 권준수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3,100원]

상반기도 실적 부진 지속 전망
  • 4Q24 영업이익 -1,498억원, 시장 컨센서스 하회
  • 1Q25 영업이익 -819억원(적자지속 YoY) 전망
  • 부진한 실적 지속 예상되나, Tesla 모멘텀은 유효

#엘앤에프

[DS투자 / 최태용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83,100원]

하이니켈 출하량 반등 시작
  • 4Q24P Re: 재고평가손실 478억원 인식으로 컨센서스 하회
  • 2025F 하이니켈 출하량 반등세 지속되며 실적 방어 기대
  • 트럼프 IRA 정책 리스크 해소와 함께 신규 고객사 가시화 기대

#엘앤에프

[KB / 이창민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83,100원]

최악은 지나갔다
  • 4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출하량은 증가했으나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비용 발생
  • 2Q25부터 실적 개선세 본격화 전망, 비용 발생 요인 해소+가동률 상승

#SOOP

[삼성 / 오동환,유승민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15,600원]

글로벌 구하러 간 여캠
  • 글로벌 SOOP, 여캠으로 가능성 확인
  • 본질로 돌아가는 SOOP
  • 밸류에이션 저평가 해소 구간

#SOOP

[하나 / 이준호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115,600원]

글로벌 전략 변화로 디레이팅 해소
  • 글로벌 전략 변화 감지
  • 보이는 라디오 생태계 활성화 기대
  • 트래픽과 기부경제매출 활성화가 모두 중요해진 시점

#롯데하이마트

[흥국 / 박종렬,송지원 / HOLD / 목표가 8,300원 / 현재가 7,380원]

실적 개선이 관건
  • 4Q OP -163억원(적지 YoY), 부진한 실적 지속
  • 2025년 소비경기 침체로 큰 폭의 실적 개선에는 한계

#롯데하이마트

[IBK투자 / 남성현 / 매수 / 목표가 9,000원 / 현재가 7,380원]

고정비 부담은 있겠지만... 체질개선 효과를 기대
  • 4분기 적자폭 증가
  • 점진적 개선

#선진뷰티사이언스

[유진투자 / 허준서 / 현재가 9,620원]

ODM 사업 진출의 원년
  • 4Q24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168억원 18억원 전망(각각 -6.2% yoy, -10.2% yoy)
  • 2025년 가장 기대할 요소는 ODM 사업 진출, OTC제품 응대를 위한 미국 시장 전용 공장 건설 중(6월 가동 예정)

#ISC

[그로쓰리서치 / 김주형,박재은 / 현재가 66,100원]

SK 계열사의 힘
  • 반도체 테스트 소켓 전문 기업
  • 본격 공급 들어가는 유리기판용 테스트 소켓 WiDER-G
  • SKC 자회사와의 활발한 협업

#풍산

[KB / 최용현 / 현재가 52,200원]

4Q24 공시: 부진했지만, 주주 환원 정책에 주목
  • 4Q24 실적 컨센서스 하회
  • 향후 주주 친화적인 환원 정책 발표 가능성 높다고 판단
  • 2025년: 방산 부문 성장 계속될 것

#KB금융

[한화투자 / 김도하,권지우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91,000원]

자본정책 로직을 그대로 이행, 하반기 자사주 기대
  • 4Q24 지배 순익 6,829억원(+167% YoY), 기대치 부합
  • 하반기 자사주 증액을 기대

#KB금융

[DB금융투자 / 나민욱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91,000원]

페이스 조절
  • 4Q24P Review - 기대치 소폭 하회
  • CET1비율 13.5%
  • 여력의 부재보다는 속도 조절

#KB금융

[SK / 설용진 / 매수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91,000원]

펀더멘털 감안 시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유효
  • 환율 영향에도 이익체력 감안했을 때 견조한 자본력 전망
  • 4Q24 지배순이익 6,829 억원(+167.4% YoY) 기록

#KB금융

[신한투자 / 은경완,박현우 / 매수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91,000원]

기대치를 밑돈 자본비율과 자사주 규모
  • 아쉬운 자본비율 관리
  • 연간 5조원대의 순이익 달성
  •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일부 희석 예상

#KB금융

[LS / 전배승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91,000원]

하반기 자사주 소각 규모도 5,000억원 상회 예상
  • 25년 총주주환원율 42.6% 예상
  • 25년에도 비은행 이익기여도 확대 예상
  • 최선호주 의견 유지

#KB금융

[유안타 / 우도형 / Buy / 목표가 118,000원 / 현재가 91,000원]

하반기 더 많은 자사주 매입 기대
  • 4Q24 순이익 컨센서스 부합
  • 상반기 5,200억원 자사주 매입 발표

#KB금융

[NH투자 / 정준섭,이승준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91,000원]

다소 아쉬운 주주환원 결과
  • CET1 비율 13.51%(-34bp), 자사주 5,200억원 매입 발표
  • 4Q24 지배순이익 6,829억원, EPS 1,820원(+217% y-y)

#KB금융

[삼성 / 김재우,박준규 / BUY / 목표가 113,000원 / 현재가 91,000원]

4Q 실적: 이익 성장 지속 기대. 하반기 추가 주주환원이 관건
  • 4Q 당기순이익 6,829억원, 예상 부합 - 연간 이익 5.08조원, 10.5% 증가
  • 25년 주주환원 관련 상반기 자사주 5,200억원 공시
  • 향후 관건은 RWA 증가율 관리, CET-1 비율 제고, 그리고 하반기 주주환원 강화

#KB금융

[키움 / 김은갑,손예빈 / BUY / 목표가 126,000원 / 현재가 91,000원]

이익전망 맑음, 추가 주주환원 기대
  • 사상최대 실적
  • 기업가치제고계획에 따른 초과자본 주주환원
  • 이익증가세 지속 전망, 목표주가 126,000원 유지

#KB금융

[하나 / 최정욱,김현수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91,000원]

높아진 기대치에 비해 아쉬움이 컸던 주주환원
  • 실적은 컨센서스 소폭 상회했지만 비이자부문 부진했고, 경상 충당금도 상당폭 증가
  • 대손비용률 크게 낮아지기는 어렵지만 2025년 연간 순익은 약 7.3% 내외 증익 전망
  • CET 1 비율과 자사주 규모는 높아진 시장 기대치 대비 다소 미흡. 하반기 부응 기대

#KB금융

[한국투자 / 백두산,안현빈 / 매수 / 목표가 121,000원 / 현재가 91,000원]

아직 하반기가 있다
  • 순이익 6,829억원으로 컨센서스 2% 하회
  • 목표주가 121,000원 유지. 연간 단위 환원은 흔들림 없다

#대양전기공업

[IBK투자 / 이건재 / N 매수 / 목표가 N 21,000원 / 현재가 14,960원]

좋음, 모든 사업부가!
  • 방폭등 전문가, LNG 물동량 증가 수혜 확실
  • 센서, 테슬라를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 확대

#파크시스템스

[BNK투자 / 이민희 / 매수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226,000원]

수주 활동 스타트가 좋다. 올해도 성장세 지속
  • 기대치 부합한 4Q24 실적, 수주잔고 6백억 원으로 연말 최고치
  • 올해도 신규수주 18%YoY, 매출 19%YoY 성장 예상
  • 목표주가 30만원으로 상향조정, 투자의견 ‘매수’ 유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다올투자 / 유지웅 / HOLD / 목표가 42,000원 / 현재가 37,750원]

아쉬운 마진율 하향추세
  • 4Q24 실적 리뷰 및 투자전략 점검
  • 투자의견은 HOLD를 유지하고 적정주가는 42,000원으로 하향. 적정주가는 2025년 EPS에 P/E 4.5배 적용.
  • 4Q24에도 높은 수익성이 지속되었으나, 이를 기점으로 어닝 Peak-Out 가능성, Capex부담 지속우려가 공존.
  • 2024년 연초 홍해사태 이슈로 지연된 매출이 하반기에 집중되었으나, 이 현상이 제외되는 2025년에는 외형 모멘텀이 다소 약화될 가능성이 있음

#필옵틱스

[그로쓰리서치 / 김주형,박재은 / 현재가 30,650원]

유리기판용 싱귤레이션 장비도 기대
  • 전통의 레이저 가공 기술을 보유한 기업
  • 고객사 양산 시작에 따른 본격 수혜 기대감
  • 주목할 것은 싱귤레이션 장비

#PI첨단소재

[메리츠 / 양승수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17,620원]

이구환신 + 스마트폰 슬림화 수혜 기대
  • 바닥
  • 이구환신과 스마트폰 슬림화의 수혜

#PI첨단소재

[BNK투자 / 이민희 / 매수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17,620원]

바닥은 지났고, 2Q25부터 본격 실적 모멘텀 기대
  • 모바일 재고조정 영향, 4Q24 실적도 기대치 하회
  • 업황 바닥은 지났고 2Q25부터 본격 실적 모멘텀

#코미코

[SK / 이동주 / 현재가 36,950원]

업황도 이겨낸 실적 행보
  • 구조적 성장 산업의 세정 및 코팅
  • Wuxi와 안성의 두드러지는 성장세. Phoenix도 2026년 모멘텀
  • 이리 봐도 저리 봐도 저평가

#종근당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82,400원]

노바티스 발 호재를 기다리며
  •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 CKD-510 개발 계획 공개를 기다리며
  • 목표주가 100,000원으로 하향

#에이디테크놀로지

[한국투자 / 조수헌 / 현재가 19,290원]

에이, 디SP 전환 좋잖아?
  • TSMC VCA에서 삼성전자 DSP로
  • DSP 전환 후 개발과제 수주 지속
  • IP 매입 및 인력 확충

#이노션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8,280원]

우려는 대부분 반영. 우상향엔 시간 소요
  • 낮아진 컨센서스에 부합
  • 25년은 수익성 위주 전략

#이노션

[흥국 / 황성진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8,280원]

신차 캠페인과 리소스 효율화
  • 4분기 실적은 낮아진 눈높이에 부합
  • 25년 신차 캠페인과 리소스 효율화로 수익성 강화 기대

#이노션

[NH투자 / 이화정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8,280원]

수익성 개선의 시작
  • 실적도 배당도 매력적
  • 인건비가 주는 마지막 부담

#이노션

[현대차 / 김현용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8,280원]

무난했던 실적, 25년 신차와 함께 성장률 회복 기대
  • 4분기 영업이익 427억원으로 추정치 3% 하회
  • 2025년 현기차 신차종 출시 증가로 실적 회복 기대
  • 현기차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기대감 유효하고, M&A 여력도 충분
  • 전반적인 광고 업종 약세 지속으로 단기 모멘텀은 약할 전망

#이노션

[유진투자 / 이현지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8,280원]

나도 수익성을 찾아서
  • 4분기 매출총이익은 2,587억원(+4.5%yoy), 영업이익은 427억원(-11.5%yoy)으로 시장 컨센서스 부합
  • 실적 추정치를 하향함에 따라 목표주가를 26,000원으로 3.7% 하향 조정

#이노션

[메리츠 / 정지수,박건영 / Buy / 목표가 26,700원 / 현재가 18,280원]

2025년 계열 신차 라인업 강화
  • 시장 컨센서스 부합
  • 2025년 연결 영업이익 1,692억원(+8.7% YoY) 전망

#이노션

[KB / 최용현 / 현재가 18,280원]

이노션도 2025년은 수익성 중심
  • 컨센서스 부합
  • 2025년 가이던스 공표는 없음
  • View: 우리도 2025년은 수익성

#이노션

[대신 / 김회재 / Buy / 목표가 30,500원 / 현재가 18,280원]

신차 효과와 레버리지 기대
  • 4Q24 GP 2.6천억원(+5% yoy), OP 427억원(-12% yoy)
  • 신차 부재와 CES high base로 4Q24~1Q25 이익 부진/부진 전망
  • 25년은 전기차 신차에 따른 계열 물량 증가, 선확충 인원에 대한 레버리지

#LS에코에너지

[NH투자 / 이민재 / Buy / 목표가 52,000원 / 현재가 43,600원]

북미向 외형 성장 가능성
  • 북미와 유럽向매출 확대를 반영한 목표주가
  • 기대되는 ‘25년 사업 전략

#에스앤디

[유진투자 / 박종선 / 현재가 43,150원]

K-Food 수혜는 지속된다
  • 글로벌 ‘불닭볶음면’의 K-Food 열풍 지속으로 역대 분기 최대 실적 및 수익성 달성에 성공
  • 1Q25 Preview: 동사의 하반기 공장증축 및 설비투자 효과 반영 등으로 올해에도 실적 성장세는 지속 전망

#HD현대일렉트릭

[신영 / 권덕민 / 매수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391,500원]

2025년에도 이익개선세는 지속 전망
  • 2026년말까지 국내외 공장 증설을 완료하고 2027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할 예정
  • 미국, 중동, 유럽 등의 다양한 국가로부터 초고압 변압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다만 당분간 마진율이 높은 북미 지역 물량에 집중할 것으로 분석

#HD현대건설기계

[KB / 정동익 / 현재가 63,800원]

[AI 실적속보] 4Q24 실적 예상치 하회
  • 2024년 4분기 실적 (K-IFRS 연결)은 매출액 7,891억원 (-6.7% YoY), 영업이익 353억원 (+31.4% YoY, 영업이익률 4.5%)을 기록
  • 매출액은 컨센서스를 7.7% 하회했으며, 영업이익은 19.6% 하회
  • 매출액은 인도, 브라질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유럽, 북미 선진 시장과 기타 신흥 시장 수요 회복 지연되어 하락

#이녹스첨단소재

[신한투자 / 남궁현,송혜수 / 매수 / 목표가 39,000원 / 현재가 26,250원]

준비된 기업의 활약 기대
  •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제품믹스 개선으로 사업고도화
  • 영업이익률 24%로 높은 수익성 입증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나타날 수 있는 구간

#이녹스첨단소재

[키움 / 김소원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6,250원]

분위기 급반전
  • 4Q24 영업이익 250억원,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 1Q25 영업이익 270억원, 일회성 서프라이즈가 아니다
  • 밸류에이션 저평가, 북미 세트 업체향 모멘텀 주목

#이녹스첨단소재

[SK / 권민규 / 매수 / 목표가 34,000원 / 현재가 26,250원]

상반기 실적 맑음, 모멘텀도 대기
  • 4Q24 Preview: 강력한 환율효과와 견조한 수요
  • 1Q25 & '25년 Preview: 신규 아이템, 점유율 확대

#세아제강

[하나 / 박성봉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44,500원]

4분기 수출 마진 개선과 대규모 일회성 이익 발생
  • 4Q24 본업 회복과 대규모 정산 이익 발생
  • 1분기에도 판매량 증가에 따른 양호한 영업실적 예상

#세아제강

[상상인 / 김진범 / BUY / 목표가 166,000원 / 현재가 144,500원]

서프라이즈, 괜찮은 실적에 일회성 이익 반영
  • 4Q24 Preview: 한-미 APA 계약 정산금 940억원 가량 추가 반영
  • OCTG 수요 개선 움직임은 아직. 다만 우호적 환경 조성 중
  • 수요 확대의 징후를 감지하라

#HD현대에너지솔루션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4,450원]

국내 시장 고성장에 힘입은 호실적
  • 4Q24 한국시장 고성장에 힘입은 호실적 기록. 올해 역시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국내 태양광 설치량 고성장 전망
  • 1Q25는 전통적인 비수기로 전분기비 이익 감소하겠으나, 전년동기비 흑자전환
  • 올해 매출액 전망 5,329억원(+26.2%) 공시. 향후 미국향 출하 물량 증대 전망

#카카오뱅크

[DB금융투자 / 나민욱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2,850원]

기대가 충족되는 중
  • 4Q24P Review - 기대치 상회
  • 플랫폼 수익 성장 견조
  • 기대치가 충족되는 중

#카카오뱅크

[신한투자 / 은경완,박현우 / 매수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22,850원]

차별화된 강점 유지
  • 악재보단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
  • 견조한 탑라인으로 시장 기대치 상회
  • 낮아질 예대율 극복 여부에 주목

#카카오뱅크

[LS / 전배승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2,850원]

플랫폼 수익 확대와 기대
  • 플랫폼 수익 확대
  • 탑라인 정체로 이익증가율 둔화 예상
  • 기존 의견 유지

#카카오뱅크

[NH투자 / 정준섭,이승준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22,850원]

‘25년 핵심은 비이자이익 증가 폭
  • ‘25년 가이던스: 이자이익, 충당금, 판관비 →, 비이자이익 ↑
  • 4Q24 순이익 845억원, +11.6% y-y

#카카오뱅크

[한화투자 / 김도하,권지우 / Hold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22,850원]

비이자 개선은 긍정적, top line 정체는 불가피
  • 4Q24 당기순이익 845억원(+12% YoY), 기대치 상회
  • 비이자이익 개선은 긍정적, top line 정체는 불가피

#카카오뱅크

[하나 / 최정욱,김현수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2,850원]

ROE 개선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
  • 실적은 기대치 소폭 상회. 수신경쟁력 지속과 큰폭의 배당 확대는 주목할만한 요인
  • 상각 규모 감안해도 건전성은 다소 악화되는 모습. 개인사업자와 신용대출 증가 영향
  • 이익성장률 둔화되지만 여전히 높은 증가율과 배당 감안시 ROE 상승세 지속 예상

#SK바이오팜

[KB / 김혜민 / 현재가 108,400원]

[AI 실적속보] 4Q24 실적속보: 컨센서스 상회
  • 2024년 4분기 실적: 시장 컨센서스 상회
  • 4Q24 컨퍼런스 콜 주요 내용
  • 2025년 실적 가이던스

#뷰노

[미래에셋 / 박선영,김충현 / 현재가 26,650원]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 매출액 전년 대비 44% 상승, 영업적자 지속
  • 12개월 선행 P/S 11배로 글로벌 Peer 대비 고평가 상태

#뷰노

[키움 / 신민수 / BUY / 목표가 37,000원 / 현재가 26,650원]

바닥 다진 후 반등 노리는 주가
  • 시장 기대치 하회한 4Q24 성적
  • 주가는 바닥 찍고 반등 중

#아이씨에이치

[지엘리서치 / 박창윤 / 현재가 3,130원]

IT OLED 소재 전문기업으로 올해 Re-Rating을 기대한다.
  • 세계 최초 스마트폰 필름형 박막 안테나 출시
  • 복합소재 및 첨단소재 사업부의 고부가 제품 적용 화대에 따른 실적 턴어라운드
  • ICH CUBE, IT OLED 선제적 투자에 따른 규모의 경제 구축

#카카오페이

[미래에셋 / 박주연 / 매수 / 목표가 38,500원 / 현재가 31,950원]

결제 선방, 증권 흑전
  • 4Q24 연결 매출 2,182억원(+31.3% YoY)으로 컨센서스(1,927억) 상회
  • ‘증권’ 흑자 전환, ‘결제’ 우려 대비해서는 안정적
  • 가까워지는 턴어라운드. 방향성에 주목

#케이카

[삼성 / 이창희,이혜인 / BUY / 목표가 17,000원 / 현재가 13,700원]

판매 대수 성장이 중요한 시점
  • 4분기 매출액 5,284억원(YoY +6.6%), 매출총이익 558억원(YoY +12.3%)
  • ’25년 중고차 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구간으로 타사대비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시점

#트루엔

[유진투자 / 박종선 / 현재가 10,150원]

공공기관 도입 수혜 지속
  • 성수기 진입으로 역대 분기 최대 매출액 달성은 물론 높은 수익성 유지 지속
  • 1Q25 Preview: 비수기 진입 및 정국 불안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 현재 주가는 2025년 기준 PER 6.5배로, 국내 유사 업체의 평균 PER 11.6배 대비 할인되어 거래 중임

#밀리의서재

[KB / 한제윤 / 현재가 15,520원]

새로운 무기 ‘AI 서비스’의 등장과 시작되려 하는 ‘밸류업’
  • 기업개요: 도서(책) IP를 기반으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 투자포인트 1) 2025년 AI 서비스 도입으로 경쟁력 향상 2) 신규 서비스(AI) 도입은 가격 인상 요인 3) 주주 제안과 함께 밸류업 기대감 부각
  • 리스크 요인: 구독료 인상 폭, 밸류업 일정 등 디테일한 내용 예단 불가

#에스오에스랩

[신한투자 / 최승환,이병화 / 현재가 12,670원]

몸이 천냥이면 눈(Lidar)이 구백냥
  • 자율주행은 미래 먹거리, 로봇은 지금 먹거리
  • 로봇향 라이다 수주 확대 예상
  • 2026년 흑자전환 기대

#에이럭스

[신한투자 / 최승환,이병화 / 현재가 11,950원]

로봇으로 한 번, 드론으로 또 한 번
  • 펀더멘털을 갖춘 로봇, 드론 관련주
  • 로봇은 캐시카우, 수출 드론은 성장동력
  • 희소한 흑자기업, 합리적 밸류에이션

 

 

[출처:fnguide, infostock, 네이버증권 등]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