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이스트에이드
2,960원(+29.82%)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 - 상지건설
25,700원(+29.86%)
: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 - 대화제약
17,680원(+30.00%)
: 오는 6월 中 보건당국과 '리포락셀' 보험등재 첫 협의 절차 돌입 관측 소식 - 평화산업
1,950원(+30.00%)
: 김문수 테마 상승 - 포바이포
7,800원(+30.0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AI와 협력한 사실이 부각 - DSC인베스트먼트
8,410원(+29.98%)
: 창투사 테마 상승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부각 - TS인베스트먼트
1,930원(+29.97%)
: 창투사 테마 상승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부각 - 유디엠텍
881원(+29.94%)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 - 팬스타엔터프라이즈
687원(+29.87%)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AI와 방위산업 진출 협약 이력 부각 - 모코엠시스
1,887원(+29.87%)
: 정보보안 및 AI 챗봇 테마 상승 속 이재명 'AI 국가전략' 수혜 기대감 등 - 토마토시스템
7,240원(+24.83%)
: 의료AI 테마 상승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부각 - 솔트룩스
39,300원(+23.7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 넥스트아이
685원(+22.98%)
: 이준석 테마 상승 - 시지트로닉스
5,900원(+22.41%)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첨단 전력반도체 MCT 양산 성공 모멘텀 지속 - 와이즈넛
14,990원(+21.77%)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 노바텍
23,550원(+21.71%)
: 희토류 및 스마트폰 테마 상승 - 로보로보
4,280원(+20.9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 - 대양금속
1,624원(+20.12%)
: 경영권 분쟁 소송 - 엑스페릭스
3,650원(+18.51%)
: 스마트 여권 판독기 글로벌화 기대감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부각 - 알체라
1,576원(+17.79%)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 - 비아이매트릭스
13,150원(+17.4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 - 아이씨티케이
16,530원(+15.59%)
: 반도체 관련주 및 양자암호/양자컴퓨팅/정보보안 테마 상승 속 양자내성암호 보안 솔루션 3종 신규 출시 소식 - 오디텍
3,365원(+15.44%)
: 반도체·스마트폰 등 상호관세 제외, 품목별 관세 적용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오브젠
9,690원(+15.0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 - 동양철관
1,575원(+15.05%)
: 한덕수 권한대행, "하루 이틀새 알래스카 LNG 관련 韓美 화상회의 예상" 발언 등 - 칩스앤미디어
17,210원(+14.89%)
: 반도체·스마트폰 등 상호관세 제외, 품목별 관세 적용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삼보산업
3,380원(+14.77%)
: 이준석 테마 상승 - 시공테크
8,060원(+14.33%)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대선 출마론 부상 속 한덕수 관련주로 부각 - 나이벡
21,200원(+13.67%)
: NP-201 기술이전 임박에 따른 재평가 가능성 모멘텀 지속 등 - 유라클
30,350원(+13.46%)
: 이재명 '지역화폐 정책 수혜주'로 지속 부각
테마시황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언급 등에 창투사/ 지능형로봇/ AI챗봇 테마 상승.
- 중국, 희토류 수출 전면 중단 소식에 희토류 테마 상승.
- 반도체·스마트폰 등 상호관세 제외, 품목별 관세 적용 소식 등에 반도체 테마를 비롯해 아이폰, 스마트폰 등 테마가 상승.
- 최근 국내 첫 생성형 AI 의료기기 임상계획 식약처 승인 소식에 의료AI 테마 상승.
- 정부, 에너지·의료·행정분야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착수 소식.
- 삼성디스플레이, 내년 하반기 애플 폴더블폰 모델 OLED 디스플레이 전량 공급 소식.
- IMO 규제로 글로벌 선박 교체 수요 확대 전망 및 트럼프, K조선과 협력 기대감 지속.
- 삼성전자-레인보우로보틱스, 'S&R 휴머노이드 팀' 본격 가동 기대감 지속 및 글로벌 로봇 산업 성장 지속 등에 로봇 테마 상승.
- 비트코인 가격 반등 속 가상화폐, 두나무 테마 상승.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대미 협상 곧 시작, 1~2일 내 알래스카 LNG 화상회의" 소식.
- 반면,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대선 불출마 소식 등에 오세훈, 유승민 테마 하락.
창투사/ 지능형로봇/ AI챗봇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및 'AI 100조 투자 시대' 공약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는 이날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퓨리오사AI를 방문해 백준호 대표, 구본철, 이주윤 연구원 등과 약 40분간 비공개 간담회를 진행. 이 자리에서 양측은 R&D 투자 방안, 3세대 서비스 준비를 위한 인력 충원, 인프라 부분에 대한 정부 역할, 주도적인 펀드 마련, 인적 자원 해외 유출 방지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아울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는 이날 퓨리오사AI 방문에 앞서 페이스북을 통해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밝힘.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겠다"고 언급했으며,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내실있게 강화하겠다"고 밝힘. 이어 "기술자, 연구자, 투자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대통령인 위원장이 직접 살피는 명실상부한 중심 기구로 재편하겠다"고 설명. 또한,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개 이상 확보, AI 전용 신경망 처리장치(NPU)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공공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나우IB, 컴퍼니케이, SV인베스트먼트 등 창투사 테마가 상승. 와이즈넛, 솔트룩스, 유디엠텍, 로보로보, 알체라, 이스트소프트, 마음AI, 코난테크놀로지, 심플랫폼, 피아이이 등 지능형로봇/ AI챗봇 테마 등도 상승.
희토류
중국, 희토류 수출 전면 중단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맞불 관세에 이어 희토류 광물과 자석에 대한 대미 수출을 전면 중단하는 등 대응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뉴욕타임즈는 13일 중국 정부가 지난 4일부터 중국에서 전량 정제되는 중희토류 금속 6종과 90%를 중국에서 생산하는 희토류 자석의 수출을 제한했다고 보도했으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시작한 데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되고 있음.
- 뉴욕타임즈는 "새로운 시스템이 시행되면 미국 군수업체를 포함한 특정 기업에 대한 (희토류) 공급이 영구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고 강조했으며, 중국이 사실상 독점 공급해온 희토류 수출 제한에 미국 산업계가 무방비 상태에 가깝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음. 아울러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수출 제한이 단발적 조치가 아닌 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분석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노바텍, 유니온, 동국알앤에스, 유니온머티리얼 등 희토류 테마가 상승.
반도체/아이폰/스마트폰 등
반도체·스마트폰 등 상호관세 제외, 품목별 관세 적용 소식 등에 상승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로 중국에서 주로 생산되는 아이폰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 제외 대상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임.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고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힘.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도 상호관세 제외 공지에 대해 "그 제품들은 상호관세를 면제받지만, 아마 한두 달 내로 나올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티씨케이, SFA반도체, 오로스테크놀로지, 케이엔제이, 에프에스티, 와이씨켐 등 반도체 관련주 및 LG이노텍, 이녹스첨단소재, 비에이치, 인터플렉스, 삼성전기, 세경하이테크, KH바텍 등 스마트폰 부품주 테마가 상승.
의료AI
최근 국내 첫 생성형 AI 의료기기 임상계획 식약처 승인 소식에 상승
- 최근 언론에 따르면, 생성형 AI 의료기기 임상시험 계획이 처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아 국내 최초 생성형 AI 의료기기 출시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난 7일 숨빗AI의 흉부 엑스레이(CXR) 초안 판독문 작성 소프트웨어 'AI Read-CXR'의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짐. 국내에서 생성형 AI 기반 의료기기의 임상시험 계획이 승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임.
- 한편, 의료 AI기업 코어라인소프트가 중국 관계사 '수하이(Suhai)'와 AI 기반 플랫폼 확장 및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를 기점으로 양사는 AI 기술 고도화, 신제품 공동 연구개발, 임상 및 사업적 시너지 창출을 위해 전주기적 협력에 나설 방침임.
- 이 같은 소식에 토마토시스템, 온코크로스, 메디아나, 루닛, 뷰노, 딥노이드 등 의료AI 테마가 상승. 특히, 토마토시스템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퓨리오사AI 방문 소식 속 퓨리오사 투자 이력도 부각.
양자암호/컴퓨팅/ 정보보안
정부, 에너지·의료·행정분야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착수 소식에 상승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국가 암호체계의 안정적 전환 준비를 위한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힘. 양자내성암호는 기존 공개키 기반 암호(소인수분해·이산대수 등)보다 훨씬 복잡한 수학적 문제(격자 기반·해시기반 등)을 기반으로 해 양자컴퓨터로도 해독이 어려운 차세대 암호기술임.
- 이번 사업은 양자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래될 기존 암호체계에 대한 보안 위협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추진되며,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에너지, 의료, 행정분야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시작으로 주요 산업분야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는 국내 최초 시범사업임. 과기정통부와 KISA는 지난 1월부터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진행했으며, 지원한 연합체에 대해 평가한 결과 에너지 분야에 한전KDN 연합체, 의료 분야에 라온시큐어 연합체, 행정 분야에 LG유플러스 연합체를 최종 선정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아이씨티케이, 바이오로그디바이스, 라닉스, 아톤, 모코엠시스, 나노브릭, 한싹 등 양자암호/컴퓨팅/ 정보보안 테마가 상승.
OLED
삼성디스플레이, 내년 하반기 애플 폴더블폰 모델 OLED 디스플레이 전량 공급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내년 하반기에 나오는 애플의 첫 폴더블폰 모델에 장착되는 OLED 디스플레이를 전량 공급한다고 전해짐. LG디스플레이와 중국 BOE 패널은 일단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폴더블 아이폰은 2,000달러대로, 삼성전자 갤럭시 Z폴드와 비슷한 형태가 될 것으로 전해짐.
- 통상 애플은 납품 가격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주요 부품마다 두 개 이상 납품업체를 선정한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선 품질 검증에 깐깐한 애플이 폴더블 OLED 분야만큼은 삼성의 기술력이 독보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음. 납품이 시작되면 지난해 40% 수준까지 하락한 삼성의 폴더블 OLED 점유율은 70%대로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비아트론, 나인테크, 덕산네오룩스, HB솔루션, 이녹스첨단소재, 에프엔에스테크 등 OLED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IMO 규제로 글로벌 선박 교체 수요 확대 전망 및 트럼프, K조선과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현지시간으로 4월 7~11일 열린 IMO(국제해사기구)의 MEPC(해양환경보호위원회) 83차 회의에서 드디어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가격이 결정되었다고 밝힘. 아직 공식 회의결과가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보도에 따르면, 향후 총톤수(GT) 5,000톤 이상의 선박은 기준을 초과하여 배출하는 GHG에 대해 톤당 100~380달러를 부담하게 된다고 언급. 이번 조치는 25년 10월 공식 채택되어 27년부터 발효될 예정이므로, 현 시점부터 발주하는 선박은 모두 본 조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며 전반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이중연료 엔진 채택 및 노후선박 교체 수요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
- 이어 이번 조치는 특정 회사가 아닌 한국 조선업 밸류체인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 먼저 조선사의 경우 당연히 친환경 엔진을 장착한 선박 발주 증가의 수혜를 받을 수 있으며 엔진사 역시 마찬가지라고 언급. 특히, HD현대미포가 수주한 암모니아 D/F엔진 LPG운반선은 일반선 대비 약 20%의 가격 프리미엄을 받았으며 선가 상승분의 대부분은 엔진 가격 상승분으로 볼 수 있다고 밝힘. 또한, LPG/암모니아 탱크 점유율 세계 1위인 세진중공업 등 기자재 업체의 수혜도 예상된다고 언급. 이어 USTR의 중국 조선업 제재조치가 가시화되며 중국 조선사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지는 가운데, 등록된 전세계 선박 97%의 규제를 관장하는 IMO의 이번 조치는 한국 조선업 밸류체인에 중장기적으로 확실한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
- 아울러 지난 1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조선업 재건 의지를 거듭 확인하면서 재건 기간 미국과 가까운 다른 나라로부터 선박을 구매할 수 있음을 시사한 가운데, 이에 따른 수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라면서 "의회에 (선박 구매자금을) 요청해야 할 수도 있지만,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다"고 밝힘. 이에 조선 경쟁력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한국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마린엔진, 세진중공업, 한라IMS, 한화엔진, 현대힘스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정치테마
대선 불출마 소식 등에 하락
- 지난 12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해 백의종군으로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며,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음.
- 이 같은 소식에 진양화학, 진양산업, 진양폴리 등 오세훈 테마가 하락. 반면, 파인테크닉스 등 홍준표, 평화산업 등 김문수, 엑스페릭스, 태양금속, 디티앤씨알오 등 한동훈, 넥스트아이, 삼보산업 등 이준석, 안랩 등 안철수 테마는 상승.
리포트요약
#유한양행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09,700원]
2분기부터 레이저티닙 관련 수익 반영 본격화
- 2분기부터 레이저티닙 일본 및 유럽 출시 마일스톤 반영 및 판매 로열티 수익이 두드러지게 반영될 것으로 추정됨
- MARIPOSA 임상의 공식적인 최종 결과 발표
- 2025년은 신약 개발 성과가 실적으로 입증되어야 할 시점, 효율적인 투자 집행 등 경영 효율화가 요구됨
#기아
[다올투자 / 유지웅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2,000원]
1Q25 Preview: 견고한 실적 지속
- 1Q25에는 견조한 실적 기대되며, 최근 CID개최로 전동화 전략에 대한 로드맵은 한층 선명해진 상태
- 다만 글로벌 관세이슈 변동성 여지가 여전히 크고, 특히 동사가 강세를 보이는 유럽지역의 중국산 EV침투 확산여지가 높아 밸류에이션 산정을 위한 P/E 멀티플을 기존 5.2배에서 10% 할인 적용
#세아베스틸지주
[하나 / 박성봉 / =BUY / 목표가 =31,000원 / 현재가 15,710원]
1분기 그래도 개선된 영업실적 예상
- 1Q25 특수강 판매 증가로 수익성 다소 회복
- 2분기에도 수익성 개선 지속 전망
#삼양식품
[KB / 류은애 / =BUY / 목표가 ▲1,050,000원 / 현재가 903,000원]
견고한 펀더멘탈
- 1Q25 Preview: 컨센서스 소폭 하회 전망
- 여전히 미국 라면 시장에서 보여줄 게 많다
#삼양식품
[한국투자 / 강은지 / =매수 / 목표가 =1,100,000원 / 현재가 903,000원]
1Q25 Preview: 우려보단 기대를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 일단은 관세 우려를 덜고
#대한항공
[미래에셋 / 류제현,김주희 / =매수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1,000원]
장기 도약을 위한 준비 단계
- 1Q25 Review: 원화 약세, 고정비 부담으로 감익 시현
- 예상보다 안정적인 운임 추세는 긍정적
#대한항공
[메리츠 / 오정하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21,000원]
1Q25 Re: 탑라인 견조했으나 비용 확대 영향
- 별도 영업이익 3,509억원, 컨센서스 19.0% 하회
- 우려했던 국제여객과 화물 운임은 좋았다
- 환율과 신규 기재 도입 영향
#대한항공
[신영 / 엄경아 / =매수 / 목표가 =31,000원 / 현재가 21,000원]
영업이익률 8.9%에 실망을?
- 항공화물 사업량 감소와 주요비용 단가 상승으로 감익
- 항공업계 비용 증가 요인 일회성 아냐, 시장 참여자들 각오해야
- 항공주에서 대한항공만 살 만하다
#대한항공
[iM / 배세호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21,000원]
목표주가 하향하나 긍정적 시각 유지
- 1Q25 별도 영업이익 3,509억원(-19.5% YoY) 기록
- 화물 부문 불확실성으로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연결 기준 -15%)
#대한항공
[하나 / 안도현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1,000원]
1Q25 Re: 운임 상승보다 일찍 찾아온 비용 증가
- 1분기 별도 영업이익 3,509억원, 비용 증가로 컨센서스 하회
- 화물 매출도 2분기부터는 감소 전망
#대한항공
[한국투자 / 최고운,황현정 / =매수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1,000원]
오해받기 쉬운 실적
- 너무 잘하다보니 기대치가 높았던 듯
- 과점적 1위 사업자로서 전략 방향성은 좋지만, 단기 불확실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
#대한항공
[상상인 / 이서연 / =BUY / 목표가 ▼31,000원 / 현재가 21,000원]
1Q25 Review 비우호적 업황 영향
- 1Q25 별도 매출액 3조 9,559억원, 영업이익 3,509억원 기록
- 대외 변수 불확실성 확대 중, 단기 관망 필요
#SNT다이내믹스
[iM / 이상헌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31,550원]
동사 변속기 첨병 역할로 K2ME 중동수출 탄력 받을 듯
- 동사의 변속기 튀르키예 알타이전차에 이어 우리나라 K2 전차 4차 양산에 적용⇒ 현대로템의 K2 전차 향후 수주 예상 물량에 적용 가능성 높아짐
- 중동형 K2전차(K2ME)의 핵심적인 세일즈 포인트는 동사 변속기 장착으로 인한 국산 파워팩 사용 ⇒ K2ME 중동수출 보다 더 탄력을 받을 듯
#농심
[KB / 류은애 / =BUY / 목표가 =520,000원 / 현재가 387,000원]
Ready, Get Set, Go
- 1Q25 Preview: 컨센서스 소폭 하회 전망
- 2분기부터 확인될 실적 모멘텀
#빙그레
[상상인 / 김혜미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90,000원]
심심한 비수기, 2Q부터가 본게임
- 1Q25E 매출액 yoy +3.5%, 영업이익 yoy -5.0% 전망
#롯데칠성
[대신 / 정한솔 / =Buy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104,200원]
녹록치 않은 영업환경
- 국내 경기 위축과 비용 부담 확대되며 1Q25 컨센서스 하회 전망
- 고환율로 원가 부담 존재. 단기 실적 반등은 제한적일 전망
- 그러나 낮은 밸류에이션과 중장기 해외 성과 고려 시 저가 매수 유효
#롯데칠성
[한국투자 / 강은지 / =매수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104,200원]
1Q25 Preview: 업황 회복을 기다리며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할 전망
- 기대감은 해외로
#현대차
[다올투자 / 유지웅 / =BUY / 목표가 =320,000원 / 현재가 177,500원]
1Q25 Preview: 터닝포인트
- 1Q25 실적 프리뷰 및 투자전략: 관세 불확실성 반영, 실적은 호조
- 동사의 투자의견 및 적정주가는 각각 BUY와 320,000원 유지. 1Q25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 부합 예상
- 동사는 1)25% 관세 부과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 2)연간 영업이익 증익 가능성 3)원/엔 환율 반등 등 대부분의 여건이 주가 터닝포인트를 지목 중
- 관세부과는 여부와 관계없이 미국의 공급망 현지화가 이뤄지게 되며 셀러스 마켓 포지션으로 전환 중
#삼성전자
[KB / 김동원,강다현,도상우 / =BUY / 목표가 =82,000원 / 현재가 55,200원]
불확실성 해소 구간 진입
- 반도체, 스마트 폰, PC: 관세 면제
- 하반기 레거시 메모리 가시성 확대
- 서프라이즈 뉴스, 매출 85% 관세 무풍지대
#GS건설
[KB / 장문준,강민창 / =BUY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6,300원]
상반기까지는 어쩔 수 없는 주택 원가율 부담
- 1Q25 Preview: 준공물량 집중에 따른 실적 부진 예상
- 1Q25 분양: 865세대. 2분기부터 본격적인 분양 돌입
- 약한 재무구조와 높은 미착공 PF의 우려를 덜어줄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
#한올바이오파마
[DS투자 / 김민정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7,400원]
반등을 위한 Next를 찾아서
- Vyvgart PFS 허가 획득 성공, IMVT 파이프라인 가치 하향
- Medicare Part D 전환에 따른 Vyvgart PFS 침투 추이 확인 필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교보 / 안유동 / =Buy / 목표가 ▲1,000,000원 / 현재가 779,000원]
한화오션 연결, 유상증자 계획 수정 등 반영
- 유상증자 계획 수정
- 한화오션 연결 반영
#더존비즈온
[신영 / 정원석 / N 매수 / 목표가 N 85,000원 / 현재가 57,300원]
국가대표 AI 소프트웨어
- ERP 명가에서 AI 소프트웨어 국가대표로
- 제4인터넷전문은행 사업 취소, 아쉬움이 덜한 이유
#한솔케미칼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08,800원]
1Q25 실적 서프라이즈 예상
- 1Q25 반도체 점유율 상승 & 이차전지 중국 신규 고객 확보
- 2Q25 실적 QoQ, YoY 성장세 지속
#유니드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77,300원]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전 분기 대비 100% 증가
- 올해 2분기 실적도 증익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 올해 연간 물류비, 작년 대비 400~500억원 감소 전망
- 염화칼륨 가격 인상으로 판가 상승 전망
#유니드
[하나 / 윤재성,김형준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77,300원]
Narrative and Numbers
- Numbers: 1Q25 컨센 18% 상회 예상. 2Q25 추가 개선 전망
- Narrative: 트럼프2.0에서 탄소포집 기술의 활용도 증가
- 절대 저평가 국면. 트럼프의 관세 전쟁 속에서 피해 없을 듯
#삼성증권
[한국투자 / 백두산,안현빈 / =매수 / 목표가 =65,000원 / 현재가 43,700원]
1Q25 Preview: 믿을맨
- 순이익 2,411억원으로 컨센서스 부합
- 채권운용 위주로 운용손익 견조
#SK텔레콤
[유진투자 / 이찬영 / =BUY / 목표가 =65,000원 / 현재가 56,500원]
6.3%는 먹고 간다
- 컨센서스 부합 전망
- 배당수익률 6.3%, 안정적인 투자처
#SK텔레콤
[유안타 / 이승웅 / =Buy / 목표가 =71,000원 / 현재가 56,500원]
탄탄한 본업, 가까워진 AI 수익화
- 1Q25 Preview: 성장세 유지
- 가까워지는 AI 수익화
#SK텔레콤
[메리츠 / 정지수,박건영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6,500원]
2025년에도 화두는 비용 절감
- 1Q25 Preview: 시장 컨센서스 부합 전망
- 2025년 연결 영업이익 1조 9,115억원(+4.8% YoY) 전망
#SK텔레콤
[대신 / 김회재 / =Buy / 목표가 =77,000원 / 현재가 56,500원]
투자 천재 스크트
- 1Q25 Preview: 고민할 필요 없는 실적. 듬직한 형, 든든한 아우
- AI DC로 성장. 투자 성과도 우수, Anthropic 1억불 투자 후 기업가치 12배
#현대엘리베이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N BUY / 목표가 N 94,000원 / 현재가 62,800원]
내리실 분 안 계시면, 계속 올라가겠습니다
- 수익 가치 최소 3.4조원 + 비핵심 자산 1.39조원으로 평가
- 턴어라운드 초입 + 10% 배당 수익률은 하방 지지
- 대북 사업도 업사이드 요인
#시노펙스
[상상인 / 하태기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6,450원]
혈액투석 중심 유망 성장사업에 주목
- 2024년 영업실적은 정체
- 현재 주력 산업은 FPCB(연성인쇄회로기판)이다
- 미래 성장동력은 반도체 케미컬 필터와 혈액투석필터이다
- 신규 사업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 긍정적 관점에서 주가에 관심이 필요하다
#KT
[미래에셋 / 김수진 / =매수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7,350원]
1Q 일회성 비용 발생
- 이익 컨센서스 대비 하회
- 사업 효율화와 MS와의 파트너십은 안정적으로 진행 중
#KT
[유진투자 / 이찬영 / =BUY / 목표가 =62,000원 / 현재가 47,350원]
빅피쳐는 여전하다
- 컨센서스 하회 전망
- 1분기 분기배당, 2025 년 이익 성장 자신감 전달하는 신호가 될 것
#KT
[유안타 / 이승웅 / =Buy / 목표가 =58,500원 / 현재가 47,350원]
삼위일체, 이익, 주주환원 그리고 AI
- 1Q25 Preview: 부동산 분양 매출 인식 시작
- 25년 기저효과를 제거해도 고성장
#KT
[메리츠 / 정지수,박건영 / =Buy / 목표가 ▲59,500원 / 현재가 47,350원]
예고된 이익 성장
- 1Q25 Preview: 부동산 관련 일회성 이익 부각
- 2025년 연결 영업이익 2조 2,432억원(+177.1% YoY) 전망
#KT
[대신 / 김회재 / =Buy / 목표가 =67,000원 / 현재가 47,350원]
2조원대 이익 스타트
- 1Q25 Preview: 매출과 비용 모두 양호
- 주가 상승의 동력은 실적 개선과 강화되는 주주환원
#LG유플러스
[미래에셋 / 김수진 / =매수 / 목표가 =13,900원 / 현재가 10,730원]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가시화 기대
- 1Q 프리뷰: 이익 예상 상회 전망
- LG LLM 엑사원과 익시젠 필두로 한 B2B에서의 성장 기대
- 주주환원 기대감 확대
#LG유플러스
[유진투자 / 이찬영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730원]
실적과 주주환원의 질적 강화 대기 중
-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실적과 주주환원의 질적 강화 대기 중
#LG유플러스
[유안타 / 이승웅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730원]
실적 U턴 신호, 성장 ON
- 1Q25 Preview: 성장, 오랜만이네
- 3년만의 연간 이익 턴어라운드
- 4년만에 자사주 매입 기대
#LG유플러스
[메리츠 / 정지수,박건영 / =Hold / 목표가 =11,000원 / 현재가 10,730원]
오랜만에 걱정 없는 분기
- 1Q25 Preview: 시장 컨센서스 부합 전망
- 2025년 연결 영업이익 9,165억원(+6.2% YoY) 전망
#KT&G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135,000원 / 현재가 105,600원]
해외가 견인하는 기업가치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선봉장
- 1Q25 Preview: 본업 양호 vs 건기식 부진
- Valuation & Risk: 본업이 든든해야 밸류업도 가능
#NAVER
[대신 / 이지은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183,000원]
커머스 사업 재평가 필요
- 비수기, 마케팅비 증가에도 무난한 실적 전망
- 커머스 사업 재평가 필요
#카카오
[대신 / 이지은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9,000원]
하반기 카카오톡 트래픽 개선이 관건
- 1분기 컨센 하회하는 실적 전망. 본업 성장 둔화 + 컨텐츠 사업 부진 지속
- ‘25년 카카오톡에 도입 예정인 신규 서비스 개발은 계획대로 진행 중
- 신규 서비스 출시 이후 카카오톡의 트래픽 개선 확인 시 긍정적 주가 흐름 가능 판단
#JYP Ent.
[한국투자 / 안도영 / =매수 / 목표가 =86,000원 / 현재가 59,600원]
1Q25 Preview: 낮아진 가격, 멀리 보면 기회
- 1분기 OP 203억원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
- 2분기부터 확실히 좋아집니다
- 높아진 가격 매력
#엔씨소프트
[한국투자 / 정호윤,황인준 /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44,200원]
1Q25 Preview: 변곡점은 맞지만 서두르지는 말자
- 비용부담 감소로 약간의 흑자전환 전망
- 하반기부터 재개될 신작 출시는 긍정적이지만
- 성과 확인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을 추천
#나이스정보통신
[LS / 정홍식 / =Buy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17,850원]
안정적인 기업, Valuation 저평가
- 1Q25 예상 실적은 매출액 2,493억원(+6.4% yoy), 영업이익 86억원(+6.5% yoy)을 전망
- Valuation 저평가
#하나투어
[현대차 / 김현용 / =BUY / 목표가 ▼63,000원 / 현재가 48,750원]
안타깝지만 상저하고로 바라봐야 할 때
- 1분기 영업이익 12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대폭 감익 예상
- 2월부터 역성장세로 전환된 패지키 송출객수
- 2분기까지는 눈높이 하향 불가피: 5월 연휴 기대감이 공공기관 패키지 수요 위축으로 상쇄
- 상반기 여행 수요 회복 지연을 반영함에 따라 목표주가 63,000원으로 하향
#한화오션
[교보 / 안유동 / =Buy / 목표가 ▲91,000원 / 현재가 77,600원]
1Q25 Preview: 예상치 큰 폭 상회 전망
- 1Q25 Preview: 시장예상치 큰 폭 상회 전망
- 상방리스크>하방리스크
#지니뮤직
[한국IR / 백종석,김혜빈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924원]
영역을 넓혀가는 똘똘한 콘텐츠 플랫폼 전문기업
- 음악 서비스 중심의 콘텐츠 플랫폼 전문기업
- 국내/외 음악(음원) 시장은 안정적 성장 중. 유튜브뮤직 끼워팔기 논란은 변수
- 2025년 실적 회복 기대
#포스코인터내셔널
[하나 / 유재선,채운샘 / =BUY / 목표가 =66,000원 / 현재가 52,500원]
기존 사업계획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
- 1Q25 영업이익 2,575억원(YoY -3.0%) 컨센서스 부합 전망
- 북미 가스전 이슈로 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 본질에 집중할 시점
#한국항공우주
[KB / 정동익,서준모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76,600원]
완화된 밸류에이션 부담과 수주 모멘텀에 주목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할 전망이나 분기별 실적 개선세 이어질 것
- 필리핀 FA-50 시작으로 수주모멘텀 이어질 전망
#바이넥스
[iM / 이상헌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5,800원]
상업생산 본격화 되면서 수익성 개선 및 수주 확대
- 올해부터 바이오의약품 상업생산 본격화 ⇒ 지속적인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매출확대로 수익성 개선 가속화 될 듯
-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개발사와 PPQ 공급 계약 체결 ⇒ 내년 하반기부터 상업생산이 본격화 되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지속적인 수주확대 가능할 듯
- 미국 생물보안법 통과 가능성 ⇒ 동사 신규고객 확보 등 수주확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동률 상승의 기반 마련되면서 수혜 가능할 듯
#KH바텍
[메리츠 / 양승수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8,520원]
리스크는 작고, 성장성은 확실한 구간
- 1Q25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예상
- 2025년 영업이익 267억원(+22.0% YoY) 전망
#셀트리온
[DB / 이명선 / =Buy / 목표가 =250,000원 / 현재가 161,100원]
미국 관세 선제 대응에 따른 영향
- 1분기 미국 관세 준비로 실적 부진 추정
- 실적은 점차 개선 전망
#한국금융지주
[대신 / 박혜진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68,100원]
조달 수단 추가는 동사에게 무조건 유리
- 1분기 증권사 실적 전반적으로 좋은데, 동사 운용호조로 특히 더 좋음
- 3월말 발행어음 잔고 17.6조원, 마진 200bp 유지 중
- 기관경고 있으나 IMA 신청에는 영향 없을 듯, FY2025 감액배당 시행
#컴투스
[키움 / 김진구 / =Outperform / 목표가 ▼46,000원 / 현재가 38,800원]
게임 추정치 하향 조정
- 동사 목표주가 4.6만원으로 하향
- 게임별 성과 및 25E 추정치 변화
- 주주환원 정책 및 1Q25E 프리뷰
#CJ CGV
[KB / 최용현 / ▼HOLD / 목표가 ▼5,000원 / 현재가 4,455원]
국내 관객수 부진 계속
- 1Q25 Preview: 중국이 좋았음
- 4DX에서 성장 동력을 찾는 중
- 미국의 마인크래프트 돌풍이 한국에도 이어지길
#롯데렌탈
[키움 / 신윤철 / =BUY / 목표가 =34,000원 / 현재가 26,950원]
NDR 후기: 부채비율 봉인 해제
- 1Q25 Preview: 사업구조 개편의 성과를 수확하기 시작
- 산업평균 수준으로 부채비율 확대될 시 성장 가속화
#테스
[한화투자 / 김광진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18,900원]
올해 이익 추정치 상향에 따른 목표주가 상향
- 1Q25 Preview : 시장 기대치 상회 예상
- 올해 실적 추정치 상향
#네오위즈
[NH투자 / 안재민,이호승 / ▲Buy / 목표가 ▲28,500원 / 현재가 21,850원]
다시 비상할 때
- 전략 변화 기대
- 무난한 1분기 실적 추정
#SK이노베이션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매수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97,300원]
인내의 구간
- 상반기 눈높이 하향 조정에도 하반기 기대
- 1Q25 Preview: Carbon 사업 부진으로 컨센서스 하회
- Valuation & Risk: 주가 방향성은 배터리 사업이 좌우
#SNT에너지
[iM / 이상헌,장호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33,800원]
LNG 프로젝트 본격화⇒에어쿨러 수요 급증으로 동사 수혜
- 트럼프 2.0 시대 LNG 수출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 가속화 ⇒ LNG 수출 터미널 허가 승인 가시화로 LNG 인프라 관련 기자재 수요 본격화
- 중동에서 LNG 생산능력 확대 프로젝트 본격화로 관련 기자재 수요 증가
- 미국, 중동 등에서 LNG 인프라 프로젝트 등 본격화 ⇒ 에어쿨러 수요 급증으로 미국 등 커버리지 지역이 확대되면서 동사 최대 수혜
#풍산
[상상인 / 김진범 / =BUY / 목표가 =81,000원 / 현재가 54,700원]
1Q25 Preview - 각자도생의 시대, 간과할 수 없는 방산 사업
- 1Q25 Preview : 신동 판매량 선방 + Metal Gain, 방산은 전년 동기 수준
- 구리 가격의 불확실성 잔존, 다만 추가 하락 폭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
- 일촉즉발의 국제 정세, 방산 아업 가치를 되돌아 볼 필요
#위메이드
[NH투자 / 안재민,이호승 / =Hold / 목표가 ▼34,000원 / 현재가 29,800원]
조금씩 나아지고 있음
- 게임 출시 지연으로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 아직은 분기 영업적자 불가피
#한미약품
[유안타 / 하현수 / =Buy / 목표가 =360,000원 / 현재가 243,000원]
1Q25Pre: 북경 한미 회복이 필요
- 1Q25Pre: 컨센서스 하회할 전망
- 3중 작용 비만 치료제, 경쟁력 확인 기대
#한국콜마
[유안타 / 이승은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70,900원]
한국 안정, 미국 확장, 실적·주가 모멘텀 확보!
- 1Q25 Preview: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부합 전망
- 2Q25 Preview: 2분기 성수기 진입…韓·美 쌍끌이 성장 본격화
#한국콜마
[하나 / 박은정,김다혜 / =BUY / 목표가 =98,000원 / 현재가 70,900원]
국내 호조 + 북미 강세 + 중국 회복
- 1Q25 Preview: 국내 호조 + 북미 강세 + 중국 회복
- 국내 +11%, 미국 +186%, 중국 +10%
- 역대 최대 실적 지속 + 북미 모멘텀 본격화 기대
#코스맥스
[유안타 / 이승은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65,000원]
하단은 확인, 상단은 국내와 동남아가 이끈다
- 1Q25 Preview: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하회 전망
- 2Q25 Preview: 국내·동남아 견조한 성장, 미국 부진 지속
#코스맥스
[신한투자 / 박현진,주지은 / =매수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65,000원]
결국은 또 사게 될 걸
- 중장기로 미국법인 가치 상승 기대
- 1Q25 Preview: 전년 실적 베이스 부담 있으나, 견조
- Valuation & Risk: 단기도 좋으나, 중장기로 매력 높일 것
#해성디에스
[메리츠 / 양승수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3,450원]
1Q부진 지속, 하반기 반등 기대는 유효
- 1Q25 Preview: Package Substrate 부진 지속
- 2025년 영업이익 471억원(-17.1% YoY) 전망
#HK이노엔
[부국 / 유대웅 / =Buy / 목표가 =56,000원 / 현재가 35,150원]
실적 개선은 물론 미국 진출 기대감 유효
- 1Q25 Preview, 컨센서스 상회하는 호실적 전망
- K-CAB 미국 진출 타임라인
#HK이노엔
[DB / 이명선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35,150원]
이제 실적은 견고하다
- 1분기 고수익의 제품 매출 증가로 시장기대치 상회 전망
- 케이캡의 해외 성과에 주목하자
- 국내외 P-CAB 시장 성장에 투자의견 Buy 유지
#HK이노엔
[NH투자 / 한승연,박혜성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35,150원]
1Q25 Pre: 실적은 뒷받침해주는 중
- 1분기 컨센서스 상회 예상(매출 및 OP 측면 분석)
- 올해 케이캡 글로벌 성과 확인 가능
#HK이노엔
[유안타 / 하현수 / =Buy / 목표가 =58,000원 / 현재가 35,150원]
1Q25Pre: 좋은 실적으로 25년 시작
- 1Q25Pre: 컨센서스 상회하는 호실적 전망
- 해외 성과 주목해야할 25년
- 투자 의견 Buy, 목표 주가 5.8만원 유지
#알테오젠
[한국IR / 임윤진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374,500원]
빅파마가 선택한 Hybrozyme 기술
- 바이오의약품 플랫폼 기술 개발 전문 기업
- Hybrozyme 플랫폼 확장성 기반 탄탄한 글로벌 파트너십
- 2025년 기술료수익 증대 전망
#HL만도
[신한투자 / 박광래,한승훈 / =매수 / 목표가 ▼51,000원 / 현재가 34,900원]
단기 실적 부진 우려를 비중 확대 기회로
- 시장의 우려가 잠잠해지길 기다리며…
- 1Q Preview: 영업이익 791억원(+4.6% YoY)으로 컨센서스 하회 예상
- Valuation & Risk: 미국 관세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한솔제지
[흥국 / 박종렬,송지원 / =BUY / 목표가 =11,000원 / 현재가 7,980원]
시작된 실적 턴어라운드
- 1Q OP 241억원(-29.0% YoY)으로 영업실적 정상화 시작
- 잠재적인 부실 소멸로 2025년 영업실적 턴어라운드
#LS에코에너지
[BNK투자 / 김장원 / =매수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0,150원]
사업 확장과 경쟁력에 의심의 여지가 없어
- 사업 환경 호조와 수주 확대
- 고수익 제품 중심으로 사업 역량 강화
#펌텍코리아
[유안타 / 이승은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53,800원]
1Q 무난, 2Q 본게임 시작! 성장 본격화
- 1Q25 Preview: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부합할 것으로 예상
- 2Q25 Preview: 성수기 효과 나타나는 중
- 미국 관세 영향은 동사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샘씨엔에스
[유안타 /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4,470원]
1Q25 호실적 기대, 2025년 가이던스 상향 조정
- 2024년 완연한 흑자 전환
- 2025년 가이던스 상향 조정
#크래프톤
[교보 / 김동우 / =Buy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377,000원]
탄탄해지는 성장 기반
- 1Q25 Preview: 매출 &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예상
#HDC현대산업개발
[대신 / 이태환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1,500원]
놓쳐서는 안될 매수 기회
- 1Q25 Preview 고속 성장 직전 분기
- 놓쳐서는 안될 매수 기회
#효성중공업
[하나 / 유재선,채운샘 / =BUY / 목표가 =600,000원 / 현재가 436,000원]
성장성 대비 저평가 국면
- 1Q25 영업이익 968억원(YoY +72.3%) 컨센서스 부합 전망
- 북미 관세 리스크 영향은 크지 않을 것. 실적에 집중할 시점
#마이크로디지탈
[IBK투자 / 이건재 / =매수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10,010원]
NDR 후기
- 3Q25에 확인될 실적 성장세
- 생산 효율성 개선을 위해 시설 통합 진행
- 오버행 이슈 해소
#씨앤씨인터내셔널
[한국IR / 박선영,정수현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31,350원]
성장통과 함께 찾아온 밸류에이션 매력
-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포인트 메이크업 ODM 전문기업
- 고객사 확대를 위한 적극적 행보
- 성장통과 함께 찾아온 밸류에이션 매력
#에스와이스틸텍
[KB / 성현동,김선봉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5,100원]
수익성 개선 필요
- 데크플레이트 전문 기업
- 2024년 판가 하락, 임금상승 등으로 부진한 실적 기록
- 향후 체크포인트: 차음재 시장 등 신규 비즈니스 모색
- 리스크 요인: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기대감으로 주가 변동성 확대
#로킷헬스케어
[NH투자 / 심의섭,목진원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없음]
피부재생플랫폼 글로벌 상용화 성공
- 세계 최초 AI 활용 개인 맞춤형 장기재생플랫폼 개발 기업
- 올해부터 본격적인 매출 성장 구간 진입
#F&F
[대신 / 유정현 / =Buy / 목표가 =92,000원 / 현재가 59,400원]
이익 사이클 저점 통과 판단
- 1분기 내수 부진, 중국 양호
- 2025년에는 성장 한계가 보이는 내수 시장 보다 해외 확장에 무게
- 하반기 디스커버리 출점으로 해외 성장성 부각 전망
#F&F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59,400원]
1Q25 Preview: MLB 중국 여전해
- 1Q25 매출액 5,045억원(-0.5%, 이하 yoy), 영업이익 1,260억원(-3.2%) 전망
- MLB 매출액 809억원(-8.9%, 이하 yoy), MLB KIDS 208억원(+0.4%), 디스커버리 930억원(-12.8%)
- MLB 중국 2,493억원(+4.3%), MLB 홍콩 238억원(+7.0%)
- 중국 정부의 강력한 경기 부양 의지로 소비 회복 기조 보이는 중. 중국 소매 판매액 +3.0%, 의류 +4.1% 기록
#나우로보틱스
[유진투자 / 박종선 / 투자의견 없음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없음]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 기업
- 투자포인트-1: 제품 라인업 확대 및 고객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실적 성장 전망
- 투자포인트-2: 글로벌 산업자동화 선도기업 Z사와 ODM 제품 공급 기대
#동국제강
[하나 / 박성봉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8,440원]
바닥 확인!
- 1Q25 봉형강 판매는 감소, 대신 스프레드 확대로 영업이익 흑자전환 예상
- 2분기는 판매량 증가와 스프레드 확대 동시 기대
#시프트업
[현대차 / 김현용 / N BUY / 목표가 N 60,000원 / 현재가 46,200원]
착한 가격에 확실한 모멘텀!
- 1분기 영업이익 219억원으로 컨센서스 대비 16% 하회 전망
- 5월 니케 중국 사전예약자수 600만명 달하며 흥행 기대감 고조!
- 6월로 예고된 스텔라 블레이드 스팀 출시도 추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
- 매수 가능 영역에 진입: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6만원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출처:fnguide, infostock, 네이버증권 등]
'재테크 스터디노트 > 증시 및 리포트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4-18.금]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5) | 2025.04.21 |
---|---|
[25-04-17.목] 테마 및 리포트 요약 정리 (5) | 2025.04.17 |
[25-04-16.수] 테마 및 리포트 요약 정리 (5) | 2025.04.16 |
[25-04-15.화] 테마 및 리포트 요약 정리 (5) | 2025.04.15 |
[25-04-11.금] 테마 및 증권사리포트 요약정리 (1) | 2025.04.14 |
[25-04-10.목] 테마 및 리포트 요약 정리 (1) | 2025.04.14 |
[25-04-09.수] 증시테마 및 리포트 요약 (11) | 2025.04.09 |
[25-04-08.화] 테마 및 리포트 요약 (0) | 2025.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