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3.09.08) 리포트요약, 테마종목 정리

by 미니토이 2023. 9. 14.

 

#삼양식품

[한화투자증권 / 한유정 / Buy / 목표가 240,000원 / 현재가 192,200원]

물 만난 고기

  • 기대치를 상회할 3분기
  • 건전한 비용 증가는 장기 성장을 위한 선제적 투자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240,000원으로 상향 조정(+20%)

#현대제철

[현대차증권 / 박현욱 / BUY / 목표가 54,000원 / 현재가 38,550원]

현재 주가, 하방 리스크 제한적

  • 하반기 실적이 둔화되어도 P/B 0.27배로 동사 수익성 대비 역사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어 하방리스크 제한적
  • 국내 봉형강 1위업체이지만 주가는 봉형강 업황보다 중국 포함한 글로벌 철강 시황에 민감

#SGC에너지

[메리츠증권 / 문경원,윤동준 / Buy / 목표가 42,000원 / 현재가 24,950원]

부족한 관심 속에 묻힌 절호의 투자 기회

  • 3Q23에는 실적 반등. 스프레드 개선과 SMP상한제 손실보전 효과
  • 유가 상승 + 탄소 포집 설비 가동으로 밝아진 2024년 전망
  • PER 3배 저평가와 6%를 넘는 배당수익률

#삼성전자

[KB증권 / 김동원,유우형,박주영,이경아 / BUY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70,400원]

HBM 경쟁력은 첨단 패키징

  • 첨단 패키징 증설, HBM 수주 +3배 확대
  • 턴키 생산 강점, 24년 HBM 점유율 48%
  • 주가 8만원대 안착 기대, 턴키 매력적

#태경케미컬

[NH투자증권 / 강경근,황지현 / 현재가 12,100원]

증설, 진행시켜

  • 판가 상승으로 스프레드 확대
  • 증설을 통한 실적 고성장 구간 진입

#삼성전기

[대신증권 / 박강호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38,300원]

MLCC, 新수요 많다(전장, 로봇, 메타)

  • 전장향 MLCC 영역에서 점유율 증가 예상 / 신규 성장 영역은 전장향 + 로봇 + 메타로 판단

#한화솔루션

[삼성증권 / 조현렬,김영욱 / BUY / 목표가 49,000원 / 현재가 33,500원]

10월부터 펀더멘털 개선 전망

  • Analyst Day takeaways, 3Q23 부진 심화
  • View, 주가는 4Q 회복 기대감을 미반영

#S-Oil

[한국투자증권 / 최고운 / 매수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77,900원]

지금 정유는 공급자 우위 시장

  • 공급부족을 감안하면 유가와 정제마진 상승이 놀랍지 않음
  • 타이트한 공급 환경이 정제마진 강세를 뒷받침
  • 대표 수혜주인 S-Oil 목표주가를 11만원으로 상향

#신성이엔지

[대신증권 / 신석환 / 현재가 2,665원]

시작된 전방 투자에 따른 수혜

  • 반도체/2차전지 공장에 필수적인 클린룸과 드라이룸 전문 업체 + 태양광
  • 성장의 방향성은 명확, 그 시점은 23년 하반기부터 이미 시작되는 중
  • 장비사의 실적은 수주잔고가 말한다

#풀무원

[현대차증권 / 하희지 / 현재가 10,190원]

탐방 후기: 미국에서 소문난 맛도리 풀무원

  • 매출 비중(2022, 연결): 1) 식품제조유통(55%), 2) 식품서비스유통(24%), 3) 해외 식품(19%), 4) 건강케어(2%), 5) 지주(5%)
  • 미국 법인 실적 개선 속도 붙는 중. 향후, 미국 법인의 실적 기여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애경산업

[상상인증권 / 김혜미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1,500원]

조용하게 많은 것이 달라졌다

  • 아무도 모르게 일어난 변화들

#NAVER

[이베스트투자증권 / 오린아 / Buy / 목표가 275,000원 / 현재가 216,500원]

B2B AI 수익화 시동을 걸다

  • 하이퍼클로바X,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도입 예정 보도
  • 전 부문의 고도화, 수익화 시동 기대

#에스텍파마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이달미,양준호 / 현재가 6,800원]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가치상승 기대

  • 원료의약품 전문기업
  • 해외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 중
  • 수출비중 확대로 가치상승 기대

#코스맥스비티아이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박선영,서지원 / 현재가 10,850원]

화장품+건기식+제약, ODM의 모든 것

  • 코스맥스 그룹의 사업형 지주회사
  • 전 사업부문의 수익성 개선 시작
  • 지분법 이익은 보너스, 실적개선 기대감 대비 주가는 밴드 하단

#다날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김태현,서지원 / 현재가 3,670원]

휴대폰 결제 시장 점유율 1위사

  • 휴대폰 결제시장 점유율 1위 PG사
  • 투자포인트1. 수익성 개선 기대
  • 투자포인트2. 커머스 사업 부문의 꾸준한 매출 성장 기대

#아모그린텍

[대신증권 / 박장욱 / 현재가 13,740원]

차별화될 Q성장에 주목

  • 23년 매출액 전망. 1,689억원 -> 1,572억원 으로 추정치 하향
  • 전동 기관차향 ESS 고객사 일정 지연에 따라 ESS 부문 매출 하향 조정
  • 테슬라 등 생산대수 증가로 고효율 자성소재 부문의 24년도 매출 견인 전망

#코스맥스

[NH투자증권 / 정지윤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45,700원]

비수기가 뭔가요?

  • 여전히 남은 카드들 #단체 관광 #광군제 #블랙프라이데이
  • 3Q23 Preview: 하반기 스타트가 좋다

#유바이오로직스

[한국투자증권 / 오의림,김정찬 / 현재가 10,700원]

완연히 개선되는 실적

  • 콜레라 백신을 필두로 하는 백신 개발사
  • 안정적 cash cow 보유
  • 한층 더 업그레이드도 진행 중

#파마리서치

[상상인증권 / 하태기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25,200원]

리쥬란 브랜드 잠재력에 주목한다

  • 3분기에도 영업실적 고성장 지속 전망
  • 리쥬란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잠재력 충분하다

#지니언스

[IBK투자증권 / 채윤석 / 현재가 12,850원]

견고한 펀더멘탈

  • 침해 사고로 인한 추가 이슈는 제한적
  • 제로트러스트 수혜 전망

#F&F

[NH투자증권 / 정지윤 / Buy / 목표가 175,000원 / 현재가 110,700원]

성수기 진입한다

  • 남녀노소 관광객이 구매할 패션 아이템
  • 3Q23 Preview: 9월 소비 회복 강도가 관건

#라온텍

[불릿 / 리서치센터 / 현재가 8,680원]

본격적으로 시작될 XR시대의 기대주

  • 2009년에 설립되었고 2023년 스팩 흡수합병방식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
  •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IP(Intellectual Property)와 제품 디자인을 설계하고 위탁생산자를 통해 위탁생산을 진행하는 생산설비가 없는 팹리스 회사

#제이오

[이베스트투자증권 / 안회수 / 현재가 29,000원]

모든 Trend에 부합하는 소재, CNT (이베스트 Searchlight 시리즈 #7)

  • CNT, 모든 트렌드에 부합한다
  • 독점적 위치, 고객사 확대+증설은 필연
  • CAPA따라 가파른 CNT 실적 성장

#삼기이브이

[대신증권 / 전창현 / 현재가 5,300원]

NDR 후기

  • EV 배터리 부품(엔드플레이트) 양산 기업
  • 1)고객사 다변화, 2)제품 다변화, 3)미국시장 진출 추진
  • 밸류에이션 부담 일부 존재하나,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실적 성장세 확인 필요

#마이크로투나노

[이베스트투자증권 / 정홍식 / 현재가 19,380원]

Probe Card 생산 기업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을 기반으로 NAND Probe Card를 생산하는 기업
  • DRAM 영역 확대 가능성
  • 중국 시장 진출

#두산로보틱스

[흥국증권 / 최종경 / 현재가 없음]

#코스피 #두산 #로봇

  •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는 두산 그룹의 로봇 기업입니다
  • 제품 라인업, 판매 채널, 솔루션 판매 확대 전망

 

 

 

테마시황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비료/ 농업/ 요소수/ 사료 테마 상승.
  •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 메디톡스, 휴젤 , 대웅제약 등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 치료용 시장 진출을 위한 적응증 확대 소식 등에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 상승.
  • 글로벌 치매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치매 테마 상승.
  • 日 오염수 방류 인근 삼중수소 하한치 초과 검출 소식에 수산/ 육계/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 中 단체관광 재개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에 카지노 테마 상승.
  • 국제 여객 수요 호조 지속 전망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 증시 불확실성 확대 및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 등에 손해보험/ 생명보험 테마 상승.
  • 美/中 갈등 우려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 이재명 당대표, 차기 대통령 선호도 1위 소식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 이 외에 유전자 치료제/분석, 면역항암제, 치매, mRNA(메신저 리보핵산),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와 미용기기,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도시가스, 모듈러주택, 마이크로바이옴, 시멘트/레미콘, 탈모 치료, 자원개발, 홈쇼핑,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전선, 화장품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및 화웨이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 칩 포함 논란 속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장비 등 반도체 관련주 하락.
  • 중국 당국의 아이폰 등 외산폰 금지령 확대 우려 속 애플 주가 연일 하락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금지 외산폰에 갤럭시 포함 소식에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폰 테마 등도 하락.
  • 이 외에 국내 상장 중국기업, 전자파, LED장비, IT 대표주, 2차전지(전고체), 2차전지(생산), AI 챗봇(챗GPT 등), 카메라모듈/부품, OLED, 인터넷 대표주, 맥신(MXene), 웹툰, 미디어(방송/신문), 전기차(충전소/충전기),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무선충전기술, 음성인식, 렌터카,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2차전지(장비), PCB(FPCB 등), 초전도체, 비철금속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비료/ 농업/ 요소수/ 사료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자국 내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음. 중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중국 대형 비료제조업체 일부가 이달 초부터 신규 수출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으며, 이미 적어도 한 개 생산업체가 비료 수출을 줄인다는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으로 전해짐. CNAMPGC 홀딩스 의 경우 지난 주말 이 회사가 공급을 보장하고 가격을 안정적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선적을 제한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음.
  • 업계에서는 중국이 세계 최대 요소 생산국이어서 수출 중단은 세계 곳곳에서 요소와 요소수 등 관련 상품의 부족 현상이나 가격 상승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특히, 한국은 중국산 요소의 주요 수입국이자 2년 전 공급 감소에 대란으로 불릴 정도로 악영향을 받은 만큼 귀추가 주목되고 있음.
  • 다만, 정부는 중국 정부가 비료용 요소 수출을 금지했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수출 통제조치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으며, 비료용 요소의 국내 수급에도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조비 , 누보, 효성오앤비, 남해화학, KG케미칼, 인바이오, 경농, 유니온, 한일사료, 미래생명자원 등 비료/농업/요소수/사료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7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중국 등 일부 국가의 철강 과잉생산을 겨냥한 새 관세를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짐. 새 관세는 비시장적 관행으로 이득을 보는 중국발 (철강) 수입에 주로 초점이 맞춰졌으며, 중국과 함께 새 관세가 적용될 다른 국가들의 범위나 세율 등 세부사항과 관련해선 아직 협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해 미국과 EU는 향후 다른 국가들이 새 관세 체계에 동참할 수 있는 국제적 틀(프레임워크)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국내 철강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 한편,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중국 최대 철강 생산업체인 바오산강철이 올해 조강 생산량을 지난해 수준 이하로 유지하라는 정부 방침이 있었음을 재확인했다고 밝힌 가운데 연말까지 중국 철강 공급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7월까지 중국이 6.27억톤의 조강을 생산했기 때문에 2023년 연간 생산량이 2022년(10.13억톤)을 초과하지 않으려면 8월부터 12월까지 월평균 7,700만톤 수준을 상회하는 생산은 규제를 통해 막아야 하며 7,700만톤은 올해 1~7월 기간 월 평균 조강 생산량인 8,950만톤 대비 13.6% 적은 수준인 바, 연말로 갈수록 공급 감소에 따른 수급 개선세가 뚜렷해질 것으로 분석.
  • 이 같은 소식에 동국제강 , KG스틸, 동국씨엠, 한국철강, 하이스틸, 금강철강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비만치료제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덴마크 노보노디스크의 비만 치료 주사제 ‘위고비’가 전 세계 제약·바이오 업계를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심혈관을 비롯한 각종 대사 질환과 난치병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술·담배 및 마약 사용에 대한 욕구까지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짐. 또한, 지난 6일(현지시간) 美 버펄로대 연구팀은 노보노디스크의 비만 치료제 위고비와 당뇨 치료제 오젬픽의 주요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가 1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효과를 보였다고 밝힘.
  • 위고비의 인기로 비만이 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글로벌 제약사들도 속속 신약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특히 화이자는 위고비와 비슷한 효과를 보이는 알약 형태의 신약을 개발했고, 일라이릴리는 위고비보다 감량 효과가 더 큰 비만 치료제 출시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 한미약품은 향후 100년을 이어갈 미래 성장동력으로 ‘비만 치료제’를 낙점했다고 전해짐. 한미약품은 내년 초 다수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계열 차세대 비만치료제 후보물질들을 개발 트랙에 올릴 예정임. 최근 국내에서 비만을 적응증으로 임상 3상을 신청한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포함하면 최소 4개 이상의 치료제들이 차례로 임상시험에 돌입하는 것임. 에페글레나타이드(2025년 상용화 목표) 외에 가장 진도가 빠른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의 경우, 내년 초 국내 임상 1상을 신청하고 2030년까지 상용화한다는 계획임.
  • 이 같은 소식 속 인벤티지랩 , 펩트론 , 동아에스티, 한미약품, 올릭스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상승. 한편, 인벤티지랩은 위고비의 주요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경구형으로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등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 치료용 시장 진출을 위한 적응증 확대 소식 등에 상승

  • 시장 조사 기관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은 65억 달러 규모로, 이 중 53%가 치료 시장이고 나머지가 미용 시장인 것으로 전해짐. 이에 따라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등 보툴리눔 톡신 제제 개발 3사가 미용 관련 적응증을 넘어 치료용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메디톡스의 '메디톡신'은 소아 뇌성마비 환자의 첨족기형, 경부근긴장이상, 뇌졸중 후 상지 근육 경직, 눈꺼풀 경련 등의 적응증을 획득했고, 휴젤의 '보툴렉스'도 눈꺼풀 경련, 뇌졸중 후 상지 근육 경직, 소아 뇌성마비 환자의 첨족기형의 적응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대웅제약은 미국에서 '나보타'의 편두통 치료 특허를 획득했고 경부근긴장이상, 위마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등의 치료 적응증 범위를 확장해 나갈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휴젤, 대웅제약, 메디톡스를 비롯 유바이오로직스, 청담글로벌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가 상승.

치매

글로벌 치매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최근 언론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글로벌 시장이 주요 8개 지역(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 중국) 시장에서 2020년까지 22억 달러에서 2030년 137억 달러로 연 평균 20%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특히,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레켐비가 지난 7월말 항아밀로이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美 FDA의 정식 승인을 받으면서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되고 있음. FDA는 알츠하이머의 치료를 위해 7가지 약물을 승인했으며, 올해 1월1일 기준으로 141개의 알츠하이머 약물을 평가하는 187개의 임상시험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 아울러 치료 대상이 되는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수가 2032년 약 3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아리바이오, 젬백스앤카엘, 엔케이맥스 등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치매 신약 개발 경쟁도 뜨거운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대화제약 , 국전약품, 펩트론 등 치매 테마가 상승.

수산/ 육계/ 음식료업종

日 오염수 방류 인근 삼중수소 하한치 초과 검출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지난 7일 후쿠시마 제1원전 3㎞ 이내의 지역에서 지난 8월 30일 채취한 바닷물을 대상으로 삼중수소의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6곳에서 검출 하한치를 초과하는 리터당 1~1.5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된 것으로 전해짐. 이번 분석 결과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 이후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의 바닷물에 포함된 삼중수소 농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
  • 이 같은 소식 속 동원수산, 한성기업 등 수산 테마가 상승했으며, 반사이익 기대감에 체리부로, 마니커, 팜스토리, 이지홀딩스, 비피도, 샘표식품, 인산가 등 육계/음식료업종 테마도 상승.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및 화웨이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 칩 포함 논란 속 하락

  • 전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반도체 컨설팅업체 테크인사이트에 의뢰해 화웨이의 '메이트 60 프로'를 해체해 분석한 결과, 부품에 SK하이닉스의 스마트폰용 D램인 LPDDR5와 낸드플래시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짐. 화웨이가 대부분의 부품을 중국업체들로부터 공급받았고 SK하이닉스의 메모리칩은 예외적으로 사용된 해외기업 부품이라고 알려짐. 블룸버그는 화웨이가 어떻게 하이닉스로부터 반도체를 조달했는지 불분명하지만, 미국의 전면적인 무역 제재 전인 2020년까지 축적해 놓은 재고를 활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음.
  • 이와 관련, SK하이닉스는 미국의 제재 조치 이후 거래하지 않고 있고 수출 규제 조치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며, 해당 사안을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힘.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긴축 우려 지속 및 애플 급락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약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2.35(-1.98%) 하락한 3,582.11을 기록. 이는 중국이 공무원과 국영기업체 직원들에게 애플 아이폰 사용을 금지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음. 애플 주가가 3% 가까이 하락한 가운데, 아이폰에 모뎀칩 등을 납품하는 퀄컴(-7.22%)이 급락. 엔비디아(-1.74%), AMD(-2.46%), 브로드컴(-1.75%), 텍사스 인스트루먼트(-1.99%) 등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동반 하락.
  •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미래반도체, 제우스, 티에프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아이폰/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폰

중국 당국의 아이폰 등 외산폰 금지령 확대 우려 속 애플 주가 연일 하락 등에 하락

  • 최근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정부 기관 소속 공무원들에게 몇 주 전부터 아이폰을 비롯한 외국 브랜드 기기를 업무에 사용하거나 사무실에 가져오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해당 조치를 공공 기관이나 국영 기업 등으로 확대하려는 조짐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지난 6일(현지시간) 3% 넘게 하락했던 애플 주가는 전일에도 3% 가까이 하락하면서 이틀만에 시가총액이 200조원 이상 증발했음.
  • 아울러 중국 최대 통신장비기업인 화웨이가 지난달 말 출시한 신형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큰 인기를 끌며 아이폰 판매량에도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번 아이폰 금지령은 애플뿐 아니라 삼성전자와 국내 스마트폰 부품업체들에도 악재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이번 금지령은 실제 아이폰을 겨냥한 것이지만 대상은 외국산 스마트폰 전체이며, 중국의 애국 소비 흐름이 더 강화되면 중국 토종 브랜드에 밀려 입지는 더 좁아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한편,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7일(현지시간) "이 문제와 관해 중국과 가까운 시일 내에 대화할 계획이 없다"며 "아직 기사만 본 상태인 만큼, 중국에서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언급.
  • 이 같은 소식에 덕산네오룩스, LG이노텍, 프로텍, 하이비젼시스템, 앤디포스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아울러 이수페타시스, 옵트론텍, 레몬, 웰킵스하이텍, 자화전자 등 갤럭시 부품주/스마트폰 테마도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하이스틸 4,380원(+29.97%)
    :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율촌 5,910원(+29.89%)
    :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스팩소멸합병 상장 첫날 상한가
  • 금강철강 6,900원(+23.21%)
    :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샤페론 6,070원(+22.87%)
    : 치매 테마 상승 속 아토피치료제 누겔, 미국 및 국내 임상 2상 시험계획 승인에 급등
  • 조비 15,830원(+20.29%)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비료/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 대동기어 10,620원(+20.14%)
    : 농업 테마 상승 속 최대주주 대동, 포스코와 특수환경 임무 로봇 개발 MOU 체결 모멘텀 지속 및 자율주행 3단계 콤바인, 트랙터 출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KG케미칼 8,700원(+19.02%)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비료/농업/요소수 테마 상승 속 급등
  • 디아이씨 5,580원(+18.60%)
    : 로봇 관절 및 주행장치용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개발 소식에 급등
  • 씨유박스 12,100원(+17.93%)
    : 마이베네핏과 AI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사실 재부각 등에 급등
  • 지니너스(389030) 5,600원(+16.30%)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유전체 분석 '싱글셀'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지속 부각에 급등
  • 고바이오랩 11,570원(+16.16%)
    :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속 비만치료제 비임상 관련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사실 부각되며 급등
  • 스튜디오산타클로스 710원(+14.89%)
    : 최대주주 에스엘에너지, 매각 절차 재추진 소식에 급등
  • 퀀타매트릭스 6,450원(+14.36%)
    : 치매 테마 상승 속 바이오메드글로벌과 향균제 감수성 검사 솔루션 'dRAST' 동남아 지역 독점 판매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
  • 엑서지21 948원(+14.22%)
    : 자회사 엑서지솔루션스, '안티드론 시스템' 시연회 개최 소식 속 급등
  • 젠큐릭스 7,000원(+14.01%)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전립선 암 진단 사업 본격 착수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유진로봇 16,070원(+13.97%)
    : LG유플러스와 물류로봇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티피씨글로벌 3,115원(+12.45%)
    : 삼성전자 등 대기업, 로봇 산업 본격 추진 기대감 속 로봇용감속기 등 사업 영위사실 부각에 급등
  • 휴젤 123,600원(+12.26%)
    :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등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 치료용 시장 진출을 위한 적응증 확대 소식 등에 보톡스(보툴리툼톡신) 테마 상승 속 급등
  • 체시스 1,514원(+11.98%)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비료 테마 상승 속 급등
  • 동아에스티 69,800원(+11.86%)
    : 치매 및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HK이노엔과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급등
  • 티움바이오 7,940원(+11.67%)
    : 비만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레인보우로보틱스 212,000원(+11.58%)
    : 삼성웰스토리와 단체급식 로봇 자동화 솔루션 도입을 위한 MOU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세종텔레콤 668원(+11.52%)
    : 감자 결정 후 변경상장 첫날 급등
  • 에이프릴바이오 22,200원(+10.72%)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주요 파이프라인 'APB-R3', GLP-1 계열 당뇨/비만 치료제 성분 리라글루티드와 병용투여 효과 확인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유니온 6,250원(+10.62%)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요소수 테마 상승 속 급등
  • 바이오다인 71,700원(+10.48%)
    : 적극적 IR활동 추진 및 내년 본격 매출 발생 기대감 등에 급등
  • 샘표식품 31,700원(+9.69%)
    : 日 오염수 방류 인근 삼중수소 하한치 초과 검출 소식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문배철강 3,455원(+9.68%)
    : 美·EU, 중국 철강 과잉생산 겨냥한 새 관세 검토 소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 두산 116,800원(+9.67%)
    : 두산로보틱스, 코스피 상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아이센스 38,700원(+9.63%)
    : 연속혈당측정기 '케어센스에어' 출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청담글로벌 7,890원(+9.28%)
    :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등 국내 보툴리눔 톡신 3사, 치료용 시장 진출을 위한 적응증 확대 소식 등에 보톡스(보툴리툼톡신) 테마 상승 속 급등
  • 에이블씨엔씨 9,200원(+9.13%)
    : 프리미엄 브랜드 초공진, 안티에이징 ‘오일·수면크림’ 출시 속 급등
  • 애경산업 23,450원(+9.07%)
    : 올해 가파른 실적 회복세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 남해화학 8,080원(+9.04%)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에 비료/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 투자속보 | - 팍스넷 증권포털

이전 주 2023.09.08 금 달력보기 오늘 다음 주 내용보기 간략보기

www.paxnet.co.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