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3.09.11 MON) 리포트요약, 테마종목 정리

by 미니토이 2023. 9. 14.

 

 

#유한양행

[삼성증권 / 서근희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73,000원]

쌓여가는 임상 데이터에서 오는 확신

  • 타그리소 내성 치료제로 새로운 치료 옵션 제공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9만원으로 상향 조정

#대원강업

[삼성증권 / 임은영,강희진 / 현재가 5,660원]

하이브리드부터 전기차까지

  • 실적 Turnaround 및 성장세 진입
  • 투자포인트 1. 구동모터 코어 수주
  • 투자포인트 2. 매출처 다변화
  • 재무구조 점검: 1Q23말 기준 부채비율 68.1%, 순차입금 비율 21.8%

#삼성화재

[DB금융투자 / 이병건 / Buy / 목표가 360,000원 / 현재가 259,000원]

그득히 채워진 곳간

  • 신계약 마진율의 대폭적인 개선
  • 주주환원 증가의 가시성이 가장 높은 보험주

#CJ

[DS투자증권 / 김수현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3,400원]

결국 중국 인바운드 최대 수혜는 CJ올리브영

  • 외국인 인바운드 등 CJ올리브영의 폭발적 성장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
  • CJ올리브영 IPO 외에도 CJ & CJ올리브영 합병 검토 가능
  • CJ의 최소 적정 가치는 3.5조원 이상 (1주당 130,000원)

#현대해상

[DB금융투자 / 이병건 / Buy / 목표가 42,000원 / 현재가 31,950원]

낮은 수익성 감안해도 현주가 수준에서는 매력적

  • 경쟁사 대비 낮은 수익성을 감안해도, 현주가 수준에서는 충분한 매력
  • 2Q23 신계약 수익성 하락은 연계할인 마케팅의 효과 때문

#아세아제지

[유화증권 / 홍종모 / N Buy / 목표가 N 45,000원 / 현재가 37,550원]

저 평가 구간, ESG로 밸류에이션 확대 기대

  • 폐지가격 하락, 실적 사이클 기대
  • ESG 경영체계 본격화,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

#쌍용C&E

[한화투자증권 / 송유림 / Buy / 목표가 6,800원 / 현재가 5,570원]

배당주로서의 접근 유효

  • 하반기 실적 기대감 유효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6,800원으로 하향

#SNT다이내믹스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현재가 10,920원]

실적과 성장성의 레벨업 다이내믹하게

  • 방산제품, 상용차용 부품, 금속가공용 공작기계 등 운수장비 및 기계사업 영위
  • 방산제품 관련 수주규모 급증 ⇒ 성장성 및 실적개선 가속화로 저평가 탈피할 듯

#POSCO홀딩스

[KB증권 / 정혜정 / BUY / 목표가 670,000원 / 현재가 583,000원]

미래가 현실이 되어가는 전환점

  • 목표주가 670,000원으로 상향조정, 투자의견 Buy 유지
  • 3Q23 잠정 영업이익 1.3조원 (+46.0% YoY): 아직은 부진한 철강 시황
  • 중장기 성장을 주도할 신사업 (이차전지소재, 수소 등)은 점점 현실화되고 있는 중

#DB손해보험

[DB금융투자 / 이병건 / Buy / 목표가 111,000원 / 현재가 84,800원]

높은 수익성을 안정적으로 유지

  • IFRS17을 통해 확인된 체력

#GS건설

[유안타증권 / 김기룡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4,400원]

Risk 요인 재점검 - 매수 전략으로 대응

  • 인천 사고 여파, Risk 요인 현실화 과정 진행 중
  • 영업정지 처분 사례 분석, 관련 여파는 우려 대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 존속 여부의 불확실성 가능성을 배제한다면 매수 전략으로 대응

#삼성전기

[이베스트투자증권 / 김광수,차용호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39,200원]

전장 MLCC의 확실한 방향성

  • 3Q23E 단기 실적 기대감 낮춰야
  • 전장 MLCC의 확실한 방향성
  • 단기 실적 기대감 낮추고 사업 고도화에 주목하자

[상상인증권 / 정민규 / BUY / 목표가 182,000원 / 현재가 139,200원]

3Q23 Preview: 한 걸음씩

  •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 원재료 내재화 효과와 AI 및 서버 수혜 기대

[키움증권 / 김지산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39,200원]

전장용 MLCC에서 확인한 희망

  • 전장용 MLCC 약진, 내년부터 조단위 매출 규모
  • 고용량, 고압 제품 강점, 파워트레인 입지 강화

#한샘

[한화투자증권 / 송유림 / Buy / 목표가 68,000원 / 현재가 56,800원]

비정상의 정상화

  • 실적 회복세에 관심 기울일 필요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68,000원으로 상향

#한올바이오파마

[DS투자증권 / 김민정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24,300원]

‘23년 9월, 기업이 섹시해지는 바로 그 순간

  • IMVT-1402는 기업가치의 핵심
  • 2023년 9월, IMVT-1402 Phase 1 결과 발표
  • 임상 성공 시 적정 기업가치는 약 2조 2,606억원 전망

#LG이노텍

[키움증권 / 김지산 / 현재가 244,500원]

중국 아이폰 금지령 우려 과도

  • 중국 아이폰 금지령 우려 과도하게 반영, 아이폰 15 사이클 기대 유효
  • 4분기 역대 최고 실적 전망 유지

#기업은행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920원]

이익증가, 높은 기말 배당수익률

  • 꾸준한 이익증가
  • 안정적이고 높은 배당수익률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4,000원

#KT

[하나증권 / 김홍식,고연수 / Neutral / 목표가 33,000원 / 현재가 32,350원]

AGAIN 2014

  • 투자의견 중립/목표가 33,000원으로 하향, 2.5만원까지 내려갈 수 있다
  • CEO/CFO 사실상 배당 정책 및 경영 정책 변화 선언, 단기 악재로 평가
  • 2014년과 비슷한 상황, 주주 변화 나타나면서 단기 주가 하락 위험 커질 듯

#한글과컴퓨터

[상상인증권 / 이소중,이준호 / 현재가 14,620원]

AI 결합해 신규 이용자 유입 기대

  • 해외에서 부가가치 창출 기대
  • 대화형 AI 결합해 신규 이용자 유입 기대

#삼성생명

[DB금융투자 / 이병건 / Buy / 목표가 93,000원 / 현재가 68,400원]

양호한 수익성 확인, 그러나 자본정책이 키포인트

  • 주주환원에 대한 분명한 정책이 나오면, 목표주가 상향 가능성 있음
  • 수익성은 최고 수준. 다만 ROE가 낮다는 점은 여전한 부담

#JYP Ent.

[교보증권 / 박성국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07,700원]

시장의 두 가지 우려

  • 신규IP 성장성에 대한 우려
  • 마진 정체에 대한 우려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0원 유지

#주성엔지니어링

[BNK투자증권 / 이민희 / N 매수 / 목표가 N 34,000원 / 현재가 27,250원]

반도체 포트폴리오에 주성은 필수

  • ALD 장비 수요 증가 수혜
  • 3Q23 실적은 기대치 미달하나 4Q23부터 본격 실적 호전 전망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34,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폴라리스오피스

[상상인증권 / 최승호,이준호 / 현재가 5,640원]

AI 어벤져스 탑재완료!

  • MAU 기준 전세계 1위의 오피스 기업
  • 네이버, GTP, 스테이블 AI가 하나에 결합
  • AI 테마와 함께 주가 변동성은 극심, AI 서비스 결제전환율 체크필요

#에스엠

[교보증권 / 박성국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32,800원]

에스엠도 미국간다

  • 에스엠도 미국 간다
  • 연결 자회사 정리도 순항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80,000원 유지

#포스코인터내셔널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80,000원]

LNG Upstream 및 해상풍력 성장성 가속화

  • 천연가스Upstream 기업으로 도약하면서 밸류에이션이 리레이팅 될 듯
  • 해상풍력 성장성 가시화 될 듯

#코나아이

[신한투자증권 / 최태용,이병화 / N 매수 / 목표가 N 26,000원 / 현재가 17,000원]

One Engine, Multi-Use

  • ‘One Engine, Multi-Use’를 활용한 글로벌 Player
  • 플랫폼 매출 턴어라운드와 DID의 성장 주도
  • 목표주가 26,000원, 투자의견 ‘매수’로 커버리지 개시

#신한지주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47,000원 / 현재가 35,750원]

안정적 실적, 주주친화정책 지속

  • 안정적 실적 유지
  • 높아지는 총 주주환원율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7,000원

#에스피지

[흥국증권 / 최종경 / BUY / 목표가 48,150원 / 현재가 41,850원]

유성감속기도 결국 에스피지

  • 2Q23 Review: 매출액 -15%, 영업이익 -23% YoY
  • 동사의 주식은 '23년 +143%의 주가상승률(YTD)을 기록함
  • '23년 증시 전반적인 로봇주의 주가 상승세가 뚜렷

#현대리바트

[한화투자증권 / 송유림 / 현재가 7,890원]

B2B 호조와 B2C 개선의 조화

  • B2B 호조와 B2C 개선의 조화
  • 목표주가 미제시

#하나금융지주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56,000원 / 현재가 40,150원]

이익체력 강화, 높아진 ROE

  • 악조건에도 상반기 최대 순이익
  • 은행의 좋은실적, 증권이 변수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56,000원

#MDS테크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백종석,김정은 / 현재가 2,105원]

전통의 임베디드 솔루션 강자

  • 임베디드 시스템 관련 S/W 기업
  • 글로벌 임베디드 S/W, IoT,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꾸준한 성장 전망
  • 2023년 실적은 전년 수준 전망. 향후 자회사와 엔비디아 사업, 모빌진의 성장 여부 주목

#한화생명

[DB금융투자 / 이병건 / Buy / 목표가 3,610원 / 현재가 2,500원]

높은 성장이 키포인트. 배당 증가는 단계적으로

  • 회사의 강한 의지, 그러나 배당 증가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 모집조직 증대 노력에 주목. 그러나 CSM 경험조정 추가적 점검 필요

#SK오션플랜트

[이베스트투자증권 / 이주영 / 현재가 20,450원]

탐방노트: 독보적 하부구조물 메이커

  • 추가적인 업사이드를 기대해볼 만한 시점

#KB금융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4,100원]

균형잡힌 사업구조, 든든한 실적

  • 사상 최고순이익 가시화
  • NIM, 자산건전성 양호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0,000원

[하나증권 / 최정욱,김현수 / BUY / 목표가 68,000원 / 현재가 54,100원]

NIM 상승 추세 지속. 지배구조 불확실성도 해소

  • 우려와 달리 3분기에도 NIM 상승 추세 지속 예상. 독보적인 마진 관리 능력 시현
  • 3분기 추정 순이익 약 1.4조원으로 경쟁은행들과 수익성 차별화 현상 이어질 전망
  • 경영 승계는 지배구조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계기. 주주환원 강화 정책도 지속될 듯

#LX하우시스

[한화투자증권 / 송유림 / 현재가 47,600원]

견조한 실적 흐름 기대

  • 견조한 실적 흐름 기대
  • 목표주가 미제시

#와이지엔터테인먼트

[교보증권 / 박성국 / Buy / 목표가 102,000원 / 현재가 76,500원]

온콘이 생각보다 좋을지도

  • 7년만의 신인 걸그룹 데뷔가 눈앞
  • 온콘이 생각보다 좋을지도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02,000원 유지

#코리아에프티

[IBK투자증권 / 이상현 / 현재가 3,135원]

LCA 도입시 HEV/PHEV 부품 수혜 기대

  • 캐니스터, 필러넥, 의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부품업체
  • LCA 방식의 규제 도입시 캐니스터 부품 확대 전망
  • 양호한 실적 대비 낮은 PER

#BNK금융지주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8,500원 / 현재가 6,850원]

실적개선 기대, 주주환원은 강화

  • 비은행 자회사 실적회복이 중요
  • 주주환원 강화 중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500원

#DGB금융지주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9,500원 / 현재가 7,550원]

높은 이익증가율과 주주친화정책

  • 23년 높은 이익증가율
  • 이익증가와 주주친화정책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원

#JB금융지주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12,500원 / 현재가 10,100원]

지방은행주 중 최선호

  • 꾸준한 실적
  • 자본비율 상승과 주주환원 강화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500원

#더블유게임즈

[교보증권 / 김동우 / N Buy / 목표가 N 65,000원 / 현재가 40,950원]

두터운 이익 위에서 이루어지는 영역 확장

  • 2H23 및 2024년 실적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5,000원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HK이노엔

[부국증권 / 유대웅 / N Buy / 목표가 N 51,000원 / 현재가 37,850원]

K-CAB 중심 수익성 개선 본격화

  • K-CAB 재계약에 따른 Co-Promotion 수수료 개선 예정
  • K-CAB 글로벌 진출 순항 중

#베노티앤알

[리딩투자증권 / 유성만 / 현재가 5,070원]

웨어러블 로봇(Wearable Robot)의 글로벌 끝판왕 등장!!!

  • 캐나다 로봇회사 ‘HMR(Human in Motion Robotics)’를 통한 새로운 성장
  • XoMotion 은 가장 진보된 외골격 웨어러블 로봇
  • HMR 을 통한 글로벌 수익모델 확장

#인카금융서비스

[BNK투자증권 / 김인 / N 매수 / 목표가 N 20,000원 / 현재가 13,980원]

금융업종 내 최고의 성장성 및 수익성 보유

  • 2023년 상반기 지배주주순이익 +39%YoY인 135억원 실현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20,000원으로 신규 제시

#클래시스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현재가 39,100원]

복합시술 수요 대응 함께 이루다

  • 이루다 제품 등을 통하여 동사는 다양한 고객 니즈 및 지역별 수요 등을 충족시킬 수 있음 ⇒ 향후 복합시술 수요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해외매출 및 소모품 증가 등이 전체 매출 상승을 이끌 듯 ⇒ 소모품 매출 증가로 인한 수익성 개선 선순환 효과가 지속될 듯

#드림씨아이에스

[하나증권 / 최재호,박희철 / 현재가 17,300원]

임상 성공 여부 예측 ‘의료AI’ 시장 진출 전망

  •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부여가 타당한 글로벌 대응 의료AI, CRO 기업
  • A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임상 성공 예측 솔루션 개발 준비 중
  • 국내에서 독보적인 글로벌 CRO 기업으로 거듭날 전망

#에이플러스에셋

[SK증권 / 설용진 / 현재가 4,100원]

[NDR후기] 올라갈 일만 남았다

  • 절판 효과 바탕으로 7~8월 누적 신계약 실적 약 40% YoY 증가. 8월 이후로도 오더메이드 상품 등 중심 신계약 성장 추진
  • 4월 기점으로 과거 이연된 수입이 선지급 수수료를 초과. 향후 안정적인 영업이익 개선세 기대 가능
  • 2023년 예상 보험판매수익 약 2,995억원(30% YoY) 전망. 영업이익도 전반적인 개선 추세 나타날 전망

#넷마블

[다올투자증권 / 김하정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2,500원]

의외의 흥행의 연속

  • 신작 흥행 성과 반영하여 기업가치 점검
  • 시장의 기대가 거의 없었던 신작 '세븐나이츠 키우기'가 흥행하고 6~7월 출시작의 성과 반영됨에 따라 3Q23과 4Q23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 상회할 전망
  • 연이은 신작 흥행은 차기작에 대한 기대로도 이어질 수 있음
  • 적정주가 7만원(SOTP 적용)으로 상향하고 게임 업종 차선호주로 매수 추천

#지니언스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이새롬,이나연 / 현재가 13,000원]

제로 트러스트시대 돋보일 NAC, EDR 독보적 1위 업체

  • 독보적인 국내 1위 NAC, EDR 업체
  • 신규 성장동력 GenianEDR 고성장세 지속
  • 2023F 매출액 440억원(+14% YoY), 영업이익 77억원(+11% YoY)

#팸텍

[메리츠증권 / 양승수 / 현재가 4,265원]

시작될 Handling 장비의 확장

  • 2023년 영업이익 192억원(OPM: 18.1%) 전망
  • Handling 장비의 확장성에 주목

#이노시뮬레이션

[한국투자증권 / 윤철환,이도희 / 현재가 16,460원]

시뮬 한 번 돌려보면 답 나옵니다

  • 시뮬레이터 및 XR 솔루션 전문 기업
  • 자율주행 시대에 필수적인 ‘버추얼 테스팅’ 기술 보유
  • 흑자 전환 시도

#슈어소프트테크

[한국투자증권 / 윤철환,이도희 / 현재가 7,840원]

혼돈의 카오스

  • 소프트웨어 시험검증 전문 기업
  • 모비젠 인수 효과는
  • 현대차 지분 매각이 미칠 영향은

#SK바이오사이언스

[한국투자증권 / 위해주 /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72,900원]

어차피 솔루션은 백신이다

  • 전세계 백신 접근성을 높이는 글로컬라이제이션
  • 하반기 실적 개선으로 2023년 흑자 유지 가능
  • 폐렴구균백신 스카이팩 내년 1분기 임상 3상 진행 전망

#딥노이드

[상상인증권 / 이소중,이준호 / 현재가 30,650원]

한 분야만 봐도 정말 큰 시장

  • 뇌혈관질환 AI 솔루션 시장 생각보다 크다
  • AI 산업 솔루션 사업 영역 무한정

#우리금융지주

[키움증권 / 김은갑,김재철 / BUY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12,000원]

비은행 강화가 변수

  • 회복될 여지가 많은 실적
  • 완전 자회사화, 주주친화정책 강화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6,000원

#하이브

[교보증권 / 박성국 / Buy / 목표가 315,000원 / 현재가 245,500원]

프리미엄의 근거는 미국

  • 프리미엄의 근거는 미국
  • 펀더멘탈은 강화 중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15,000원 유지

#지아이이노베이션

[한국투자증권 / 위해주 / 매수 / 목표가 N 43,000원 / 현재가 27,000원]

실력 있는 바이오텍은 말을 아낀다, 임상 결과로 보여줄 뿐이다

  • 졸레어를 넘어 듀피젠트에 도전하는 알러지 치료제 GI-301
  • 면역항암제 GI-101 임상 중간 결과도 우수

#에이프릴바이오

[대신증권 / 한송협 / 현재가 22,200원]

높아지는 파이프라인 가치, 현재는 바겐세일 구간

  • 조 단위의 바이오텍으로 진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
  • 임상 단계 진전에 따른 파이프라인 가치 본격화 기대
  • 부담스럽지 않은 시총 + 향후 3년간 자금조달 니즈 없음 = 높은 투자 매력도

#메쎄이상

[KB증권 / 김현겸 / 현재가 3,155원]

사업 다각화와 해외 (인디아) 진출의 콜라보

  • 1H23 매출액 219.8억원 (+45.5% YoY), 영업이익 54.3억원 (+65.5% YoY, OPM 24.7%)
  • 본격적인 외형 확장에 주목
  • 정부 지자체의 MICE 산업 육성에 따른 중장기 성장성 부각
  • 인디아 진출로 사업역량 강화
  • 리스크 요인: 글로벌 신종 전염병 발생

#스마트레이더시스템

[한국투자증권 / 윤철환,이도희 / 현재가 22,650원]

나는 이번 상승 다르게 본다, 4D로 본다

  • 4D 이미징 레이더 센서 전문 기업
  • 자율주행 사업화를 목전에 두다
  • 원전기술이 있으니 확장성도 높다

#한싹

[유진투자증권 / 박종선 / 현재가 없음]

망간자료전송 등 IT보안 선도 기업

  • 클라우드 보안 시장 확대 속에 안정적인 실적 성장 전망
  • 홈네트워크 및 AI 보안 등 지속적인 사업 다각화로 성장 지속 전망

#두산로보틱스

[이베스트투자증권 / 조은애 / 현재가 없음]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의 국가대표

  • 저중량에서 고중량까지 로봇팔 제품라인업 확대로 높은 시장지위 유지
  • 기존 사업 고성장에 신사업을 붙이면서 외형 및 이익 성장 지속 예상

[유진투자증권 / 양승윤 / 현재가 없음]

위대한 출사표

  • 두산로보틱스가 코스피 시장에 10월 상장 예정
  • 동사는 글로벌 협동 로봇 시장 M/S 4%를 차지하는 국내 최대 협동 로봇 기업
  • 협동 로봇 분야는 연 20% 이상의 성장이 기대되는 로봇 분야.

[메리츠증권 / 배기연,오정하 / N Buy / 목표가 N 29,000원 / 현재가 없음]

관상가 양반, 내가 왕이 될 상(장)인가(요약)

  • 9월 11일부터 기관 수요 예측 실시 → 공모가격에 대해 진단할 시점
  • 두산로보틱스는 세계 4위의 협동로봇 업체
  • 미래 몸값 1.9조원의 협동로봇 선두주자의 화려한 데뷔를 예상

[DB금융투자 / 서재호 / 현재가 없음]

국내1위 협동로봇 제조사

  • 국내1위 협동로봇 제조사
  • 다양한 제품 라인업으로 수익 확대 기대
  • M&A와 기술 고도화를 통한 사업모델 다각화

#미투젠

[교보증권 / 김동우 / 현재가 11,270원]

미디어 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 예상

  • 균형잡힌 게임 포트폴리오와 차별화된 마케팅 역량 보유
  • 고스트스튜디오 인수를 통한 미디어 산업 진출

 

 

 

테마시황

  • 두산 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등도 상승.
  • 메타, 초거대 AI '라마3' 개발 기대감 및 삼성, MS와 사내 생성형 AI 개발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 尹 대통령, 대규모 우크라이나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 발표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 상반기 자동차보험 흑자기조 지속 및 손해율 선방 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비만치료제 및 유전자치료제 시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 신조선가 상승세 지속 및 카타르 LNG 운반선 2차 발주 기대감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 기대감 등에 화장품/ 면세점 테마 상승.
  • 尹, 인도 총리와 방산·공급망 협력 확대 논의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B2C 건자재 업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 이 외 공작기계, 야놀자(Yanolja), U-Healthcare(원격진료), 강관업체,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고령화 사회(노인복지), 미용기기, 3D 프린터, 웹툰, 항공기부품,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애플페이, 백화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전력설비, 게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리튬 가격 급락세 및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등에 2차전지, 리튬, 전기차 등 테마 하락.
  • 日 오염수 방류 1차 종료 속 육계, 수산, 음식료업종 등 테마 하락.
  • 초전도체 진위 논란 지속 속 초전도체 테마 하락.
  • 中 정부, 비료업체에 요소 수출 중단 지시 소식 등에 부각됐던 비료, 농업, 요소수 등 테마 하락.
  • KT가 배당 및 경영 정책 변화 속 단기 주가 하락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통신 테마 하락.
  • 이 외 터치패널, LED장비, MLCC,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렌터카, DMZ 평화공원, OLED, 전기자전거, 태풍 및 장마, 반도체 재료/부품, 도시가스, PCB(FPCB 등), 페라이트, 그래핀, 여름, 日 수출 규제(국산화), LPG, 맥신(MXene)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평가받고 있는 두산로보틱스가 공모절차를 밟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두산로보틱스의 IPO가 흥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두산로보틱스는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9월 21일부터 22일 이틀간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 청약을 실시할 예정. 희망 공모 가격은 2만1,000~2만6,000원, 예상 시가총액은 1조3,600억∼1조6,850억 원으로 추정.
  • 한편, 메리츠증권은 두산로보틱스에 대해 중국을 제외한 세계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5.4%이며 4위 수준이라고 언급. 연간 영업이익의 흑자전환 시기는 2025년으로 예상되고 흑자전환 후 2026년 예상 EPS는 427원으로 급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이 같은 소식에 두산로보틱스 최대주주인 두산을 비롯해 에스피시스템스, 티피씨글로벌, 스맥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尹 대통령, 대규모 우크라이나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 발표 소식에 상승

  • 윤석열 대통령은 인도 방문 마지막날인 지난 10일(현지시간) 20국(G20) 정상회의에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내년에 3억 달러를 지원하고 2025년 이후 20억달러(약 2조7,000억원)를 추가로 지원하는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을 발표했음. 윤 대통령은 “지난 7월 키이우를 방문해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면서 “앞으로도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안보, 인도, 재건 분야를 망라한 포괄적 지원 프로그램을 이행해나갈 것”이라고 밝힘.
  • 이어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지원과 관련해 “내년에는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무상 개발 협력, 국제금융기구를 통한 지원 등 3억 달러를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고 20억 달러 이상의 중장기 지원 패키지를 마련하여 우크라이나의 재건을 적극 돕겠다”고 언급.
  • 이 같은 소식 속 에스와이, 서연탑메탈,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삼부토건, 혜인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 한편, 에스와이는 아랍에미리트(UAE) 로얄패밀리오피스(UAE 로얄오피스)의 공장 전격 방문 소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메타, 초거대 AI '라마3' 개발 기대감 및 삼성, MS와 사내 생성형 AI 개발 소식 등에 상승

  • 10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메타플랫폼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를 따라잡기 위해 새로운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메타는 현재 대규모언어모델(LLM)인 '라마' 기술을 개발해 AI 업계에서 주도권을 쥐려 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오픈AI가 지난 3월 공개한 최신 AI 모델 GPT-4 수준의 강력한 AI 시스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아울러 메타가 GPT-4보다 강력하고 정교한 챗봇을 만들기 위해 AI 칩을 확보하고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메타는 AI 학습용 엔비디아 H100 칩의 구매를 늘리고 있으며, 이번에는 챗봇 학습에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클라우드 플랫폼에 의존할 필요가 없도록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고, 오는 2024년 초 새로운 대규모 언어 모델 학습을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사내 생성형 AI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는 MS의 '애저 오픈AI 서비스(Azure OpenAI Service)'를 활용해 기업내에서 사용할 업무 보조용 AI 챗봇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MS 관계자는 "현재 삼성전자는 애저 상에 있는 API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며, "어떤 모델을 사용할지 PoC를 하고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이스트소프트, 폴라리스오피스, 바이브컴퍼니, 크라우드웍스 등 AI 챗봇(챗GPT 등)/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손해보험

상반기 자동차보험 흑자기조 지속 및 손해율 선방 등에 상승

  • 금융감독원이 금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상반기 자동차 보험손익은 5,559억원 흑자로 집계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약 11.2%(706억원) 감소한 것이지만, 상반기 기준 2021년 4,137억원, 2022년 6,265억원 등 흑자 기조는 3년 연속 유지된 것임. 특히, 보험손익에 준비금 기준으로 추정한 투자손익까지 포함할 경우 자동차보험 손익은 7,805억원 흑자로 나타났음.
  • 상반기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은 78.0%로 지난해 같은 기간 77.1% 대비 0.9%포인트 상승했음. 엔데믹 이후 이동량 증가 영향으로 손해율이 상승했지만, 코로나 이전 대비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는 것임. 한편, 손해율이란 가입자들이 보험사에 낸 보험료에서 보험사가 지급한 보험금 비중으로, 80% 안팎이 적정한 것으로 보고 있음.
  • 이와 관련 금감원은 "상반기 자동차보험 손익은 사고율 증가에 따른 지급보험금 증가와 보험 료 인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며, "지난해 코로나 폭증에 따라 손해율이 평년에 비해 특히 낮았던 점 등을 감안하면 상반기 실적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음.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지난 9일(현지시간)부터 싱가포르에서 세계폐암학회가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첫 국산 블록버스터 항암신약 기대주로 꼽히는 유한양행 '렉라자'에 영향을 끼칠 만한 발표가 나왔음.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는 3세대 폐암 표적항암제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에 항암화학요법을 함께 써 치료했더니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을 약 9개월 연장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음. 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해당 병용요법은 국소 진행성(3B~3C기) 또는 전이성(4기)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변이(EGFR)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타그리소 단독 치료 대비 무진행생존기간(PFS)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했음. 한편, 얀센은 자체 개발한 EGFR 표적항암제 '리브리반트'와 유한양행에서 도입한 '렉라자'를 병용해 타그리소 단독요법과 직접 비교하는 임상 '마리포사(MARIPOSA)' 연구를 진행 중으로 이 결과는 오는 10월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발표될 예정임.
  • 아울러 언론에 따르면, HK이노엔과 동아에스티가 손잡고 차세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개발에 나서는 등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기술 연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유전자치료제 시장이 2027년 23조 규모로 확대될 것이란 소식도 전해짐.
  • 최근 의료 AI 산업이 부각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바이오업계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을 통해 혁신 연구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는 가운데, 루닛은 유방암 검 진 과정에서 AI가 의료진을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지난 8일 국제학술지 '랜싯 디지털 헬스'에 실렸다고 밝힘. 이외에도 인텔 랩(Intel Labs)은 국제 의료 및 연구 기관이 악성 뇌종양을 식별하도록 돕는 분산 머신러닝(ML) 인공지능(AI) 방식의 연합 학습을 활용한 공동 연구를 지난해 완료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도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암 정복에 나서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유한양행, 한올바이오파마, CMG제약, 압타머사이언스, 알테오젠, 종근당, 퀀타매트릭스, 레고켐바이오, 랩지노믹스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신조선가 상승세 지속 및 카타르 LNG 운반선 2차 발주 기대감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조선사의 수익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인 신조선가(새로 건조하는 선박의 가격) 지수가 31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조선업계가 본격적인 실적 상승기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이는 지난 3년간 수주 러시로 각국 조선소의 건조 슬롯이 꽉 차고 가격 프리미엄까지 높아진 영향으로, 향후 카타르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차 등 굵직한 발주 프로젝트들도 작년대비 높은 가격으로 수주가 기대되고 있음.
  •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신조선가 지수는 174.05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27일 이후 31주째 상승세를 이어갔음. 아울러 카타르발 LNG선 2차 물량은 약 40척으로 업계에서는 선가당 2억3,500만~2억4,000만달러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이는 지난해 국내 조선 3사에 발주됐던 1차 물량이 1척당 평균 2억1,500만달러에 발주됐던 것과 비교해 3,000만달러 가량 높은 금액임.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한화오션, 오리엔탈정공, 케이프, 성광벤드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화장품/ 면세점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이날 채널A 방송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의 5박7일 순방 결과에 대해 소개하며 "중국이 우리와의 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의사가 아주 분명하다"고 언급했으며,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에 대해서도 "외교적으로 풀어 방한을 성사시켜보겠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짐.
  • 조 실장은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의 회담과 관련해 "한·중간의 회담은 분위기가 좋았고 한·중 관계의 발전, 나아가 한일중 정상회의를 한번 해보자는 의기투합도 있었다"고 답했으며, "한·일·중 정상회의가 먼저있을 가능성이 크고 시 주석 방한은 올해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기대하셔도 괜찮을 것 같다"고 덧붙인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시진핑 中 국가주석의 방한 기대감이 커졌으며, 마녀공장, 한국화장품, 코리아나 등 화장품,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HDC 등 면세점 등 일부 중국 소비 관련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尹, 인도 총리와 방산·공급망 협력 확대 논의 소식 등에 상승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인도 뉴델리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한-인도 정상회담을 가졌음. 양 정상은 양국 간 방산협력의 상징인 K-9 자주포(인도명 ‘바지라’) 2차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고, 국방?방산 분야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음.
  • 한화 방산계열사들은 폴란드 MSPO 2023 참가를 계기로 향후 유럽 사업 확대를 위한 기반을 구축했다고 밝힘. 특히, 전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언론을 통해 5일(현지시각) 폴란드 키엘체에서 열린 국제 방위산업전시회에서 폴란드 군용 자동차 및 장갑기술연구소와 '유무인 군용 무인차량' 관련 상호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자체 개발한 무인차량 기술로 폴란드 육군 현대화 사업에 본격 참여할 예정.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같은 날 폴란드 국영 방산업체 PGZ와 폴란드형 천무인 '호마르-K' 제조 협력에 관한 MOU도 체결.
  • 한편, 정상화 공군참모총장은 11일부터 오는 17일까지 미국과 캐나다를 공식 방문해 방위산업 수출 지원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는 소식도 전해짐. 정 총장은 찰스 브라운 미 공군참모총장과 웨인 에어 캐나다 국방참모총장 등 북미 주요 인사들을 만나 군사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할 예정.
  • 이 같은 소식 속 SNT다이내믹스, 에스코넥, 쎄트렉아이,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특히, SNT다이내믹스는 향후 성장성 및 실적 개선 가속화 기대감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

리모델링/인테리어

B2C 건자재 업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한화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주요 B2C 건자재 업체들의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모두 상회했다며, LX하우시스는 실적 서프라이즈를, 한샘과 현대리바트 는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원재료 가격 안정과 주택 거래시장 회복 등이 공통적으로 작용됐다고 분석.
  • 아울러 향후 1~2년 간 건설지표 악화 여파로 B2B 부문은 Q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B2C 부문은 주택 매매거래량 회복에 따라 실적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B2C 부문의 탑라인 회복과 함께 B2B/B2C 매출 믹스 변화에 따른 이익률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벽산, 희림, 하츠, 현대리바트 등 일부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가 상승.

2차전지 등

리튬 가격 급락세 및 글로벌 전기차 보조금 축소 영향 등에 하락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리튬 현물 가격 급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힘. 탄산리튬 현물가격은 2.7만달러/톤으로 전년비 60% 이상 하락했으며, 선물 가격도 내년 1월물 기준 첫 거래일(7/21) 개장 가격이 238,900위안에서 지난 금요일 176,500위안으로 급락했다고 언급. 또한, 중국 내 공급과잉에 비해 수요 증가 폭이 낮은 상태여서, 리튬 가격은 당분간 약세 국면 반전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 아울러 독일의 보조금 삭감에 이어 미국 전기차 시장의 40% 차지하는 캘리포니아도 주정부 보조금을 대폭 축소키로 했다며, 전기차 구매 시 대당 최대 7,500달러의 추가 보조금을 받았으나, 예산 부족으로 수령 요건을 대폭 강화했다고 설명. 이에 리튬 가격 하락으로 인한 전기차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보조금 축소로 전기차 판매가 예상 대비 증가를 보이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
  • 글로벌 대부분의 전기차/배터리 관련 업체들의 주가가 2021~2022년 피크 기록 후 조정중에 있다며, 한국 배터리 양극재 업체들의 주가 급등 현상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감안해도 펀더멘탈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밝힘.
  • 최근 발표된 2차전지 관련 지표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2차전지 수출은 3월까지만 전년동월대비 증가했고, 4월부터 8월까지는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4월 4.4%였던 전년동월대비 수출 감소율은 6월 17.0%, 8월 21.3% 등으로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전체 수출에서 2차전지가 차지하는 비중도 연초 1.7%에서 8월 1.4%로 줄어든 것으로 전해짐.
  • 한편, 전일 외신에 따르면, 중국 5위 배터리업체 고션 하이테크가 美 일리노이주 만테노에 20억달러(약 2조6400억원)를 투자해서 40기가와트시(GWh)의 배터리 셀과 10GWh의 배터리 팩을 생산할 수 있는 배터리 공장을 내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 이에 금일 천보, 솔브레인, 나노신소재, 에코프로, 엔켐,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 리튬/ 전기차 등 테마가 하락. 특히, 2차전지 대장주인 에코프로는 4% 넘게 하락해 종가 기준 지난 7월27일 이후 약 한 달 반만에 100만원선이 붕괴됐음.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드림씨아이에스 22,450원(+29.77%)
    : 임상 성공 여부 예측 '의료AI'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상한가
  • 에스피시스템스 19,630원(+30.00%)
    : 두산 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두산 149,100원(+27.65%)
    : 자회사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급등
  • 율촌 7,500원(+26.90%)
    : 스팩소멸합병 상장 이틀째 급등
  • 노을 12,780원(+26.04%)
    : 한동훈 법무부 장관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 차바이오텍 22,350원(+24.65%)
    :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이노시뮬레이션 20,100원(+22.11%)
    : 올해 영업이익 흑자 전환 전망 등에 급등
  • 디아이씨 6,640원(+19.00%)
    :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이스트소프트 19,620원(+18.77%)
    : 메타, 초거대 AI '라마3' 개발 기대감 및 삼성, MS와 사내 생성형 AI 개발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알테오젠 51,900원(+18.09%)
    :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세보엠이씨 9,920원(+17.67%)
    : 고배당 매력 부각 및 주주환원 정책 기대감에 급등
  • 액토즈소프트 8,360원(+17.09%)
    : 전기아이피(위메이드로부터 분할하여 신설된 법인), 동사 대상 820억원 규모 채권가압류 소송 취하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스맥 6,170원(+15.76%)
    :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에코바이오 6,240원(+15.5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바이오가스 전환 기술 개발 성공 소식에 급등
  • 마녀공장 33,550원(+14.70%)
    :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국화장품 10,950원(+13.12%)
    : 시진핑 中 국가주석 방한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씨엔알리서치 1,472원(+12.97%)
    : CRO 임상 성공률 높이는 '메디데이터 AI 솔루션' 아시아 최초 도입 사실 부각에 급등
  • SNT다이내믹스 12,310원(+12.73%)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향후 성장성 및 실적 개선 가속화 전망 등에 급등
  • 박셀바이오 44,250원(+12.60%)
    :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티피씨글로벌 3,475원(+11.56%)
    :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바이오스마트 4,060원(+11.54%)
    : 제약/바이오 관련주 및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CJ CGV 7,780원(+11.46%)
    : 유상증자 일반공모 청약 흥행 기대감에 급등
  • 한올바이오파마 27,050원(+11.32%)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IMVT-1402, 임상 1상 발표 기대감 등에 급등
  • 퀀타매트릭스 7,160원(+11.01%)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바이오메드글로벌과 향균제 감수성 검사 솔루션 'dRAST' 동남아 지역 독점 판매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넵튠 13,170원(+10.67%)
    : ‘이터널 리턴 1.0’ 스팀 동시 접속자 3만 돌파 소식에 급등
  • 현대오토에버 240,000원(+10.34%)
    : 현대차그룹 인프라 변화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 CMG제약 2,750원(+10.22%)
    :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에쓰씨엔지니어링 2,085원(+9.68%)
    :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셀론텍, 리젠씰 치료효과 입증 소식에 급등
  • 오파스넷 16,860원(+9.62%)
    : 한동훈 법무부 장관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 펩트론 43,550원(+9.56%)
    : 세계 폐암 학회 기대감 및 의료 AI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메디톡스 306,000원(+9.48%)
    : 보툴리눔 톡신 제재 '뉴럭스' 국내 품목허가 획득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유한양행 79,900원(+9.45%)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타그리소 내성 환자 대상 lazertinib 신약 가치 상향 조정 분석 등에 급등
  • 오리콤 14,920원(+9.30%)
    : 두산로보틱스 기업공개(IPO) 기대감 등에 두산 그룹주 상승 속 급등
  • HD현대건설기계 77,500원(+9.15%)
    : 尹 대통령, 대규모 우크라이나 공적 개발 원조(ODA) 프로그램 발표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 투자속보 | - 팍스넷 증권포털

이전 주 2023.09.11 월 달력보기 오늘 다음 주 내용보기 간략보기

www.paxnet.co.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