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3.09.04 MON) 리포트 요약 및 테마종목 정리

by 미니토이 2023. 9. 6.

 

 

#기아

[DB금융투자 / 김평모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79,700원]

4Q23 EV 변곡점

  • 3Q23, 실적 개선 지속
  • 4Q23, EV4&5 출시
  • 절대적인 저평가

#동아쏘시오홀딩스

[상상인증권 / 하태기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97,400원]

하반기 자회사 변화에 주목해 보자

  • 영업실적 개선, 에스티젠바이오는 하반기에 큰 변화의 출발점에 선다
  • 동아제약 매출성장 영업이익 증가폭이 크다
  • 에스티젠바이오 2023년 하반기부터 변화가 많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삼화콘덴서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Buy / 목표가 54,000원 / 현재가 40,550원]

전장용 MLCC 및 DCLC 매출이 성장의 원동력

  • 3분기 가동률은 2분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됨 ⇒ 3분기 실적의 경우 2분기 대비 실적 개선폭이 크지 않을 듯
  • MLCC 제품 내에서 전장용 MLCC 매출비중 확대로 향후 성장의 원동력 될 듯
  • 올해 주요 거래처 차종확대로 DCLC 매출 대폭 증가할 듯 ⇒ 해를 거듭할수록 DCLC 매출 증가하면서 성장성 가시화 될 듯

#한진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21,350원]

택배부문 수익성 개선 하반기 본격화 될 듯

  • 올해 2분기부터 본격화된 택배가격 인상효과가 하반기에도 지속되면서 실적 턴어라운드를 이끌 듯
  • 올해 2분기부터 본격화된 택배부문 수익성 개선이 하반기까지 이어지면서 주가 반등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듯

#현대제철

[SK증권 / 이규익 / N 매수 / 목표가 N 50,000원 / 현재가 38,000원]

철강 가격 상승기 주가 상승세 가장 강할 것

  • 고로와 전기로를 모두 보유한 국내 2 위 철강사
  • 9 월 가격 인상 이후 실적 개선 기대

#신세계

[키움증권 / 박상준,신대현 / BUY / 목표가 330,000원 / 현재가 204,500원]

저평가 받을 이유 없다

  • 백화점/면세점 업황 반등 구간 진입
  • 밸류에이션 상승에 따른 업사이드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30,000원

#현대차

[DB금융투자 / 김평모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7,400원]

EV 브랜드 전략 변화 필요

  • 3Q23, 컨센서스 하회 전망
  • EV 브랜드 전략 고민 필요
  • 피크아웃 감안해도 매력적인 배당 수익률

#POSCO홀딩스

[SK증권 / 이규익 / N 매수 / 목표가 N 700,000원 / 현재가 560,000원]

단단한 철강과 임박한 신사업 성과

  • 본격화되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성과
  • 철강은 견조, 비철강은 성장

#에스엘

[DB금융투자 / 김평모 / Buy / 목표가 51,000원 / 현재가 34,200원]

수익성과 성장 모두 전동화에 비례

  • 3Q23도 좋다
  • 2H23 EV 신차 출시 통한 Mix 개선 지속
  • 절대적인 저평가 영역

#삼성전자

[KB증권 / 김동원,유우형,박주영,이경아 / BUY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71,000원]

HBM 프리미엄 구간 진입

  • 4분기 HBM3 공급 시작 전망
  • 유일한 HBM 턴키 생산, 점유율 확대 강점
  • 할인서 할증으로, HBM 프리미엄 부여 필요

#LS

[BNK투자증권 / 김장원 / N 매수 / 목표가 N 140,000원 / 현재가 101,300원]

우호적인 사업환경과 투자심리 개선

  • 2분기 계열사 실적 개선
  • 수익 개선과 성장 여력이 큰 사업구조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40,000원

#벽산

[DS투자증권 / 안주원 / N BUY / 목표가 N 5,700원 / 현재가 3,635원]

실적 개선 시작

  • 건자재 전문기업
  • 무기단열재 수요 급증, 실적은 이미 좋아지는 중

#NI스틸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이원재,손현정 / 현재가 6,220원]

강건재, 강재리스, 시공 등 전부문 동반 성장 국면

  • 국내 강건재 및 강재 리스시장 선도업체
  • 강건재/강재리스/시공 등 전사업부문에서 동반 성장세 지속
  • 주가는 PER 2.9배로 성장성 및 수익성대비 절대 저평가 국면

#호텔신라

[키움증권 / 박상준,신대현 / BUY / 목표가 122,000원 / 현재가 88,200원]

고진감래 (苦盡甘來)

  • 해외 여행 수요 회복의 최대 수혜주
  • 中 인바운드 증가 기대감 점증 예상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22,000원

#삼성전기

[NH투자증권 / 이규하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39,200원]

자율주행 및 AI 수혜로 중장기 성장성 확보

  • 최근 주가 하락은 중장기 성장성 고려시 매수 기회
  • 전장용 MLCC 라인업 확대 및 자율주행 수혜
  • 기판에서는 AI 수혜로 고객사 다변화 기대

#현대미포조선

[교보증권 / 안유동 / Buy / 목표가 127,000원 / 현재가 88,400원]

주가 상승 요건 충족

  • 올해 조선주 주가 급등에서 소외받은 현대미포조선
  • 주가 상승 요인 충족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127,000원으로 상향 조정

#현대모비스

[DB금융투자 / 김평모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232,500원]

전동화 수익성에 대한 확인 필요

  • 3Q23, 컨센서스 상회 전망
  • 하반기 전동화 부문 수익성이 관건
  • 실적 개선&주주환원정책 확대

#성광벤드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현재가 15,300원]

수주 및 실적 증가로 밸류 레벨업

  • LNG 프로젝트, 해양플랜트 등으로 인하여 올해 하반기 신규수주 크게 증가할 듯
  • 제품믹스 변화 효과로 인한 가격상승 등으로 매출 증가 되면서 레버리지 효과 본격화로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 이어질 듯 ⇒ 밸류에이션 레벨업

#한솔케미칼

[키움증권 / 박유악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66,400원]

삼성전자 파운드리 GAA 양산 수혜

  • 메모리 반도체 업황 저점 통과 예상
  • 삼성전자 GAAFET 공정, 과산화수소 사용량 급증 예상
  • 주가 rock bottom 근접.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

#풀무원

[한화투자증권 / 한유정 / 현재가 10,930원]

1,000억원 규모의 CB 발행

  • 1,000억원 규모의 CB 발행
  • 이익 체력 검증 과정 필요

#태광

[하이투자증권 / 이상헌 / 현재가 19,850원]

수주와 실적이 밸류 레벨업 시킬 듯

  • 중동 및 미국 지역 등에서의 LNG 프로젝트 등 에너지 인프라 관련 투자 등이 동사 수주 및 매출 상승을 주도하고 있음
  • 제품가격 상승 등 매출 증가로 레버리지 효과 본격화 되면서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 이어질 듯 ⇒ 밸류에이션 레벨업

#NICE평가정보

[대신증권 / 박혜진 / 현재가 9,970원]

결국엔 데이터 승부

  • 개인 신용정보(Credit Bureau, CB) 점유율 1위 기업
  • 투자포인트: 1) 안정적인 본업, 2) 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
  • 2Q23 실적 Review: 영업이익 187억원(QoQ +27.7%, YoY -13.3%) 기록

#LG디스플레이

[KB증권 / 김동원,유우형,박주영,이경아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3,510원]

삼성 OLED 공급 확대 전망

  • 내년 삼성 OLED 주문량 10배 증가
  • 24년 대형 OLED 가동률 94% 예상
  • 대형 OLED 흑전, PC 패널가격 반등 실적 촉매

#SK

[SK증권 / 최관순 / 매수 / 목표가 265,000원 / 현재가 149,300원]

시가총액 11조원인 기업에 지분매각차익 1조원이 발생한다면?

  • 언론보도에 따르면 SK는 중국의 동박업체 왓슨 지분매각 검토중으로 알려짐
  • SK의 투자원금은 2,814억원으로 현재 1조원 초중반의 매각대금 거론
  • 이번 딜 성사 시 SK는 1조원 규모의 매각차익 발생
  • SK의 현 시가총액 고려 시 매각차익 규모는 주가 상승을 견인할만한 수준
  • NAV 상승분 대비 현저하게 부진했던 SK 주가의 반등 계기가 될 전망

#NAVER

[상상인증권 / 최승호 / N BUY / 목표가 N 300,000원 / 현재가 214,500원]

글로벌 체급으로 성장

  • 글로벌 체급에 따라가는 유일한 국내 플랫폼
  • 비용은 감내 가능한 수정으로 추정, AI 개발은 필수불가결

#카카오

[현대차증권 / 김현용,윤서영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48,950원]

지나고 보면 항상 이 때가 기회

  • 카카오엔터 (+) 픽코마로 25 조원 이상 기업가치 목표
  • 뮤직: 부동의 2 위 K-POP 기획사에 1 위 플랫폼 멜론이 더해지다
  • 웹툰: 일본시장 캐쉬카우 기반으로 해외시장 효율적 마케팅 전개
  • 엔터사업 외 TALK, AI, MEDICAL 까지 하반기 다수 모멘텀 보유

[상상인증권 / 최승호 / N BUY / 목표가 N 68,000원 / 현재가 48,950원]

가성비 있게 체급 키운다

  • 본업은 개편, 기술은 혁신적, 컨텐츠는 글로벌로
  • 포탈 플랫폼의 AI 사업계획으로는 아쉽지만, Vertical 수준에서는 차고 넘침

#에스엠

[현대차증권 / 김현용,윤서영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32,200원]

나홀로 RISE, 가치를 REALIZE

  • 3 분기에도 사상 최대 매출액 & 영업이익 경신하며, 상저하고 이익패턴 차별화 부각
  • 보이, 걸, 그리고 신인까지 모두 갖춘 에스엠: 하반기 메이저 기획사 중 가장 가파른 성장률 예고
  • 카카오와의 협업도 가속화: 1)유통, 2)플랫폼, 그리고 3)미국
  • RIIZE 데뷔로 5 세대 보이그룹 시장 선점 가능성 높아져

#라온시큐어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백종석,김정은 / 현재가 2,705원]

디지털 인증 대중화를 준비한다

  • 모바일 보안, 디지털 인증 전문기업
  • 모바일 보안, 생체인식, 디지털 인증 시장은 견조한 성장 전망
  • 2023년은 전년 대비 실적 부진 전망. 향후 신사업, 디지털 인증 사업 성장, 고객 다변화 여부 주목

#한미반도체

[하나증권 / 변운지,김록호 / BUY / 목표가 71,000원 / 현재가 58,500원]

어디까지 올라가는 거예요?

  • 9/1 단일판매 공급계약 체결 공시. SK하이닉스향 416억 원
  • TCB + LAB + MSVP(SiC, Glass기판) 끝나지 않은 모멘텀
  • 목표주가 71,000원으로 상향 조정

#토비스

[부국증권 / 엄태웅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9,250원]

주요사업 이익개선 본격화

  • 카지노+전장 디스플레이 모듈사업의 성장세 지속
  • 연말까지 신규 전장라인 Full 가동과 함께 이익개선 본격화
  • 2023년 매출액 4,649억원(yoy +42%), 영업이익 343억원(yoy +390%) 전망

[DS투자증권 / 조대형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9,250원]

체질 개선의 효과가 실적에 반영되는 중

  • 지속될 역대급 실적 랠리

#코나아이

[리딩투자증권 / 유성만 / 현재가 16,890원]

디지털인증(DID)과 플랫폼 사업의 성장

  • 디지털 ID 사업부의 글로벌 확장
  • 종합 플랫폼 사업자로 변신
  • 실적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 전망

#아프리카TV

[상상인증권 / 최승호 / N BUY / 목표가 N 110,000원 / 현재가 82,200원]

별이 쏟아진다

  • 하반기부터는 광고는 턴어라운드 + 별풍선 매출은 역대급 지속
  • 글로벌 진출을 위해 플랫폼도 혁신된다

#현대백화점

[키움증권 / 박상준,신대현 / BUY / 목표가 88,000원 / 현재가 68,100원]

FIT 확대 수혜주

  • 백화점/면세점 업황 반등 구간 진입
  • FIT 확대에 따른 플러스 효과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88,000원

#대한제강

[SK증권 / 이규익 / N 매수 / 목표가 N 16,000원 / 현재가 13,100원]

밸류에이션 매력은 있으나 업황 부진이 아쉽다

  • 국내 3 위 철근 업체
  • 비수기 영향으로 3 분기 감익 불가피

#유니테스트

[상상인증권 / 이소중 / 현재가 14,250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핵심

  • 후공정 반도체 검사장비 전문업체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핵심

#롯데렌탈

[상상인증권 / 최승호 / BUY / 목표가 42,000원 / 현재가 27,700원]

1등 플랫폼과 인프라가 더 해진다면

  • 중고차 렌탈사업 본격화
  • 확인된 비전과 신사업, 현실적이고 수익성도 좋아 기대된다. 쏘카 딜도 긍정적

#상아프론테크

[상상인증권 / 이소중 / 현재가 24,050원]

중요한건 꺾이지 않는 수소차의 개화

  • 고분자 전해질막 소재(엠브레인) 제조 기업
  • 기다리면 봄은 온다

#디와이피엔에프

[하나증권 / 김두현,박희철 / 현재가 22,700원]

폭발적인 신규 수주를 기반으로 건재한 성장 여력 확인

  • 8월 신규 수주 금액 1,100억원을 돌파하며 올해 수주 목표 3,000억원 달성 유력
  • 하반기 기대되는 대형 수주 및 2차전지 설비 사업 확장을 통한 추가 성장 기대
  • 신규 수주 매출과 지연된 발틱 프로젝트 매출 인식을 통해 턴어라운드는 확정적

#한국철강

[SK증권 / 이규익 / N 매수 / 목표가 N 8,500원 / 현재가 6,040원]

어려운 철근 시황, 현금 활용 방안을 기대

  • 현금 부자 철근 업체
  • 3 분기 실적은 비수기 영향으로 감소할 것

#GKL

[KB증권 / 이선화,류은애 / 현재가 16,270원]

8월 잠정실적 comment

  • 8월 드롭액 2,933억원, 방문객 66,431명, 매출액 334억원
  • 사업장별 드롭액: 서울 강남 1,559억원, 서울 드래곤시티 958억원, 부산 롯데 417억원
  • 사업장별 매출액: 서울 강남 147억원, 서울 드래곤시티 143억원, 부산 롯데 44억원
  • 국적별 방문객: 중국 32,708명, 일본 17,176명, 기타 (로컬) 16,547명
  • 일본과 기타 고객이 받쳐주는 가운데 중국 회복이 시작되면서 전 사업장에서 드롭액이 고르게 성장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DB금융투자 / 김평모 / Buy / 목표가 49,000원 / 현재가 39,850원]

투입 원가 하락기에 RE도 반등

  • 3Q23도 밝은 전망
  • 2H23 우려들 점차 해소 전망
  • PQC 모두 좋은 구간

#인텔리안테크

[DS투자증권 / 김수현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84,300원]

첨단 우주와 방산 부문으로의 확장

  • A사 이원화 테스트 과정에서 동사 경쟁력 압도적 우위 확인
  • 방산 부문에서의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들의 수요 증가 중
  • 스타링크의 포식자적 성장에 따른 시장 반발로 원웹도 수혜를 입는 중

#글로벌텍스프리

[DS투자증권 / 김수현 / BUY / 목표가 9,300원 / 현재가 6,720원]

조정 시 매수 추천

  • 중국인 단체 관광객 재개와 관련 가장 직접적인 수혜
  • 보수적으로 24F 텍스 리펀드 사업 매출 876억원, 영업이익 263억원

#파마리서치

[DS투자증권 / 안주원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32,900원]

아직 끝나지 않은 성장

  • 상반기 역대급 실적 달성, 하반기에도 이어갈 흐름
  • 외국인 관광객들이 찾는 K-뷰티, 내수매출 비중 높은 업체 수혜

#올릭스

[아이브이리서치 / 리서치센터 / 현재가 17,900원]

70 조원 비만, 30 조원 NASH 시장 동시 타겟

  • 변화하는 비만치료제 시장, 그 흐름을 같이하는 OLX702A
  • NASH 치료제 OLX702A, 30 조원 규모 시장을 타겟
  • 성기능 관련 부작용 없는 남성형 탈모치료제

#클리오

[하나증권 / 박은정,김다혜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1,650원]

중국인 수요는 시작도 안했다

  • 하반기 성장세 강화 전망
  • 중국인 수요는 시작도 안했다

#네오셈

[상상인증권 / 이소중 / 현재가 4,625원]

2024년에도 성장세 지속

  • SSD 검사장비 글로벌 점유율 1위
  • 2024년에도 성장세 지속

#엔에프씨

[DS투자증권 / 조대형 / 현재가 8,580원]

하반기에도 기대되는 양호한 수주 흐름

  • 화장품 소재와 완제품 ODM 모두에 강점을 가진 기업
  • 업황 정상화에 따른 수주 정상화

#씨에스베어링

[DS투자증권 / 안주원 / BUY / 목표가 21,000원 / 현재가 12,570원]

몰려오는 수요, 모든 것이 순항 중

  • 고객사들로부터 몰려오는 러브콜

#세아제강

[SK증권 / 이규익 / N 매수 / 목표가 N 180,000원 / 현재가 139,800원]

석유 다음은 LNG와 해상풍력

  • 국내 1 위 강관 제조 업체
  • 연간 영업이익 2,000 억원은 꾸준히 가능할 전망

#현대오토에버

[DS투자증권 / 김수현 / BUY / 목표가 210,000원 / 현재가 189,900원]

오너와 한배를 타자

  • 이익 창출 능력 레벨업
  • 중장기적으로 자율주행 도입을 위한 네비게이션 탑재율 증가 수혜
  • 구조적으로 기업 가치 제고에 힘쓸 수밖에 없는 상황

#퓨런티어

[DS투자증권 / 조대형 / 현재가 31,050원]

신규 수주가 기대되는 하반기

  • 제품 라인업 확대와 고객사 추가로 기대되는 성장
  • 지분 확보를 통한 자율주행 내 밸류체인 확대

#코난테크놀로지

[상상인증권 / 최승호 / 현재가 73,400원]

생성형 AI 등장

  • 오래된 업력, 검증된 기술력
  • LLM 향 수익은 긴 호흡으로

#쏘카

[상상인증권 / 최승호 / 현재가 15,800원]

더 강한 플랫폼에 올라타기

  • 구조적 흑자 진입, 네이버와의 협업으로 카쉐어링 점유율 더 확대할 것
  • 플랫폼 성격은 강화되고 있음

#동국제강

[SK증권 / 이규익 / N 매수 / 목표가 N 16,000원 / 현재가 9,770원]

PER 1.31배, 점차 제자리 찾아갈 것

  • 레벨업 된 수익성과 이를 온전히 향유할 수 있는 환경
  • 3 분기 실적 부진하겠지만 연간 영업이익 5,000 억원은 가능할 전망

 

 

 

테마시황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 국제유가 연중 최고치 기록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테마 상승.
  • 중국 철강 업황 개선으로 철강 업종 주가 강세 기대감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 글로벌 주요 기업 생성형 AI 서비스 확대 기대감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 LNG 및 해양 플랜트 수주확대에 따른 피팅업체 수익성 레벨업 기대감 등에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상승.
  • 국내은행 2분기 건전성 지표 개선 소식에 은행 테마 소폭 상승.
  • LG전자, 美 메타(META)와 손잡고 MR(혼합현실) 헤드셋 개발 착수 소식 속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버스 테마 상승.
  • 美 대마 합법화 가능성 제기 등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선업 제2전성기 기대, 인력 양성·R&D 총력 지원" 소식 등에 조선 테마 상승.
  • 이 외에 농업, 타이어, 종합상사, 3D 프린터, 홈쇼핑, 페인트, 탄소나노튜브(CNT), 백화점, 게임/모바일게임, 보톡스, 리튬, 아이폰, 건강기능식품, 공작기계, 2차전지, 풍력에너지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낸드 공급 과잉 지속, 하반기 수요 회복 비관적 전망 등에 일부 반도체 테마 하락. 삼성전자 (+0.28%)는 금일 장 초반 2% 넘게 상승하기도 했으나 강보합 마감.
  • 中 유커, 밥솥 대거 구매 소식 등에 최근 부각됐던 밥솥 테마 하락. 이 외에 카지노, 면세점, 여행, 화장품, 국내 상장 중국 기업 등 中 소비 관련 테마 하락.
  • 美 금리 인상 등에 따른 배당 기대감 하락 영향 지속, 부동산 PF 우려 지속 부각 등에 리츠(REITs) 테마 하락.
  • 이 외에 미용기기, 양자암호, 통신장비, 맥신, 육계, 렌터카, 애플페이, 스마트폰, 카메라모듈/부품, 핵융합에너지, U-Healthcare(원격진료), 교육/온라인 교육, 초전도체, 페라이트, 마이크로바이옴,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최근 증권가에서 하반기 첨단로봇 산업 전략1.0 정책 등 정부 정책 지원 기대감, 두산 로보틱스 IPO 등의 이벤트로 로봇 산업이 주목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한화 ·두산 등 국내 대기업이 로봇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음.
  •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최근 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삼성전자는 'AI 휴머노이드 로봇'이 개발되 면 반도체 생산 공정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직접 인간형 로봇 개발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짐. 한화그룹도 다음 달 협동로봇 기업 한화로보틱스를 설립한다며, 한화로보틱스는 산업용 위주였던 협동로봇 이용 범위를 푸드 테크(식품 기술)·전기차 충전 등 서비스용으로 확대하려는 것으로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에스비비테크 , 뉴로메카, 스맥, 로보스타, 에스피지, 티로보틱스, 해성티피씨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가 상승.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국제유가 연중 최고치 기록 등에 상승

  • 지난 주말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OPEC+ 자발적 감산 연장 기대감 지속 등에 전거래일보다 1.92달러(+2.30%) 상승한 85.55달러에 거래 마감.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음.
  • 언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8월에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 수출을 줄이고, 4분기에도 감산을 연장할 것으로 전해짐. 트로이 빈센트 DTN 수석 시장 애널리스트는 "시장은 2024년을 향하면서 재고가 점차 부족해질 것이라는 전망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S-Oil , GS, SK이노베이션,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 대한유화,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코오롱인더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중국 철강 업황 개선으로 철강 업종 주가 강세 기대감 등에 상승

  •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 철강 업황 개선으로 철강 업종 주가 강세가 전망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7월 말 중국의 대형 철강 업체에 감산 명령이 내려진 이후 장수성 등 철강 주요 생산지에도 감산 조치가 확대되고 있으며, 8월 말 발표된 철강업 안정성장 업무방안에서는 추후 공식적인 감산 지시 가능성도 내비치며 올해도 중국 철강 감산 기조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 아울러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올해 남은 기간 철강 감산으로 원재료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 이어 통상적으로 원재료 가격 하락은 제품 가격에 하방 요인이나, 중국 감산이 강하게 진행되는 상황에서는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는 바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에 동국제강 , 동국씨엠, POSCO홀딩스, 현대제철, 만호제강, NI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글로벌 주요 기업 생성형 AI 서비스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내년 모든 가전 제품에 '빅스비'를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을 도입할 것으로 전해짐. 유미영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은 2일(현지시간) IFA 2023이 열리고 있는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삼성전자 가전 중) 어느 것도 AI가 아닌 것이 없다. 정수기까지도 핵심적인 AI 기능을 반영하고 있다"라며, "연결된 생활가전을 넘어 고객의 생활을 감지하고 패턴을 학습해 맞춤형 솔루션을 가전 스스로 제공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AI 가전 확대를 위해 모든 제품에 자사의 운용체계(OS) '타이젠'을 탑재할 계획임.
  • 아울러 업계에 따르면, 구글이 기업용 협업툴 워크스페이스에 생성형 AI 서비스 ‘듀엣 AI’를 정식으로 도입할 것으로 전해짐. 요금은 대기업에겐 월 30달러를 책정했으며, 아파르나 파푸 구글 워크스페이스 부사장은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소규모 조직과 개인 사용자에겐 가격을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고 밝힘. 한편, 이에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 7월 월 30달러에 'MS 365 코파일럿'을 선보인 바 있으며, 해당 서비스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팀즈 등 MS의 오피스 프로그램에 생성형 AI를 결합한 제품임.
  • 또한, 네이버도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면서 B2B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으며, 기업 생산성 도구 ‘프로젝트 커넥트X’와 하이퍼스케일 AI 개발도구 ‘클로바 스튜디오’에 하이퍼클로바X를 탑재할 예정. 이를 통해 각 기업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솔트룩스 , 코난테크놀로지, 플리토, 셀바스AI, 크라우드웍스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등/ 모듈러주택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내 기업인들이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를 대거 방문한다고 전해짐. 지난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이 시작된 이후 미국, 유럽 등 우크라이나 재건에 참여하고 있는 나라들은 많았지만 이렇게 기업인들이 대거 우크라이나를 함께 방문하는 것은 한국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짐.
  • 정부 관계부처에 따르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끄는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은 공기업·민간기업 등 기업인 20여명과 함께 이달 중순 우크라이나로 향할 예정. 이번에 우크라이나로 협력단에 참여하는 기업은 삼성물산, 현대건설, 현대로템, 네이버, 한화건설, KT, 포스코인터내셔널, 유진, CJ, 한화솔루션, 현대건설기계,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공항공사 등으로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을 감안해 우크라이나 방문자들은 1사 1인으로 제한된 것으로 알려짐.
  • 한편, 우크라이나 정부는 재건 프로그램을 1단계(2023~2025년)와 2단계(2026~2032년)로 나눠서 추진중으로 총 소요 예산은 7,500억달러 이상, 프로젝트 개수는 850개 이상 되는 막대한 사업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HD현대건설기계 는 언론을 통해 세계 대형 건설현장 및 광산에서 대규모 건설장비를 연달아 수주했다고 밝힘. HD현대건설기계는 최근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광산과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건설 현장에 투입될 굴착기, 휠로더 등 건설장비 73대를 계약했음. 아르헨티나 살타(Salta)주 염호광산 조성 및 리튬 가공 현장에는 이달 중으로 50t급 굴착기 6대, 300마력 휠로더 3대 등을 전달하며,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더 라인'(The Line) 건설 현장에 40t급 굴착기 12대, 대용량버킷(5.6㎥) 휠로더 5대 등 50대를 수주해 지난달 중순께 공급을 마쳤다고 설명.
  •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건설기계, TYM, 대모, 유신, HD현대인프라코어, 에스와이, 코오롱글로벌 등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모듈러 주택 테마가 상승.

피팅(관이음쇠)/밸브

LNG 및 해양 플랜트 수주확대에 따른 피팅업체 수익성 레벨업 기대감 등에 상승

  •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LNG 및 해양 플랜트 수주확대로 피팅업체 수익성 레벨업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미국, 카타르 등에서 LNG 플랜트 투자 확대 등을 비롯하여, 지속적인 유가상승 및 에너지 안보 등으로 인한 해양플랜트 발주 확대로 피팅업체의 수주 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지난해 원자재 상승 등이 제품가격에 반영되는 구간일 뿐만 아니라 제품믹스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수주증가는 향후 매출상승 뿐만 아니라 실적 개선을 가속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
  • 이 같은 소식에 성광벤드, 태광, 하이록코리아 등 일부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가 상승.

은행

국내은행 2분기 건전성 지표 개선 소식에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전해짐.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 자료에서 6월 말 국내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총자본비율은 15.62%로 3월 말 대비 0.01%포인트 올랐으 며, 보통주자본비율은 12.98%로 0.08%p, 기본자본비율은 14.27%로 0.01%p 개선됐음.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나타대는 핵심 지표임.
  • 은행들의 재무 건전성이 개선된 것은 대출 증가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37조9,000억원(1.7%) 확대됐지만, 분기순이익 시현,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도 6조2,000억원(1.8%) 늘면서 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기 때문이며, 금감원은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JB금융지주,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소폭 상승.

반도체 관련주

낸드 공급 과잉 지속, 하반기 수요 회복 비관적 전망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낸드플래시 시장에 공급 과잉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업계 1위 삼성전자가 하반기 감산에 속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낸드 업계 1위인 삼성전자의 낸드 감산 폭이 지난 2분기 말 25%에서 오는 4분기 3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삼성전자는 지난 7월 컨퍼런스콜을 통해 "하반기에도 생산량 하향 조정을 지속할 예정이다. 낸드 위주의 생산량 하향 조정 폭을 크게 가져갈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 바 있음.
  • 또한, 공급업체들은 올 하반기에도 수요 회복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트렌드포스는 "구매자는 여전히 신중하며, 향후 수요 전망에 대해 비관적이다"며, "하반기 수요가 완만하게 회복되더라도 낸드 관련 제품의 가격 반등이 어려워 공급 업체들의 적극적인 추가 감산 노력이 절실하다"고 언급했음. 업계에서는 낸드는 지난해 이후 공급 과잉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수 년간 업계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선 것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음. 낸드 업계는 감산을 통해 수급 문제를 해소하려는 상황이나 소비 침체가 여전한 상황으로 감산 효과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음.
  • 한편, 지난 1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DR4 D램(8Gb 1Gx8) 8월 고정거래가격(기업 간 계약 거래 금액)이 전월 대비 2.99% 내려간 1.30달러를 기록. 이 제품의 가격은 4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로 4월(-19.89%)과 5월(-3.45%), 6월(-2.86%), 7월(-1.47%)로 갈수록 낙폭을 줄이는 듯했지만 8월 다시 하락률이 상승.
  • 이에 금일 SK하이닉스, 케이엔제이, 에프에스티, ISC, 미래산업, 에스티아이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지난 금요일 6% 넘게 상승했던 삼성전자(+0.28%)는 금일 장 초반 2% 넘게 상승하기도 했으나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한 끝에 강보합 마감.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시너지이노베이션 3,870원(+29.87%)
    :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 이삭엔지니어링 13,270원(+29.97%)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속 삼성엔지니어링과 로봇 산업 자동화 솔루션 독점 계약 이력 부각에 상한가
  • 대동 13,980원(+29.93%)
    : 포스코와 특수환경 임무 로봇 개발 MOU 체결 소식에 상한가
  • 대화제약 10,790원(+26.05%)
    : 中 당국, 기술수출한 리포락셀 신약품목허가 검토 소식 속 승인 기대감 등에 급등
  • 에스비비테크 56,300원(+23.60%)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코디 1,702원(+23.33%)
    :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모멘텀 지속에 급등
  • 파인텍 1,310원(+20.29%)
    : 13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82%)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제조장비) 체결에 급등
  • 대동기어 6,890원(+20.03%)
    : 최대주주 대동, 포스코와 특수환경 임무 로봇 개발 MOU 체결 소식에 급등
  • 에스피지 37,000원(+14.55%)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홈캐스트 5,100원(+13.46%)
    : 빈 살만, 노화치료 연구 투자 소식 재부각 속 최대주주 에이치바이온의 최대주주 황우석 박사, UAE 아부다비 바이오테크 연구센터에서 동물 복제 연구 진행 소식에 급등
  • 코난테크놀로지 83,200원(+13.35%)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이노시뮬레이션 17,910원(+13.07%)
    : 현대차,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 추진 모멘텀 지속 속 현대차에 차량 시뮬레이터 기반 디지털 검증 솔루션 공급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포스코DX 58,200원(+12.36%)
    : 코스피 이전상장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이랜시스 3,040원(+11.97%)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속 삼성 웨어러블 로봇 '봇핏'에 감속기 공급 이력 부각에 급등
  • 스맥 4,245원(+11.71%)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벽산 4,055원(+11.55%)
    :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 에이테크솔루션 12,400원(+11.51%)
    : 국내 대기업 로봇 산업 진출에 따른 시장 확대 기대감 속 삼성 AI 휴머노이드 로봇 신사업 등 수혜 전망에 급등
  • 만호제강 49,300원(+11.04%)
    :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및 엠케이에셋, 동사 지분 추가 취득 속 경영권 분쟁 가능성 등에 급등
  • 디에스케이 6,760원(+11.00%)
    : 그룹 계열사 뉴로바이오젠, 비만치료제 연구 '네이처 메타볼리즘' 게재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씨이랩 17,580원(+10.36%)
    :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 공급 소식 속 엔비디아 파트너사인 점이 재부각되며 급등
  • 에코마케팅 11,250원(+9.86%)
    : 저평가 기업 지분투자·M&A 계획 소식 등에 급등
  • 에코바이오 5,670원(+9.04%)
    : '바이오황 다싹' 우크라이나 비료 등록 완료 속 글로벌 시장 진출 박차 소식에 급등

 

 

 

| 투자속보 | - 팍스넷 증권포털

이전 주 2023.09.04 월 달력보기 오늘 다음 주 내용보기 간략보기

www.paxnet.co.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