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데일리 요약

(240611.TUE)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

by 미니토이 2024. 6. 11.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하이드로리튬·리튬포어스·리튬플러스 3사 '볼리비아 염호개발 4단계' 진입 소식 등에 리튬 테마 상승.
  • EU, 이르면 이번주 中 전기차 관세 부과 공식 발표 모멘텀 지속 및 전기차 캐즘 우려 속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 급증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 美 태양광 수요 확대 전망 및 中 태양광 구조조정 본격화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 K-푸드 인기 속 막걸리 수출 확대 소식 등에 주류업 테마 상승.
  • 네이버 치지직, 오는 13일부터 중간 광고 도입 소식 등에 일부 광고 테마 상승.
  • 韓 연구진, 상온 양자컴퓨터 구현 핵심기술 제어 성공 소식 등에 일부 양자암호 테마 상승.
  • 조선업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일부 조선 테마 상승.
  • 한성기업(+17.22%)이 해외서 크래미, 김 인기 지속 등에 급등한 가운데, 수산 테마 상승.
  • 이 외에 탄소나노튜브, MLCC, 종합상사, 페라이트, 자원개발, 화학섬유, 폐배터리, 타이어, 탈모 치료, 전자결제, NI, 홈쇼핑, 정유, 화폐금융자동화기기, 여름, 소매유통, 미용기기, 면세점, 그래핀, 콜드체인, 바이오시밀러, 냉각시스템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액트지오 관련 논란 지속 등에 피팅/밸브, 강관업체, 남-북-러 가스관사업, 철강 중소형, LPG 등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 테마 하락.
  • 애플, 자체 AI 기능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 속 실망감 등에 아이폰, AI챗봇 등 테마 하락.
  • 한전, 41조원 규모 인도네시아 송전망 구축 사업 소식에 전일 부각됐던 전선/ 전력설비/ 스마트그리드 테마 하락.
  • 야놀자 美 상장 기대감 등으로 부각됐던 야놀자 테마 하락.
  • 이 외에 해운, 무선충전기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폴더블폰, 조선기자재, 스마트카, 국내 상장 중국기업, 갤럭시 부품주, 원자력발전,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출산장려정책, 풍력에너지, 뉴로모픽 반도체, 3D 낸드, 마이크로 LED, NFT, 두나무, 밥솥, 카메라모듈/부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리튬

하이드로리튬·리튬포어스·리튬플러스 3사 '볼리비아 염호개발 4단계' 진입 소식 등에 상승

  • 하이드로리튬, 리튬포어스, 리튬플러스 3사는 언론을 통해 볼리비아 정부와 볼리비아 국영 리튬공사(YLB)가 추진하고 있는 볼리비아 염호 개발 국제 모집 3단계(재무평가) 평가 결과, 상위 그룹에 포함되어 다음 4단계 평가로 진입하게 됐다고 밝힘. 볼리비아 리튬공사는 앞서 지난 5월에 3단계(재무평가)로 진입하는 21개 업체(22개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이들 업체로부터 재무평가에 필요한 서류를 지난 달 28일까지 접수한 바 있음.
  • 이후 접수된 서류를 바탕으로 심사한 결과, 당초 Pass/Fail 방식으로 평가하려던 방식 대신, 전체 21개 업체를 우선 순위에 따라 총 4개의 그룹(categoria)으로 분류하고, 상위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다음 단계 평가를 진행하겠다고 발표. 이에 따라 지난 7일 전체 업체에게 발송한 이메일을 통하여 21개의 업체를 1그룹(4개), 2그룹(4개), 3그룹(6개), 4그룹(7개)으로 분류한 결과를 발표한 것으로 발표 결과 하이드로리튬 등 3사는 상위 5~8위에 해당하는 2그룹에 편성됐음.
  • 이와 관련, 하이드로리튬 관계자는 “참고로, 1그룹 업체 중 3개는 이번 국제 모집 이전인 2019년부터 2024년 초에 이미 볼리비아 정부와 대규모 투자 또는 염호 공동 개발 협약을 맺은 중국 업체들”이라며 “또한 2그룹에 편성된 다른 기업들 역시 오랜 기간 아르헨티나, 칠레, 볼리비아 등에서 염호 관련 대규모 사업을 진행해 왔던 다국적 기업들로, 당사는 이러한 해외 유수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2그룹에 편성된 것”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드로리튬, 리튬포어스, 포스코엠텍, 이브이첨단소재, 지오릿에너지, 미래나노텍 등 리튬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EU, 이르면 이번주 中 전기차 관세 부과 공식 발표 모멘텀 지속 및 전기차 캐즘 우려 속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 급증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EU는 이번 주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지급 조사를 마무리하고 중국에 관세 부과 방침을 고지할 전망으로 정확한 관세율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EU가 현재 전기차에 부과하고 있는 10%를 상회해 최대 25%까지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에 국내 2차전지 업체들의 반사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둔화)에도 5월 수입차 브랜드의 국내 신규 등록이 전월 대비 62%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음. 전일 한국자동차수입협회와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5월 국내 수입 전기차 등록 대수는 5,876대로 4월 3,626대 대비 62.1% 증가. 4월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인 업체는 141.9%를 기록한 테슬라로 테슬라는 4월 1,722대의 전기차를 신규 등록했으며, BMW도 15% 늘어났음.
  • 한편, 전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에 따르면 지난 1∼5월 대미 수출 규모는 533억달러로 집계됐음. 대중 수출(526억9,000만달러)보다 6억1,000만달러가량 많은 액수임. 특히, 지난해 대미 수출은 자동차·2차전지 등의 수출 확대로 5.4% 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해 2005년 이후 미국은 18년 만에 수출 2위 국가로 복귀했음.
  • 이 같은 소식 속 나노신소재, 에코앤드림, 한농화성, 레몬, 피엔티, 에코프로머티,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특히, 대주전자재료는 테슬라가 연말에 선보일 2170(지름 21mm에 길이 70mm) 배터리에 실리콘음극재가 적용될 예정인 가운데, 테슬라 공급망에 신규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석유화학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4년 6월 1주 NCC업체의 1톤당 스프레드는 279$로 4월부터 3개월째 회복되고 있다며, 이는 NCC업체들이 흑자전환 했던 2023년 3분기의 267$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언급. 6월 비수기에 스프레드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특이한 상황이라며, 이는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자동차 소재(합성고무, 경성우레탄), IT소재(ABS/PC), 가정용 백색 가전(SM/PE포장재)에 사용되는 소재 수요 때문으로 이해된다고 설명. 특히, ABS 세계 1위 업체인 LG화학㈜는 ABS 가동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고 언급.
  • 아울러 한국 수출 물량도 증가하고 있어, 수요회복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힘. 1~4월 무역협회의 수출 데이터에 따르면, 11개 주요 석화제품의 중국향 수출 물량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2% 증가했다며, 2023년 연간 수출량이 △7.9% 줄었다는 점과 비교하면 수출 여건이 바뀐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힘.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물류 운임 급등, 천연고무 태핑 지연, 높은 부타디엔·스티렌 가격과 고무 선물 가격의 급등으로 합성고무 현물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고 밝힘. 이구환신으로 OE 타이어 판매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타이어 업체들의 가동률이 회복하는 가운데, 정기보수 영향으로 합성고무 수급은 타이트해지는 중이라고 밝힘. 특히, 6월 정기보수가 집중된 BR과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 수혜가 가능한 NB Latex는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이에 금일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애경케미칼, 금호석유, 태광산업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태양광에너지

美 태양광 수요 확대 전망 및 中 태양광 구조조정 본격화 등에 상승

  •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수요 호조에도 과잉 공급으로 결정형 태양광 시장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미국을 주력으로 하는 태양광 업체 중 FirstSolar를 제외하면 제대로 된 실적을 내는 업체가 드물다고 언급. 다만, 이미 1Q24 기준 FirstSolar와 한화 태양광의 ASP가 오히려 역전되었으며 한화의 mixed ASP는 미국 수입 가격를 하회하는 수준까지 하락했다고 밝힘. 이에 추가 ASP 하락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며, 주목할 것은 보수적인 수요 전망치를 계속 상회하고 있는 미국 단기 태양광 수요라고 밝힘.
  • SEIA의 23년 수요 추정치가 불과 3개월만에 크게 상향 조정되었고 1Q24 역시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며, AI, 엔비디아, 변압기 등이 시장의 기대 보다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면 그 다음은 미국 태양광 수요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에 4Q 성수기까지 물량 성장 기대감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밝힘.
  • 한화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업체들의 동남아 생산설비 구조조정을 미루어 보았을 때, 반덤핑/상계관세(AD/CVD) 적용 시 사실상 미국 수출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향후 AD/CVD 적용 범위 확대에 따라 동남아산 태양광 패널 수입이 대부분 중단될 경우, 미국의 생산능력이 증가했음에도 늘어난 수요 덕분에 공급과잉은 2025년부터 점차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전일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Longi가 베트남에 위치한 5개 라인을 모두 중단한 이후 최근 말레이시아 공장에서도 점진적 가동 중단을 시작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Trina Solar 역시 태국과 베트남 설비에 대해 계절적 유지보수로 가동을 중단했다고 설명. 미국향 수요 불확실성에 따라 중국 업체들의 구조조정이 가속화 되고 있다며,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시황 회복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Top pick으로 한화솔루션을 유지한다고 설명.
  • 이에 금일 한화솔루션, SDN, HD현대에너지솔루션, OCI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주류업

K-푸드 인기 속 막걸리 수출 확대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K-푸드가 해외에서 연이어 인기를 끌면서 'K막걸리'가 다시금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최근 서울탁주제조협회 산하 서울장수주식회사에 따르면, 2009년 출범 이래 창립 14년을 맞은 올해 4월까지 누적 해외 매출액 6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전해짐. 2010년 충북 진천에 제조 공장을 설립한 서울장수는 국내 막걸리 공장 중 최대 규모로 하루 생산 능력은 10만리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아울러 K-막걸리의 인기는 최근 열린 브라질 상파울루 식품박람회에서도 호평을 받은 것으로 전해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달 13일부터 16일까지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2024 상파울루 식품박람회'(APAS SHOW 2024)에 한국관을 개설했는데, 여기서 1,435만 달러(한화 약 195억8,000만원)의 수출 상담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
  • 또한, 국순당은 현재 세계 50여개 국가에 백세주와 막걸리, 콜라보 막걸리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미국으로의 수출은 지난해 단일국가 첫 300만 달러를 달성하며 역대 최대 수출액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국순당, 보해양조, 무학 등 주정/에탄올 테마가 상승.

광고

네이버 치지직, 오는 13일부터 중간 광고 도입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네이버의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오는 13일부터 중간 광고를 도입할 예정. 중간 광고는 생방송(LIVE)과 다시보기(VOD) 시청 중간에 노출되는 광고로 지금까지 네이버 '치지직'에서는 영상 재생(시작) 전 광고만 노출하고 있었는데 스트리머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을 발굴한다는 취지로 중간 광고를 도입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네이버 관계자는 "스트리머와 동반 성장을 위해 수익 모델 다각화 측면에서 중간 광고를 도입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스트리머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수익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레뷰코퍼레이션, 인크로스, 플레이디 등 일부 광고 테마가 상승.

양자암호

韓 연구진, 상온 양자컴퓨터 구현 핵심기술 제어 성공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황찬용, 양승모 박사 연구팀이 2차원 상온에서 스커미온을 생성하고 제어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힘. 자석 표면에 매우 미세한 전압과 자기장을 공급해 스커미온을 구현한 후, 생성된 스커미온에 전류를 가해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한 것으로 실험 결과, 기존 3차원에 비해 스커미온 제어에 소비되는 전력이 약 1/1,000 정도로 확인했으며, 크기도 10배 이상 작아져 안정성·속도 측면에서 대폭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음.
  • 2차원 스커미온의 상온 발현 기술은 비슷한 시기에 미국과 중국에서도 보고되었지만, 발현과 더불어 전기적 제어까지 성공한 사례는 이번이 세계 최초로 특히, 이번 기술은 상온에서 스커미온의 양자 현상을 극대화해 상온 큐비트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며, 초저온 환경에서만 구동하던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넘은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우리넷, 드림시큐리티 등 일부 양자암호 테마가 상승.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액트지오 관련 논란 지속 등에 하락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밝힌 미국 기업 액트지오(Act-geo)의 한글 홈페이지 개설 소식이 전해짐. 홈페이지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액트지오의 소개와 이력 등이 간단히 적혀있음. 이와 관련, 석유공사 관계자는 "액트지오에 확인한 결과 본사에서 개설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힘. 일각에서는 홈페이지가 단순하고 '도메인 웹사이트를 판매한다'는 문구가 적힌 점 등에서 누군가 판매하기 위해 도메인 선점용으로 만든 페이지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 아울러 액트지오가 지난해 2월 석유공사와의 계약 당시 1,650달러 수준의 법인 영업세(Franchise tax)를 체납했던 가운데, 정부가 해당 체납 사실에 대해 인지하지 못했다고 밝힘.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전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액트지오의 체납과 법인 자격과 관련해 석유공사와의 계약 당시에도 알고 있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정확히 말씀을 드린다. 죄송하지만 계약 당시에는 몰랐다"고 언급했음.
  • 이 같은 논란이 지속되며 동양철관, 대동스틸, 대성에너지, 하이스틸, 태광, 흥구석유, 제이스코홀딩스 등 가스관/피팅/밸브/LPG/철강 테마 등이 하락.

아이폰 등

애플, 자체 AI 기능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 속 실망감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애플(-1.91%)이 자체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를 처음으로 공개했음에도 하락세를 보였음. 애플은 10일(현지시간) 美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 파크 본사에서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 2024를 개최하고, 아이폰 운영체제 iOS 18 등 올해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소프트웨어 내용을 발표.
  • 올해 운영체제에는 AI 기능이 대폭 탑재됐으며, 애플은 자체 AI 시스템을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라고 소개했음. 애플은 새로운 아이패드 OS에서 애플 펜슬로 계산식을 넣으면 AI가 알아서 계산해주고, 이용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생성하고 글을 토대로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생성 AI 기능 등을 시연했으며, 특히, 오픈AI와 파트너십을 통해 자체 음성 비서 '시리'(Siri)에 챗GPT를 접목한다고 밝힘.
  • 다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엑스 계정에 "애플이 OS(운영체제) 수준에서 오픈AI를 통합한다면 내 회사들에서 애플 기기는 (반입이) 금지될 것"이라며 "이는 용납할 수 없는 보안 위반"이라면서 강한 반감을 표하기도 했으며, 일각에선 새 기술을 선보이기보단 기존 기술의 업그레이드에 그친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오고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비에이치, LG이노텍, 아이티엠반도체, 덕산네오룩스, 인터플렉스, 자화전자 등 아이폰/스마트폰 테마가 하락. 또한, 브리지텍, 플리토, 폴라리스AI, 이스트소프트 등 일부 AI 챗봇 테마도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국순당 7,020원(+30.00%)
    : K-푸드 인기 속 막걸리 수출 확대 소식 등에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카티스 5,530원(+29.96%)
    : 尹 대통령, 투크르메니스탄 국빈방문 및 스마트시티 산업 협업 기대감 속 지분 출자한 에스앤티시스템 통해 투르크메니스탄 스마트시티 보안시스템 구축 사업 영위 사실 부각 등에 상한가
  • 대주전자재료 155,800원(+26.56%)
    : 2차전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테슬라 2170 배터리에 실리콘음극재 적용 예정에 따른 테슬라 공급망 신규 편입 기대감 부각에 급등
  • 하이드로리튬 6,590원(+26.00%)
    : 리튬 테마 상승 속 '볼리비아 염호개발 4단계' 진입 소식에 급등
  • 브이엠 17,730원(+20.78%)
    : HBM 수혜에 따른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급등
  • 웨이버스 1,844원(+18.97%)
    :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기대감 지속 속 한국석유공사와 탄성파 탐사 공동특허 출원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 나노신소재 141,500원(+17.62%)
    : 2차전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이녹스 24,200원(+17.48%)
    : EU, 이르면 이번주 中 전기차 관세 부과 공식 발표 모멘텀 지속 및 전기차 캐즘 우려 속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 급증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성기업 9,800원(+17.22%)
    : 해외서 크래미(맛살), 김 인기 지속 등에 급등
  • TS트릴리온 379원(+16.26%)
    : 경찰, 장기영 동사 전대표 횡령 사건 ‘혐의 없음’ 판단 소식 속 급등
  • 카페24 31,100원(+15.83%)
    : 유튜브 쇼핑 사업 확장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 포스코인터내셔널 53,700원(+14.13%)
    : 장인화 포스코 회장, 尹대통령 순방 경제사절단 첫 동행 소식 속 급등
  • 아나패스 23,200원(+13.73%)
    : 디스플레이 반도체, 퀄컴 AI GPU 호환성 인증 소식에 급등
  • 휴젤 242,000원(+13.62%)
    : 美 ITC 예비판정 승소 등에 급등
  • 리튬포어스 5,270원(+13.33%)
    : 리튬 테마 상승 속 '볼리비아 염호개발 4단계' 진입 소식에 급등
  • 용평리조트 3,710원(+13.28%)
    : 신규사업으로 PB 식품 사업 추진 사실 부각에 급등
  • 엔시스 12,970원(+12.29%)
    : EU, 이르면 이번주 中 전기차 관세 부과 공식 발표 모멘텀 지속 및 전기차 캐즘 우려 속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 급증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알테오젠 283,500원(+12.06%)
    : 머크, 키트루다 피하주사 제형 전환 가능 언급 속 동사 기술이전 로열티 기대감 지속에 급등
  • 태성 11,550원(+11.38%)
    : 복합동박용 RTR 및 유리기판 성장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 포스코엠텍 22,550원(+10.81%)
    : 리튬 테마 상승 및 장인화 포스코 회장, 尹대통령 순방 경제사절단 첫 동행 소식 속 급등
  • 피플바이오 3,775원(+10.70%)
    : 일라이릴리 알츠하이머 치료제 FDA 승인 권고 소식 속 알츠하이머 혈액진단 상용화 성공 사실 부각에 급등
  • 아진엑스텍 11,320원(+10.65%)
    : 삼성전자에 '스카라로봇' 세트 단위 공급 시작 소식에 급등
  • 대성파인텍 1,078원(+10.45%)
    :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및 현대트랜시스, 사우디 전기차 업체 '시어(CEER)모터스'와 공급계약 진행 소식 속 현대트랜시스 협력사로 부각되며 급등
  • 에코앤드림 55,500원(+10.34%)
    :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130억원 규모 교환사채 조기상환 후 말소처리 속 오버행 우려 해소 등에 급등
  • 지오릿에너지 2,520원(+10.28%)
    : 하이드로리튬·리튬포어스·리튬플러스 3사 '볼리비아 염호개발 4단계' 진입 소식 등에 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 보해양조 529원(+9.98%)
    : K-푸드 인기 속 막걸리 수출 확대 소식 등에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리포트요약

#CJ

[BNK투자 / 김장원 / 매수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27,500원]

지배구조에서 주주가치 제고로 이슈 전환
  • 비상장자회사의 2024년 연간 실적 전망 상향
  • 계열사 구도와 지분율의 변화는 기업가치를 위한 결정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170,000원 상향

#세아베스틸지주

[하이투자 / 김윤상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1,600원]

어렵지만 상대적으로 낫다
  • 동사를 둘러싼 제반 환경은 어려운 상황. 첫째, 판매량 부진이 지속되고 있음
  • 어려운 상황이지만 동사는 타 사 대비 되는 몇 가지 차별화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2.8만원을 유지

#대한항공

[대신 / 양지환,이지니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1,950원]

항공화물호조로 2분기 깜짝 실적 가능성
  • 항공화물운임 C-commerce물량 증가와 컨테이너 운임 상승으로 호조
  • 2024년 2분기 연결 영업이익 5천억원으로 깜짝 실적 시현 가능성 높아
  • 하반기 성수기 수요와 유가 하락의 lagging효과로 실적 개선 지속 전망

#현대제철

[하이투자 / 김윤상 / Buy / 목표가 36,000원 / 현재가 29,200원]

낮아진 수익성
  • 24년은 상저하고의 실적 흐름이 예상
  • 그나마 긍정적인 것은 자회사 실적 개선
  •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나 실적 하향 조정을 반영, 목표주가는 3.6만원으로 하향 [기존 4.2만원]

#POSCO홀딩스

[하이투자 / 김윤상 / Buy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377,000원]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 24년 실적은 상저하고의 흐름
  • 24년 하반기 철강 업황은 쉽지 않을 전망
  •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나 종속회사 및 리튬 부문 가치 하락분을 반영, 목표주가를 50만원으로 하향 [기존 52만원]

#고려아연

[하이투자 / 김윤상 / Buy / 목표가 600,000원 / 현재가 488,000원]

업종 내 최선호주
  • 하반기에도 동사를 최선호주로 추천함.
  • 자회사 실적의 구조적 개선에 주목할 필요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수익 예상 상향 조정을 반영, 동사 주가를 60만원으로 상향 [기존 57만원]

#삼성중공업

[다올투자 / 최광식,오지훈 / BUY / 목표가 12,500원 / 현재가 9,320원]

잠시 소강. 하반기 수주와 실적 모멘텀
  • 적정주가가 12,500원으로 상향. 2Q보다는 3Q24부터 다시 실적 점프. 연말 FLNG 수주 기대
  • 여태 선호주였지만 짧게 2Q24에는 모멘텀이 많지 않음
  • 2Q24는 1Q24 정도의 실적 예상

#HD현대미포

[다올투자 / 최광식,오지훈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69,600원]

PC선이 아주 너무 좋다
  • 적정주가가 상향. 현재 신조시장에서 가장 좋은 PC선 대장주
  • 외작/인력 쇼티지에서 가장 큰 피해 받으며 적자를 시현해 왔지만, 최신 선가의 MR 조기 투입 등으로 1H24 적자폭 줄이고, 흑자전환 3Q24로 빨라짐. 주력 PC선 사이클 때문에 올해 벌써 수주 목표를 벌써 초과달성. 가장 저평가된 조선주
  • 동사의 적정주가를 백로그너머를 2026년으로 옮겨 적정PER 12배(유지)에서 115,000원으로 15% 상향

#LG이노텍

[KB / 김동원 / BUY / 목표가 340,000원 / 현재가 243,000원]

아이폰 빅사이클 최대 수혜
  • 2분기 추정 영업이익 1,088억원, +6배 YoY
  • AI아이폰 최대 수혜주,아이폰 매출 비중 84%

#HMM

[신영 / 엄경아 / 중립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18,410원]

어찌 대응해야 할까요?
  • 6/11 CB 주식전환으로 2천만주 추가 상장
  • 1분기보다 나은 2분기는 명확, 올해 13,000TEU급 선박 12척 인도는 부담
  • 중립의견과 적정주가 16,000원 유지

#한국가스공사

[대신 / 허민호 / Buy / 목표가 51,000원 / 현재가 41,100원]

동해 광구 제외해도, 아직 매력적 요소 존재
  • 동해 8 광구, 6-1광구 탐사 시추 수혜에 따른 가치 개선은 아직 추정 불가능
  • 펀더멘털 매력: 실적 정상화, 7월 미수금 회수 시작, 배당매력, 저평가

#에스티아이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4,100원]

위만 볼 수 있는 자리(25E P/E 6.9배)
  • 2H24 중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시작과 더불어 Reflow의 신규 고객사 확대, 세정 장비의 신규 퀄 및 수주가 확인될 전망
  • 인프라 만으로도 현재의 주가(P/E, 24E 9.6배/25E 6.9배)는 극심한 저평가 수준임을 주목
  • Reflow와 세정 장비의 신규 수주는 25년 추정치 업사이드 요인임을 감안할 때, 6월은 강한 비중확대가 유효한 타이밍

#한화오션

[다올투자 / 최광식,오지훈 / HOLD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30,300원]

방산 기대감을 초격차로 주가 선반영
  • 적정주가가 29,000원으로 16% 올리지만 투자의견은 HOLD
  • 업종 공통 Valuation 잣대에서 적정PER을 HD현대중공업과 함께 15배로 상대적으로 높게 부여하지만, 2026 PER은 이미 15배
  • 백로그너머를 2026년으로 옮기고, 적정 PER 15배에서 적정주가를 29,000원으로 올리지만 HOLD 의견

#피에이치에이

[하나 / 송선재,강민아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3,430원]

나도 이젠 성장주
  • 목표주가를 1.8만원으로 상향
  • 미국 조지아 및 인도 푸네 공장이 각각 2024년/2025년 완공
  • 자본배분 활동의 개선을 기대

#티씨케이

[신한투자 / 이경아 / N 매수 / 목표가 N 150,000원 / 현재가 126,200원]

아직 시작하지 않은 2라운드
  • 비포마켓 구조적 성장 회복, 고마진 제품 판매 확대
  • 2024년 매출 2,791억원(+23% YoY), 영업이익 929억원(+39%, OPM 33.3%) 추정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세진중공업

[다올투자 / 최광식,오지훈 / BUY / 목표가 11,000원 / 현재가 7,550원]

사업보국. 한국조선의 땡크를 책임진다
  • 탱크 등 캐파 확대. HD한국조선해양 밖으로의 사업 확대. 조선기자재 선호주 추천
  • 기존 15만평 본사 옆에 10만평 부지에 블록 선행공정 투자로 탱크 등 캐파 확대
  • 동사 탱크 납품이 2026년부터 10척, 2028년에 30척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해서, 2024~2026년 EPS와 적정 PER 20배에서 적정주가를 11,000원으로 +26% 상향

#GST

[그로쓰리서치 / 이재모,김주형 / 현재가 41,850원]

국내 상장기업 유일의 액침냉각 기술 보유 기업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러버와 칠러 장비 전문기업
  • 데이터센터 향 액침냉각 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
  • 2024년 매출액 3,000억원, 영업이익 450억원 전망

#쏘닉스

[한국IR협의회 / 이새롬,이나연 / 현재가 3,480원]

POI-SAW, BAW 필터 시장의 차세대 Player
  • RF 필터 파운드리 글로벌 Player
  • 차세대 RF 필터 파운드리 선두업체
  • 2024년 하반기 가동률 상승세 본격화

#맥쿼리인프라

[KB / 장문준,강민창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2,630원]

남다른 꾸준함이 매력이다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원
  • 배당금의 하방경직성이 높은 구조
  • 2024E 예상 DPS 785원, 2025E 800원
  • 2023년 11월 2,000억원 규모 신규 투자약정 체결

#브이엠

[유안타 / 백길현 / N Buy / 목표가 N 40,000원 / 현재가 14,680원]

전공정에서 찾는 HBM 수혜
  • 2025년 성장 궤도 진입, 반도체 식각 장비업체로서의 매력이 재차 부각될 것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현우산업

[한국IR협의회 / 백종석,서지원 / 현재가 3,875원]

따박따박 실적을 내는 경성PCB 메이커
  • TV용, 전장용 경성PCB 제조/판매 전문기업
  • 글로벌 TV 산업은 정체 국면이나, 전기차 성장을 바탕으로 전장 부품 수요는 증가
  • 2024년, 전년에 이어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 기대

#쎄트렉아이

[신한투자 / 명지운 / 현재가 52,200원]

탐방 후기: 큰 그림 확인
  • 프로젝트 매출 인식률 높은 구간 진입
  • 관측 위성 시장 장악을 위한 큰 그림

#에스앤에스텍

[신한투자 / 이경아 / N 매수 / 목표가 N 65,000원 / 현재가 39,450원]

둘 중 하나만 반영된 주가
  • 달라진 EUV 펠리클/블랭크마스크 수요 본격 매출 발생
  • 2024년 매출 1,792억원(+19% YoY), 영업이익 314억원(+26%, OPM 17.5%) 추정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5,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원익머트리얼즈

[신한투자 / 이경아 / N 매수 / 목표가 N 55,000원 / 현재가 35,750원]

국내 업황과 해외 증설이 견인하는 국내 특수가스 대장주
  • 국내 업황과 해외 증설이 견인하는 국내 특수가스 대장주
  • 2024년 매출 3,935억원(+1% YoY), 영업이익 654억원(+164%, OPM 16.6%) 추정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5,000원을 제시

#대양전기공업

[한국IR협의회 / 이원재,이희경 / 현재가 16,720원]

국내 선박용 조명 1위기업, 신성장동력은 자동차 센서 기술
  • 국내 선박용 조명 1위기업에서 방산, 철도, 차량용 센서 전문기업으로 성장
  • 신성장동력은 MEMS 기반 자동차 ESC 센서 기술
  • 코스닥시장 및 조선기자재업종대비 저평가 국면으로 판단

#피엔티

[미래에셋 / 박준서 / 매수 / 목표가 96,700원 / 현재가 76,700원]

목표주가 상향에 대한 근거 2가지
  • 종(種)의 확장: 국내 셀 고객사 규모의 대형 해외 고객사와 거래를 시작한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
  • 게임 체인저인 건식 장비: 건식 공정은 공정 상에서 배터리의 가격을 혁신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장비이다
  • 건식 생산은 생산 비용이 17% 감소하며, 습식 코팅 대비 코터 비용이 14% 감소하고 전기 비용이 38% 감소하는 가격적 이점

#휴젤

[다올투자 / 박종현,이정우 / BUY / 목표가 350,000원 / 현재가 213,000원]

긴 터널의 끝!
  • 미국 USITC 메디톡스/휴젤 간 예비판결 결과 업데이트
  • USITC 예비판결에서 동사가 무역법 337조를 침해하지 않았다는 판정
  • 예비판정 승소에 따라 동사 북미 사업 불확실성 해소
  • 북미 사업 가치 4천억원 반영한 SOTP 35만원 상향(Upside +64%), 투자의견 BUY 유지

#비씨엔씨

[신한투자 / 이경아 / N 매수 / 목표가 N 23,000원 / 현재가 18,140원]

차세대 식각 부품 삼두마차
  • 합성쿼츠 온기 실적 반영, 식각 핵심 소재 내재화
  • 2024년 매출 838억원(+28% YoY), 영업이익 86억원(흑자전환, OPM 10.3%) 추정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3,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큐브엔터

[한국IR협의회 / 김태현,김현주 / 현재가 14,510원]

(여자)아이들 활동 증가에 따른 매출 성장 기대
  •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
  • 투자포인트1. 여자아이들의 활동 증가에 따른 매출 성장 기대
  • 투자포인트2. 신인 보이그룹 데뷔, 또 다른 핵심 IP로 성장 기대

#콜마비앤에이치

[리딩투자 / 유성만 / 현재가 15,000원]

하반기부터 좋아질 듯~
  • 건기식과 화장품의 양호한 매출 증가
  • 해외 사업부는 순조로운 성장
  • 올해는 실적 회복의 시기

#삼성바이오로직스

[교보 / 김정현 / Buy / 목표가 1,100,000원 / 현재가 736,000원]

BIOSECURE Act 진짜 수혜주
  • 24년 10% 이상 성장하는 유일한 글로벌 CDMO
  • Large-Scale 바이오 CDMO 수급 매우 타이트해질 것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0만원으로 상향

#씨아이에스

[미래에셋 / 박준서 / 매수 / 목표가 15,300원 / 현재가 11,840원]

24년 실적 상향 조정. 차세대 장비 선점
  • 하이브리드 코터 개발로 전극 공정 경쟁력 확보할 것으로 기대
  • 1) 주요 셀 및 OEM 업체들과 테스트 진행 중
  • 2) 하이브리드 코터 채택 시 공간 활용 및 생산 에너지 절감 효과 보유

#펌텍코리아

[유안타 / 이승은 / 현재가 35,000원]

글로벌 브랜드와 협력 강화
  • 핵심경쟁력: 자체모델금형(Free mold), 자동화, 친환경 대응
  • 2분기 Preview: 매출액 830억원, 영업이익 115억원 예상
  • 하반기 전망: 해외 고객사 협력 강화 기대

#엠플러스

[상상인 / 이종원 / 현재가 12,060원]

[MBTI Report - ESTJ] 더 플러스되는 기업밸류
  • 2003년 설립, 2017년 코스닥 상장
  • 2차전지 조립공정장비 전문업체
  • 파우치 및 각형 조립공정 장비로 시장대응. Tum-Key납품 가능 업체

#제이시스메디칼

[한국투자 / 강시온,이도희 / 매수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2,760원]

공개매수를 통한 상장폐지 결정
  • 6월 10일, 공개매수를 통한 상장폐지 결정 공시
  • 아키메드(Archimed),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프랑스 PEF
  • 인수합병으로 다시 한번 증명된 미용 의료기기 산업의 투자 매력도

#에이치브이엠

[유진투자 / 박종선 / 현재가 없음]

글로벌 첨단금속 전문 제조업체
  • 매출 비중(2023년)은 반도체 등 기존 산업 74.0%, 우주 산업 5.1%, 항공·방위 산업 5.7%
  • 투자포인트: 첨단금속 수요 급증에 따른 동사의 실적 성장 기대. 첨단금속 제조에 필요한 핵심기술(고청정 진공용해 기술, 합금화 공정기술, 금속 특성 제어기술)을 기반으로 전방 시장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어 긍정적임

#프로티아

[유화 / 고승범 / 현재가 3,040원]

알레르기 다중진단 기업
  • 알레르기 다중진단 1위 기업
  • 병렬식 라인형 정렬 기술로 한번에 다양한 알러젠 진단
  • 해외수출을 통한 성장

#에스바이오메딕스

[미래에셋 / 서미화 / 현재가 46,300원]

파킨슨병치료제 임상 결과 기대
  • 파킨슨병치료제 TED-A9 결과에 대한 기대
  • 2개의 세포 배양 원천기술 보유

#HD현대중공업

[다올투자 / 최광식,오지훈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29,400원]

드디어 정상!?
  • 적정주가 200,000원으로 상향. 2Q24 실적 턴어라운드 기운이 느껴짐. 최선호주
  • 2Q24에 의미있는 수익성을 시현할 경우 현재 OPM 9%대의 HD현대삼호를 향해 턴어라운드를 기대할 수 있음
  • 백로그너머(2026년)에 PER 15배로 적정주가 20만원 제시

#두산퓨얼셀

[NH투자 / 정연승,곽재혁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22,550원]

하반기 일반, 청정수소 발전 결과에 주목
  • S&P500ㆍ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 2분기부터 연료전지 매출 재개 예상

#솔브레인

[신한투자 / 이경아 / N 매수 / 목표가 N 400,000원 / 현재가 315,000원]

반도체 소재 종합 선물세트
  • NAND, DRAM, 비메모리 다방면 구축한 소재 공급 경쟁력
  • 2024년 매출 9,307억원(+10% YoY), 영업이익 1,817억원(+36%, OPM 19.5%) 추정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00,000원을 제시

#티이엠씨

[신한투자 / 이경아 / N 매수 / 목표가 N 27,000원 / 현재가 17,550원]

K가스 첨병
  • 신규 재활용 가스, 국산화 저력 다져가는 대표 가스주
  • 2024년 매출 2,997억원(+49% YoY), 영업이익 356억원(+68%, OPM 11.9%)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7,000원을 제시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키움 / 신민수 / 현재가 49,650원]

약점을 극복 중인 만화 주인공의 어린 시절
  • 판가가 높아 부담되신다면 보급형 라인을 추천 드리지요
  • 근본 있는 미국 바이오 장비 업체와의 협업 개시

#이노스페이스

[DB금융 / 서재호 / 현재가 없음]

소형위성 발사 서비스 기업
    국내 소형위성 발사 서비스 제공 업체
  • 25년 상업화 발사체 개발 계획'
  • 로켓 기술 활용을 통한 수입원 다변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