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데일리 요약

(240614.FRI) 주식 테마종목, 리포트 요약

by 미니토이 2024. 6. 14.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K-푸드 글로벌 훈풍 지속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 등에 음식료업종/ 수산 테마 상승. 특히, 사조대림, 사조산업, 사조씨푸드가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사조그룹주가 동반 급등. 삼계탕 수출 호조 및 무더위 지속 등에 육계, 주정, 에탄올 등, 여름 등 테마도 상승.
  • 전력수요 연일 최고치 경신 및 AI 확산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 국제유가 4거래일 연속 상승 영향 등에 정유 테마 상승.
  • 美 필라델피아 지수 강세 속 일부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 등 일부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 조선주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 및 정부 지원 기대감 부각 등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3,379.22로 전주대비 194.35P 상승, 상승세 지속 등에 해운/종합 물류 테마 상승.
  • 정부의 저출산 대책 발표 기대감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 이 외에 국내 상장 중국기업, 사료, 밥솥, 마켓컬리, 日제품 불매운동, 건강기능식품, LNG, 제지, 액침냉각, 전기차, 면세점, 카지노, 윤활유, 지주사, 자동차 대표주, 줄기세포, 폴더블폰, MLCC, 무선충전기술, 인터넷 대표주, 아이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중동발 공급 물량 우려 및 주요 석유화학 업체 신용등급 줄하향 소식 등에 석유화학 테마 하락.
  • 에코프로머티 블록딜 여파 및 트럼프 전 대통령, 전기차 전환 폐지 추진 소식 등에 2차전지/전기차 등 테마 하락.
  • 지난달 승용, 상용 합산 수소차 수출 0대 소식 등에 수소차 테마 하락.
  • 전일 그라비티, 신작 '라그나로크: 여명' 중국 판호 획득 소식에도 공정위의 확률형 아이템 정보 관련 규제 및 감시 강화 소식 등에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하락.
  • 이 외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AR, 페라이트, 온디바이스 AI, 초전도체, CXL, 전자결제, 공작기계, 영화, 강관업체, 통신장비, 음원/음반, 비철금속, 가상화폐, 해저터널, 뉴로모픽 반도체, 지능형로봇/AI, 아스콘, 메타버스, 3D 프린터, VR, 양자암호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음식료업종/ 수산

K-푸드 글로벌 훈풍 지속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 등에 상승

  • 불닭볶음면, 냉동김밥 등 K-푸드의 글로벌 열풍에 따라 국내 식품 업계 실적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교보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음식료 업종 밸류에이션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재 음식료 업종 12개월 Fwd P/E 10배는 과거 밸류에이션 감안시 크게 부담스러운 구간은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힘. 지난 20년 간 음식료 업종 12개월 Fwd P/E는 13.4배 수준이었다며, 음식료 업종은 본래 안정적인 실적을 낸다는 점에서 코스피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을 적용 받아왔다고 설명. 이어 과거 리레이팅 시기 감안시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상승 여력 존재한다며, 과거 리레이팅 시기 해외 확대 모멘텀 + 가격 인상 + 곡물가 하락 모멘텀으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 사조대림은 언론을 통해 냉동김밥 3종을 선보이고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 시장에 수출을 시작했다고 밝힘. 이번에 선보인 냉동김밥은 참치김밥, 유부우엉김밥, 버섯잡채김밥 등 3종이며, 한식 요리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레시피를 담은 것으로 전해짐. 한편, 사조대림은 지난 4월부터 미국으로 수출을 시작해 초도 1차·2차 물량과 추가발주 물량을 모두 합산해 총 36t을 출고했으며, 이후로도 매달 7만2,000t 가량을 수출할 계획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사조대림, 사조산업, 사조씨푸드, 에스앤디, 흥국에프엔비, 사조동아원, 삼양사, 신세계푸드, 동원F&B, 삼양식품 등 음식료업종/수산 테마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전력수요 연일 최고치 경신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예년보다 빨리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전력수요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전력거래소는 전일 오후 5시10분 기준 전력수요는 75.9GW, 같은 시간 공급예비력은 8.4GW였으며, 공급예비율은 11.1%를 기록했다고 밝힘. 앞서 지난 11일 여름철 최대전력수요(74.2GW)를 기록했고, 하루만에 다시 최고치(74.5GW)를 경신한 바 있음.
  • 아울러 13일(현지시간) 미국의 투자 전문지 배런스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AI 수혜가 기대되는 7개 종목을 소개했으며 이 가운데 3개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HD현대일렉트릭 등 한국 기업인 것으로 알려짐. 특히, 변압기와 차단기, 배전반 등을 제조하는 HD현대일렉트릭에 대해서 다른 글로벌 그리드 장비업체에 비해 약 14%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LS ELECTRIC, HD현대일렉트릭, 대한전선, 효성중공업, 제룡전기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상승.

화장품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상승

  • 한국무역통계정보포털에 따르면 6월 1~10일 화장품 수출 데이터(통관기준 잠정치)기준 한국이 화장품을 수출하는 국가 중 미국 비중(21.5%)이 처음으로 중국 비중(20.3%)을 넘어섰음. 중국에서는 C뷰티의 성장으로 고전하는 반면, 미국에서는 온라인 시장을 중심으로 국내 중소 인디 브랜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단기 잠정 통계이나 처음으로 중국을 넘어선 사례로, 앞으로 미국 오프라인 시장까지 진출이 확대되면 이러한 흐름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음.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한국 화장품 수출의 1위 국가가 된 점은 매우 인상적이라며,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권 스킨케어 산업의 구조적인 성장과 신흥 시장(ex.중동)의 등장 등을 고려했을 때, 글로벌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단기 트렌드가 아닌 빅 싸이클임은 분명하다고 분석. 특히, 미국에서 양호한 성과를 내고 있는 기업을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미국 시장의 경우 오프라인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남아있다고 밝힘.
  • 현재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은 아마존을 포함한 온라인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있는 가운데, 실리콘투의 현재 전체 고객 중 70%가 온라인 고객사로 추정되며, 한국 화장품의 가성비 경쟁력 등을 고려했을 때, 온라인을 넘어서 미국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까지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모레퍼시픽은 미국 세포라에 라네즈를 이미 판매하고 있으며, 마녀공장은 7월 코스트코에 클렌징오일을 입점시킬 계획이라고 설명. 2023년 기준 미국 소매시장 내 온라인 비중은 17.3%(vs. 한국 35.8%)으로 미국은 여전히 오프라인 유통 중심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유통 채널로의 확장만으로도 한국 화장품 기업들의 TAM(Total Addressable Market)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한편, 정부와 UAE가 지난달 말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관세 철폐 등의 내용이 담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서명. 관세 철폐 협정에 따른 실적 모멘텀도 지속 부각.
  • 이 같은 소식 속 스킨앤스킨, 세화피앤씨, 선진뷰티사이언스, 오가닉티코스메틱, 바이온, 제이준코스메틱, 한국화장품, 토니모리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정유

국제유가 4거래일 연속 상승 영향 등에 상승

  •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 금리인하 사이클 시작 기대감 등에 4거래일 연속 상승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12달러(+0.15%) 상승한 78.62달러에 거래 마감.
  • 지난 12일(현지시간) 美 CPI가 예상치를 밑돈 가운데, 지난밤 발표된 美 PPI도 하락했음. 美 노동부는 이날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대비 0.2% 하락했다고 밝힘.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1% 상승을 밑도는 수치임. 이에 미국의 금리인하 사이클 시작 기대감이 커지며 원유 수요가 지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에 SK이노베이션, S-Oil, GS 등 정유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지수 강세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잇따른 물가 지표 둔화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1.55(+1.48%) 상승한 5,602.42를 기록. 엔비디아(+3.52%), 마이크론테크놀로지(+1.70%) 등이 상승.
  • 특히, ‘제2의 엔비디아’로 급부상하고 있는 브로드컴(+12.27%)이 전일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상회하는 2분기 실적을 공개하고, 10대1 주식 분할을 발표하며 급등세를 보였음. 브로드컴의 2분기 매출은 124억9,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 120억1,000만 달러를 웃돌았음. 주당순이익(EPS)은 10.96 달러로, 이 역시 예상치인 10.84달러를 상회. 아울러 2024 회계연도에 약 510억 달러의 매출을 전망하며 월가 예상치를 상회했음. 10대1 주식분할은 7월15일부터 적용될 예정.
  •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4'를 개최하며 '원스톱 AI 솔루션'을 공개했음. 파운드리와 메모리, 어드밴드스 패키지(첨단 조립) 사업을 통합해 AI칩 공급 기간을 20%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이번에 공개된 전략 가운데, 눈에 띄는 부분은 내년부터 시작하는 2나노 공정에 2027년까지 '후면전력공급(BSPDN)' 기술을 도입하기로 발표한 점임. TSMC와 인텔 등 경쟁사들도 앞다퉈 도입에 나서고 있지만 고난도 기술이라 아직 상용화 사례는 없어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는 기술임.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이오테크닉스, 티씨케이, 로체시스템즈, 피에스케이홀딩스, 케이씨텍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석유화학

중동발 공급 물량 우려 및 주요 석유화학 업체 신용등급 줄하향 소식 등에 하락

  • 최근 언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내년 가동을 목표로 서부 메디나주에 짓고 있는 세계 최대 정유·석유화학 통합 공장(COTC)은 글로벌 석유화학 시장을 뒤흔들 ‘게임체인저’로 언급됐음. 이는 원유에서 나프타를 추출한 뒤 ‘석유화학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 등 기초유분을 생산하는 기존 공정과 달리 원유에서 곧바로 기초유분을 제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으로, 게다가 석유를 뽑아낸 바로 그 자리에서 제품을 만들어냄에 따라 운송료와 관세도 없다고 언급. 이에 따라 해당 공장의 생산단가는 한국의 3분의1(에틸렌 기준)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됐음.
  • 원유만 팔던 중동 국가가 잇달아 석유화학 분야에 뛰어들면서, 중국의 저가 공세에 그로기 상태로 내몰린 국내 석유화학업계에 새로운 강적이 추가됨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일 ‘27년까지 중동 8개 공장 가동으로 한국 석유화학 위기’ 기사가 보도됨에 따라 화학주가 조정을 보였다며, 대표적인 Commodity 화학제품인 에틸렌의 공장 생산단가가 한국의 1/3에 불과한 수준으로 언급됐다고 밝힘. 아울러 최근 단기 스프레드 개선을 추세전환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이는 3분기 전후 다시 하락 예상, NCC회사에 대한 보수적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언급.
  • 한편, 최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 등급이나 전망 하향이 가장 많이 이뤄진 업종은 석유화학으로 집계됐음. 한신평은 석유화학 업종 중 가장 먼저 효성화학 등급을 지난 3월 ‘A-’에서 ‘BBB+’로 하향 조정했고, 여천NCC(A) 등급 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SKC(A+) 역시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SK어드밴스드(A-) 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등급 전망을 강등했음. NICE신용평가 역시 올 들어 효성화학 등급을 하향한 것은 물론 SK어드밴드스 등급 역시 ‘A-’에서 ‘BBB+’로 하향했으며, SKC의 경우 지난해 NICE신용평가에서 가장 먼저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춘데 이어 올 들어서 한신평과 한기평 역시 연이어 등급 전망을 하향하면서 등급 강등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진 상태인 것으로 전해짐.
  • 이에 금일 애경케미칼, 대한유화, 금호석유, 효성화학, 이수화학, SK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하락.

2차전지/전기차 등

에코프로머티 블록딜 여파 및 트럼프 전 대통령, 전기차 전환 폐지 추진 소식 등에 하락

  •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머티의 2대 주주인 블루런벤처스(BRV)가 전날 장 종료 직후 보유 중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보통주 210만주(약 3%)를 블록딜 했다고 전해짐. 이번 거래는 소수의 기관투자자만 참여하는 클럽딜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락업(보호예수) 기간은 60일임. 주당 최종 공모가는 전일 종가 13만3,500원 대비 10.5% 할인된 11만9,480원, 총액 2,509억원 규모로 매각주간사는 골드만삭스, UBS, KB증권이 맡았다고 전해짐.
  • 지난달 21일에 이어 두 번째로 앞서 지난달 중순 보호예수가 해제되면서 BRV가 블록딜을 통해 지분 3.46%(2,046억원)를 매도, 이 여파로 에코프로머티의 주가가 12% 이상 하락한 바 있음. BRV의 에코프로머티 지분 총 보유량은 지난달 블록딜로 24.7%에서 21.24%로, 이번 2차 블록딜로 다시 18.24%로 감소.
  • 아울러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의 전기차 정책을 전면 비판하고 나섰다고 전해짐.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하원 공화당 의원들과의 비공개회의에서 "내가 다시 대통령이 된다면 바이든 대통령의 전기차 정책을 철회할 것"이라 말한 것으로 전해짐. 이어 "배터리와 전기차에 대한 모든 의무는 미친 짓(Crazy)"이라며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리비안(-5.85%), 루시드(-3.97%)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가 하락했으며, 장중 8%까지 상승세를 보였던 테슬라도 2.92% 상승으로 상승폭을 축소했음.
  • 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머티, 에코앤드림, 코스모신소재, 나노신소재, 디아이티, 금양, 엘앤에프,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사조대림 61,600원(+29.96%)
    : 수산 테마 상승 및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에 상한가
  • 사조산업 49,700원(+29.93%)
    : 수산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에 사조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 사조씨푸드 6,090원(+29.85%)
    : 수산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에 사조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 스킨앤스킨 1,058원(+29.98%)
    :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사조오양 12,580원(+29.82%)
    : 수산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에 사조 그룹주 상승 속 급등
  • CJ씨푸드 6,320원(+24.17%)
    : K-푸드 글로벌 훈풍 지속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 그리드위즈 49,500원(+23.75%)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에스앤디 56,300원(+20.17%)
    :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및 삼양식품 불닭시리즈 열풍 속 동반 성장 분석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민테크 10,590원(+19.80%)
    : 정부·현대차·LG엔솔 등 교체형배터리 사업 추진 소식 속 EIS 기반 3세대 배터리 진단 기술 상용화 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 제주맥주 1,469원(+17.52%)
    : K-푸드 글로벌 훈풍 지속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흥국에프엔비 2,815원(+16.32%)
    : K-푸드 글로벌 훈풍 지속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사조동아원 1,211원(+15.77%)
    :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에 사조 그룹주 상승 속 급등
  • 꿈비 10,660원(+15.49%)
    : 尹 정부 두번째 저출산 대책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 진시스템 7,700원(+14.93%)
    : 日 치사율 30% 식인 박테리아 감염병 폭증 소식 속 동전만한 크기(38㎜×25㎜)의 진단키트에 진단시약을 내재화하는 바이오칩 기술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 셀바이오휴먼텍 4,510원(+14.32%)
    :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삼양사 58,900원(+13.49%)
    : K-푸드 글로벌 훈풍 지속 및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시장 필두로 글로벌 수출 시작 소식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세화피앤씨 1,180원(+12.92%)
    :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하나머티리얼즈 58,800원(+12.86%)
    :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 선진뷰티사이언스 22,200원(+12.69%)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180억원(자기자본대비 24.71%) 규모 신규시설투자 결정에 급등
  • 셀루메드 1,819원(+11.80%)
    : 정부·현대차·LG엔솔 등 교체형배터리 사업 추진 소식 속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사업 부각에 급등
  • 로체시스템즈 14,300원(+11.54%)
    : 美 필라델피아 지수 강세 속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오가닉티코스메틱 150원(+11.11%)
    :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바이온 1,111원(+10.99%)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100억원 규모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에 급등
  • 제이준코스메틱 8,250원(+10.44%)
    : 6월 美 화장품 수출 호조 영향 지속 및 화장품 업황 빅 사이클 진입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샤페론 2,105원(+9.86%)
    : 美 피부과 전문 기업 새딕 리서치 그룹과 공동 협약 체결 소식에 급등
  • 티씨케이 141,400원(+9.61%)
    : 美 필라델피아 지수 강세 속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리포트요약

#CJ대한통운

[대신 / 양지환,이지니 / Buy / 목표가 175,000원 / 현재가 99,500원]

사촌동맹으로 연간 3천억원 매출 증가 기대
  • 신세계 물량 협력 이후 이마트 물량까지 협력 시 추가 물량 증가 기대
  • C-commerce 관련 우려 있지만, 2분기 약 1,800만건의 물량 처리 예상

#SK하이닉스

[현대차 / 노근창,윤동욱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222,000원]

차별화된 Packaging 공법을 통해 NVIDIA내 1등 지위 향후에도 유지될 전망
  • 동사의 6개월 목표주가를 HBM 시장의 성장성을 반영하여 270,000원 (2024년 지배주주 BPS에 Target P/B Multiple 3.0배 적용)으로 상향하며 매수 의견 유지
  • 동사의 2분기 DRAM과 NAND Bit Growth는 기존 추정치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HBM의 매출액 비중이 1분기 대비 상승하면서 영업이익은 기존 추정치를 17.6% 상회하는 4.9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동사의 차별화된 MR-MUF Packaging 공법은 HBM3E에서도 빛을 발하고 있으며 생산 수율은 업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고객사 내 입지는 더욱 견고해지고 있음.

#삼양식품

[키움 / 박상준,신대현 / BUY / 목표가 830,000원 / 현재가 612,000원]

미국, 유럽 확장으로 높아질 가치
  • 2분기 영업이익 젂망치 812억원으로 상향
  • 판매량 상승세에 더해지는 ASP 상승 모멘텀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830,000원으로 상향

#삼영

[하나 / 김성호 / 현재가 3,650원]

전기차, ESS 콘덴서 핵심소재 국내 유일 양산
  • 커패시터 필름 쇼티지, 하반기가 기대되는 이유
  • 글로벌 수요에 맞춰 CAPA 증설 완료, 가격도 긍정적
  • 2024년 매출액 1,432억원, 영업이익 114억원 전망

#삼성전자

[현대차 / 노근창,윤동욱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8,600원]

메모리 반도체 수급 개선으로 실적 개선 이어질 전망
  • HBM3E의 NVIDIA 진입 여부가 Trigger가 될 전망
  • 2분기 매출액은 Galaxy S24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과 SDC 실적 개선에 힘입어 QoQ로 6.9% 증가한 76.8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동원산업

[흥국 / 박종렬 / BUY / 목표가 63,000원 / 현재가 34,650원]

주가 재평가 이유 충분
  • 자회사의 고른 실적 개선, 연결영업이익 증익 추세로 전환
  • 주주환원의 귀감+성장동력 확보에 매진

#DN오토모티브

[하나 / 송선재,강민아 / 현재가 84,600원]

동아타이어와 합병을 결의
  • DN오토모티브:동아타이어=1:0.1558169 비율로 합병
  • 지주회사 요건을 맞추기 위한 선택
  • 시너지가 크다고는 볼 수 없음. DN솔루션즈 상장 일정에는 큰 변화 없을 듯

#명신산업

[대신 / 김귀연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5,460원]

불필요한 우려, 필요한 관심
  • 2Q24 매출 4,892억(YoY +5%, 이하 YoY), OP 589억원(-24%), OPM 12% 예상
  • 엠에스오토텍(모회사) 거버넌스 개선에 따른 밸류업 기대

#화신

[다올투자 / 유지웅,강민정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2,570원]

눈높이 상향조정
  • 실적 상향조정 및 적정주가 상향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적정주가는 18,000원으로 상향.
  • 2Q24 실적에 대한 눈높이 상향조정이 필요한 국면이며, 완성차의 미국/인도/중국 지역의 해외사업 호조세가 나타나기 시작.
  • 중소형 자동차 부품주의 re-rating 초입으로 판단되며, 동사 역시 재평가 시점으로 판단

#LG디스플레이

[현대차 / 김종배 / BUY / 목표가 12,500원 / 현재가 10,060원]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흐름
  • 24년 2분기 매출액 6조 2,390억원(YoY +31.7%), 영업이익 -3,690억원(YoY 적자축소)를 예상
  • 1) IT OLED의 매출 확대, 2) LCD 및 OLED TV 출하 확대 및 패널가 상승, 3) 우호적인 환율 지속 등으로 2분기 Mobile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영업적자 폭은 축소될 것으로 보임

#인바디

[신한투자 / 허성규,이병화 / 현재가 25,900원]

언젠간 부각될 美 수출 실적
  • 점진적으로 부각될 해외 실적
  • 미국 포함 선진국 시장에서 고ASP 제품의 수요가 승부처

#키이스트

[DB금융 / 신은정 / 현재가 5,950원]

별들에게 그만 물어봐도 될 듯
  • 24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750억원(+44.2%yoy), 영업이익 20억원(흑전yoy)이 예상된다(OPM 2~3% 수준 추정)
  • 최근 에스엠의 비주력 계열사 매각 관련 이슈에 따라 주가는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큐에스아이

[한국IR협의회 / 박성순,박서연 / 현재가 9,110원]

제품 다양화 시도 중
  •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 업체
  • 신규 아이템으로 제품 다변화 시도
  • 2024년 흑자전환 전망

#덕산하이메탈

[유안타 / 권명준 / 현재가 7,590원]

이리봐도 저리봐도 저평가 국면!
  • 본업에서의 성장
  • 기대되는 2개의 자회사
  • 절대적 저평가 국면

#한화생명

[현대차 / 이홍재,장영임 / BUY / 목표가 4,000원 / 현재가 2,710원]

초과 하락세에서는 벗어날 것
  • 상대적인 주가 상승률은 당분간 횡보 예상
  • 신계약 물량 하락하지만 CSM 증가율은 방어될 전망

#넥스틸

[하나 / 박성봉,이상훈 / 현재가 10,170원]

IPO주관사 업데이트: 인내의 시간
  • 수출 중심의 에너지용 강관 전문 기업
  • 1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 급감, 2분기 영업실적은 다소 회복 전망
  • 2024년 매출액 5,309억원, 영업이익 566억원 예상

#칩스앤미디어

[현대차 / 박준영 / BUY / 목표가 39,000원 / 현재가 23,400원]

온디바이스 AI와 NPU 시장 개화의 실질적 수혜주
  • 금번 Computex 2024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주제는 AI PC(Copilot+ PC)의 본격적 개화
  • 동사는 글로벌 선두 팹리스 기업 Qualcomm의 X-Elite향으로 영상 코덱을 납품하고 있음
  • 또한 금년 내 후속작 X-Elite +향으로도 License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

#하이비젼시스템

[메리츠 / 양승수 / 현재가 25,150원]

탐방노트: 온디바이스 AI 받고 복합장비사로
  • 하이비젼시스템은 2002년 설립된 자동화 검사 장비 전문기업으로 주로 카메라 모듈 검사 장비를 양산, 공급 중
  • 1) 견조한 CCM 장비 매출
  • 2) 2차전지향 수주금액 확대
  • 3) 신사업(반도체 웨이퍼 후공정 AOI 장비 + 시약 이물 자동화 검사 장비) 순항

#하이비젼시스템

[키움 / 오현진 / 현재가 25,150원]

깊고 넓어지는 성장
  • 24년, 지속되는 실적 성장
  •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로 넓어지는 타겟 시장
  • 복합 장비 기업으로 변화, 기업가치 리레이팅 필요

#티에스이

[대신 / 신석환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6,700원]

25년 신제품 공급 기대감 유효
  • 2Q24 연결 매출액 681억원(QoQ +17%), 영업이익 12억원(QoQ 흑전) 추정
  • NAND용 프로브카드 매출은 저점을 지나는 과정에 있으며 하반기 정상화 기대
  • 25년 HBM/범용 DRAM 프로브카드 및 HBM 다이캐리어 소켓 공급 기대

#비씨엔씨

[NH투자 / 심의섭,황지현 / 현재가 18,930원]

비씨엔씨
  • 이미 시작된 업황 턴어라운드와 지속되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 방향은 위, 기울기는 하반기 실적을 통해 확인

#NEW

[DB금융 / 신은정 / 현재가 3,060원]

설계자는 설계한 대로 되지 않았지만…
  • 영화는 5월 설계자, 드라마는 7월 화인가부터 영업 시작

#하나머티리얼즈

[신한투자 / 오강호 / 매수 / 목표가 67,000원 / 현재가 52,100원]

우리도 있습니다
  • 하반기 실적 개선 본격화로 주가 우상향 전망
  • 2H24 실적 성장 본격화 이유는 수요 개선, 주가 선행 가능 구간 판단

#에이비온

[아이브이리서치 / 리서치센터 / 현재가 11,120원]

경쟁사 1,200 억원 투자유치, 메가트렌드 ADC
  • 경쟁사 1,200 억원 투자유치
  • 메가트렌드 ADC 에 탑승

#라온테크

[KB / 한유건,성현동,김선봉 / 현재가 8,050원]

2분기를 기점으로 하방경직성 확보
  • 1분기 다소 아쉬운 실적 기록
  • 국내 신규 고객사 확대 추세
  • 올해 중국향 매출비중 확대 기조
  • 2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주가 바텀 형성 예상

#에이스토리

[DB금융 / 신은정 / 현재가 10,260원]

아직도 돈 벌어 오는 ‘우 to the 영 to the 우’
  • 불황에도 영업 흑자 지속 + 해외 매출도 기대해보자

#펌텍코리아

[현대차 / 하희지 / 현재가 43,500원]

수주가 끝이 없네!
  • K-Beauty 우호적인 업황 아래 화장품 전 Value-Chain 낙수 효과 나타나는 중
  • 이에 따라, 펌텍코리아 또한 매년 최대 실적 경신하고 있음
  • 2분기 성수기 진입에 따라 펌텍코리아 2Q24 매출액 843억원(+11%yoy), 영업이익 116억원(+12.1%yoy, OPM 13.8%)으로 분기 최대 실적 기록 전망

#에이피알

[현대차 / 곽민정 / BUY / 목표가 520,000원 / 현재가 371,000원]

강화되는 브랜드 파워, 확대되는 글로벌 시장
  • 미국 뷰티 디바이스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은 제품 승인 및 출시 건수의 증가와 고령 인구의 증가임
  • 향후 실리콘투와의 협업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및 차별화된 기술적 해자(소비자 데이터 확보)와 마케팅 능력을 기반으로 화장품과 홈뷰티 디바이스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함

#코퍼스코리아

[DB금융 / 신은정 / 현재가 1,370원]

긴 터널을 지나는 중
  • 부진한 업황에 치이고 엔저에 치인다

#뉴로메카

[유안타 / 권명준 / 현재가 32,000원]

기대되는 매출 성장
  • 경쟁력에 주목
  • 제조용 용접로봇
  • F&B 튀김로봇

#휴럼

[NH투자 / 백준기 / 현재가 1,015원]

필러사 인수가 신의 한 수였네
  • 채널 다각화로 본업 선방, 필러 자회사는 더할 나위 없이 성장 중
  • 올해도 고성장 이어지면서 업종 내 돋보이는 성장률 달성할 전망

#SK아이이테크놀로지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5,750원]

둔화된 모멘텀
  • 2분기에도 큰 폭 적자 지속
  • IRA 최종안 실망스러웠으나 기회 요인도 존재
  • 투자의견 BUY로 상향하나, 목표주가 60,000원으로 하향

#컨텍

[대신 / 이태환 / 현재가 16,140원]

우주산업은 빠르게, 시너지로 더 빠르게
  • 우주산업 다운스트림 분야 벨류체인 수직 계열화를 통한 MS 확장
  • AP위성 경영권 인수(6/11)를 통한 시너지 기대
  • 산업의 빠른 성장에 뒤쳐지지 않는 빠른 성장

#우진엔텍

[KB / 정혜정 / 현재가 38,550원]

친원전 정책의 수혜주
  •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 용역 제공 업체
  • 체크 포인트: 1) 국내 원자력 발전 설비 확대 2) 원전 해체 시장의 개화
  • 1Q24 영업이익 12.7억원 (+265.7% YoY) 기록: 신규 용역 매출 인식에 따른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 추정
  • 리스크 요인: 석탄화력발전소 규모 축소

#시프트업

[대신 / 이지은 / N Buy / 목표가 N 80,000원 / 현재가 없음]

글로벌 서브컬처 기업으로 성장 준비 완료
  • IP 파워와 모바일/콘솔 개발 역량을 모두 갖춘 국내 대표 게임사
  • 국내 경쟁사와 차별되는 투자 포인트 3가지
  • ‘스텔라 블레이드’의 흥행 성공으로 2024년 실적 큰 폭 개선 전망

#폰드그룹

[유안타 / 권명준 / 현재가 5,730원]

내수에서 해외로
  • 슈퍼드라이
  • 스파이더
  • 온라인 채널 비중 & 공격적인 브랜드 확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