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데일리 요약

(240613.THU) 주식 테마종목, 리포트 요약

by 미니토이 2024. 6. 13.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 CXL, 온디바이스 AI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 국민의힘 '전력망 특별법' 발의 논의 소식 등에 전선/전력설비 테마 상승.
  • 尹 정부 두번째 저출산 대책 발표 전망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 홈뷰티 시장 성장 전망 등에 미용기기 테마 상승.
  • 라니냐 발생으로 곡물 가격 상승 속 가격 전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및 K-푸드 열풍 지속 등에 음식료업종/수산 테마 상승. 때이른 무더위 지속 등에 일부 여름/주류업 테마도 상승.
  • 美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가능성 높다는 분석 속 일부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 동해 석유·가스전 사업 관련 포항영일만신항만 확장 가능성 제기 등에 셰일가스, 자원개발, 피팅/밸브, LPG, 도시가스 등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 테마 상승.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SK에코플랜트-카자흐산업건설부-타우켄삼룩과 카자흐스탄 동부 바케노 지역 리튬 광구 탐사 관련 MOU 체결 소식 등에 리튬 테마 상승.
  • 파리 올림픽서 세계 최초 UAM 상용화 기대감 및 현대차그룹 오는 7월 인도네시아에서 에어택시 실증테스트 시작 게획 소식 등에 UAM 테마 상승.
  • 그라비티, 신작 '라그나로크: 여명' 중국 판호 취득 소식 속 일부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 이 외에, 일자리, 니켈, 면세점, 보안주(물리), 보톡스, 건강기능식품, 웹툰, 마이크로 LED, 치아 치료, 우주항공산업, 제지, PCB, 종합 물류, 카메라모듈/부품, 여행, AI 챗봇, 카지노, 광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전기차 관세전쟁 속 전기차 판매 둔화 우려 등에 전기차/ 2차전지 테마 하락.
  • 생명보험, 손해보험, 은행, 증권 등 금융 테마 하락.
  • 이 외에 애플페이, 화학섬유, 영화, 홈쇼핑, 석유화학, 바이오인식, 탄소나노튜브, 日 수출 규제, NI, 자동차 대표주, 태양광에너지, 야놀자, 모바일솔루션, 맥신, 타이어, 원자력발전, 조선, 통신, 사료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연내 금리 인하 전망 횟수 축소에도 CPI 안도감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등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5.49(+2.90%) 상승한 5,520.87를 기록. 엔비디아(+3.55%), 마이크론테크놀로지(+4.21%), 퀄컴(+3.29%) 등이 상승. 특히, 브로드컴(+2.36%)은 예상치를 상회하는 2분기 실적을 공개하고, 10대 1 주식 분할을 발표하며 정규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14.62% 급등세를 기록. 브로드컴의 2분기 매출은 124억9,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 120억1,000만 달러를 웃돌았음. 주당순이익(EPS)은 10.96 달러로, 이 역시 예상치인 10.84달러를 상회.
  •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5월 C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안도감이 형성되는 모습. 美 노동부는 지난 5월 CPI가 전월대비 보합(0.0%) 수준으로 직전월 0.3% 상승보다 낮아졌다고 발표.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0.1% 상승을 밑도는 수치임. 전년동월대비로도 3.3% 상승해 전월치인 3.4% 상승보다 낮아졌음.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5월 근원 CPI도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3.4%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고, 전월치보다 낮았음.
  • 또한, KB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해 수익성이 높은 고대역폭메모리(HBM) 매출 비중이 DRAM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이라며, 올해 DRAM 평균판매단가(ASP)가 전년 동기 대비 79% 상승하며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전망. 이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른 고용량 스토리지 엔터프라이즈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의 구조적 수요 증가로 1분기 흑자 전환한 NAND 부문이 2분기부터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올해 영업이익이 과거 최대치인 2018년의 20조8,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돼 6년 만의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5월28일 리포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삼성전자의 HBM3e가 예정된 기한 내로 엔비디아의 인증을 통과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고 설명. 투자가들은 삼성전자의 HBM3e 전력 소비가 경쟁사 대비 높다는 점을 지적하지만, 이는 SW 호환성이나 발열로 사용이 어려웠던 HBM3의 문제와는 다르다며, 삼성전자도 1a 공정 자체를 바꾸기는 어려워도 개선하는 조건부 인증은 가능하다는 판단이라고 밝힘.
  • 한편, 지난 11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에 사용되는 반도체 기술에 중국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추가로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짐. 논의되는 대상은 게이트올어라운드(GAA·Gate All Around)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최신 기술이라고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오로스테크놀로지, 에이직랜드, 사피엔반도체, 큐알티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화장품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상승

  •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K-뷰티의 글로벌 확장과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로 2024년 화장품 업종이 KOPSI 지수를 상회하며 상승하고 있다고 언급. 신규 매출 창출도 중요한데, 이는 글로벌 유통채널 입점, 신규 고객사 확보, 신제품 출시, 인수합병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밝힘.
  • 아울러 K-뷰티 성장은 브랜드 성공뿐만 아니라 유통 플랫폼과 화장품 제조사(OEM/ODM)들의 동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 유통 플랫폼들은 K-뷰티 제품의 해외 진출을 돕고, 이커머스 발달로 글로벌 매출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플랫폼들은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분석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 또한, 화장품 제조사들은 높은 기술력과 품질 관리로 글로벌 브랜드와 협업하며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
  • 이 같은 소식에 마녀공장, 에이블씨엔씨, 코스맥스, 청담글로벌, 토니모리, 브이티, 씨티케이, 펌텍코리아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전선/전력설비

국민의힘 '전력망 특별법' 발의 논의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민의힘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산업단지 발전의 기반이 되는 ‘전력망 특별법’을 추진한다고 전해짐. 국민의힘 에너지특별위원회는 이르면 13일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 특별법)’을 특위 1호 법안으로 발의할 예정. 전력망 특별법은 갈수록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망을 대폭 강화하는 법으로 법안에는 장거리 송전망 신설 등을 위해 전력망확충위원회 설치, 인허가 절차 개선, 차별화된 지원 체계 마련 등이 담길 예정.
  • 업계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전환,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美 노후 송전망 교체 등 세계적으로 전력망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내 전력기기·전선 회사들의 투자도 확대되고 있음. 전일 효성중공업은 1,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멤피스와 경상남도 창원에 있는 초고압변압기 공장을 증설한다며, 초고압변압기 생산능력을 1.4배 확대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힘. LS에코에너지도 지난 11일(현지시간) 북해 해상풍력 사업과 관련해 영국 북동부 지역 타인항과 부지 임대를 위한 우선협상권을 확보했으며, 대한전선은 지난 6일 글로벌 인프라 그룹인 발포어 비티에 3,800만달러 규모의 초고압(132kV) 전력망을 공급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대원전선, 제룡산업, LS에코에너지, 일진전기, 가온전선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가 상승.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尹 정부 두번째 저출산 대책 발표 전망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의 새 저출산 대책이 다음주 발표될 것으로 보도됨. 주중 발표될 예정으로 19일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음. 이와 관련, 다음주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저고위)는 윤 정부 두 번째 저출산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는 지난해 3월 첫 발표에 이어 1년3개월 만임.
  • 저고위는 이번 대책에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해 일·가정 양립, 양육, 주거 분야 등을 3대 핵심분야로 보고 이에 주력한 내용을 발표하며, 특히 양육을 사회 공동체 책임이라는 원칙 하에 '퍼블릭 케어'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으로 알려짐.
  • 주형환 부위원장은 12일 제1차 인구전략 공동포럼에 참석해 "윤석열 정부 임기 내 초저출생 흐름을 반등시키기 위한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10년이 저출생 대응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비상한 각오를 가지고 대책을 준비 중"이라며 "각계 각층과의 협의체를 통해 범사회적 대응노력을 강화해 가족친화적인 사회분위기 조성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꿈비, 아가방컴퍼니, 네오팜, 제로투세븐, 깨끗한나라, 삼성출판사 등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가 상승.

미용기기

홈뷰티 시장 성장 전망 등에 상승

  • 미래에셋증권은 LG전자(IT기업), 로레알(화장품 기업), 동국제약(제약사), 클래시스(의료기기) 등 정말 다양한 산업에서 활동하던 기업들이 앞다투어 홈뷰티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고 밝힘. 가장 큰 이유는 단연 성장성이며, 2023년 5조원이었던 글로벌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은 매년 35% 성장하여 2030년에는 4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이 과정에서 전체 피부미용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1.7%에서 2030년에는 1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성장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기술이며,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는 말을 바꿔 말하면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 AI는 물론이고, IT 기술, 에너지 기술, 바이오 기술, 화학 기술, 약물전달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융복합되며 혁신 홈뷰티 기기가 개발되고 출시되고 있으며, 연관 산업인 화장품도 중국시장 중심으로 확산되었던 몇년 전과 달리 K-Beauty의 매운맛을 전세계에 보여주며 홈뷰티 성장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고 설명.
  • 이와 관련 비올, 레이저옵텍, 파마리서치, 원텍 등 미용기기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라니냐 발생으로 곡물 가격 상승 속 가격 전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기후 변화에 따라 곡물 가격 변동성도 심화되는 국면인 가운데, 지난해 발생했던 엘니뇨가 소멸되고 올해 하반기 라니냐 발생 가능성이 점증되고 있다고 언급. 라니냐는 유가, 곡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가격 전가가 용이한 해외 비중 높은 기업이 선호된다고 언급.
  • 현재의 기후 변화를 고려하면 곡물 가격은 올해 연말~내년 상반기 본격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언급. 통상적으로 곡물의 투입 시기는 매입 시기 대비 약 6개월 정도의 lagging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음식료 기업들의 원가 부담은 2H25부터 가중될 것이라고 밝힘. 곡물 가격 상승은 음식료 기업들에게 가격 인상의 명분으로 작용하나, 단기적으로는 원가 부담에 따른 매출총이익률 훼손이 불가피하다고 설명.
  • 한편, 최근 불닭볶음면, 라면, 냉동김밥, 김, 막걸리 등 K-푸드 열풍 등으로 음식료업종 관련 종목들에 대한 수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KB증권은 에스앤디에 대해 삼양식품의 불닭시리즈가 중국, 동남아, 미국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고스란히 불닭시리즈 액상, 분말 스프의 핵심 원료를 독점 공급하는 동사의 동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에 에스앤디, 우양, 푸드웰, 엠에스씨, 샘표식품, 신송홀딩스, 대상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美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가능성 높다는 분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교보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6/12일 Biosecure Act(생물보안법)가 하원 NDAA 수정안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소식에 중국 기업의 주가가 반등하고 국내 관련주는 하락했다고 밝힘. 다만, 동 법안의 연내 통과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며, 이는 NDAA에 포함되지 않은 단독 입법이나 상원 NDAA 포함 후 통과도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
  • 이와 관련, 미국은 중국의 바이오 굴기를 큰 위협으로 인식 중이라며, 2024 Bio USA에서도 드러났듯 미국 기업들은 이미 중국 바이오 기업을 본인들의 공급망에서 제외하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밝힘. 기술적으로 법안 통과가 소폭 지연되는 것은 미중 바이오 패권 경쟁의 흐름을 바꾸지 못할 것이라고 언급.
  •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바이넥스, 한올바이오파마, SK바이오사이언스, 이연제약 등 일부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전기차/ 2차전지

전기차 관세전쟁 속 전기차 판매 둔화 우려 등에 하락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전기차를 둘러싼 서방과 중국의 무역 대결 여파에 전기차 판매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 블룸버그NEF(BNEF)는 12일(현지시간) 2026년 배터리 전기자동차 판매 전망치를 기존 2,010만대에서 1,770만대로 하향 조정했으며, 2024년 판매 전망은 1,290만대에서 1,110만대로, 2025년 전망은 1,660만대에서 1,400만대로 수정했음. 이와 관련 콜린 맥케라처 BNEF 애널리스트 팀은 "일부 시장은 상당한 둔화를 겪고 있으며, 많은 제조사는 전기차 목표를 미뤘다"고 밝힘.
  • 아울러 BNEF는 중국이 배터리 산업에 수백억달러에 달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했으며, 수요를 넘는 생산량에 배터리 가격이 극적으로 낮아지고 있다고 밝힘. 그 결과 중국은 유일한 소비자 주도의 전기차 판매 급증 지점에 도달한 유일한 대형 자동차 시장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반면 다른 나라에서는 배터리 가격 하락 폭이 크지 않고, 이로 인해 미국, 독일, 일본, 이탈리아, 영국 등에서 향후 4년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포함해 전기차 판매 전망을 하향했다고 설명.
  • 한편, 전일 EU 집행위원회는 내달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기존 10% 관세에 더해 17~38%P의 잠정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계획을 중국 당국과 대상 업체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대주전자재료, 신흥에스이씨, 상아프론테크, SK아이이테크놀로지, 삼아알미늄, 솔브레인, 더블유씨피 등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에스앤디 46,850원(+29.96%)
    :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삼양식품 불닭시리즈 열풍 속 동반 성장 분석 등에 상한가
  • CNH 2,560원(+29.69%)
    : 최대주주 그래닛홀딩스, 동사 경영권 매각 추진 소식에 급등
  • 마녀공장 28,950원(+20.37%)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포스코인터내셔널 65,700원(+20.11%)
    : 동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 참여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와이씨 21,900원(+17.62%)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HBM 테스트 공정 주목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자비스 2,910원(+17.10%)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청담글로벌 10,130원(+16.84%)
    : 화장품 및 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 덕산테코피아 57,700원(+14.71%)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토니모리 14,910원(+14.69%)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수출 유통 채널 확대 전망 등에 급등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3,145원(+13.13%)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국가스공사 51,800원(+13.10%)
    : 동해 석유·가스전 개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웨이버스 1,875원(+11.87%)
    : 동해 석유·가스전 개발 기대감 지속 속 한국석유공사와 탄성파 탐사 공동특허 출원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 에이에스텍 47,050원(+11.10%)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엠에스씨 5,990원(+10.52%)
    : 라니냐 발생으로 곡물 가격 상승 속 가격 전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레뷰코퍼레이션 12,350원(+10.37%)
    : 해외 사업 구조 개편 기대감 등에 급등
  • 에이블씨엔씨 10,550원(+10.36%)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선진뷰티사이언스 19,700원(+9.69%)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티앤엘 67,900원(+9.34%)
    :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예스티 21,400원(+9.18%)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오로스테크놀로지 25,600원(+9.17%)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아이엠티 21,600원(+9.09%)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대원전선 3,635원(+9.00%)
    : 국민의힘 '전력망 특별법' 발의 논의 소식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속 급등
  • 셀루메드 1,627원(+8.98%)
    : 덴탈 골이식재 공급 확대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감 지속에 강세
  • 한미반도체 189,000원(+8.68%)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내년 매출액 1조원 달성 기대감 지속에 강세
  • 브이티 38,000원(+8.57%)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강세
  • 씨티케이 8,110원(+8.57%)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북미 시장 OTC 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에 강세
  • 에이직랜드 49,650원(+8.52%)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강세
  • 코스맥스 184,100원(+8.23%)
    : K-뷰티 글로벌 확장 및 다양한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강세
  • 사피엔반도체 25,950원(+8.13%)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및 SK하이닉스, 6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강세
  • 꿈비 9,230원(+8.08%)
    : 尹 정부 두번째 저출산 대책 발표 전망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속 강세
  • 레이 12,330원(+8.06%)
    : 美 FDA 인증 3D 투명 교정장치 공급 개시 소식에 강세

 

 

리포트요약

#유한양행

[다올투자 / 이지수,임도영 / BUY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74,300원]

미국 진출에 가까워지는 중
  • 하반기내 레이저티닙 미국 출시 기대
  • 3Q24 중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1차 치료제 FDA 허가 획득 예상
  •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우선심사 (Priority Review) 대상 지정되어 8월 이내 FDA 허가 획득 기대

#SK하이닉스

[KB / 김동원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215,000원]

6년 만의 최대 실적 전망
  • 목표주가 280,000원으로 +16.6% 상향
  • 2분기 영업이익 5조원, 3Q18 이후 최대
  • 2024년 영업이익 219조원, 역대 최대

#한화

[흥국 / 박종렬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6,350원]

주주환원 확대 노력 필요
  • 2Q 영업이익 2,964억원(-0.8% YoY) 부진한 실적 전망
  • 연간 부진한 실적 불가피, 실적 모멘텀은 상저하고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0,000원 하향

#페이퍼코리아

[한국IR협의회 / 김선호,이희경 / 현재가 826원]

포장용지 1위 업체
  • 포장용지 국내 1위 업체
  • 기존 공장부지를 아파트 단지로 개발
  • 재무적 턴어라운드: 영업이익>이자비용

#농심

[대신 / 정한솔 / Buy / 목표가 550,000원 / 현재가 544,000원]

중장기 성장을 위한 투자는 긍정적
  • 증가하는 국내외 라면 수요 대응을 위해 신규 물류센터 건립 결정
  • 물류 경쟁력 확보는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전망
  • 2Q24 매출액 8,982 억원(YoY 7.2%), 영업이익 518 억원(YoY -3.5%) 예상

#롯데지주

[흥국 / 박종렬 / BUY / 목표가 37,000원 / 현재가 25,200원]

전향적인 주주환원 기대
  • 2Q OP 1,717억원(+8.2% YoY)로 전분기 부진 만회 전망
  • 2024년은 실적 턴어라운드의 원년이 될 것
  • 기존 BUY 의견과 목표주가 37,000원 하향

#현대차

[SK / 윤혁진,박준형 / 매수 / 목표가 330,000원 / 현재가 270,000원]

대 주주환원의 시대(주주 환원율 얼마까지 보고 오셨어요?)
  • 2Q24 매출액 43.1조원(+2.0% YoY), 영업이익 4.2조원(-0.7%), OPM 9.8 전망
  • 현대차 올해 인도법인 IPO, 보스턴다이내믹스 상장에 따른 가치 재평가 가능
  • 주주환원율은 현재의 25%에서 자사주 2조원 매입 시 40%로 상승
  • 실적 전망치 상향, Peer 기업 주가 상승을 반영하여,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 기존 29만원에서 33만원으로 상향

#POSCO홀딩스

[현대차 / 박현욱 / BUY / 목표가 570,000원 / 현재가 377,000원]

저평가 매력 충분. 투자심리 개선 기대
  • 24년 2분기 영업이익은 6,718억원으로 예상되며 당사 추정치는 컨센서스 수준
  • 1) 현재 주가는 부진한 철강 업황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으나 리튬 사업부에 대한 가치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고, 2)실적도 작년 4분기를 저점으로 완만히 호전되면서 하반기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며, 3) 글로벌 특히 아시아 peer와 비교해서 valuation 매력이 있다고 판단

#삼성중공업

[신영 / 엄경아 / 매수 / 목표가 12,000원 / 현재가 9,140원]

러시아 수주물량 절차상 취소
  • 전일(6/12) 계약 종료일을 변경하는 2건 사항을 공시함
  • 러시아 계약물량, 제재 이후 밟아야 하는 절차, 현재 영업에 영향 없음

#삼성중공업

[신한투자 / 이동헌 / 현재가 9,140원]

신한 속보
  • 러시아 즈베즈다 프로젝트 계약 취소 공시
  • 당장의 실질적 영향은 제한적

#DS단석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100,700원]

Post IPO: 1분기를 저점으로 점진적 회복 전망
  • 폐자원 리사이클링 전문 기업
  •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배터리 부문 선방 지속

#한섬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17,92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4E 매출액 3,463억원(+0.2%, 이하 yoy), 영업이익 72억원(+24.0%) 전망
  • 키스(KITH: 스니커즈 편집샵) 브랜드 독점 유통 계약. 5월 31일 성수동에 첫 매장 오픈하여 연일 오픈런 및 웨이팅 대란
  • 키스를 통해 가장 트렌디한 브랜드 캐치 가능, 향후 수입, 인수, 콜라보까지 이어지는 시너지 기대

#삼성물산

[NH투자 / 김동양,이승영 / Buy / 목표가 210,000원 / 현재가 135,500원]

안정적 성장 진행 중
  • 안정적 성장 진행 중
  • 2분기 실적 Preview: 시장 컨센서스 충족 전망

#신세계인터내셔날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24,000원 / 현재가 17,560원]

실적 및 추이 전망
  • 2Q24E 매출액 3,306억원(-1.0%, 이하 yoy), 영업이익 156억원(-15.3%) 예상
  • Zalpha의 다양한 취향을 아우르는 더로우, 크롬하츠, 어그 브랜드 고신장 흐름
  • 더로우(3월 말 신규 런칭 브랜드) 가시적인 매출 성장세

#CJ ENM

[유진투자 / 이현지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5,5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1) 티빙 야구 중계, 예능 중심 편성, 요금제 인상 및 광고 요금제 출시 등 다양한 콘텐츠 및 가격 정책 도입하며 손실폭 크게 축소할 것으로 전망
  • 2) 올해는 작년 대비 콘텐츠 딜리버리 편수 확대되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 기대
  • 3) 제로베이스원, JO1, INI에 이어 올해 2팀의 신인 걸그룹 데뷔로 자체 아티스트 활동 활발하게 이어지며 음악 고성장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며, 커머스도 수익성 회복됨에 따라 연결 수익성 견인할 것으로 전망

#엔씨소프트

[KB / 이선화,류은애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5,900원]

옳게 된 주식이란 이런 거야
  • 2Q24 Preview: 영업이익 49억원 (-86.0% YoY)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
  • 2024년 경영 효율화로 체질 개선, 2025년 M&A와 신작 출시로 외형 확장 기대
  • 하반기 블소2 출시로 중국 공략

#에스엠

[유진투자 / 이현지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1,4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1) NCT Dream이 외형을 견인하는 가운데 에스파, 라이즈 등 저연차 아티스트의 고성장 지속되며 수익화 시기 빨라지는 중. 올해부터 일본/미국향 앨범 다수 준비하며 그동안 약점으로 꼽혀왔던 글로벌 활동 확대되는 점 긍정적. 지역적 확장 기대
  • 2) 1분기 NCT WISH 데뷔 이후 하반기 신인 걸그룹 및 영국 보이그룹 데뷔하며 신인 모멘텀 풍부. 올해부터 다채로운 신규 IP 확보하며 저연차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변경하고 있는 점 고무적
  • 3) 12MF PER 1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 높음

#브리지텍

[그로쓰리서치 / 이재모,김주형 / 현재가 7,630원]

케이뱅크 지분만으로 시총의 절반 !?
  • 콜센터 인프라 구축 전문 기업
  • 아날로그에서 AI 콜센터로의 전환
  • 시가총액 900억, 케이뱅크 지분만 480억

#휠라홀딩스

[하나 / 서현정 / BUY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9,350원]

회복의 징후들
  • 1분기 영업이익 1,633억원(YoY 2%) 기록
  • 구조조정 효과 가시화

#롯데렌탈

[NH투자 / 주영훈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7,850원]

하반기를 대비할 때
  • 하반기,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기대
  • 2Q24 Preview: 단기 실적 측면에서 마지막 고비

#한중엔시에스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49,900원]

따라올 테면 따라와 봐
  • 수냉식 ESS 냉각 시스템 전문 기업
  • 전력 소비 패턴 변화에 따른 ESS 수요 급증, 냉각 시스템 중요도↑
  • 대용량 ESS, 수냉식 쿨링 시스템 니즈 증가에 최적화

#디아이티

[하나 / 김민경,김록호 / 현재가 23,750원]

레이저 장비의 성장을 기대
  • 1Q24 Review: 레이저 솔루션 비중 확대로 믹스 개선
  • 2024 Preview: 반도체 장비 매출 성장의 원년
  • 메모리 반도체의 레이저 어닐링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

#리가켐바이오

[다올투자 / 이지수,임도영 / N BUY / 목표가 N 97,000원 / 현재가 67,300원]

앞으로가 기대되는 ADC 강자
  • 커버리지 개시. ADC 플랫폼 기술 기반으로 다수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 임상 성과에 따라 추가 L/O 기대
  • 리가켐바이오에 대한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97,000원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 리가켐바이오는 ADC(항체-약물 접합체)에서 항체와 약물을 연결하는 링커와 결합 기술, 타겟 암세포에서 활성화되는 약물(페이로드) 기술 보유

#헥토이노베이션

[그로쓰리서치 / 이재모,김주형 / 현재가 13,200원]

케이뱅크 지분에 더해 주주환원까지!
  • 2차 본인인증 및 보안/보호 서비스 전문회사
  • AI 활용한 스미싱 대응 솔루션 개발
  • 케이뱅크 지분 0.27% 보유 + 주주환원계획

#토니모리

[유안타 / 이승은 / 현재가 13,000원]

본업과 자회사의 환상적인 콜라보
  • 1Q24 Review: 매출액 +33.9%, 영업이익 329% YoY
  • 투자포인트 Big 3. MBS, 수출, 메가코스

#심텍

[대신 / 박강호 / Buy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3,900원]

굿 뉴스를 체크하자
  • 북미 스마트폰 업체향 MCP(반도체 패키지) 공급 확대
  • 2Q 영업이익은 71억원(흑전 yoy/qoq) 추정, 하반기 실적 개선 확대
  • 메모리향 패키지 성장 속에 고부가(FC CSP, SiP) 매출 비중 증가

#오스테오닉

[SK / 허선재 / 현재가 4,800원]

풍부한 하반기 수출 모멘텀에 주목
  • 충분한 가격/기간 조정, 지금은 하반기 모멘텀에 주목할 시점
  • 2H24 부터 전 제품군에 대한 본격적인 수출 확대 이뤄질 전망
  • 24 년 영업이익 +75% 성장하며 사상 최대 실적 경신 전망

#에스티팜

[삼성 / 서근희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94,300원]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시대 임박
  • 2024년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상업화 물량 증가로 영업이익 462억원(+37.8% y-y) 전망
  • 경쟁자의 생존 여부가 중요

#두산밥캣

[신한투자 / 이동헌 / 현재가 54,400원]

신한 속보
  • 모트롤 인수 발표
  • 본격화되는 M&A 전략과 사업 확장

#두산밥캣

[키움 / 이한결 / 현재가 54,400원]

모트롤 인수 관련 코멘트
  • 6월 12일 장 중 ㈜모트롤 지분 100%를 2,460억원에 취득 공시
  • 두산밥캣과 모트롤 양사 시너지 발생 전망
  • 이번 인수로 단기 기업가치에 영향은 제한적, 추가 M&A 기대

#펌텍코리아

[유안타 / 이승은 / 현재가 40,750원]

글로벌 브랜드와 협력 강화
  • 핵심경쟁력: 자체모델금형(Free mold), 자동화, 친환경 대응
  • 2분기 Preview: 매출액 830억원, 영업이익 115억원 예상
  • 하반기 전망: 해외 고객사 협력 강화 기대

#실리콘투

[유안타 / 이승은 / Buy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50,300원]

군계일학(群鷄一鶴)
  • 미국, 유럽에 이어 글로벌 시장 확대
  •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브랜드 포트폴리오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만원으로 신규 커버리지 개시

#크래프톤

[한화투자 / 김소혜,이다연 / Buy / 목표가 340,000원 / 현재가 265,000원]

비수기답지 않은 호실적 전망
  • 2분기 실적은 영업이익 컨센서스 10% 상회 전망
  • 신작 모멘텀과 배그의 매출 성장 효과 동반

#크래프톤

[KB / 이선화,류은애 / BUY / 목표가 350,000원 / 현재가 265,000원]

하반기 IP 확장 본격화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5만원 유지
  • 2Q24 Preview: 영업이익 1,976억원 (+50.3% YoY)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 장기 IP 관리 능력은 입증, 신규 IP 확장 능력을 입증해야 할 때

#씨티케이

[유안타 / 이승은 / 현재가 7,470원]

美 OTC & 친환경 소재 사업 확장 기대
  • 2Q24 Preview: 전년 2분기 매출액을 초과한 수주 회복
  • 하반기 전망: 북미 OTC 사업 확대 & BIO CANADA 신규 매출 발생
  • 하반기 Event에 따라 본격적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 전망

#에스앤디

[KB / 임상국 / 현재가 36,050원]

불닭볶음면 맛은 내 손 안에 있소이다
  • 기업개요: 일반기능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생산
  • 1분기 매출액 238억원 (+30.8% YoY), 영업이익 35억원 (+72.2% YoY)
  • 투자포인트 1) K-푸드 열풍에 따른 주요 고객사와의 동반 성장 2) 일반기능식품소재 사업 다변화 3) 양호한 재무구조 및 동종업체 대비 저평가 상태
  • 리스크 요인: 주요 고객사의 높은 매출 의존도 및 매출 동향

#펄어비스

[KB / 이선화,류은애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40,250원]

따 놓은 당상
  • 2Q24 Preview: 영업적자 88억원 (적자지속 YoY)으로 컨센서스 부합 전망
  • P의 거짓으로 본 붉은사막: 게임스컴 2024에서 수상 시, 주가 추가 상승 가능
  • 검은사막 PC 중국 판호 발급, 연내 출시 기대

#에이피알

[미래에셋 / 배송이,김충현 / 매수 / 목표가 450,000원 / 현재가 368,500원]

K-뷰티와 Tech 양날개 달고 미국으로 간다
  • 홈 디바이스 잘 팔립니다
  • 화장품도 잘 팔립니다
  • 화장품/뷰티 리레이팅 진행 중. 목표주가 45만원으로 상향

#롯데이노베이트

[상상인 / 최승호 / N BUY / 목표가 N 38,000원 / 현재가 27,900원]

AI, 메타버스, 전기차: 핫한 사업부 모두 보유
  • 투자포인트: 성장 가능성 있는 자회사와 AI 전환에 주목

#효성중공업

[신한투자 / 이동헌 / 현재가 367,000원]

신한 속보
  • 창원 공장, 미국 멤피스 공장 증설 발표
  • 전력기기 초과 수요 장기화에 대한 대비

#에이비엘바이오

[다올투자 / 이지수,임도영 / N BUY / 목표가 N 36,000원 / 현재가 22,500원]

암부터 치매까지 커버 가능한 기업
  • 커버리지 개시. 자체 개발 이중항체 플랫폼 적용해 다양한 치료제 개발 중. 임상 성과에 따른 L/O 기대
  • 에이비엘바이오에 대한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36,000원 제시하며 커버리지 개시
  •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를 적용해 항암제부터 퇴행성 뇌질환까지 다양한 치료제 개발 중

#딥노이드

[하나 / 조정현 / 현재가 9,470원]

하반기 의료AI 및 딥팩토리 수주 모멘텀 기대
  • 2025년 의료AI 본격 실적 성장 기대
  • 딥팩토리 및 딥시큐리티 해외 매출 본격화 기대
  • 2024년 실적 턴어라운드, 2025년 영업이익 100억원 전망

#하이브

[유진투자 / 이현지 / BUY / 목표가 310,000원 / 현재가 199,1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1) 외부 요인에 따른 단기 주가 부침 있겠으나, 소속 아티스트 높은 성장세 이어지며 본업 고성장 지속. 올해 6월 진 컴백을 시작으로 BTS 활동 부분 재개 기대
  • 2) 2분기부터 UMG 유통 수수료 개선에 따른 미국 레이블들의 마진 상승, 음원 성장 전망 및 캣츠아이 데뷔로 미국 시장 활동 본격화 기대
  • 3) 올해 중 위버스 DM을 포함한 통합 구독 멤버십 시작되며 수익모델 고도화에 따른 P(ARPU), Q(MAU) 지표 동반 성장 및 실적 성장 기대

#범한퓨얼셀

[NH투자 / 정연승,곽재혁 / 현재가 22,150원]

외형 회복 사이클 진입
  • 잠수함용 연료전지 발주 재개, 건물용 연료전지 매출 증가에 주목
  • 기존 수소충전소 수익성 악화, 하반기 액화수소충전소 수주가 중요

#파로스아이바이오

[한국IR협의회 / 임윤진,김현주 / 현재가 11,860원]

AI 플랫폼 기반 신약개발 기업
  • AI 신약개발 플랫폼 기반 희귀난치병 치료제 개발
  • 주요 파이프라인은 PHI-101-AML
  •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 성공 및 ‘케미버스’ 사업 확대가 중요

#하스

[유진투자 / 박종선 / 현재가 없음]

글로벌 치아용 보철수복 소재 제조기업
  • 자연치아와 가장 유사한 기능성과 심미성을 갖춘 ‘리튬 디실리케이트’가 글로벌 시장에서 연평균(2022~2029) 17.2% 성장을 전망
  • 국내 최초, 글로벌 3위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기대
  • 특히 소수기업만이 시장 진입에 성공한 가운데, 글로벌 70여 국가에 수출을 확대(유럽 25.2%, 남미 31.7%, 북미 11.5%)

#민테크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8,750원]

Post IPO: 배터리 모든 라이프 사이클에 대응
  • 3세대 2차전지 검사?진단 솔루션 전문 기업
  •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선방할 전망
  • 1개월 락업 해제 3,043,300주(13.87%)

#라메디텍

[한국투자 / 강시온,이도희 / 현재가 없음]

레이저 기기의 작은 거인
  • 초소형 고출력 레이저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 전 사업부의 풍부한 모멘텀
  • 2024년 매출액 성장률 +217%, 영업이익 흑자전환 제시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