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데일리 요약

(240607.FRI) 테마 종목 · 리포트 요약 정리

by 미니토이 2024. 6. 7.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엔비디아 훈풍 지속 및 SK그룹, TSMC와 AI 반도체 협력 강화 소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 HBM 등 반도체 관련주 상승.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 상승.
  • 임상/신약 승인 모멘텀 및 美 바이오 보안법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치매, 비만치료제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 야놀자, 오는 7월 美 나스닥 상장 추진 소식 등에 야놀자 테마 상승.
  •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 발표를 앞두고 원격진료/비대면진료 테마 상승.
  • 美, 한국 화장품 수입량 증가 및 향후 점유율 확대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 재부각 등에 지주사, 은행, 증권, 생명보험, 손해보험 등 저 PBR 관련주 상승.
  • 영국 연구진, 세계 최강 철 기반 초전도 자석 개발 성공 소식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 5월 김 물가 6년4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 소식에 수산 테마 상승.
  • 네이버웹툰, 美 나스닥 상장 기대감 지속 등에 웹툰 테마 상승.
  •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약 2년만에 최고치 경신 모멘텀 지속에 해운 테마 상승.
  • 이 외에 마켓컬리, 액침냉각, 탈모 치료, IT 대표주, 창투사, 조선, 항공/LCC, 카지노, 의료AI, 로봇, 폴더블폰, 스마트팩토리, 음식료업종, 농업, 보톡스, 공작기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美 액트지오 고문 브리핑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동해 남-북-러 가스관사업, 도시가스, 강관업체, LPG, 피팅/밸브, 철강 중소형 등 석유·가스전 관련주 하락.
  • 이 외에 아스콘, 전력설비, 전선, 수자원, 핵융합에너지, 아프리카 돼지열병, 인터넷 대표주, 원자력발전, 네옴시티, 면세점, 건설 중소형, 조선기자재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엔비디아 훈풍 지속 및 SK그룹, TSMC와 AI 반도체 협력 강화 소식 등에 상승

  • 지난 5일(현지시간) 엔비디아(+5.16%)는 주식 액면 분할 호재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시총 3조 달러를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이어가며, 시총 2위 자리에 등극했음. 오는 7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10분의 1 액면 분할이 시행되는 가운데, 지난 2일 대만에서 열린 테크 엑스포 '컴퓨텍스 2024' 개막 전날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루빈'(Rubin)을 공개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엔비디아에 대해 제품 성능, 수익 파이프라인, 점유율, 개발자 지원 등에서 경쟁사를 여러 해 앞서고 있다고 평가하며, 주가가 1,500달러까지 갈 것으로 전망. 한편, 6일(현지시간)에는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엔비디아(-1.18%)는 다시 시가총액 3위로 내려왔음.
  •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전일 대만에서 TSMC 웨이저자 회장 등 대만 IT 업계 주요 인사들과 만나 AI 및 반도체 분야 협업 방안 등을 논의했음. SK하이닉스는 HBM4부터 성능 향상을 위해 베이스 다이 생산에 TSMC의 로직 선단 공정을 활용할 계획으로 이 협력을 바탕으로 HBM4를 2025년부터 양산한다는 계획임. 또한, 양사는 SK하이닉스의 HBM과 TSMC가 CoWoS® 기술 결합도 최적화하고, HBM 관련 고객들의 요청에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음.
  •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대만 타이베이그랜드 하이라이 호텔 열린 기자간담회에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제공한 HBM 반도체를 검사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삼성전자는 아직 어떤 인증 테스트에도 실패한 적이 없지만, 삼성 HBM 제품은 더 많은 엔지니어링 작업이 필요하다”고 언급. 특히, 황 CEO는 삼성전자 HBM이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소문에 대해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반박하며 “테스트가 아직 끝나지 않았을 뿐이며,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힘.
  • 최원준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 부사장은 금일 삼성전자 뉴스룸의 기고문을 통해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가 온디바이스 AI를 강화해 7월부터 카카오톡 등에서 실시간 통역 기능을 지원한다고 밝힘. 최원준 부사장은 "완전히 새로운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곧 공개될 새로운 폴더블 제품에는 폴더블에 최적화된 갤럭시 AI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폴더블은 갤럭시 제품 중 가장 다재다능하고 유연한 폼팩터이며, 갤럭시 AI와 함께 결합되면 더욱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
  • 아울러 밤사이 유럽중앙은행(ECB)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가운데, 美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진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피에스케이홀딩스, 에스티아이, 워트, 디아이티, 케이씨텍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등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상승

  • 최근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현지시간으로 다음 달 4일부터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잠정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중국자동차협회와 기업인들은 EU의 중국 전기차 보조금 조사 관련 청문회를 위해 지난 3일 브뤼셀에서 집행위원회 무역부와 만났다면서 청문회에서 기업들은 7월4일 잠정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해짐. 아직 알려지지 않은 세율은 다음 주 기업들에 비공개로 통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지난밤 뉴욕증시가 오는 7일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지며 혼조세로 장을 마감한 가운데, 테슬라(+1.68%), 리비안(+2.53%) 등 주요 전기차 업체들은 상승세를 보임.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최근 중국의 특정 도로에서 자율주행차 테스트를 시작할 9개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의 목록을 발표한 가운데, 테슬라는 이번 승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테슬라도 도로 실험 주행 면허를 곧 취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한편,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당분간 GM 신차 효과 기대감에 기댄 오랜만의 단기 랠리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포스코퓨처엠 등 GM 체인 기업들과 인터배터리 관련 차세대 소재 기술 기업들의 상승 여력이 크다고 분석. 이어 하반기 GM과 스텔란티스(Stellantis)의 전기차 신차 출시를 앞두고 셀 및 소재 주문량 증가가 예상되면서, 5월 일시 감소했던 양극재 수출 중량도 6월에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며, GM 이쿼녹스(Equinox)의 3만5,000달러 모델 출시가 하반기 더 예정돼 있다고 설명. 아울러 오는 19일부터 시작되는 유럽 인터배터리에서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대한 새로운 소식이 나올 수 있다는 점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머티, 피엔티, 삼성SDI, 코이즈, 테이팩스, 디아이티, 광무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

임상/신약 승인 모멘텀 및 美 바이오 보안법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지난 5일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글로벌 의약품 시장 침투 가능성으로 기대를 모았던 HLB, 알테오젠의 주가 상승 등을 보았을 때, 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개별 모멘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에 하반기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모멘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 아울러 항암제 시장에서 여전히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ADC, 이중 항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ADC는 효능을 높이기 위해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요법을 임상 진행 중에 있으나 여전히 높은 부작용이 단점이 있다고 언급. 이에 부작용을 낮출 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향후에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 이중 항체는 2021년부터 매년 신약이 여러 개 등재될 만큼 임상 연구가 활발한 상황이라고 밝힘.
  • 또한, 美 바이오 보안법(BIOSECURE Act)에 주목해야 한다며, 초당적인 법안이라 빠르면 연말에 대통령 서명 받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밝힘. 이에 따라 글로벌 빅파마들이 2032년까지 WuXi 기업과의 계약을 종료해야하는 상황이라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국내 CDMO 기업이 중장기적으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힘.
  • 한편, 언론에 따르면, 현재 바이오주가 각종 이슈와 고금리로 투자자 관심에서 멀어져 있지만, 향후 금리가 내려가는 시점에는 다시 주목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특히,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쏠리는 항암·비만 치료제 등 분야에서 긍정적인 임상 결과가 속속 발표된다면, K바이오가 다시 투자자 선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모습.
  • 이에 금일 에이프로젠, 알테오젠,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이수앱지스, 바이넥스, 인벤티지랩, 펩트론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야놀자

야놀자, 오는 7월 美 나스닥 상장 추진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야놀자가 오는 7월 美 나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야놀자가 이르면 7월 미국 주식시장 상장을 통해 4억달러(한화 약 5,473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음. 기업가치는 70억~90억달러(9조5,802억~12조3,174억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상장 주관사는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맡은 것으로 전해짐.
  • 다만, 야놀자는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은 상태며, 소프트뱅크 등도 공식 논평은 거절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아주IB투자, SBI인베스트먼트, 그래이언트 등 야놀자 테마가 상승.

원격진료/비대면진료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 발표를 앞두고 상승

  •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총파업 찬반 투표가 이날 자정까지 치러진 뒤 의협 차원의 파업 여부를 결정할 전망임. 지난 4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의협의 투쟁 지지·집단행동 참여 여부 투표는 전날 오후 6시 기준 유효 투표 인원 12만9,200명 가운데 5만8,874명이 참여하면서 투표율 45%를 넘어섰음.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는 오는 9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리는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공개될 예정. 일각에선 교수, 개원의, 봉직의 등 13만 의사들이 가입돼 있는 의협이 총파업을 결정할 경우 대학병원은 물론 동네 병·의원 개원의들까지 휴진을 하게 되면서 의료 공백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전체휴진에 돌입하겠다고 밝힘.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전체휴진을 결의했다고 밝힘. 비대위는 "정부가 모든 전공의에 대한 진료유지명령과 업무개시명령을 완전히 취소하고, 자기결정권 박탈 시도로 현 사태가 악화된 것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가시적인 조치를 취할 때까지 전면 휴진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
  • 이 같은 소식 속 인성정보, 토마토시스템, 비트컴퓨터, 유비케어, 인바디 등 원격진료/비대면진료 테마가 상승.

화장품

美, 한국 화장품 수입량 증가 및 향후 점유율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4년 4월 기준 미국이 수입하는 화장품 중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화장품(HS Code 3304)의 비중은 전월대비 2.0%p 증가한 22.0%를 기록했다고 밝힘. 수입 물량과 점유율 기준으로 모두 역대 최고치 수준이며, 미국의 화장품 수입국 중 한국이 다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고 설명. 긍정적인 부분은 4월 미국이 수입한 화장품 물량은 전월과 유사한 반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화장품 물량은 9.9% 증가했다고 언급.
  • 아울러 미국이 수입하는 화장품 중 한국의 점유율 상승을 보았을 때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이 확인되기 때문에 미국향 화장품/유통 기업의 피크 아웃을 논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언급. 또한, 미국 화장품 산업에서 한국 화장품이 차지하는 점유율 또한 여전히 낮기 때문에 미국향 화장품 기업을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에 실리콘투, 아모레퍼시픽, 강스템바이오텍, 씨티케이, 제이투케이바이오, 선진뷰티사이언스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저 PBR 관련주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 재부각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지난 5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제약 분야 전시회인 'BIO USA 2024'에서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짐. 이 행사에서 거래소는 인베스트서울과 함께 200여명의 참석자를 대상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외국 기업의 코스닥 상장 과정을 안내하는 한편, 서울시 진출 지원 사업 등을 소개한 것으로 알려짐.
  • 한국거래소는 지난 4일 2025년부터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 항목을 신설한다고 밝힘.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법인 가운데 자산 총액이 5,000억원 이상인 기업은 매년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의무 공시해야 하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일자와 계획 수립 과정에 이사회 참여 여부, 이사회 주요 논의 내용 등을 공시하도록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개정했으며, 이와 함께 밸류업 관련 소통 일자 및 대상, 소통 채널, 소통 과정에 임원 참여 여부 등도 함께 기재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짐.
  • 아울러 밤사이 유럽중앙은행(ECB)이 2019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가운데, 美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에 SK스퀘어, 코아시아, 헝셩그룹, 두산, CJ, 신한지주, DGB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롯데손해보험, 삼성생명 등 지주사/은행, 증권/손해, 생명보험 테마가 상승.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美 액트지오 고문 브리핑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

  • 동해 심해 석유·가스 매장 분석을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Vitor Abreu) 고문은 금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가 분석한 모든 유정이 석유와 가스의 존재를 암시하는 모든 제반 요소를 갖췄다"고 밝힘. 아브레우 고문이 밝힌 '석유·가스의 존재를 암시하는 모든 제반 요소'는 저류층(모래), 덮개암(진흙), 기반암, 트랩 등 4가지로, 동해심해에서 이를 확인했다는 것임.
  • 아울러 "7개 유망구조에 대한 마지막 단계인 리스크 평가와 매장량 분석 과정을 통해 총 35억∼140억배럴에 해당하는 탐사자원량을 추정하게 됐다"고 언급했음. 이어 "우리가 도출한 유망구조의 석유와 가스의 잠재적인 존재를 판별해냈지만, 실제로 이를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은 시추하는 것"이라며, "시추를 하지 않으면 리스크를 전부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힘.
  • 이 같은 브리핑 속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화성밸브, 대동스틸, 하이스틸, 한국가스공사, 대성에너지, 지에스이, 휴스틸, 동양철관,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세아제강 등 가스관/ 피팅/밸브/ LPG/철강 테마 등이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우양 9,030원(+29.93%)
    : 냉동김밥 수출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 강스템바이오텍 3,565원(+29.87%)
    : 화장품 및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퓨어스템-에이디주’ 3상 발표 기대감에 상한가
  • 태성 9,470원(+29.90%)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복합동박용 RTR 및 유리기판 성장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 에코프로머티 124,100원(+29.95%)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압타바이오 7,420원(+29.27%)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글로벌 빅파마 7곳과 기술수출 협의 소식 등에 급등
  • 신성에스티 40,100원(+22.44%)
    :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속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확대에 따른 ESS 수요 증대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우림피티에스 8,390원(+20.20%)
    :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속 수혜주로 부각되며 급등
  • CJ씨푸드 4,910원(+19.76%)
    : 식품업체, 김 가격 인상 및 식품 수출 기대감 지속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 에코앤드림 51,000원(+19.30%)
    :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2분기 양극재 전구체 사업 BEP 이상 달성 전망 등에 급등
  • 래몽래인 14,640원(+17.12%)
    : 아티스트유나이티드로부터 주주총회소집허가 소송(경영권 분쟁 소송) 피소 속 급등
  • 카페24 28,250원(+16.98%)
    : 유튜브 쇼핑 사업 확장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에이프로젠 1,383원(+15.83%)
    : 임상/신약 승인 모멘텀 및 美 바이오 보안법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원익QnC 40,950원(+15.68%)
    : 엔비디아 훈풍 지속 및 SK그룹, TSMC와 AI 반도체 협력 강화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에스티팜 109,600원(+15.49%)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올 연말 제2올리고동 완성 등 CDMO 분야 사업 확대 기대감 등에 급등
  • 피에스케이홀딩스 74,600원(+15.48%)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HBM 시장 성장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광무 5,750원(+15.35%)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2차전지/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 중앙첨단소재 10,700원(+14.93%)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 코이즈 1,250원(+14.05%)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SK스퀘어 87,500원(+13.93%)
    : 저 PBR 관련주 상승, 최태원 회장 이혼 소송 속 경영권 분쟁 가능성, SK그룹-TSMC와 AI 반도체 협력 논의 소식 등에 급등
  • 에스앤디 35,450원(+13.80%)
    : 삼양식품, 생산라인 증설에 따른 실적 전망치 상향 조정 속 불닭볶음면에 들어가는 소스 납품 지속 부각 등에 급등
  • 토마토시스템 10,500원(+13.39%)
    :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 발표를 앞두고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테마 상승 속 급등
  • 알테오젠 269,000원(+13.03%)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머크, 키트루다 피하주사 제형 전환 가능 언급 속 동사 기술이전 로열티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이엔에프테크놀로지 33,100원(+12.59%)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HBM용 타이타늄 식각액 개발 사실 지속 부각 등에 급등
  • 백광산업 14,930원(+12.42%)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속 배터리 전해액 핵심소재 양산기술 확보 부각에 급등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555원(+12.06%)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바이오 USA서 기술이전 윤곽 구체화 소식 등에 급등
  • 코닉오토메이션 3,255원(+12.05%)
    : 쿠팡, AI 물류센터 전국 확대를 위한 '3조 투자' 소식 속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쿠팡 납품 이력 부각에 급등
  • 바이넥스 16,020원(+11.72%)
    : 임상/신약 승인 모멘텀 및 美 바이오 보안법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제이투케이바이오 29,750원(+11.42%)
    : 美, 한국 화장품 수입량 증가 및 향후 점유율 확대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마이크로디지탈 8,540원(+11.05%)
    : 임상/신약 승인 모멘텀 및 美 바이오 보안법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SK 182,000원(+10.98%)
    : 저 PBR 관련주 상승, 최태원 회장 이혼 소송 속 경영권 분쟁 가능성, SK그룹-TSMC와 AI 반도체 협력 논의 소식 등에 급등
  • 삼성공조 14,270원(+10.88%)
    : 엔비디아 차세대 GPU 루빈 공개 모멘텀 지속 속 AI 데이터센터 냉각 수요, 자동차 냉난방공조 사업 영위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아주IB투자 3,180원(+10.61%)
    : 야놀자, 오는 7월 美 나스닥 상장 추진 소식 등에 야놀자(Yanolja) 테마 상승 속 급등
  • 인성정보 2,720원(+10.57%)
    : 의협 총파업 투표 결과 발표를 앞두고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테마 상승 속 급등
  • 카이노스메드 4,430원(+10.20%)
    : 50만주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 속 신성장동력 확보 추진 소식에 급등
  • 메가터치 5,830원(+9.79%)
    : 2차전지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에코프로비엠 222,000원(+9.36%)
    : EU, 내달 4일 中전기차 관세 부과 소식 및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사조씨푸드 4,600원(+9.26%)
    : 식품업체, 김 가격 인상 및 식품 수출 기대감 지속 등에 수산 테마 상승 속 급등
  • 인벤티지랩 12,910원(+9.13%)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장기지속형 주사제 기술 지속 부각 등에 급등

 

 

리포트요약

#삼양식품

[한화투자 / 한유정,이다연 / Buy / 목표가 800,000원 / 현재가 581,000원]

없어서 못 판다니까요
  • 밀양 2공장 5개 라인 → 6개 라인
  • 밀양 2공장 완공 후 CAPA 37% 증가 예상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800,000원으로 상향 조정(+13%)

#포스코퓨처엠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390,000원 / 현재가 275,500원]

중저가 EV와 함께 성장
  • 중저가 EV에 거는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9만 원 유지

#현대제철

[현대차증권 / 박현욱 / BUY / 목표가 45,400원 / 현재가 29,800원]

P/B는 역사적 저점, 실적은 완만하나 개선
  • 24년 2분기 영업이익은 1,473억원으로 추정되며 당사 추정치는 컨센서스보다 낮음
  • 투자의견 BUY를 유지. 1) 영업이익은 4Q23을 저점으로 완만하지만 개선되고 있고, 2) 현재 주가는 P/B 0.21배로 절대적인 저평가 매력이 있다고 판단됨. 목표주가 45,400원 유지

#현대차

[메리츠증권 / 김준성 / Buy / 목표가 340,000원 / 현재가 264,000원]

2024년 업종 메인 이벤트, 카운트다운 시작
  • 단단한 실적 + 든든한 현금 = 넉넉한 주주가치 제고 방안 제시 근거
  • 북미 신규 BEV 전용 공장 가동 통한 BEV 판매 확대 = 2021년 이후 지속된 밸류에이션 de-rating 해소 근거
  • 적정주가 340,000원, 투자의견 Buy 유지

#삼성SDI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700,000원 / 현재가 391,500원]

둔화되는 업황에 돋보이는 안전성
  • 어려운 시기에 돋보이는 실적 안정성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0만 원 유지

#GS리테일

[IBK투자 / 남성현 / 매수 / 목표가 33,000원 / 현재가 21,850원]

인적 분할로 드러나는 가치
  • 파르나스 홀딩스 출범
  • 합산 가치 상승과 신설 법인에 성장성에 주목할 필요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3만원 유지

#롯데케미칼

[메리츠증권 / 노우호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14,200원]

방향성
  • 2024년 롯데케미칼 분기 수익성 턴어라운드 흐름을 예상
  • 그럼에도 2024년 하반기 석유화학 Cycle 반등 가능성을 주목
  • 석유화학은 공급과잉 우려에 소외된 섹터, 그럼에도 생존의 내성은 커

#현대모비스

[메리츠증권 / 김준성 / Buy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222,000원]

지배구조 개편, 가까워지는 게임의 끝
  • 15년간 이어진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 악화
  • 지배구조 개편 실현될 경우, 기업가치 평가 대대적 변화 발현 가능
  • 적정주가 300,000원, 투자의견 Buy 유지

#유니드

[한화투자 / 윤용식 / Buy / 목표가 135,000원 / 현재가 112,100원]

이익 체력 증가 + 수요 성장 속도 향상 => re-rating
  • 안정적인 실적 성장세 이어질 것
  • CCS 개화에 따른 수혜 규모는??
  • 이익 체력 증가 + 수요 성장 속도 향상 => re-rating

#풀무원

[현대차증권 / 하희지 / 현재가 14,360원]

해외 법인 흑전을 눈앞에!
  • 음식료 업종 내 해외 K-Food 포트폴리오 보유 업체 주목. 풀무원의 해외 식품 비중 18.7%, 미국 비중 12.2%(2023)
  • 미국 시장 내 두부/아시안 푸드 안착하며 성장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
  • 하반기 해외 법인 미국 중심의 외형 확대 및 미국/중국/일본 지역 이익 턴어라운드 기대

#제일기획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8,710원]

자고 있는 캡티브
  • 큰 변화 없는 2Q24 전망
  • 어려운 대외 환경 속 이익 방어 전망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2.6만원 유지

#카페24

[신한투자 / 김아람 / 현재가 24,150원]

조용히 열일중인 유튜브쇼핑
  • 유튜브쇼핑 업데이트로 영업환경 개선 전망
  • 유튜브쇼핑 업데이트 내용 정리

#LG화학

[메리츠증권 / 노우호 / 현재가 374,500원]

Toray 분리막 사업 LG에 매각 추진 보도
  • LG화학의 전지소재 전략
  • LG화학의 분리막 사업
  • 분리막 사업, 복잡해지는 셈법
  • 분리막 사업의 투자 매력도는 여전히 기타 소재 대비 열위

#엘앤에프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157,300원]

바닥 지난 후 빠른 회복 기대
  • 원가 부담은 연내 지속되나, 빠르게 회복하는 양극재 출하량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0만 원 유지

#비엠티

[유안타증권 / 권명준 / 현재가 12,750원]

새로운 시즌이 시작된다!
  • 반도체: 투자확대, 국산화
  • 조선: 수주확대, 독점적 지위
  • 석유화학: 사우디 현지화

#칩스앤미디어

[SK증권 / 박제민 / 현재가 22,800원]

개화 시기가 다가온 선진국 비즈니스
  • NPU 팹리스들의 엔비디아 공략은 이제 시작
  • 기존 고객 성장 + 신규 고객 확보 = 자동차 부문 성장 지속
  • 모바일 부문 핵심 레퍼런스 확보

#코오롱인더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0,300원]

가시화되고 있는 신규 성장 동력
  • 산업자재부문, 증익 추세 지속 전망
  • 배터리/우주항공/친환경 등 신규 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 확대

#HL만도

[메리츠증권 / 김준성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9,600원]

제 3의 르네상스 시작
  • 만도, 중국 솔루션 업체 수주 확보, 매출 인식 시작
  • 북미 BEV 업체의 판매 성장 재개, 중국 솔루션 업체 수주 확보 → 2H24 기점으로 성장의 3차 르네상스 시작
  • 적정주가 70,000원, 투자의견 Buy 유지

#이노션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31,500원 / 현재가 21,500원]

캡티브 든든
  • 2Q24는 BTL과 해외 위주 성장 전망
  • 든든한 계열 물량이 이끌고 비계열도 받쳐주는 전략
  • 투자의견 BUY 및 TP 31,500원 유지

#에코프로비엠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260,000원 / 현재가 203,000원]

SKon향 수요 회복이 관건
  • SKon향 수요 회복이 관건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6만 원 유지

#샘씨엔에스

[메리츠증권 / 양승수 / 현재가 7,320원]

NDR Review: 낸드 → 디램으로 전환 진입
  • 낸드를 벗어나 HBM 포함 디램향 매출 성장기 진입
  • 세라믹 기판 신사업 진행 현황

#실리콘투

[유안타증권 / 이승은 / N Buy / 목표가 N 60,000원 / 현재가 41,500원]

군계일학(群鷄一鶴)
  • 미국, 유럽에 이어 글로벌 시장 확대
  •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브랜드 포트폴리오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만원으로 신규 커버리지 개시

#씨티케이

[유안타증권 / 이승은 / 현재가 6,900원]

美 OTC & 친환경 소재 사업 확장 기대
  • 2Q24 Preview: 전년 2분기 매출액을 초과한 수주 회복
  • 하반기 전망: 북미 OTC 사업 확대 & BIO CANADA 신규 매출 발생
  • 하반기 Event에 따라 본격적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 전망

#펄어비스

[키움증권 / 김진구 / BUY / 목표가 57,000원 / 현재가 41,100원]

좋은 흐름의 지속
  • 업종 Top pick 관점 지속 유지
  • 검은사막 온라인 중국 성과 추가
  • 최고 투자포인트는 붉은사막 효과

#트윔

[한국IR협의회 / 김경민,이나연 / 현재가 10,490원]

Rule-base를 넘어 AI-base 검사기로 도약
  • Rule base 머신비전 검사기를 주력으로 사업을 시작
  • AI base 머신비전 검사 솔루션으로 사업을 확장
  •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2023년 대비 성장한 360억 원, 24억 원으로 전망

#딥노이드

[NH투자 / 백준기 / 현재가 9,140원]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시작점
  • 의료용과 산업용, 두 마리 토끼를 잡자
  • 올해 매출 전년 대비 반등에 따른 본격적인 실적 성장세 시현 기대

#스톤브릿지벤처스

[KB증권 / 한유건,성현동,김선봉 / 현재가 4,410원]

AUM 1.4조원 돌파, 하반기 턴어라운드 기대
  •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
  • 흑자전환에도 불구하고 지분법 이익 전년동기 대비 큰 폭 감소는 아쉬워
  • 2분기부터 지분법 이익 및 관리보수 증가세로 전환 예상
  • 보수적인 비용 집행으로 상반기 주가 하방경직 확보 예상
  • 하반기 펀드 청산 등 이벤트 집중으로 턴어라운드 기대감 유효

#밸로프

[교보증권 / 김동우 / 현재가 878원]

리퍼블리싱 사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중
  • 유연한 라이브 개발 역량 보유
  • ‘소울워커’, ‘라스트 오리진’ 등 IP 확보 + 일본 진출 위한 GOP 활용 본격화

#LG에너지솔루션

[한화투자 / 이용욱 / Buy / 목표가 520,000원 / 현재가 351,500원]

GM/Tesla 판매량 반등을 기대
  • 하반기 주요 고객사의 가이던스 달성 여부가 중요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2만 원 유지

#신성에스티

[하나증권 / 조정현 / 현재가 32,750원]

2.3조원 ESS 부품 신규 수주 확보, 폭발적 성장 전망
  • 전기차 및 ESS용 핵심 부품 제조 업체
  • 글로벌 ESS 시장 성장 수혜, 2026년 퀀텀 점프 전망
  • 2024년 매출액 1,287억원, 영업이익 124억원 전망

#에스오에스랩

[유진투자 / 박종선 / 현재가 없음]

D 고정형, 초소형 라이다 제조업체
  • 핵심 설계 기술 내재화를 통한 초소형 라이다 개발에 성공. 또한 AI기반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하여 카메라 같은 라이다 구현 가능함
  • 소형화 및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한 3D 고정형 라이다 기술력을 보유함
  • 이를 기반으로 로봇, 오토모티브, 인프라 등에 레퍼런스 확보 및 고객사 확보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