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데일리 요약

(240604.TUE) 증시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by 미니토이 2024. 6. 4.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글로벌 금리인하 기대감 확대 및 K-항암 신약 성과 도출 기대감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면역항암제 테마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 항공화물 운임 상승에 따른 수혜 전망 및 향후 실적 호조 기대감, 국제유가 급락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남-북-러 가스관사업 테마 등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및 엔비디아 새 AI 칩 발표 소식 등에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HBM 테마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및 AI 산업 확대 낙수효과 분석 등에 일부 로봇 테마 상승.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 등에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일부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 상승.
  • 이 외에 인터넷 대표주, 출산장려정책, 日제품 불매운동, 수자원, 비만치료제, AI 챗봇, 건설 중소형, 마스크, 골프, 제지, 음성인식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美 뉴스케일 파워 주가 급락 속 원자력발전 테마 하락.
  • 운임 상승 여파에 따른 비용 상승 우려 등에 화장품 테마 하락.
  • 국제유가 급락 등에 정유 테마 하락.
  • 동해 유전개발 관련 과도한 단기 주가 급등 주의 필요 분석 등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여타 셰일가스, 자원개발, LNG, LPG, 피팅/밸브 등의 관련 테마들도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장초반 상승분을 반납하며 하락 마감.
  • 이 외에 전력설비, 전선, 핵융합에너지, 뉴로모픽 반도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냉각시스템, 수산, 화학섬유, 종합상사, STO, 국내 상장 중국기업, 해운, 은행, 니켈, 풍력에너지, 사료, 항공기부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제약/바이오 관련주

글로벌 금리인하 기대감 확대 및 K-항암 신약 성과 도출 기대감 등에 상승

  • 유럽중앙은행(ECB)의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미국의 4월 PCE 물가지표가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고, 현지시간 3일 美 제조업 지표 부진 등에 Fed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 美 공급관리협회(ISM)는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8.7로 전월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힘. 두 달 연속 위축세를 유지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인 49.6을 밑돌았음.
  •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K-항암 신약 성과 도출이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의 FDA 허가는 8월 이전에도 가능성이 있으며, 에스티팜이 원료를 생산하는 제론의 이메텔스타트의 FDA 허가 일정도 6월16일에 예정되어 있다고 언급. 한미약품, 동아에스티, 펩트론의 임상 발표 등도 예정되어 있다고 밝힘.
  • 아울러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nnual Meeting)가 현지시간으로 5월31일부터 6월4일까지 시카고에서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다음 달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도 잇따라 열리는 등 글로벌 제약·바이오 학회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
  • 이 같은 소식에 에스티팜, 알테오젠, 종근당, 한미약품, 유한양행, 동아에스티, 셀트리온제약 등 제약/바이오 테마가 상승.

항공/저가 항공사(LCC)

항공화물 운임 상승에 따른 수혜 전망 및 향후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상승

  •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컨테이너 운임 급등이 중국의 물량 밀어내기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만큼, 항공화물 운임도 6월 크게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언급. 경상적으로 항공화물 운임은 컨테이너 운임과 동조화를 보였으며 아시아 내 주요 공항과 주요 항공사의 화물 통계도 매우 긍정적이라고 설명.
  • 아울러 LS증권도 보고서를 통해 항공업종의 경우 3Q24 성수기를 기점으로 노선별 Mix 정상화 양상이 뚜렷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밝힘. 일본·미주노선의 수요 활황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유럽 노선의 판매비중이 서서히 상승하며 항공사들의 실적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
  • 한편,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OPEC+ 감산유지에도 향후 축소 전망, 美 제조업 PMI 부진 등에 급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77달러(-3.60%) 하락한 74.22달러에 거래 마감.
  • 이 같은 소식에 한진칼, 진에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LCC 테마가 상승.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윤석열 대통령은 전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해 2023년 2월 동해 가스전 주변에 더 많은 석유 가스전이 존재할 가능성 높다는 판단하에 최고 수준의 미국 기업에 심층 분석을 맡겼다"며 "이에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힘.
  • 이어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유수 연구기관과 전문가들의 검증도 거쳤다"고 밝힘. 또한, "이는 90년대 동해 가스전의 300배가 넘는 규모이고,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 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4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판단된다"고 강조했음.
  •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포항 일원 동해 심해 유망구조엔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묻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매장 예상 자원은 가스 75%, 석유 25%로 추정되며, 가스는 3억2,000만~12억9,000만 톤, 석유는 7억8,000만~42억2,000만 배럴 부존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고 있음. 정부는 올해 12월부터 경북 포항 일원 동해 심해 유망구조 탐사시추를 개시할 예정으로 2026년까지 최소 5개 이상의 탐사 시추를 통해 실제 부존 여부부터 부존량을 확인할 계획이며, 부존 여부가 확인되면 경제성 검토를 거쳐 상업 개발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
  •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경북 포항 석유·가스전 매장량을 분석한 미국 휴스턴의 지질 탐사 전문 컨설팅 기업 ‘액트지오(ACT-GEO)’사의 비토르 아브레우(Vitor Abreu) 고문이 이번 주 한국을 찾는 것으로 전해짐. 기초 탐사를 진행한 지질학 전문가가 직접 방한하는 것으로 국내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대중·언론을 상대로 브리핑할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동양철관, 화성밸브, 동양에스텍 등 일부 가스관/철강 중소형 테마대성에너지, 한국가스공사, 흥구석유, SNT에너지 등 일부 도시가스/LPG/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및 엔비디아 새 AI 칩 발표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제조업 지표 위축 속 경기 침체 우려, 금리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상승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9.16(+0.57%) 상승한 5,152.51를 기록.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2일 대만 타이베이 국립 대만대학교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기조연설에서 새로운 GPU인 '루빈' 플랫폼에 대해 처음으로 공개했음. BoA는 3일(현지시간) 보고서를 내고 엔비디아의 목표가를 기존의 1,320달러에서 1,500달러로 상향했음. 이는 월가의 투자은행 중 가장 높은 목표가임. BoA는 엔비디아가 차차세대 AI 전용칩 계획을 발표, 시장 지배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란 이유로 목표가를 상향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지난밤 엔비디아는 4.89% 상승.
  • 이 같은 소식에 DB하이텍, 에이팩트, 윈팩, 디아이, 티씨케이, 뉴파워프라즈마, 덕산테코피아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로봇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및 AI 산업 확대 낙수효과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4년1분기 국내 로보틱스 업체들의 실적은 전반적으로 부진했으며, 이는 유럽 협동로봇 수요 하락에 따른 영향이 컸다고 분석. 다만, 글로벌 협동 로봇 수요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미국의 수요는 견조하며, 하반기에는 그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미국 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 순으로 실적 개선 강도가 강할 것이라며, 개선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거의 모든 업체의 탑라인 성장세가 높을 것이라고 밝힘.
  • 아울러 2017년 Transformer 이후 AI 개발 속도는 빨라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AI와 로보틱스 산업과의 결합하려는 시도가 관찰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ChatGPT는 웹 크롤링 데이터, 자율주행차량은 실제 주행 데이터를 Foundation Model을 이용해 학습시킨 결과물이라며, 이와 마찬가지로 로봇의 동작, 작업 데이터를 Foundation Model을 통해 학습시킨다면 이것이 곧 AI와 로보틱스의 결합이라고 밝힘. 엔비디아는 이에 수반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미래 로봇 시장의 판을 짜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는 AI시대에서 국내 로보틱스 업체들에게 향하는 낙수효과가 될 것이라고 밝힘.
  •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케이엔알시스템, 휴림네트웍스, 서암기계공업, 베노티앤알, 싸이맥스 등 일부 로봇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美 뉴스케일 파워 주가 급락 속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는 제조업 지표 위축 속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졌지만, 금리인하 기대감이 지속된 영향 등으로 혼조 마감한 가운데, 美 최대 소형모듈원전 설계업체(SMR) 뉴스케일 파워 주가가 12.60% 급락세를 보였음.
  • 외신에 따르면, 지난밤 뉴욕증시 개장 직후 NYSE에 상장된 최소 60개 종목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거래가 정지됐으며, 일부 종목은 주가가 99% 폭락하는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였음. 워런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 클래스A를 비롯해 뉴스케일파워(SMR)도 98.51%나 급락한 것으로 표시됐음. NYSE는 웹사이트를 통해 "CTA(실시간 거래·호가정보 감독기구)에서 공개하는 가격 범위에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해 NYSE에 상장된 복수 종목의 거래 중단을 촉발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비에이치아이, 보성파워텍, 수산인더스트리, 우진엔텍, 우리기술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화장품

운임 상승 여파에 따른 비용 상승 우려 등에 하락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상승세를 이어가던 화장품 수출주가 운임 인상이라는 악재를 맞이한 것으로 전해짐. 홍해 사태 여파로 시작된 해상 화물 운임 상승세가 올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화장품 기업이 ‘가성비’를 무기로 미국 등 주요 시장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입점을 시작하는 시점에 물류비 상승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고 있음.
  •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 스킨케어 산업의 구조적 성장과 소비자의 Trading down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다만, 단기 주가 상승에 대한 부담과 최근의 컨테이너 운반비 상승 등은 실리콘투 뿐 아니라 화장품 섹터 전반의 주가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음.
  • 이에 금일 에이블씨엔씨, 삐아, 스피어파워, 제이투케이바이오, 에이피알, 한국화장품제조 등 화장품 테마가 하락.

정유

국제유가 급락 등에 하락

  •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OPEC+ 감산유지에도 향후 축소 전망 등에 급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77달러(-3.60%) 하락한 74.22달러에 거래 마감. 지난 주말 OPEC+ 회의가 개최된 가운데, OPEC+ 회원국들은 2일(현지시간) 장관급 회의를 열어 일일 366만배럴 규모의 현행 공식 감산 정책을 내년 말까지 유지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짐. 당초 올해 말 만료 예정이었으나 1년 더 연장하기로 한 것임. 다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일부 회원국들의 자발적인 감산은 3개월 더 유지한 뒤 10월부터 차츰 줄여나가기로한 것으로 알려짐.
  • 한편, 지난밤 발표된 美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며 경기 침체 우려가 확대되는 모습. 美 공급관리협회(ISM)는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8.7로 전월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힘. 두 달 연속 위축세를 유지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인 49.6을 밑돌았음.
  •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SK이노베이션 등 정유 테마가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한국석유 23,300원(+29.81%)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속 에너지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상한가
  • 동양철관 1,175원(+29.98%)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 화성밸브 8,630원(+29.97%)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 씨싸이트 36,950원(+29.88%)
    : 美 의류업체 '갭(GAP)' 실적 서프라이즈 속 OEM 고객사로 지속 부각되며 상한가
  • 동양에스텍 2,525원(+29.75%)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 에이팩트 7,250원(+29.93%)
    :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경영권 매각 재추진 소식 등에 상한가
  • 에이비온 9,930원(+29.97%)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ASCO서 c-MET 저해제 Vabametkib(ABN401) 임상 2상 데이터 안정성 확인 등에 상한가
  • 모나리자 5,110원(+22.84%)
    : 최대주주, 인도네시아 제지회사에 동사 매각 소식에 급등
  • 삼성공조 14,990원(+22.17%)
    : 엔비디아 차세대 GPU 루빈 공개 속 AI 데이터센터 냉각 수요, 자동차 냉난방공조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 인벤티지랩 12,430원(+19.52%)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장기지속형 주사제 기술 부각 등에 급등
  • 흥구석유 19,240원(+18.40%)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알테오젠 233,500원(+17.34%)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MSCI 편입 및 말단비대증 치료제 연구 결과 발표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솔브레인홀딩스 79,000원(+17.04%)
    : 종속회사 솔브레인네트워크, 솔라홀딩스 대상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급등
  • 샤페론 2,475원(+15.93%)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인플라메이징 화장품 시장 진출 소식에 급등
  • 대성에너지 12,500원(+13.74%)
    :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케이엔알시스템 16,860원(+12.93%)
    :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및 尹 대통령, "동해에 140억 배럴 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언 모멘텀 지속 속 심해 유압 액추에이터 개발 사실 부각에 급등
  • 뉴파워프라즈마 6,940원(+11.94%)
    : 일부 OLED 테마,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급등
  • SNT에너지 11,230원(+11.74%)
    : 일부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AI 확대에 따른 열교환기 수주 증가 전망에 급등
  • 지놈앤컴퍼니 13,210원(+11.57%)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스위스 소재 제약사 디바이오팜에 'GENA-111' 기반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및 상업화 기술이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 휴림네트웍스 10,640원(+11.53%)
    :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및 AI 산업 확대 낙수효과 분석 등에 일부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텔콘RF제약 849원(+10.40%)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투자사 에이비온, ASCO서 c-MET 저해제 Vabametkib(ABN401) 임상 2상 데이터 안정성 확인 등에 급등
  • 빅텍 5,390원(+10.00%)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 등에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 대보마그네틱 26,400원(+9.77%)
    : 경영권 매각 재추진 소식 등에 급등

 

 

리포트요약

#CJ대한통운

[LS증권 / 이재혁 / Buy / 목표가 159,000원 / 현재가 103,700원]

분명한 성장 방향성
  • 화물 소형화 바람 본격화
  • 실적 지속 우상향 전망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159,000 원으로 12% 하향

#두산

[BNK투자 / 김장원 / 매수 / 목표가 250,000원 / 현재가 200,000원]

투자에 긍정적 시각은 여전히 유효
  • 업황 부진 이전 수준으로 회귀한 자체사업
  • 실적 기저효과에 고수익 제품과 매출처 다변화 효과가 있을 전자BG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50,000원 상향

#현대건설

[LS증권 / 김세련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3,850원]

다가오는 원전 모멘텀
  • 강점 공종인 해외 원전, 연말로 갈수록 가시화 기대
  • 해외 수주 파이프라인 재점검
  • 매출 볼륨 성장이 이끌어갈 마진 개선, 차선호주 유지

#한진

[LS증권 / 이재혁 / 현재가 19,630원]

서서히 드러날 Mega Hub 효과
  • 서서히 드러날 Mega Hub 효과
  • 밸류에이션 매력도 지속 부각 전망

#넥센타이어

[하나증권 / 송선재,강민아 / BUY / 목표가 11,000원 / 현재가 8,140원]

1분기를 저점으로 수익성이 회복될 전망
  • 분기 실적은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일 것
  • 판가-원가 Spread의 축소를 원가율 개선 요인과 가동률 상승으로 만회할 전망
  • 해외 공장의 증설 내용 Update

#삼양식품

[키움증권 / 박상준 / 현재가 587,000원]

라면 수출 호조로 2분기 실적 기대감 상승
    일 전일 5월 라면 수출 데이터가 시장에 알려지면서, 삼양식품 주가 +11% 급등 마감

#대한항공

[LS증권 / 이재혁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1,450원]

우호적 영업 환경 지속
  • 우호적 영업 환경 지속
  • 비수기도 편안한 2024년
  • 목표주가 30,000 원 및 항공업종 내 최선호주 의견 유지

#LG

[흥국증권 / 박종렬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1,700원]

밸류업에 대한 의지 확고
  • 2Q 연결 OP 4,792억원(+5.4% YoY), 전분기의 부진 만회
  • 2~4분기 실적 개선으로 올해도 견조한 실적 모멘텀 지속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0,000원 유지

#롯데정밀화학

[현대차증권 / 강동진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7,850원]

실적은 바닥. 그린소재, 수소, 암모니아 기대
  • 최근 11차전력수급기본계획 발표. 암모니아와 수소 비중 확대. 동사는 암모니아 트레이딩 부문 강점
  • Scope 3 감축계획에 따라, 운송부분에서 탈탄소를 위한 암모니아 벙커링 역시 중요해 질 전망
  • 1Q24 실적은 부진했으나, 2Q24부터 그린소재 사업 점진적 회복

#현대제철

[메리츠증권 / 장재혁 / Buy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30,250원]

중국 부동산 부양책이라는 신기루
  • 2Q24부터 점진적 실적 회복
  • PBR 0.2배

#POSCO홀딩스

[메리츠증권 / 장재혁 / Buy / 목표가 630,000원 / 현재가 374,000원]

업황 개선과 리튬 모멘텀을 기다려보자
  • 3Q24부터 실적 개선 예상
  • 연기된 이차전지소재 투자 시점, 속도 조절 감안 필요
  • 철강과 이차전지 업황 모두 추가 악화는 제한적, 지금은 개선을 기다릴 때

#LS

[메리츠증권 / 장재혁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69,800원]

해저케이블 1대장
  • 북미 해저케이블 증설 모멘텀
  • 양호한 실적과 LS전선의 꺾이지 않는 수주잔고 예상

#GS건설

[미래에셋증권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21,000원 / 현재가 15,140원]

점진적 정상화를 향해
  • 2023년, 보수적 주택 원가율 기조 2024년 개선 방향성 유효 [100.3%(‘23) → 91.6%(’24F)]
  • 연간 영업손익 : -3,879억원(’23) +3,614억원(’24F)

#GS건설

[LS증권 / 김세련 / Hold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5,140원]

머지않아 도래할 온기
  • 예상보다 빠른 속도의 주택 마진 개선
  • 펀더멘탈 개선이 리스크를 누르게될 미래

#대한유화

[하이투자 / 전유진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47,000원]

24년 바닥 다지고 25년 턴어라운드 국면 진입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18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하는데, 업황이 바닥을 다지고 턴어라운드 예상되는 24~25년 평균 BPS 290,986원에 PBR 기존 대비 +10% 할증한 0.68배 적용
  • ’24년 영업이익 180억원으로 2년 만에 영업적자에서 탈출, ’25년은 1,096억원으로 확실한 턴어라운드 예상
  • 석유화학 업황은 ’24년 상반기 저점으로, 하반기 바닥 다지는 턴어라운드 구간 진입 예상

#GS리테일

[신영증권 / 서정연 / 매수 / 목표가 34,000원 / 현재가 22,750원]

분할 효과 거두려면
  • 인적분할 발표
  • 파르나스 3개년 계획 제시
  • 파르나스호텔 적정가치 이미 1조원으로 Valuation 중
  • 향후 성장 동력 제시가 중요, 목표주가 34,000원 유지

#GS리테일

[DB금융투자 / 허제나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2,750원]

호텔 사업부 인적 분할, 가치 재평가 기대 Up
  • GS리테일 인적 분할 결정
  • 본업 역량을 돋보이게 할 첫 번째 Step, 지배구조 개선 의지 긍정적

#GS리테일

[한국투자 / 김명주,전예원 / 매수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2,750원]

인적 분할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 GS리테일, 호텔 부문의 인적 분할을 결정
  • 적정 시가총액: 편의점 2.6조, 호텔 1.1조원
  • 주가 회복은 이어지겠지만, 다소 아쉬운 부분도 존재

#GS리테일

[하나증권 / 서현정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22,750원]

GS리테일, 호텔사업 인적 분할 결정
  • 분할 개요: 본업 역량 집중과 기업가치 저평가 해소
  • 본사업(편의점) 과소평가 소멸, 저평가 사업부 재평가 가능성
  • GS리테일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9만원 유지

#GS리테일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22,750원]

파르나스 분할로 본업 경쟁력 강화
  • 분할로 경영 효율성 제고, 이제 편의점 기존점 반등에 집
  • 파르나스 분할 결정, 선택과 집중에 따른 경영 효율성 제고

#GS리테일

[키움증권 / 박상준,신대현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22,750원]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인적분할 결정
  •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읶적분할 결정
  • 밸류에이션 레벨 상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

#GS리테일

[대신증권 / 유정현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2,750원]

호텔 사업부 인적 분할 공시
  • GS리테일, 호텔 사업부 인적 분할 단행
  • 파르나스 가치 제고를 위해 임대 사업 확장
  • 인적 분할은 저평가 된 각 사업부의 가치 재평가를 위한 것

#한샘

[LS증권 / 김세련 / Buy / 목표가 74,000원 / 현재가 55,500원]

구조적 이익 체력 개선, 재확인
  • 원재료 가격 안정화, 사업부 믹스 개선 효과 확인
  • 밸류에이션 레벨을 설명할 2분기 실적

#한올바이오파마

[다올투자 / 박종현,이정우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3,150원]

1402로의 집중은 정해진 수순
  • 5월 30일 Immunovant IR 데이 임상 결과 발표 지연으로 주가 하락
  • 일정 업데이트(지연)
  • FcRn 시장 확대 모멘텀 여전히 유효

#한화솔루션

[현대차증권 / 강동진 / BUY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30,850원]

태양광, 데이터센터 탈탄소 기본 솔루션
  • 주요 Big Tech 기업들이 Scope3까지 탈탄소 가속화 함에 따라, 여파는 더욱 확대될 전망
  • 장기적으로 On-site 발전 설비를 통해 데이터 센터 전력 공급하는 추세 이어질 것

#한화솔루션

[하이투자 / 전유진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30,850원]

업황 전환의 트리거가 될 수 있는 중국 스탠스 변화
  •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4만원과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2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중국(=동남아산) 업체들의 공격적인 밀어내기로 ’24년 6월 말 기준 미국 내 모듈 재고는 약 41GW 달할 것으로 추정
  • 미국 재고 소진과 별개로, 하반기에는 중국 태양광 업체들의 구조조정 스탠스 변화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는 판단

#LS ELECTRIC

[현대차증권 / 강동진 / BUY / 목표가 260,000원 / 현재가 213,000원]

아직 만개하기 전이다.
  • 최근 공시를 통해 초고압 변압기 공장 증설을 발표
  • 향후 배전시장 성장에 수혜 기대. 이는 여타 경쟁자들과 차별화되는 요인
  • 실제 데이터 센터는 동사가 강점이 있는 배전반이 더 중요

#고려아연

[메리츠증권 / 장재혁 / Buy / 목표가 640,000원 / 현재가 498,000원]

좋은 업황, 실적 서프라이즈, 중장기 성장동력, 자사주 매입
  • 2Q24 Preview: 전 제품 판가 상승으로 인해 별도, 자회사 모두 호실적으로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 중장기 성장을 꾀하는 신사업의 가치, 전기동+황산니켈 합산 매출 규모만 약 3.5조원

#LG이노텍

[하나증권 / 김록호,김영규 / BUY / 목표가 326,000원 / 현재가 249,000원]

실적 상향 가능성에 주목
  • 2Q24 실적 상향 조정
  • 24년 하반기 실적 상향 여력도 상존
  • 주가 상승에도 여전히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롯데케미칼

[하이투자 / 전유진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09,900원]

없으면 뭔가 찝찝할 하반기
  •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14만원과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4년 영업손익은 -1,370억원으로 ’22년 -7,626억원 → ’23년 -3,477억원 대비 적자규모 확실히 줄여갈 것
  • 석유화학 업황은 ’24년 상반기 저점으로, 하반기 바닥 다지는 턴어라운드 구간 진입 예상

#롯데케미칼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09,900원]

펀더멘털 개선 사이클의 초입
  • 올해 PBR, 1991년 상장 이후 2번째로 낮은 수치 기록 중
  • 올해 대규모 Capex 사이클이 마무리된다
  • 점진적 질적 성장 전망

#HMM

[LS증권 / 이재혁 / 현재가 19,130원]

천재일우
  • 수에즈 사태 장기화로 인한 실적 수혜 전망
  • 체력 비축의 시간

#유니드

[현대차증권 / 강동진 / 현재가 106,900원]

탄소중립, 수산화칼륨 및 탄산칼륨 수요처 확대
  • 염화칼륨을 전기분해하여 수산화칼륨(가성칼륨, KOH) 및 탄산칼륨(K2CO3), 염소(Cl) 등을 생산. 칼륨계열 세계 1위 업체
  • CCS(Carbon Capture & Storage) 프로젝트에서 수산화칼륨 뿐만 아니라 탄산칼륨도 사용
  • 향후 데이터센터 탄소중립 및 On site 전력 설비 구축을 위한 그린수소 수요 확대 전망

#유니드

[하이투자 / 전유진 / Buy / 목표가 126,000원 / 현재가 106,900원]

단기 및 중장기 관점 모두 매력적
  •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2만원에서 12.6만원으로 상향
  • 주요 투자포인트는 1)글로벌(특히, 인도/남미 지역 중심) 농업 및 식품부문 가성칼륨 수요 증가, 2)염화칼륨 가격 하향 안정화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
  • 중장기적으로는 탄소포집 흡착제로서의 가성/탄산칼륨 활용도 높아지며 전체적인 시장 규모 레벨업 가능

#한일단조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2,345원]

계속 지켜보고 싶네요
  • 대한민국 원조 단조 기업
  • 방산 부문 성장 가능성에 주목
  • 체질 개선, 구조적 성장 전망

#삼성E&A

[LS증권 / 김세련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3,950원]

플랜트 Player의 저력을 보여줄 때
  • 대형현장 이익 기여로 채워나가는 펀더멘탈
  • 사우디 아람코 CAPEX, 유가, 그리고 블루 암모니아
  • 수주로 증명하는 2024년

#삼성E&A

[미래에셋증권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38,000원 / 현재가 23,950원]

하반기 모멘텀을 대비한 매수 전략
  • 2024년 뚜렷한 신규수주 급증 [8.8조원(’23) 19.7조원(’24F), 가이던스 12.6조원]
  • 파드힐리(60억불) 수주 이후, 인도네시아 TPPI(35억불) 등 다수의 화공 Project 수주 성과 예상

#삼성E&A

[한국투자 / 강경태,남채민 / 매수 / 목표가 38,000원 / 현재가 23,950원]

Valuation Call
  • 실속 있는 수주 성과로만 2010년대 수주 사이클 정점 경신
  • 사우디 투자 재원 우려 해소, Fadhili 수주 이후 주가 하락분 되돌려야

#팬오션

[LS증권 / 이재혁 / N Buy / 목표가 N 6,500원 / 현재가 4,460원]

닻을 올려라!
  • 하반기 드라이벌크 시황에 Long Position
  • 주주친화 기업으로의 한 걸음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500 원으로 신규 커버리지 개시

#NAVER

[삼성증권 / 오동환,유승민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172,700원]

웹툰엔터테인먼트 상장 시동
  • 상장 추진하는 웹툰 엔터테인먼트
  • 성장 둔화 극복 관건
  • LY 리스크로 낮아진 밸류에이션, 본업 가치 부각이 반등 열쇠

#콘텐트리중앙

[리딩투자 / 유성만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2,760원]

바닥은 확실히 잡았다
  • SLL 의 정상화와 미국 제작사 Wiip 의 아쉬움 지속
  • ‘범죄도시 4’ 는 대박 행진 & 메가박스도 관람객 회복하며 적자폭 축소
  • 투자의견 매수(BUY) 및 목표주가 18,000 원 유지

#희림

[LS증권 / 김세련 / Buy / 목표가 9,000원 / 현재가 6,280원]

쌓여가는 성장 동력
  • 설계, CM 성장성 재확인
  • 국내외 공항공사 수주 기대감

#디오

[상상인증권 / 이소중,권오휘 / 현재가 19,590원]

올라갈 일만 남았다
  • 24년 상황은 주가에 이미 선반영
  • 밸류 부담 상당히 낮아져

#프로텍

[그로쓰리서치 / 이재모,김주형 / 현재가 32,150원]

시장의 오해가 해소되면 주가는 반등할 것
  • 주요 사업은 반도체 후공정 장비 개발 및 장비
  • 메인장비 디스펜서 장비는 캐쉬카우 역할을 하는 중요 장비
  • 중장기적 계획으로 장비 다각화, 고객 다변화로 성장을 모색하고 있는 단계

#엠로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65,500원]

예상보다 큰 규모의 수주
  • 공급망 관리 소프트웨어(SRM) 전문 기업
  • 예상보다 큰 규모의 계약, 높아진 실적 성장 가시성
  • 엠로의 Phase II는 이제 시작

#LG전자

[KB증권 / 김동원 / 현재가 103,100원]

가전의 진화, 실적 레벨업
  • 2024년 공조 (HVAC) 및 구독가전 영업이익 기여도 35%
  • 2분기 추정 영업이익 1.1조원, 3년 만에 최대치
  • 2024년 영업이익 4.4조원 예상, 사상 최대 실적 기대

#세진중공업

[하나증권 / 위경재 / 현재가 7,590원]

야드 투어 후기 : 에너지 전환을 위한 Tank
  • 에너지 전환을 위한 보급 창고
  • 성능 향상과 생산성 개선 동반 추진

#CJ CGV

[대신증권 / 김회재 / Buy / 목표가 10,000원 / 현재가 5,640원]

드디어 마지막 관문 통과
  • 6/3 CJ올리브네트웍스 현물 출자 인가. 취득 금액 4.444천억원
  • 부채비율은 1,100%에서 390%, 리스부채 제외시 180% 수준으로 개선
  • 연간 500억원의 OP 기여. 24E OP 1.3천억원(+173% / +850억원 yoy)

#현대리바트

[미래에셋증권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110원]

실적 기대감은 유효
  • 원자재 인플레이션 여파를 벗어난 B2B 부문 Spread 개선 구간 진입과 매출 성장
  • ‘집테리어’ 를 중심으로 한 B2C 시장에서의 점진적 성장

#현대리바트

[LS증권 / 김세련 / 현재가 10,110원]

하반기도 이어질 실적 개선
  • 완연한 턴어라운드 확인
  • 하반기 탑라인 감소가 이익 개선으로 방어될 것

#현대글로비스

[LS증권 / 이재혁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8,100원]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
  • 커져가는 PCTC 기대감
  • IMO-Naked PCTC
  • 목표주가 270,000 원 및 해운/육운 업종 내 최선호주 의견 유지

#제주항공

[LS증권 / 이재혁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0,910원]

혼저옵서예
  • 정상화 궤도 진입
  • 연중 In-Bound 관광 및 중국노선 실적 성장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 원 유지

#티웨이항공

[LS증권 / 이재혁 / Buy / 목표가 3,700원 / 현재가 2,805원]

태평양을 건너 대서양을 건너
  • 성-기 효과 재확인
  • KE-OZ 합병 수혜로 중장기 안정적 외형성장 전망

#SK이노베이션

[유안타증권 / 황규원,박현주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06,300원]

배터리 자금 부담은 언제 나아지나?!
  • 2024년 2분기 예상 영업이익 3,760억원, 감익
  • 2 ~ 3분기 정유설비 증설 및 배터리 저율가동 부담
  • 목표주가 하향, 배터리 투자금 대책이 필요해!

#SNT에너지

[현대차증권 / 곽민정,윤서영 / 현재가 10,050원]

데이터센터용 소형 가스터빈 수요 증가로 공랭식 열교환기 수요↑
  • 전세계적으로 AI 산업 붐이 일면서 더 많은 전력이 소비되는 데이터 센터 건설이 급증하고 있음
  • 2024년 동사의 신규 수주는 1Q24 1,375억원을 포함하여 총 약 6,033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어 2023년 신규 수주금액인 2,264억원 대비 3배 이상 증가함
  • 동사 창립 이래 최대의 신규 수주분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됨.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동사의 실적 역시 개선될 여지가 큼

#한중엔시에스

[KB증권 / 한유건,성현동,전소희 / 현재가 43,450원]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전문 기업
  • 전력 수급 불균형 해결을 위한 ESS 수요 증가, 글로벌 정책 지원 및 대규모 투자로 인해 산업 고성장 기대
  • 핵심 고객사와 기술 공동 개발로 2024년 하반기 대용량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E5S P) 양산 예정
  • 리스크 요인은 1) 내연기관 부문의 높은 매출원가율, 2) 특정 고객사에 편중된 ESS 부문의 매출 구조

#한중엔시에스

[유안타증권 / 이안나,홍유택 / 현재가 43,450원]

제대로 된 BESS 관련주가 나왔다
  • 지금 이 시점 왜 국내 BESS 기업에 주목하는가
  • 수냉식 BESS 중심 성장 본격화
  • 성장성+밸류에이션 모두 긍정적

#로보티즈

[하이투자 / 이상수 / 현재가 22,850원]

휴머노이드에 더 많이 들어가는 액츄에이터
  • 24.1Q 매출액 83.4억원(+13.2% YoY) 영업이익 -9.2억원(적자 지속) 등의 실적 시현.
  • 올해 하반기에는 신규 액츄에이터 제품 다이나믹셀-Y, 커피에반하다 향 실외배송로봇 등의 매출 인식이 예정되어 있음에 따라, 24.4Q 흑자 전환도 기대해볼 만 함.

#LX하우시스

[LS증권 / 김세련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43,650원]

밸류에이션 메리트 확대
  • 자동차소재/산업용필름이 이끈 실적 개선
  • 2분기 실적 호조 지속 전망, 여전히 Forward PER 5X

#동인기연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25,850원]

2분기부터 바로 쇼타임
  • 하이엔드 백팩 및 아웃도어 용품 전문 기업
  • 1분기 아쉬웠지만, 2분기부터 정상화 전망
  • 매출 증가 및 수익성 개선 전망

#와이씨켐

[하나증권 / 김민경,김록호 / 현재가 24,700원]

IPO 주관사 업데이트 - 신규 소재 공급 기대감
  • 1Q24 Review: 가동률 회복, 재고 감소 확인
  • 신규 아이템 공급 진행상황
  • 장비 사업 분야 진출로 신규 성장 동력 확보

#비나텍

[현대차증권 / 곽민정,윤서영 / 현재가 55,200원]

가스의 최상급은 수소!!
  • 주요 사업은 슈퍼캐패시터와 수소연료전지
  • 1Q24 동사의 실적은 매출액 134.8억원(-7.6% qoq, +10.8% yoy), 영업이익 4.3억원(-54.8% qoq, -182.6% yoy)을 기록함

#하이비젼시스템

[신한투자 / 최승환,이병화 / 현재가 25,600원]

성장 반영 전, 지금 보면 좋을 시기
  • 신규 성장동력 다수 기대, 부담없는 밸류
  • 핸드셋을 넘어 다양한 신규시장에도 공고할 검사장비의 해자

#비즈니스온

[NH투자 / 심의섭,황지현 / 현재가 13,780원]

실적 성장만 보아도 매력적인 Valuation
  • 전자세금계산서 사업을 기반으로 영역을 확장중인 B2B SaaS 기업
  • 외형 확대 이후 시작된 사업적 시너지로 전사 실적 고성장

#뉴파워프라즈마

[SK증권 / 이동주 / 현재가 6,200원]

반도체, 폴더블, 방산의 3중주
  • 중국 시장 교체 주기 도래
  • 반도체 신규 투자 재개 기대
  • 도우인시스 연결 효과 + 안정적인 한국화이바

#에이비온

[아이브이리서치 / 리서치센터 / 현재가 7,640원]

경쟁약물 대비 안전성 약 3 배
  • Vabametkib 임상 2 상 Cut off 데이터 발표
  • 다수의 First-in-Class 신약 파이프라인 발표

#진에어

[LS증권 / 이재혁 / Buy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12,860원]

매수할 결심
  • 하반기 항공주 투자전략은 선KAL - 후JNA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 원 유지

#레인보우로보틱스

[하이투자 / 이상수 / Buy / 목표가 210,000원 / 현재가 160,100원]

아쉬운 실적이나, 견조한 프리미엄
  • 24.1Q 매출액 30.4억원 (-0.3% YoY) 영업이익 -4.5억원 (적자지속)등의 실적을 시현
  • 투자의견 BUY, 목표 주가 210,000원을 유지
  • 2024년 협동로봇 매출 규모는 예상 대비 적을 것이나, 2025년부터 AMR, 4족보행로봇 제품군에서도 본격적인 매출 발생할 것으로 기대됨

#롯데웰푸드

[한화투자 / 한유정,이다연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47,600원]

기대되는 성수기
  • 기대치에 부합할 2분기
  • 계획대로 되고 있기에 기대되는 성수기

#효성첨단소재

[하이투자 / 전유진 / Buy / 목표가 510,000원 / 현재가 364,000원]

기존 투자포인트들 여전히 순항 중
  •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51만원과 투자의견 매수 유지
  • 주요 투자포인트는 1)글로벌 RE 타이어 수요 회복에 따른 Q 확대 및 스프레드 개선, 2)탄소섬유 매 분기 증설 물량 반영에 따른 외형성장 및 그에 근거한 전체적인 이익의 질적 개선 등임
  • 이에 근거해 ’24년 영업이익은 2,763억원으로 ’23년 1,724억원 대비 +60.3%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또한 분기별로도 매 분기 꾸준한 이익 성장세 이어갈 전망

#에스피시스템스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8,910원]

본업의 성장, 신사업의 진일보 기대
  • 로보틱스 및 ICT 전문 기업
  • 고객사 다변화, 자회사 시너지를 통한 외형 확대
  • 2차전지 부품 사업은 잠시 대기 중

#오로스테크놀로지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23,950원]

두고 봐, 나는 한다면 해
  • 오버레이 계측 장비 전문 기업
  • 매출 인식이 지연됐을 뿐, 여전히 순항 중
  • 하반기까지 지속적인 관심 필요

#뉴로메카

[하이투자 / 이상수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1,050원]

탑라인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 24.1Q 매출액 36.3억원(+275.9% YoY), 영업이익 -52.7억원 (적자지속) 등의 실적 시현
  • 뉴로메카의 생산 CAPA는 기존 대전 공장과 건설 중에 있는 신규 포항 공장으로 구성됨
  • 투자의견 BUY, 목표 주가 53,000원을 유지

#하이브

[하나증권 / 이기훈,황지원 / BUY / 목표가 315,000원 / 현재가 200,500원]

화해 신청 중
  • 높은 가격 매력과 하반기 충분한 모멘텀
  • 신인 그룹들의 성과는 빠르게 확대 중
  • 하이브에게 공이 넘어가버린 어도어 이슈

#알멕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38,800원]

기다림이 필요한 시기
  • 전기차용 알루미늄 압출 부품 전문 기업
  • 전기차용 압출라인 증설 진행 중
  • PO 정상화 국면에서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크라우드웍스

[한국투자 / 이도희,강시온 / 현재가 21,450원]

그래도 대세는 LLM
  • LLM 구축을 위한 큰 그림을 만들다
  • 2024년 1분기 매출액 27억원(- 63.9% YoY), 영업손실 30억원(적자전환)을 기록

#큐로셀

[삼성증권 / 서근희 / 현재가 31,550원]

안발셀, 2H24 식약처 허가 신청 예정
  • CD19 CAR-T 치료제 안발셀, 2H24 식약처 허가 신청 예정
  • 해외 진출 모멘텀 부재는 아쉬우나, 2026년부터 안발셀 국내 처방에 따른 Cash 확보로 자급자족이 가능한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 가능

#DL이앤씨

[LS증권 / 김세련 / Buy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4,100원]

주택마진 개선을 향해
  • 이연되는 주택 마진 개선 시점
  • 안정적인 재무구조, 플랜트 실적 성장

#코어라인소프트

[신한투자 / 최승환,이병화 / 현재가 11,530원]

쌓이고 있는 성장의 발판
  • 쌓이고 있는 성장의 발판
  • CT 특화 인공지능 기반 의료영상 S/W 기업

#제일엠앤에스

[한국투자 / 윤철환,박정인 / 현재가 16,000원]

만만치 않은 시장이지만, 난 괜찮아
  • 2차전지 믹싱 장비 전문 기업
  • 수주 잔고도, Capa도 Up
  •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실적 가시성이 높다고 판단

#파인엠텍

[KB증권 / 권태우,성현동,김선봉 / 현재가 10,200원]

폴더블에 진심, 한중미 영역 확대 기대, 고민하면 놓친다
  • 힌지 및 전장 부품 전문 제조 기업
  • 체크포인트: 1) 폴더블 생태계 확장, 수혜 강도 업
  • 2) EV용 부품, 본격적인 매출 성장 기여
  • 3) 매출 본격화로 실적 바닥 확인
  • 잠재적 리스크 요인

#한선엔지니어링

[현대차증권 / 곽민정,윤서영 / 현재가 11,180원]

알고보니 최선은 한선
  • 2023년 실적은 매출액 478억원 (+50.6% yoy), 영업이익 62억원을 기록. 2024년에도 실적 우상향세는 지속될 전망
  • 2023년 제2공장 토지 선매입을 통해 2024년 공장 증축이 완료되는데, IPO 당시 규모보다 더 큰 규모로 증설 예정임

#두산로보틱스

[하이투자 / 이상수 / Buy / 목표가 125,000원 / 현재가 74,100원]

북미 시장 성장세는 견조하다
  • 24.1Q 매출액 108.8억원 (+ 3.1% YoY -35.5% QoQ) 영업이익 -68.8억원 (적자지속)등의 실적을 시현
  • 북미 협동로봇 시장에서 동사의 성장세는 앞으로 계속될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 주가 125,000원을 유지

#SK이터닉스

[현대차증권 / 곽민정,윤서영 / 현재가 25,500원]

신재생에너지 멀티플레이어
  •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와 ESS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 1Q24 매출 비중을 보면,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풍력을 중심으로 46.2%, ESS 5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업수익 48억원을 기록함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