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40531.FRI)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by 미니토이 2024. 5. 31.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해상운임 상승세 지속 등에 해운 테마 상승.
  • 해외여행 성장 모멘텀 기대감 등에 항공/LCC 테마 상승.
  • 글로벌 K-푸드 열풍 속 하반기 긍정적 업황 지속 전망 등에 음식료업종/ 수산 테마 상승.
  • 非중국 수출 성장 및 인디 브랜드 성장 지속 전망, UAE의 한국산 화장품 관세 단계적 철폐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韓中 관계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카지노, 여행, 면세점 등의 중국 소비 관련 테마도 상승.
  •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수소연료전지 부각 등에 수소차 테마 상승.
  •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상승 및 테슬라, 中 당국에 주행보조시스템 등록 준비 소식에 2차전지/전기차/자율주행차 등 테마 상승.
  • 정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표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생성형 AI 폰 판매량 1~3위 차지 소식 등에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휴대폰부품 테마 상승.
  • LG디스플레이, 올해 P-OLED 출하 긍정적인 흐름 전망 등에 OLED 테마 상승.
  • 정부, 스페이스 광개토 프로젝트 추진 속 우주항공 100조원 투자 소식에 일부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 美 의류업체 '갭(GAP)'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패션/의류 테마 상승.
  • 은행, 일부 보험, 지주사 등 밸류업 프로그램 관련 저PBR 관련 테마 상승.
  • 네이버웹툰 美 증시 상장 기대감 지속 등에 웹툰 테마 상승.
  • 이 외에 마리화나, 셰일가스, 종합 물류, 미용기기, LNG, 화학섬유, 렌터카, 종합상사, 비료, 의료AI, 모듈러주택, 전력저장장치, 유리 기판, 출산장려정책, 무선충전기술, 토스, 건설 중소형, 탈모 치료, 건설 대표주, 의료기기, 도시가스, LPG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 반면, 델 테크놀로지스(DELL)가 AI 서버 수요에 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에도 불구하고, 시간외거래에서 17% 넘게 급락. 블룸버그는 "AI 서버 수주 잔고가 투자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지 못했다고" 분석. 이러한 가운데, 뉴로모픽 반도체, CXL, HBM, 액침냉각,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대표주, 전력설비, 전선, 로봇/AI, AI챗봇 등 반도체 관련주 및 AI/데이터센터/전력인프라 테마 등이 하락.
  • 이 외에 자전거, LED장비, 국내 상장 중국기업, 스마트카, 면역항암제, 야놀자, 해저터널, 조선, 줄기세포, NI, 증강현실, 희토류, 양자암호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해운

해상운임 상승세 지속 등에 상승

  • 최근 해상운임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4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주 대비 182.67포인트(p) 상승한 2703.43을 기록. SCFI가 2,700선을 넘어선 건 2022년 9월 이후 1년8개월 만임. 미국·영국의 후티 공습에 홍해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해운 운임 상승세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해운 업계의 올해 실적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 또한, 5월 들어 글로벌 컨테이너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6월 초 상하이시에서 앤트워프, 함부르크 등지로 향하는 컨테이너 운임료는 건당 7,000달러 이상으로 고시됐는데, 이는 5월 초 컨테이너 건당 운임료인 4,000달러 대비 70% 가량 상승한 수준임.
  • 한편, KB증권은 대한해운에 대해 4척의 선박을 매각하며 시가총액 40%에 근접한 유형자산을 순차적으로 인식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상향조정했음. 일회성 이익이지만 이익의 규모가 현저해 주가 상승을 촉발할 것이라며, 추정에 따르면 이번 매각을 통해 대한해운이 총 2,697억원의 유형자산 처분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STX그린로지스, 대한해운, 흥아해운, 팬오션, KSS해운 등 해운 테마가 상승.

항공/저가 항공사(LCC)

해외여행 성장 모멘텀 기대감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항공업종 관련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해외여행 성장 모멘텀이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우리나라 항공시장은 해외 여향 수요의 구조적 성장 수혜주라며, 올해 LCC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3%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항공사들의 이익 모멘텀은 사회구조적인 소비패턴 변화가 뒷받침한다는 점에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언급.
  • 아울러 시장 개편 수혜도 기대된다고 언급. 대한항공은 국내에서의 불필요한 경쟁에서 벗어나 동북아 FSC들의 수요를 뺏어오고 있고, 그 사이 LCC도 성장하고 있다고 밝힘. 특히, 항공산업이 전세계에서 가장 발전하고 있는데 2024F EV/EBITDA는 최하위인 진에어를 최선호주로 추천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에 진에어,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한진칼, 에어부산 등 항공/LCC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수산

글로벌 K-푸드 열풍 속 하반기 긍정적 업황 지속 전망 등에 상승

  • 라면·김밥·김 등 글로벌 K-푸드 열풍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하반기 음식료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 '비중확대(Overweight)'를 유지했음. 하반기 음식료 업종 주요 이익 변수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Q(판매량)는 국내의 경우 가공식품/내식 식재료 중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해외 성장성이 여전히 음식료 업종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어 P(가격 인상)는 여전히 제한적이나, 제조원가율 상승에 기반한 가격 인상 하반기 가시화되고 있으며, C(원가)는 주요 곡물가 하향 안정화로 하반기 투입원가 하락에 의한 이익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이 같은 소식 속 한성기업, 동원수산, 신송홀딩스, 동서, 오뚜기, 현대그린푸드, 인산가 등 음식료업종/수산 테마가 상승.

화장품

非중국 수출 성장 및 UAE의 한국산 화장품 관세 단계적 철폐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화장품 업종의 성장을 견인하는 Factor로 非중국 수출+인디 브랜드가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며, K-Beauty의 글로벌 시장 내 저변 확대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고 밝힘. 이러한 우호적인 업황 아래 브랜드사-ODM/OEM사용기/원료 제조사 전체 밸류체인에 걸친 실적 호조세가 가시화되며 KSE 화장품 12개월 선행 P/E는 연초 18배 수준에서 20배까지 회복됐다고 설명.
  • 아울러 대형주는 중국/면세 채널에서의 점진적인 기저 회복 추세에 있으며, 중소형 브랜드사는 미국/일본/동남아 지역에서의 화장품 수출 고성장을 통한 외형 확대 기조에 있다고 밝힘. 우호적인 업황 아래 ODM사들의 수주는 견조하며, 외형 뿐만 아니라 수익성의 양/질적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고 언급. 이에 현재 화장품 업종의 성장을 견인하는 수출 모멘텀은 아직 초입 단계이며 중장기적으로 성장 여력 충분하다고 판단. 이에 따른 업종 Valuation이 다시 한번 Re-rating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한편, 최근 한국이 아랍국가 중 처음으로 UAE와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가운데, 화장품을 비롯해 의료기기, 의약품 등 공산품과 쇠고기, 닭고기, 신선 과일, 조미김 등 주요 농수산물이 관세 철폐 혜택을 받게될 예정임.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아이큐어, 세화피앤씨, 뷰티스킨, 코디, 한국콜마, 코스메카코리아, 에이블씨엔씨, 선진뷰티사이언스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수소차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수소연료전지 부각 등에 상승

  • 그로쓰리서치는 전일 보고서를 통해 수소연료전지가 환경 오염물질은 배출하지 않으면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라고 평가했음. 수소연료전지는 수소(H2)를 연료로 산소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수소의 화석에너지를 화석연료의 사용 없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때문에 기존 발전원보다 발전효율이 높고 이를 통해 CO2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시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
  • 이에 수소 연료 시장이 연평균 24.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수소연료전지 관련 기업으로 두산퓨얼셀, 범한퓨얼셀, 에스퓨얼셀, 동아화성, 미코 등을 주목해야한다며, 특히, 두산퓨얼셀의 경우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
  • 이 같은 소식 속 상아프론테크, 시노펙스, 삼영에스앤씨, 두산퓨얼셀, 이엠코리아, 비나텍, 에스퓨얼셀 등 수소차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자율주행차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상승 및 테슬라, 中 당국에 주행보조시스템 등록 준비 소식에 상승

  • 지난밤 뉴욕증시가 세일즈포스를 비롯한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 데다 미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둔화된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한 가운데, 테슬라(+1.48%), 리비안(+7.34%), 루시드(+4.73%)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는 상승.
  •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가 자율주행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 중인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 FSD(Full Self-Driving) 소프트웨어를 중국에서 판매하기 위해 정부 기관에 등록을 준비 중이라고 전해짐. 중국 산업정보기술부에 소프트웨어를 성공적으로 등록하면 테슬라의 내부 직원들이 중국의 공공 도로에서 차량을 주행하며 FSD를 테스트한 뒤 몇 달 내에 중국의 테슬라 차주들에게 FSD를 판매할 수 있게 된다고 알려짐.
  • 테슬라는 미국에서 FSD를 일시불 8,000달러(약 1,090만원) 또는 월 99달러(약 13만6,000원)에 구독형으로 판매하는데, 중국에서는 약 98달러에 해당하는 월 사용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테이팩스, 피엔티, 상아프론테크, 엔켐, 금양, 에코프로, 더블유씨피, PI첨단소재, 중앙첨단소재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상승. 또한, 트루윈, 넥스트칩, 라이콤, 옵트론텍,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등 자율주행차 테마도 상승.

원자력발전/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정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표 소식 등에 상승

  •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는 이날 향후 15년간(2024∼2038년) 전력 수급 전망과 발전원 확충 계획 등을 담은 11차 전기본 실무안을 발표. 정부의 장기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차세대 원전인 SMR(소형모듈원자로) 1기가 처음 포함됐으며, 대형 원전 3기를 포함해 2038년까지 총 4기(4.9GW)의 원자력발전소가 추가로 건설될 전망임. 전기본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들어간 것은 2015년 이후 9년 만임.
  • 또한,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는 2030년까지 2022년(22GW) 대비 3배 이상인 72GW, 2038년까지는 120GW까지 늘릴 계획임.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전망치는 10차 전기본보다 높아진 것으로 2030년 기준으로 10차 전기본에서는 65.8GW가 보급될 걸로 봤는데 이번 11차 전기본은 72.0GW로 상향 조정했음.
  • 정부는 "현재 수준으로는 NDC(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서 보급 목표를 상향했다"면서 "작년 11월에 COP 28에서 합의한 재생에너지 3배 확대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2038년 기준으로 태양광·풍력 설비용량은 115.5GW, 수력·바이오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전체는 119.5GW까지 전망.
  • 아울러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전력 수급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 이 같은 소식 속 우리기술, 금양그린파워, 비에이치아이, 하이록코리아, 한국전력, 한전기술, 보성파워텍 등 원자력발전, SK오션플랜트, 씨에스윈드, 동국S&C, 에스에너지, 대명에너지, OCI 등 풍력/태양광 테마도 상승.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휴대폰부품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생성형 AI 폰 판매량 1~3위 차지 소식 등에 상승

  •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생성형 AI 폰의 판매량 점유율은 6%를 기록. 직전 분기 1.3%에서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같은 기간 생성형 AI 폰 모델의 수도 16개에서 30개 이상으로 늘었음. 브랜드별로 보면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 시리즈가 올해 1분기 전세계 생성형 AI 스마트폰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58.4%를 차지한 가운데, 갤럭시 S24 울트라는 30.1%로 1위, 갤럭시 S24는 16.8%로 2위, 갤럭시 S24 플러스는 11.5%를 기록.
  • 이는 생성형 AI 폰에 대한 제조업체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방증이라며, 갤럭시 S24 시리즈에 탑재된 생성형 AI 기능인 대화·회의 녹음·정리, 서클 투 서치, 실시간 번역 기능 등이 좋은 반응을 얻은 결과라고 분석. 또한, 1분기에는 600달러 이상 프리미엄 폰 시장에서 생성형 AI 폰의 판매 비중이 70% 이상에 달한 것으로 추산했음.
  • 이 같은 소식 속 아모그린텍, 세경하이테크, 이랜텍, 비에이치, 이엠텍 등 스마트폰/갤럭시 부품/휴대폰부품 테마가 상승.

OLED

LG디스플레이, 올해 P-OLED 출하 긍정적인 흐름 전망 등에 상승

  •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 LGD, SDC의 북미 전략고객사의 Mobile 신작 패널에 대한 양산이 예상보다 당겨질 것으로 전망. 특히, LGD는 지연 없이 납품할 것으로 보여 올해 P-OLED 출하에 대한 긍정적인 흐름이 예상된다고 설명. 작년 월 15K의 capa를 추가 증설한 것을 감안한다면 올해는 전년대비 물량이 최소 2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올해는 패널단에서 BRS(Borderless)로 변화된 것 외에 큰 스펙 업그레이드가 없었다는 점에서 퀄테스트가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으로 추정되며, 과거 TFT Upgrade(LTPS→LTPO) 등에 비해서 베젤을 줄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수월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하단 베젤 축소 관련 발열 이슈도 빠르게 해소돼 올해 LGD 의 P-OLED의 긍정적인 흐름이 예상된다고 밝힘.
  • 아울러 Apple의 중국 smartphone 회복 및 WWDC 기대감이 커지고 있으며, 최근 Visionox가 IT OLED용 8.6세대 월 32K의 capa에 550억 위안(한화 약 10.3조원)을 투자하는 등 IT OLED이 Big-cycle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밝힘.
  •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아이씨디가 최근 입찰을 진행한 BOE의 8.6세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라인 건식 에칭 기계의 수주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참엔지니어링, 아이씨디, 에프엔에스테크, 나래나노텍, 선익시스템, 한솔케미칼 등 OLED 테마가 상승.

우주항공산업

정부, 스페이스 광개토 프로젝트 추진 속 우주항공 100조원 투자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전일 윤석열 대통령은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에서 열린 개청 기념식에 참석해 우주 관련 정부 예산을 1조5천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앞으로 20여년 동안 약 100조원의 투자를 이끌어내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음.
  • 윤 대통령은 "2040년경에 이르면 우주산업의 시장 규모가 3천4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주산업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전 세계 70여 개가 넘는 국가들이 우주산업 전담 기관을 만들어 치열한 국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밝힘. 이어 "우주항공청이 우주 경제를 이끌어가는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개발(R&D)과 우주항공산업 생태계를 집중 지원하고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을 길러내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며, "2032년 달에 우리 탐사선을 착륙시키고, 2045년 화성에 태극기를 꽂기 위한 '스페이스 광개토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 윤 대통령은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우주를 향한 도전과 혁신을 전폭 지원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2027년까지 관련 예산을 1조5천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2045년까지 약 100조원의 투자를 이끌어낼 것"이라며, "1천개의 우주 기업을 육성하고 10개 이상은 월드클래스 우주 기업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언급했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파이버프로, 한양이엔지, 제노코, 비츠로테크 등 일부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상승.

패션/의류

美 의류업체 '갭(GAP)'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상승

  • 30일(현지시간) 미국 소매 의류업체 갭(GAP)이 월가 기대를 웃도는 호실적을 공개한 가운데, 시간외 거래에서 20% 넘게 급등세를 나타냈음. 이와 관련, 갭은 지난 4일로 마무리된 1분기 순이익이 1억5,800만달러, 주당 41센트로 전년동기 기록한 1,800만달러, 주당 5센트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고 밝힘. 이는 앞서 월가가 예상한 주당순이익 14센트를 대폭 웃도는 수치임. 같은기간 매출액은 34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 증가했으며, 팩트셋 집계 전망치인 33억달러도 상회했음.
  • 또한, 내년 2월로 마무리되는 2025 회계연도 매출이 종전 가이던스 '보합' 수준이었던 데서, 전년대비 소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전망치도 상향 조정했음. 영업이익 성장세도 40% 중반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해 앞선 10% 초~중반대 전망보다 높여잡았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한세실업, 제이에스코퍼레이션, 공구우먼, 화승엔터프라이즈, F&F 등 패션/의류 테마가 상승.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참엔지니어링 514원(+29.80%)
    : LG디스플레이, 올해 P-OLED 출하 긍정적인 흐름 전망 등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와이씨 17,910원(+29.97%)
    : HBM 테스트 공정 주목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상한가
  • 세화피앤씨 1,300원(+30.00%)
    : 非중국 수출 성장 및 UAE의 한국산 화장품 관세 단계적 철폐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아이큐어 2,375원(+28.38%)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경구용 비만약 기술입증 소식에 급등
  • TS트릴리온 425원(+23.19%)
    : 최대주주 장기영 전 대표 장내 매수 추진 소식 등에 급등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20,300원(+20.47%)
    : 美 의류업체 '갭(GAP)'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패션/의류 테마 상승 속 급등
  • STX그린로지스 10,750원(+19.18%)
    : 해상운임 상승세 지속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세실업 23,600원(+16.54%)
    : 美 의류업체 '갭(GAP)'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패션/의류 테마 상승 속 급등
  • 디아이 21,000원(+15.83%)
    : HBM 테스트 공정 주목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급등
  • 대한해운 2,490원(+15.55%)
    : 해운 테마 상승 속 시가총액 39% 수준 선박매각 이익 인식 전망에 급등
  • 파이버프로 4,820원(+14.76%)
    : 정부, 스페이스 광개토 프로젝트 추진 속 우주항공 100조원 투자 소식에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뷰티스킨 25,850원(+13.63%)
    : 非중국 수출 성장 및 UAE의 한국산 화장품 관세 단계적 철폐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테이팩스 27,000원(+13.21%)
    : 2차전지 및 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급등
  • 엔젠바이오 3,535원(+12.76%)
    : 서울아산병원의 차세대 유전체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완료 소식에 급등
  • 한성기업 7,710원(+12.72%)
    : 수산 테마 상승 속 주력제품 ‘크래미(맛살)’ 수출 급증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육일씨엔에쓰 3,245원(+12.09%)
    : 삼성 갤럭시 S24 시리즈 생성형 AI 폰 판매량 1~3위 차지 소식 등에 스마트폰 테마 상승 속 급등
  • 케이웨더 5,660원(+12.08%)
    : 과기부 주관 XaaS 프로젝트 수주 소식에 급등
  • SK 176,200원(+11.45%)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및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경영권 분쟁 가능성 등에 급등
  • 한국제11호스팩 4,020원(+11.20%)
    : (주)차이커뮤니케이션과의 상장예비심사 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급등
  • 피엔티 66,100원(+10.91%)
    :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상승 및 테슬라, 中 당국에 주행보조시스템 등록 준비 소식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코디 1,988원(+10.81%)
    : 非중국 수출 성장 및 UAE의 한국산 화장품 관세 단계적 철폐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트루윈 2,780원(+10.54%)
    :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상승 및 테슬라, 中 당국에 주행보조시스템 등록 준비 소식에 전기차/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 딥노이드 8,400원(+10.53%)
    : 필리핀 전문의협회(PAMS) 및 데 로스 산토스 메디컬센터와 질환 진단보조 AI 솔루션 공급 관련 MOU 체결 소식 부각에 급등
  • 비츠로셀 21,300원(+10.08%)
    : 전력 및 방산 사업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급등
  • 상아프론테크 28,100원(+9.77%)
    : 2차전지/ 전기차 및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속 멤브레인 공급 물량 증가 기대감 등에 급등
  • 코스텍시스 17,010원(+9.67%)
    : 전기차 테마 상승 속 SiC전력 반도체 스페이서 美 온세미컨덕터 양산 퀄 통과 예상 분석에 급등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9,400원(+9.53%)
    :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상승 및 테슬라, 中 당국에 주행보조시스템 등록 준비 소식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씨싸이트 21,900원(+9.23%)
    : 美 의류업체 '갭(GAP)'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패션/의류 테마 상승 속 급등
  • 솔브레인홀딩스 69,900원(+9.22%)
    :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상승 및 테슬라, 中 당국에 주행보조시스템 등록 준비 소식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아이씨디 9,490원(+9.08%)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속 中 BOE 8.6세대 AMOLED 생산라인 건식 에칭 기계 수주 확정 소식에 급등

 

 

리포트요약

#대원강업

[이베스트투자 / 이병근 / 현재가 5,140원]

EV/HEV 성장 수혜 코어
  • 중장기 실적 양호
  • 구동모터코어를 통한 Re-rating

#SK하이닉스

[흥국증권 / 이의진 / BUY / 목표가 250,000원 / 현재가 195,700원]

숫자로 보여질 경쟁력
  • HBM3E 숫자의 본격적인 반영
  • 높은 서버 컨텐츠 성장률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250,000원 상향

#SK하이닉스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290,000원 / 현재가 195,700원]

Tech Leader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26년까지 이어질 장기 호황 Cycle에서, AI 수요 외 레거시 수요의 회복이 동반되며 25년 실적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 기대
  • 24년 매출액 67.6조원(+106%, 이하 YoY), 영업이익 20.3조원(흑자전환) 전망

#DB하이텍

[미래에셋증권 / 김영건 / 매수 / 목표가 57,000원 / 현재가 39,950원]

최악을 반영한 것이 최대 장점
  • 최근 급격히 수요가 개선된 AI 및 IT Set향 반도체와 달리 동사의 주요 제품군인 컨슈머, 산업용 반도체의 경우 본격적인 회복은 시작되지 않음
  • 회복기에 가장 빠른 주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모레G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8,450원]

채널 전환
  • P 가는데 G 간다
  • 멀티브랜드숍 및 온라인향 판매채널 집중 전략 우호적

#디아이

[현대차증권 / 박준영 / BUY / 목표가 37,000원 / 현재가 18,130원]

국산화를 향해 한걸음 더
  • 동사는 국내 HBM 선두 업체의 HBM용 웨이퍼 번인 테스터 벤더가 될 확률이 매우 높은 업체
  • 최초의 목표는 HBM용 테스터를 내년 연초경 납품하는 것이었으나 현재 그 시계가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됨

#삼양식품

[현대차증권 / 하희지 / 현재가 528,000원]

불닭 신드롬
  • 삼양식품 1Q24 해외 매출 비중 75%(미국 26%, 중국 32%/2023 67.8%) 기록하며 음식료 업종 내 해외 매출 비중 1위
  • 삼양식품 1Q24 연결기준 매출액 3,857억원(+57.1%yoy), 영업이익 801억원(+235.8%yoy, OPM 20.8%)로 어닝 서프라이즈 시현(시장 컨센서스 424억원 대비 +88.9% 상회)
  • 삼양 식품 향후 1) 해외 수출 고성장 및 이익 기여도 확대 2) 2025년 밀양 제 2공장 증설에 따른 외형 확대 3) 원가율 개선 흐름 지속될 것으로 전망

#포스코퓨처엠

[키움증권 / 권준수 / BUY / 목표가 340,000원 / 현재가 250,000원]

하반기 북미 출하량 확대 전망
  • 2Q24 영업이익 210억원(-60%YoY) 전망
  • 24년 상반기 수익성 악화 예상되나, 하반기는 실적 개선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40,000원 유지

#삼성전자

[흥국증권 / 이의진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3,500원]

변화의 바람
  • 4Q24 일반 DRAM의 HBM 이익률 역전 전망
  • De-rating 해소 기대감 유효

#삼성전자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73,500원]

물량의 명수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적정주가 11만원으로 상향, 차선호주 유지
  • 24년 매출액 331조원(+28%, 이하 YoY), 영업이익 40조원 (+10%) 전망

#LS

[신한투자 / 박광래,한승훈 / N 매수 / 목표가 N 210,000원 / 현재가 177,000원]

전기화 시대에 빼놓을 수 없는 기업
  • 안정적인 실적 속 중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자회사들
  • 전기화 시대에 전력선 수요 증가 및 구리 가격 상승의 수혜 예상
  • Valuation

#이수페타시스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62,000원 / 현재가 48,500원]

없어서 못 팝니다
  • 2Q24 OP 241억원(+4.8% QoQ, +31.9% YoY) 전망
  • 3가지 핵심 Point에 주목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62,000원 상향 제시

#삼성전기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56,600원]

계속 좋아질 수 밖에 없는 구간
  • 2Q24 OP 2,113억원(+17.2% QoQ, +3.1% YoY) 전망
  • 3분기까지 실적 상승 Cycle 지속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90,000원 유지

#삼성전기

[유진투자 / 이승우,임소정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56,600원]

좋아질 일만 남았다
  • 1분기 실적은 매출 2조 6,243억원, 영업이익 1,803억원으로 각각 전년비 30%, 29% 증가
  • 2024년 실적은 매출 10조 1,212억원, 영업이익 8,779억원 예상
  • '25년 예상 BPS 기준 Target P/B 1.9배를 적용해 목표가를 20만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BUY' 유지

#한올바이오파마

[NH투자 / 한승연 / 현재가 36,900원]

IMVT 1402 피보팅 전략, 한올과 분리해서 봐야하는 포인트
  • 전일 Immunovant 주가 변동 세가지 이유

#LG이노텍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330,000원 / 현재가 246,000원]

온디바이스 AI = 아이폰 수요 ↑
  • 2Q24 영업이익(958억원 컨센서스 28.% 상회 전망
  • WWDC는 스마트폰 교체주기를 감소시키는 해답을 제시할 것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330,000원으로 상향 제시

#LG이노텍

[KB증권 / 김동원 / 현재가 246,000원]

실적과 모멘텀 동시 겸비
  • 중국 소비자 선호 스마트 폰 1위 아이폰, 4월 중국 아이폰 판매량 +52% YoY
  • 올해 아이폰 판매량 3년 만에 최대, 아이폰 교체 대기 수요 6억대
  • AI 아이폰 최대 수혜주, 실적 우려가 기대로 전환

#SKC

[신영증권 / 박진수 / 중립 / 목표가 133,000원 / 현재가 138,500원]

이차전지 소재 부문 실적 개선 필요
  • 본업 적자 지속 중, 이차전지 소재(동박) 흑자전환은 4분기 예상
  • 글라스기판 모멘텀은 유효하나 동박의 턴어라운드 필요. 목표주가 21% 상향하지만, 투자의견 중립으로 하향

#신성이엔지

[다올투자 / 고영민 / N BUY / 목표가 N 3,000원 / 현재가 2,220원]

인프라 투자가 몰린다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3,000원(25E EPS 199원, 적정 P/E 15배 적용) 커버리지 개시
  • 24년 매출액 6,641억원(+15%, 이하 YoY), 영업이익 303억원(+311%) 전망

#더존비즈온

[한화투자 / 김소혜,이다연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61,500원]

CB 본허가 획득, 제4인터넷은행 앞으로 한발짝
  • 2020년 신용정보법 개정 이후 첫 기업신용등급제공업 본허가 획득
  • 더존뱅크 준비를 위한 작업도 착실히 진행 중

#한솔케미칼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1,100원]

23년 11월의 기억을 다시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레거시 수요 회복에 따른 본격적인 생산업체들의 가동률 상승이 예상되며, 이는 실적 회복 가속화 요인
  • 24년 매출액 8,492억원(+10%, 이하 YoY), 영업이익 1,549억원 (+25%) 전망

#한솔케미칼

[DB금융투자 / 서승연 / Buy / 목표가 240,000원 / 현재가 181,100원]

반도체 소재가 이끌 실적 개선
  • 2Q24 Preview - 반도체 소재가 이끌 실적
  • 하반기 반도체 소재 위주 실적 개선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40,000원 유지

#HL D&I

[교보증권 / 백광제 / Buy / 목표가 3,000원 / 현재가 1,997원]

성공적인 자체 사업 준공
  • 목표주가 3,000원 유지. 점진적 실적 개선
  • 1Q24 영업이익 183억원(YoY +105.6%), 자체사업 성공적 준공 효과
  • ‘24년 연간 영업이익 512억원(YoY +1.0%), 전년 이익 소폭 상회 전망

#한국전력

[메리츠증권 / 문경원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19,070원]

요금 인상까지 잠시 쉬어 가는 구간
  • 되새김질이 필요한 1Q24 어닝 쇼크
  • 여름이 지나간 후 요금인상 가능성에 기대
  • 현 주가상황에서 제한된 하방. 방어주 역할수행 가능

#두올

[하나증권 / 송선재,강민아 / 현재가 3,510원]

자기주식 소각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 2024년 영업이익률 5.9% 전망
  • 자기주식 176.2만주, 5.3%를 소각 및 소각할 예정
  • P/E 5배 초반. 주주 환원 강화

#SK가스

[메리츠증권 / 문경원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66,400원]

한국에도 LNG 발전 투자 옵션이 생겼다
  • 시의적절한 타이밍에 시작하는 신사업
  • 글로벌 트렌드: 송변전혼잡→ LNG 발전소 이익 상승
  • 국내에서 가장효과적인 LNG 발전 투자 옵션

#한섬

[메리츠증권 / 하누리 / Hold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8,200원]

성숙기 진입
  • 비용증가 > 매출증가
  • 영캐주얼 조닝 경쟁 열위, 저가품 소구력 집중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키움증권 / 권준수 / BUY / 목표가 60,000원 / 현재가 46,800원]

전략 고객사 비중 확대
  • 2Q24 영업이익 50억원(+229%YoY) 전망
  • 고객사 다변화에 초점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0,000원 유지

#삼성E&A

[메리츠증권 / 문경원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3,750원]

큰 그림을 그려가기 좋은 때
  • 비화공 부문 우려로 고전했던 상반기. 이제 힘든 부분은기반영
  • 화공 파이프라인 풍부하고, 전방 시장 업황도개선세
  • 잃을 것 없는 자리. 점진적 인비중확대 전략 유효

#신세계인터내셔날

[메리츠증권 / 하누리 / Hold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7,260원]

수입 이탈
  • 기존이탈 > 신규유입
  • 의류 외형축소 (브랜드이탈), 화장품마진 축소 (마케팅증가), 자주 거점 축소(성장 제한)

#피에스케이홀딩스

[흥국증권 / 이의진 / N BUY / 목표가 N 81,000원 / 현재가 54,900원]

그냥 지나치기 힘든 실적
  • 모든 내용이 좋다
  • HBM 기술 변화 수혜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81,000원 제시

#두산에너빌리티

[메리츠증권 / 문경원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20,600원]

근거 있는 기대감
  • 강력한 내러티브와 개연성이 만들어내고 있는 Re-rating
  • 체코 기대감도 현실적
  • 기대감이 현실로 확인될 하반기

#SK

[미래에셋증권 / 김영건 / 매수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58,100원]

반도체, 에너지, 그리고 주주환원
  • 투자의견 및 밸류에이션
  • 비상장 자회사 실적 전망 및 투자포인트

#주성엔지니어링

[미래에셋증권 / 김영건 / 매수 / 목표가 46,000원 / 현재가 32,850원]

태평양을 건너는 원년
  • 투자의견 및 밸류에이션
  • 업황 및 투자포인트

#주성엔지니어링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51,000원 / 현재가 32,850원]

불변의 전공정 대표주자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중기적 실적 모멘텀 확대 구간임을 주목. 적정주가 51,000원, 소부장 최선호주 유지
  • 24년 매출액 4,267억원(+50%, 이하 YoY), 영업이익 1.157억원(+300%) 전망

#오스코텍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1,300원]

하반기가 기대된다
  • 렉라자®가 국내에서 EGFR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요법 First Line Therapy로 처방되면서 국내 판매이익 유입 기대
  •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맵은 3분기에 FDA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됨

#에스티아이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2,400원]

전 부문 수주 대폭발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적정주가 53,000원, 소부장 최선호주 유지. 24년 기준 실적으로도 상승여력 58.2%
  • 24년 매출액 4,853억원(+52%), 영업이익 588억원(+146%) 전망

#한미반도체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65,300원]

상향 재료가 고갈되기 전까지는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현재 주가는 업황의 장기간 확대와 독점적 공급 상황에 대한 가치와 추가 고객사 확보 관련 성장 기대감이 반영돼 있다고 판단. 적정주가 20만원(25E&26E 평균 EPS 3,788원, 적정 Multiple 52배 적용)으로 상향
  • 24년 매출액 5,534억원(+248%, 이하 YoY), 영업이익 2,341억원(+577%) 전망

#한미반도체

[현대차증권 / 곽민정,윤서영 / BUY / 목표가 260,000원 / 현재가 165,300원]

Micron-한미반도체의 Alliance
  • 투자포인트 및 결론
  • 미국 HBM 로드맵을 보면 답이 보인다
  • 강력한 기술 리더십을 확보한 동사의 수혜 강도는 더욱 커질 것

#동원F&B

[현대차증권 / 하희지 / BUY / 목표가 54,000원 / 현재가 40,650원]

참치 업고 튀어
  • 동원F&B 2H24 연결 매출액은 2조 3,352억원(+4.8%yoy), 영업이익은 1,081억원(+12.8%yoy, OPM 4.6%)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4,000원 제시하며 목표주가 상향 조정
  • 동원F&B 순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 54,000원으로 상향

#LG생활건강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422,500원]

트렌드편승
  • 생건도 올영해요
  • 저가 라인업 강화, 멀티숍입점 확대 통한 포트폴리오 다변화

#NHN KCP

[신한투자 / 이병화,백지우 / 매수 / 목표가 16,500원 / 현재가 9,700원]

비웠다면 다시 담을 때
  • 실적과 주가 방향이 같아질 시기
  • 1Q24 Review: 주가 하락 이유를 찾아볼 수 없다

#KH바텍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4,770원]

소외된 우등생, 반격의 실마리 찾기
  • 2Q24 OP 113억원 (+253.7% QoQ, +86.8% YoY) 예상
  • 폴더블 시장 입증된 우등생, 핵심 공급자로서의 매력은 지속될 것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2,000원 유지

#LG전자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106,300원]

아직도 낮은 밸류 유지 중
  • 2Q24 영업이익 9,613억원(-27.9% QoQ, +29.6% YoY)로 시장 컨센서스 (9,476억원) 상회 예상
  • 가전에서 벗어나기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30,000원 유지

#LG전자

[유진투자 / 이승우,임소정 / BUY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106,300원]

돋보이는 수익성
  • 1분기 실적은 매출 21조 959억원, 영업이익 1조 3,354억원으로 전 사업부의 매출이 전년비 증가했지만 LCD 패널 가격 상승, 마케팅 비용 증가 등 원가 부담 요인으로 인해 수익성은 소폭 하락
  • 2024년 연간 연결 실적은 매출 87조 2,594억원, 영업이익 4조 586억원 예상

#SOOP

[상상인증권 / 이종원 / 현재가 114,300원]

[MBTI Report - ESFJ] I cook cream SOOP taste is coco loco
  • 국내 1위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기업, 2024년 글로벌 리브랜딩 및 글로벌 진출 계획
  •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인 6월 베타 서비스 형태로 출시 예정
  • 스트리밍 서비스의 글로벌 론칭: 동남아 이스포트 성장 수혜, 버츄얼 콘텐츠 확장 등 기대

#셀트리온

[하나증권 / 박재경 / BUY / 목표가 250,000원 / 현재가 177,300원]

25년부터 이익의 레벨이 달라진다
  • DDW에서 확인한 짐펜트라의 저력, 투여 편의성에 효능 지속성까지
  • 짐펜트라의 출시는 순항. 25년부터 본격화될 매출
  • 셀트리온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5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대주전자재료

[키움증권 / 권준수 / BUY / 목표가 147,000원 / 현재가 121,300원]

실적 턴어라운드 본격화 기대
  • 2024년 영업이익 282억원(+355%YoY) 전망
  • EV 성장 둔화 우려 확대되는 가운데, 성장성 높은 차세대 소재에 주목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47,000원으로 상향 조정

#휠라홀딩스

[메리츠증권 / 하누리 / Hold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8,950원]

장기전
  • 배 (휠라) 보다배꼽(아쿠시네트)이 더 크다
  • 매출 성장및 마진 개선 동반 실현통한 브랜드가치 입증 필요

#비츠로셀

[신한투자 / 이병화,허성규 / 매수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19,350원]

전력과 방산이 더해지다
  • 실적 개선이 확인되는 시기에 진입
  • 1Q24 Review: Bobbin 시작이 좋다

#뉴프렉스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11,500원 / 현재가 7,200원]

보급형 VR이 흥행한다면
  • 2Q24 영업이익 45억원(-6.3% QoQ, 흑전 YoY) 전망
  • 흥행 가능성 그대로 기대감만 줄어든 보급형 VR 디바이스 출시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1,500원 유지

#동국제약

[KB증권 / 이수경,성현동,전소희 / 현재가 18,870원]

더 커지는 뷰티 디바이스 기대감
  • 헬스케어가 고성장세 견인
  • 특히 미용기기의 실적 기여도 증가, 향후에도 신규 성장 동력으로 기대
  • 리스크 요인: 비용 및 파이프 라인 스케줄

#이수앱지스

[대신증권 / 한송협 / 현재가 6,450원]

바이오텍이 4분기 연속 흑자 달성
  • 국내외 시장에서 희귀병 치료제로 안정적 매출 창출
  • 원가 절감과 수출 확대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 4분기 연속 흑자
  • 알츠하이머 치료제와 항암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기대

#테크윙

[흥국증권 / 이의진 / 현재가 40,400원]

HBM 공정의 마지막 단추
  • HBM 전수조사의 시작
  • 여전히 남아있는 업사이드

#테크윙

[현대차증권 / 박준영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0,400원]

날개 장착 완료
  • 동사는 현재 HBM 테스트 공정 중 KGSD(Known Good Stacked Die) 웨이퍼를 전수조사하기 위한 장비인 CUBE Prober를 보유
  • 해당 장비는 2024년 4분기 HBM Maker 최소 1개사로의 납품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2025년에는 HBM Maker 3사 모두에 납품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
  • 2025년 예상 납품 대수를 100대에서 200대로 상향하며 영업이익 추정치를 ‘25F 1,070억원에서 ‘25F 1,510억원으로 상향

#나스미디어

[KB증권 / 최용현 / BUY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7,810원]

어려운 영업 환경을 지나가는 중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3,000원으로 하향
  • 디지털 광고 부문: 1Q24부터 반등 시작
  • 플랫폼 부문: 성장통, 연간 기준 성장 예상
  • 강력한 비용 통제로 하반기부터 수익성 우려 해소 기대

#상아프론테크

[유진투자 / 한병화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5,600원]

미국 수소 생산 시장에 진입한 국내 첫 기업
  • 미국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업체와 멤브레인 공급 계약 체결
  • 유럽 수소 연료전지 업체와도 수소상용차용 멤브레인 공급 계약 체결한 것으로 파악
  • 동사는 현재 2개의 멤브레인 라인을 보유하고 있고, 해외업체들용 공급을 위해 추가 1개 라인 증설

#아모레퍼시픽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230,000원 / 현재가 188,000원]

코스알엑스 날개
  • 인디 집합체
  • 글로벌향저변 확장 본격화, 코스알엑스상향 조정여지 충분

#아모레퍼시픽

[현대차증권 / 하희지 / BUY / 목표가 230,000원 / 현재가 188,000원]

The New DNA, 코스알엑스
  • 아모레퍼시픽의 2H24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 9,486억원(+29%yoy), 영업이익 2,696억원 (+611%yoy, OPM 11.5%)를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30,000원 제시하며 목표주가 상향 조정. 브랜드사 Top Pick 제시
  • 24~25F 순이익 추정치 상향에 따라 목표주가 230,000원으로 상향 조정

#비에이치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25,000원]

Apple 제품군 다변화 선봉장
  • 2Q24 OP 173억원(+106.0% QoQ, +78.7% YoY) 전망
  • 단기,중장기 풍부한 성장 스토리 보유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9,000원으로 상향 제시

#비에이치

[대신증권 / 박강호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5,000원]

2Q 호조,하반기 더 호조
  • 2Q24 영업이익(190억원), 추정(161억원)/컨센서스(170억원) 상회 전망
  • 2H24 영업이익(934억원)은 41.1%(hoh) 증가 등 호실적 추정
  • 2024년 역사 최고 매출 예상. 밸류에이션(P/E 7.4배) 저평가

#CJ제일제당

[현대차증권 / 하희지 / BUY / 목표가 410,000원 / 현재가 353,500원]

K-Food, 실적 개선, 저밸류 Let's Go
  • CJ제일제당 2H24 대한통운 제외 매출액은 9조 4,197억원(+4.0%yoy), 영업이익 5,905억원 (+36.3%yoy, OPM 6.3%)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10,000원 제시. 업종 내 Top Pick 제시
  • CJ제일제당 현재 주가는 12M Fwd P/E 9.6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매력 높다고 판단

#SK오션플랜트

[메리츠증권 / 문경원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4,260원]

노이즈 없는 재생에너지 주식
  • 이익과 수주 모두 지금이 저점
  • 전력수요 상승에 대한 전방위적 기대감, 노이즈없이 누릴 수 있다
  • 지금은 평범한 풍력업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받을 이유가 많다

#동국S&C

[KB증권 / 정혜정 / HOLD / 목표가 3,500원 / 현재가 3,095원]

점진적인 회복이 필요한 시기
  • 목표주가 3,500원 유지, 투자의견 Hold로 하향
  • 2Q24 영업이익 12억원 (흑전 YoY) 전망: 신재생 부문에서의 이연된 매출 인식 예상
  • 미국 및 국내 풍력타워 신규 수주와 건설 부문의 회복이 중요

#한세실업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0,250원]

저가 시대
  • 의류업종Top Pick
  • 후방 수직계열화 기반 성장 지속성 확보

#한중엔시에스

[SK증권 / 박제민 / 현재가 41,950원]

주목받아 마땅한 스타 신규 플레이어
  • ESS 시장 성장은 이제 초입
  • 수냉식 냉각기 매력으로 고객사 확장 가능

#LX세미콘

[유진투자 / 이승우,임소정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69,000원]

세트 수요 회복과 다가올 실적 개선 기대
  • 1분기 실적은 매출 4,583억원, 영업이익 462억원으로 매출액은 전년대비 12% 감소한 반면, 22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과잉재고가 해소되며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8% 증가
  • 2024년 실적은 매출 1조 8,846억원, 영업이익 1,507억원 예상
  • 상반기까지의 실적은 Large DDI가 견인하겠지만, 하반기부터는 온디바이스 AI 확대에 따른 IT 디바이스 변화가 주요 투자 포인트가 될 것

#영원무역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47,000원 / 현재가 32,350원]

가치주
  • 과하게 싸다
  • 고객사 포트폴리오 최우수, 이익 안정성 최고

#아이패밀리에스씨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57,000원 / 현재가 40,800원]

이제 시작
  •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다!
  • 글로벌향 양방향성 디지털 마케팅 특화, 소비자 취향 저격 색조 강자로 거듭

#비나텍

[유진투자 / 허준서 / N BUY / 목표가 N 80,000원 / 현재가 51,900원]

슈퍼캡으로 버는동안 MEA 준비 완료
  • 슈퍼캡과 연료전지 부품(MEA, 지지체 등)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
  • 슈퍼캡은 회사의 캐시카우 사업부, 화학적으로 충방전하는 배터리와 달리 물리적으로 충방전 하는 슈퍼캡은 배터리보다 용량은 작고 출력은 높아
  • 연료전지스택의 핵심부품인 MEA(막전극 집합체) 생산능력 선제적 확보, 연료전지와 수전해 업체들에게 납품 기대

#비씨엔씨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17,550원]

남다를 하반기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2H24 레거시 업황 회복 구간에서 주가 기대감 재형성
  • 24년 매출액 840억원(+29%, 이하 YoY), 영업이익 88억원 (흑자전환) 전망

#세경하이테크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1,600원]

폴더블 받고 온디바이스 AI 아이폰까지
  • 2Q24 OP 149억원 (+51.5% QoQ , +163.5% YoY ) 전망
  • 2024년 OP 563 억원 (+55.6% YoY ) 예상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5,000 원으로 상향 제시

#아바텍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3,180원]

숨겨진 유리가공 장인
  • 2Q24 영업이익 41억원(+7.9% QoQ, +617.9% YoY, OPM: 15.0%) 전망
  • 전통 유리 강자, 유리 관련 사업 다각화 시동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0,000원 유지

#한국콜마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75,000원 / 현재가 59,000원]

OTC 대장
  • 날이 더워집니다
  • 화장품 ODM 충진 & 화장품 부자재 용기 & 화장품 브랜드 (투자)까지, 전방위적 사업 포트폴리오 보유

#종근당

[흥국증권 / 최종경,김지은 / BUY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102,300원]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도약 준비
  • 1Q24 Review: 매출액 -2%, 영업이익 -11% YoY
  • 조금 더 버텨 내야할 시점

#드림텍

[키움증권 / 오현진 / BUY / 목표가 16,500원 / 현재가 9,000원]

드림텍이 꿈꾸는 인도 Dream
  • 인도 생산 시대 개막: 반도체 모듈 생산도 진출
  • 실적 및 주가 전망

#코스맥스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230,000원 / 현재가 165,600원]

ODM 대장
  • 글로벌 1위 화장품 ODM
  • 공격적 영업 기반 폭발적 외형 성장 실현

#코스맥스

[현대차증권 / 하희지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65,600원]

코스맥스 안좋아하기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 코스맥스의 2H24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 823억원(+21%yoy), 영업이익 949억원(+41%yoy, OPM 8.8%)을 전망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0,000 유지. ODM사 Top Pick 제시
  • 우호적인 업황 속 ODM 구조적인 수혜 지속

#데브시스터즈

[IBK투자 / 이승훈 / N 매수 / 목표가 N 65,000원 / 현재가 53,400원]

쿠키런 재도약의 신호탄이 올랐다
  • 목표주가 65,000원, 투자의견 Buy로 커버리지 개시
  • 신작 기대, 경영쇄신, 독보적 개발력 주목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해성디에스

[미래에셋증권 / 박준서 / 매수 / 목표가 63,000원 / 현재가 46,100원]

회복의 시그널 포착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63,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회복되고 있는 전장용 리드프레임
  • 하반기부터 DDR5 기대

#휴메딕스

[교보증권 / 김정현 / N Buy / 목표가 N 55,000원 / 현재가 33,550원]

이렇게 성장하는데 이렇게 싸다고?
  • 히알루론산(HA)에 진심인 미용의료 기업, 휴메딕스
  • 1) 필러 수출 확대 2) 화장품 수출 성장 3) 매력적인 Valuation 4) 오버행 종료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5,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유바이오로직스

[상상인증권 / 하태기 / 현재가 13,530원]

수요증가, 생산 CAPA 증대로 성장
  • 콜레라백신 매출증가, 흑자경영 회복
  • 2024년 매출액은 하반기 집중될 전망
  • 콜레라백신 생산 CAPA 증대, 장기 성장기반 마련

#LS에코에너지

[신한투자 / 박광래,한승훈 / N Trading BUY / 목표가 N 42,000원 / 현재가 41,050원]

퀀텀점프를 기다리며
  • 해저케이블에 희토류 사업까지. 향후 높은 성장성 기대
  • 베트남 전력 수요 증가 수혜 예상. 해저케이블/희토류 신사업 준비 중
  • Valutaion

#와이씨

[현대차증권 / 박준영 / N BUY / 목표가 N 25,000원 / 현재가 13,780원]

한국의 어드반테스트
  • High Speed Test 기능이 포함된 HBM용 웨이퍼 테스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유이(二)한 업체 중 한 곳
  • HBM Maker 3사 중 HBM 라인의 증설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고객사로의 공급이 기대

#클리오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57,000원 / 현재가 41,050원]

토탈 케어
  • 기초도 있어요, 건기식도 있고요
  • 신규 지역발굴 및 기초 기여 상승기반 브랜드력 향상

#화승엔터프라이즈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12,000원 / 현재가 8,830원]

가동 정상화
  • 아디다스도 Re-stocking한다
  • 아디다스 회복 따른 낙수효과 기대

#코스메카코리아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57,100원]

제일 싸다
  • 우리가 알던 메카가 아니다
  • 고객 믹스 개선 최우수, CAPA 여력 충분 (가동률 < 40%), 실적 상향 조정 여지 최대

#솔루엠

[이베스트투자 / 조은애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4,400원]

상반기 보다 하반기, 올해보다 내년
  • 2024F 상저하고, 분기 실적 보다는 신규수주에 대한 관심
  • 변하지 않는 ESL 시장 고성장과 높은 M/S에 주목

#일진하이솔루스

[유진투자 / 한병화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5,500원]

넥쏘 차기 모델 내년 출시, 상용 수소차 기대
  • 올해 적자 지속되나 내년부터 턴어라운드 예상
  • 버스 등 상용 수소차용 용기 매출 성장은 견조
  • 내년 상용차용 매출 증가, 2025 년 넥쏘 차기 모델로 턴어라운드 기대

#와이엠텍

[KB증권 / 이창민 / 현재가 13,560원]

경쟁 심화 vs. 데이터센터향 수요 증가
  • 전자식 개폐장치인 Relay 생산업체, ESS향 중심으로 매출 발생
  • Relay 제품에 대한 뛰어난 기술력이 부각되는 업체
  • 단기 실적은 중국 경쟁 심화로 부진하나 향후 데이터센터향 ESS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
  • 리스크 요인: 점유율 하락 혹은 마진 훼손 가능성

#천보

[미래에셋증권 / 김철중,강민희 / 매수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1,700원]

사생결단(死生決斷), 새만금에 찾아온 손님
  • 목표주가 10만원으로 하향 조정
  • 1Q24 극단적인 바닥 통과. 점진적 실적 회복 기대
  • 새만금에 찾아온 손님. 신규 북미 공급망에 주목

#에이피알

[NH투자 / 정지윤 / N Buy / 목표가 N 450,000원 / 현재가 358,500원]

홈 뷰티 디바이스, 대중화의 길
  • 공급보다 수요가 큰 시장
  • 지금은 밸류에이션 확장 구간
  • 2024년은 성장의 원년

#케이씨텍

[미래에셋증권 / 김영건 / 매수 / 목표가 47,300원 / 현재가 38,000원]

기술 방향성, 업종 모멘텀 부합
  • 최근 동사의 사업영역인 CMP 장비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 1Q24 실적은 매출액 920억원, 영업이익 100억원을 기록
  • 2Q24 실적은 매출액 930억원, 영업이익 130억원으로 전망

#지오엘리먼트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0,170원]

작지만 강하다
  • 2H24/25년 전망 및 투자전략 제시
  • 레거시 투자 회복 과정에서 실적 반등세 뚜렷해질 전망
  • 24년 매출액 310억원(+74%, 이하 YoY), 영업이익 73억원 (+857%) 전망

#자이에스앤디

[교보증권 / 백광제 / Buy / 목표가 6,000원 / 현재가 4,200원]

조금 다른 이익 감소
  • 목표주가 6,000원 유지. 조금 결이 다른 실적 부진
  • 1Q24 영업이익 6억원(YoY -98.7%), 관계사 물량 일부 준공 등 건축 이익 급감

#RF머트리얼즈

[신영증권 / 박상욱 / 현재가 11,130원]

콜드플레이트 적용처 확장 가능성에 주목
  • 기업 소개: 화합물 반도체 패키징 업체
  • 차세대 냉각 방식인 콜드 플레이트에 주목
  • 본업 성장도 기대됨

#두산퓨얼셀

[메리츠증권 / 문경원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3,400원]

변화하는 비즈니스 모델
  • 수주를 해도 착공이 어렵던 연료전지 시장. 이제 변화가 생기고 있다
  • PAFC에서 SOFC로 다시 한 번의 진화. 수요처는 발전소에서 데이터센터, 선박으로
  • AI 데이터센터 공급이 기대되는 글로벌 연료전지 밸류체인. Peer 멀티플 상승 기대

#씨앤씨인터내셔널

[메리츠증권 / 하누리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90,500원]

공급 확충
  • 따라 올테면 따라와봐
  • 제품력 기반 협상력 강화, 생산력 증대 통한 외형 확대

#코스텍시스

[하나증권 / 김성호 / 현재가 15,510원]

국내 최초 SiC 반도체 핵심소재 스페이서 퀄 통과
  • AI 데이터센터, ESS, 전기차 산업에 필수적인 차세대 전력반도체
  • 글로벌 전력반도체 밸류체인 본격 진입 시작
  • 2024년 매출액 274억원, 영업이익 42억원 전망

#티엘비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33,000원 / 현재가 26,000원]

믹스 개선에 가동률 상승이 더해진다면
  • 2Q24 OP 14억원(-76.3% QoQ, -97.0% YoY, OPM: 2.9%) 예상
  • 1Q24 바닥 → 3Q24 ~ 2025년 가파른 실적 반등 기대감 유효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33,000원 유지

#솔브레인

[흥국증권 / 이의진 / BUY / 목표가 430,000원 / 현재가 325,500원]

육각형 케미컬 업체
  • 2Q24 Earnings Preview
  • CMP Slurry의 증가와 GAA 초산계 기대감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30,000원으로 상향

#성일하이텍

[IBK투자 / 이현욱 / 매수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80,300원]

분말 수급 이슈 지속, 하반기 개선 기대
  • 24년 1분기, 저조한 실적 지속
  • 24년 2분기, 바닥을 통과하는 분기

#LG에너지솔루션

[키움증권 / 권준수 / BUY / 목표가 450,000원 / 현재가 328,000원]

하반기 미 대선 불확실성 커질 전망
  • 2Q24 영업이익 3,166억원(-31%YoY) 전망
  • 하반기 북미 고객사 향 AMPC 수혜 커질 전망이나, 동시에 미국 대선을 앞둔 불확실성도 공존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450,000원 유지

#디앤디플랫폼리츠

[삼성증권 / 이경자,홍진현 / 현재가 3,530원]

회사채 발행 성공, 브릿지론 대비 130bp 낮은 금리
  • 370억원의 사모사채 발행 성공, 6월 만기인 브릿지론 상환 목적이며 조달금리 하락
  • 명동N오피스 편입을 추진 중이며 리테일 면적에 무신사 스탠다드가 임차 계약
  • 회사채 발행으로 차입 구조 다변화 및 안정화 시도, 주가 할인 요인 완화

#F&F

[메리츠증권 / 하누리 / Hold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64,200원]

저성장 국면
  • 내수역성장 > 해외성장
  • 주력 소비층 구매 행태 변화(대중 중저가 브랜드 기피) 감안 내수회복 시점 추정 불가

#디티앤씨알오

[키움증권 / 허혜민,오치호 / 현재가 8,050원]

해뜨기 전이 가장 어두운 법
  • 선제적 투자로 준비하는 턴어라운드
  • 하반기부터는 업황 개선을 기대

#더블유씨피

[미래에셋증권 / 김철중,강민희 / 매수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3,550원]

P/B 1.0배는 조금 과도
  • 1Q24 수익성 부진 → 일부 일회성 요인
  • IRA 세부 내용 발표(5월)는 악재인 것은 맞으나, P/B 1.0배는 과도

#HPSP

[흥국증권 / 이의진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42,250원]

더 좋아진 컨텐츠
  • 1Q24 Earning review
  • 고객사 확장과 신규 장비 기대감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55,000원 하향

#파인엠텍

[메리츠증권 / 양승수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10,150원]

폴더블 내 든든한 파트너
  • 2Q24 OP 119억원(+972.3% QoQ, +45.3% YoY, OPM: 7.6%) 전망
  • 디스플레이 고객사의 든든한 파트너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3,000원 제시

#파인엠텍

[한국IR협의회 / 백종석,서지원 / 현재가 10,150원]

폴더블 스마트폰 부품 trend setter
  • 폴더블 스마트폰용, 전장용 부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
  • 폴더블폰 시장은 성장하되 성장률은 둔화되고 중화권 기업들의 약진이 예상됨
  • 2024년, 성장 본격화 기대

#아이엠티

[현대차증권 / 곽민정,윤서영 / 현재가 23,750원]

차세대는 건식이지!
  • 동사는 레이저와 CO2 를 활용한 건식 세정 장비와 EUV Mask Laser Baking 장비 업체임
  • 최근 HBM의 고단화에 따라 I/O가 1024개에서 HBM4부터는 2048개로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파티클이 불량을 야기하기 때문에 미세화에 따라 이를 제거할 니즈가 확대되고 있음

#씨어스테크놀로지

[NH투자 / 강경근,황지현 / 현재가 없음]

국내 독보적인 웨어러블 심전도 분석 기업
  •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 기업
  • 대웅제약과의 파트너십과 건강검진 분야 진입으로 성장 본격화

#에스오에스랩

[KB증권 / 성현동,김선봉 / 현재가 없음]

모빌리티 & 인프라향 라이다 전문기업
  • 핵심 설계 기술 내재화를 통한 소형화 구현 및 AI 기반 S/W 기술로 신뢰성 높은 이미지 데이터 수집
  • 모빌리티: 자율주행 고도화에 따른 LED 라이트 내 탑재되는 라이다 개발, 2026년 양산 매출 발생 기대
  • 인프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산업현장 내 라이다 솔루션 수요 확대, 스마트시티향 수주 타진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