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3.07.20) 리포트 및 테마종목 정리

by 미니토이 2023. 7. 25.

#하이트진로

[상상인증권 / 김혜미 / BUY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20,200원]

경쟁 격화

  • 2Q23E 매출액 yoy +1.1%, 영업이익 yoy-71.7% 전망
  • 당분간 이어질 경쟁 심화

#삼성화재

[BNK투자증권 / 김인 / 매수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237,500원]

2조원을 상회하는 이익대비 지분가치 제외시 시가총액은 4.9조원에 불과

  • 2Q23 Preview: 당기순이익 5,380억원 예상
  • 2023년(E) 지배주주순이익 2조원 상회하며 최대실적 예상

#현대해상

[NH투자증권 / 정준섭 / Buy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28,750원]

은행주 수준의 배당 수익률 전망

  • 자본 불확실성 감안해도 매력적인 배당
  • 2Q23 별도 순이익 2,870억원 전망

#삼영

[메리츠증권 / 양승수 / 현재가 4,470원]

탐방노트: 쇼티지 + 전장화가 진행중인 캐파시터 필름

  • 쇼티지가 발생한 캐파시터 필름, 올라가는 단가
  • 전장용 공급 시작과 지속될 증설
  • 적자사업부 중단 + 자회사 턴어라운드

#신세계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310,000원 / 현재가 190,000원]

2Q23 Preview: 꾸준한 이익 성장세 대비 가혹한 주가 하락

  • 현재 주가는 P/E 4배, P/B 0.4배 수준으로 극심한 저평가 상태
  • 매년 꾸준한 이익 성장 달성 중. 면세는 올해 사상 최대 이익, 백화점은 2024년에 다시금 사상 최대 이익 달성 기대
  • 2Q23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예상. 백화점 이익은 20% 감소하나, 면세점과 센트럴시티 이익 증가가 이를 상쇄할 전망

#DB손해보험

[NH투자증권 / 정준섭 / Buy / 목표가 103,000원 / 현재가 72,100원]

안정성과 배당 매력 모두 보유

  •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 불확실성은 단계적 축소 전망
  • 예상 배당수익률 7.6%, 재무 리스크도 낮음

#LS

[키움증권 / 김지산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85,700원]

확실한 성장 엔진을 달다

  • 2분기 실적 추정치 상향, MnM, I&D, ELECTRIC 기대 이상
  • 해저케이블과 배터리 소재 중심 성장 모멘텀 강화

#태경케미컬

[NH투자증권 / 강경근,황지현 / 현재가 13,670원]

없어서 못파는 탄산가스 1위 기업

  • 국내 탄산가스 No.1 기업
  • 올해는 P 상승, 내년부터는 Q 증가

#GS리테일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1,500원]

2Q23 Preview: 편의점 경쟁력 회복이 관건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2,000원 유지
  • 편의점 부문 경쟁력의 점진적인 회복 기대, 2023년 마진을 저점으로 개선 흐름 예상
  • 신규 사업들의 합산 적자는 2022년을 저점으로 뚜렷한 개선세 보일 전망

#이수페타시스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4,750원]

AI 테마주 아닌 AI 실적주

  • 목표주가 45,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 분기 영업이익은 240 억원으로 전망된다

#호텔신라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72,800원]

2Q23 Preview: 수익성 확보 완료, 매출 회복은 아직

  • 수익성 회복 긍정적, 이제는 외형 성장이 필요한 때
  • 면세 시장 전반의 매출 흐름이 최근 부진한 점 감안 시, 하반기 이후 매출 추정치에 대한 보수적 전망 불가피
  • 2Q23 Preview: 영업이익 517억원 기록하면서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시내면세점 마진 5%대로 회복 추정

#삼성전기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215,000원 / 현재가 153,200원]

하반기 실적 개선

  • 목표주가 215,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Q23 영업이익은 1,913 억원으로 전망된다

#HD한국조선해양

[SK증권 / 한승한 / 매수 / 목표가 155,000원 / 현재가 126,500원]

현대삼호중공업이 견인하는 벨류업

  • 2Q23 매출액 5조 6,490억원(+34.9%, YoY), 영업이익 1,840억원(흑전, YoY) 전망
  • 최근 주가 상승 부담에도 자회사들 실적개선과 수주 고려 시 상승여력 충분
  • 현대삼호중공업의 매출인식의 본격화 및 수주세는 동사의 밸류업 기조를 유지

#OCI홀딩스

[미래에셋증권 / 이진호,김태형 / 매수 / 목표가 186,000원 / 현재가 119,500원]

폴리실리콘 약세의 끝. 리레이팅의 시작

  •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세는 일단락되는 모습
  • 폴리실리콘 가격 점진적 반등 예상

#삼성중공업

[SK증권 / 한승한 / 매수 / 목표가 11,000원 / 현재가 8,560원]

올해 수주목표 무난하게 초과 달성 가능

  • 23년 2분기 매출액 2조 640억원(+44.7%, YoY), 영업이익 680억원(흑전, YoY) 전망
  • 건조물량 확대에 따른 고정비 감소와 선가상승 효과 지속되며 흑자기조 유지 전망
  • 16K-TEU 메탄올 D/F 컨선 16척 고선가에 수주하며 시장의 컨선 수주 우려 해소

#S-Oil

[SK증권 / 김도현 / 매수 / 목표가 94,000원 / 현재가 69,800원]

Rock Bottom

  • 2Q23 매출액 8.3조원, 영업이익 371억원으로 큰 폭 감익, 실적 저점 예상
  • 2Q23 정제마진 약세 및 정기보수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실적 역성장
  • 2H23 업황은 우호적, EM 중심의 견조한 다운스트림 수요 전망

#LG이노텍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405,000원 / 현재가 288,000원]

수율 정상화 직후의 실적 급반등

  • 목표주가 405,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SK텔레콤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68,000원 / 현재가 45,000원]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유효

  • 컨센서스 부합하는 실적 전망
  • 하반기에도 안정적인 성장 지속 예상
  • 고배당, 그리고 추가적인 주주환원 확대 정책 기대하며 투자의견 BUY 유지

[미래에셋증권 / 김수진,김규연 / 매수 / 목표가 76,000원 / 현재가 45,000원]

2Q23 프리뷰: 기대되는 하반기

  • MVNO 마케팅 확대에 따른 일시적 실적 여파 존재 예상
  • 그래도 성장 이어진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등으로 비통신 신사업 가장 앞서 나가는 중
  • 이제 진짜 마지막 고비, 하반기 기대되는 모멘텀 다수 등장

#롯데쇼핑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0,100원]

2Q23 Preview: 할인점과 수퍼의 손익 개선 흐름 기대

  •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100,000원으로 13% 하향
  • 2Q23 Preview: 총매출 -4%, 영업이익 +1% 전망. 할인점과 수퍼의 손익 개선 흐름 기대

#KT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41,000원 / 현재가 29,400원]

때로는 침묵이 금이었네

  •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전망
  • 대표이사 확정을 기다리며

[미래에셋증권 / 김수진,김규연 / 매수 / 목표가 47,000원 / 현재가 29,400원]

2Q23 프리뷰: 눈에 띄는 실적 예상

  • 수익과 이익 모두 기존 예상을 상회하는 호실적 전망
  • 이제 숨통 트인다: 목표주가 47,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LG유플러스

[DB금융투자 / 신은정 / Buy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10,330원]

주가만 빼고 순항 중

  • 시장 눈높이 부합 전망
  • 하반기는 신사업 지켜보자

[미래에셋증권 / 김수진,김규연 / 매수 / 목표가 17,000원 / 현재가 10,330원]

2Q23 프리뷰: 묵묵히 나아가는 중

  • 영업수익 3조4,720억원(+2.6% YoY, -2% QoQ), 영업이익 2,540억원으로 예상
  • 23년도 영업이익 1조 돌파 지속, 배당수익률 6.3%: 목표주가 17,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KT&G

[현대차증권 / 하희지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2,000원]

2Q23 Preview: 중장기 핵심 성장사업 기대감 유효

  • 2Q23,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 3,586억원(-4.2%yoy), 영업이익은 2,557억원(-21.9%yoy, OPM 18.8%)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담배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부담 지속 및 부동산 개발 사업 완료에 따른 이익 감소에 기인
  • 올해 부동산 실적 감소와 담배 사업부문 원재료비 상승에 따라 전년대비 수익성 감소는 불가피

#SBS

[흥국증권 / 황성진 / BUY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27,900원]

광고 판매 점진적 회복 기대

  • 2분기 부진한 광고경기 영향 불가피
  • 하반기 점진적인 경기 호전과 광고판매 회복 기대
  • 스튜디오S 확장력은 여전히 유효한 상황

[신한투자증권 / 지인해,조영권 / 매수 / 목표가 39,000원 / 현재가 27,900원]

아무리 부진해도 1Q23이 저점

  • 광고: 회복 묘연하나, 확실한 저점 통과
  • 콘텐츠: 물량 감소 아쉽지만, 해외판권 성장 유효

#LG디스플레이

[KB증권 / 김동원,유우형,박주영,이경아 / 현재가 14,930원]

삼성 효과 기대

  • 삼성전자로 LCD 공급량 증가 전망
  • 삼성 향 LCD TV 패널 공급량 2배 증가
  • LCD, OLED 물량 동시 공급 예상

#CJ ENM

[유진투자증권 / 이현지 / BUY / 목표가 85,000원 / 현재가 65,400원]

냉정과 열정 사이

  • 2분기 매출액은 1조 1,826억원(-0.8%yoy), 영업손실은 139억원(적자전환yoy)으로 시장 컨센서스 큰폭 하회 전망
  • 미디어플랫폼은 성수기 효과에 따라 TV 광고의 역성장폭이 전분기대비 둔화되겠으나 티빙 상각비 부담 이어지며 영업손실 지속할 것으로 전망
  • 영화드라마는 개봉작 부재로 영화 실적 부진한 가운데 피프스 시즌이 3편의 작품을 딜리버리하며 영업손실 폭을 줄일 것으로 전망

#JYP Ent.

[삼성증권 / 최민하 / BUY / 목표가 164,000원 / 현재가 128,700원]

제대로 휘몰아친다

  • 2분기 영업이익 510억원(+110% YoY)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 하반기도 거침없는 행보

#콘텐트리중앙

[유진투자증권 / 이현지 / BUY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6,080원]

wiip 가동을 올려라

  • 2분기 매출액은 2,078억원(-21.8%yoy), 영업손실은 127억원(적자지속yoy)으로 시장 컨센서스 큰폭 하회 전망
  • 방송은 SLL 별도에서는 수목 슬랏 재개에 더해 방영작 모두 OTT향 선판매가 이루어지며 전분기대비 실적 개선 기대
  • 연결 자회사에서는 넌캡티브 작품이 많지 않았음에도 wiip이 공동제작으로 참여한 작품 1편이 반영되면서 전분기대비 손실 규모 축소할 것으로 전망

#엔씨소프트

[키움증권 / 김진구 / BUY / 목표가 370,000원 / 현재가 287,500원]

복합적 상황에 대한 고려 필요

  • 현재 시점은 TL에 대한 게임성과 플랫폼별 타겟 유저군에 대한 적합성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상황
  •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573억원과 250억원으로 전분기대비 각각 4.5% 감소와 69.4% 감소를 전망

#LG헬로비전

[KB증권 / 김준섭,차성원 / BUY / 목표가 6,100원 / 현재가 4,330원]

알뜰폰 시장 확대의 수혜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100원 유지
  • 2Q23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 알뜰폰 시장이 확대됨에 따른 수혜 기대
  • 직영몰 채널 강화로 수익성 개선 예상

#에스엠

[메리츠증권 / 정지수,김민영 / Buy / 목표가 145,000원 / 현재가 118,000원]

기대감을 높이는 하반기

  • 2Q23 Preview: 숫자보다는 양호한 내용
  • 2023년 연결 영업이익 1,371억원(+50.7% YoY) 전망
  • 긍정적인 북미 활동 강화 계획

#한화오션

[SK증권 / 한승한 / 중립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46,500원]

기대감이 현실화되는 시간은 필요하다

  • 23년 2분기 매출액 2조 340억원(+71.8%, YoY), 영업적자 250억원 (적지, YoY) 전망
  • 건조물량 확대 및 LNGC 일부 물량 매출 발생하기 시작하며 전분기 대비 적자 폭 감소
  • 울산급 배치Ⅲ 5, 6번함 우선협상자로 선정되며 수상함&잠수함 명가 재건 중

#한전KPS

[신영증권 / 권덕민 / 매수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2,600원]

2분기 실적, 맑을 예정

  • 2분기 매출액 전년대비 6.0% 증가한 4,428억원, 영업이익 414억원 전망
  • 꾸준한 연간 매출 성장 기대

#KH바텍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9,300원]

메탈부품 대장주

  • 목표주가 26,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 분기 영업이익은 53 억원으로 예상된다

#LG전자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150,000원 / 현재가 123,500원]

가전 피크아웃 vs 전장 모멘텀

  • 목표주가 150,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Q23 영업이익은 8,927 억원을 기록했다. (잠정실적 발표) 인력관련 비용이 약 1,000 억원 발생했다고 예상된다.

#현대백화점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4,000원]

2Q23 Preview: 이유가 있는 주가 반등

  • 목표주가 80,000원으로 7% 상향. 주가의 반등 흐름 당분간 지속될 전망
  • 면세점 3Q23에 흑자 전환 기대, 백화점은 4Q23부터 기저 부담 완화
  • 2Q23 Preview: 컨센서스 부합 예상. 백화점과 지누스 이익은 감소하나, 면세점 손익이 당초 예상 대비 크게 개선될 전망

#롯데하이마트

[흥국증권 / 박종렬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9,960원]

새 술은 새 부대에

  • 2Q 영업이익 78억원(흑전 QoQ), 마진 구조 개선에 성공
  • 추세적인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 다만 외형 성장은 한계

#컴투스

[삼성증권 / 오동환 / BUY / 목표가 74,000원 / 현재가 55,200원]

자산가치 이하로 내려온 주가

  • 신작 출시로 적자 축소
  • 하반기에도 신작 효과 기대
  • 미디어 적자 지속되나 규모 감소

[다올투자증권 / 김하정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5,200원]

기대 이상의 MLB, 3분기 턴어라운드 가능

  • 기대와 달리 2분기에 흑자전환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되었으나 최근 컨센서스 하향 조정을 통해 부진한 실적 전망은 주가에 반영되었다고 판단
  • 7월 5일 출시된 신작의 일본 성적이 기대를 넘어서고 있어 3Q23E 흑자전환 가능성이 높아짐
  • 지속되었던 주가 부진의 마무리 국면으로 판단

#GS

[SK증권 / 김도현 / 매수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8,050원]

하반기 개선될 실적과 올해도 견조한 DPS

  • 2Q23 매출액 6.1조원, 영업이익 7,158억원으로 전분기대비 감익 전망
  • 유가 및 다운스트림 시황 부진, SMP 가격 하향안정화에 따른 실적 부진
  • 2H23 에너지 업황 회복에 따른 GS Caltex 중심 실적 개선 전망

#현대글로비스

[흥국증권 / 이병근 / BUY / 목표가 230,000원 / 현재가 188,000원]

실적보다 주목받을 신사업

  • 2Q23 Preview: 매출액 -3.3%, 영업이익 -9.1% YoY
  • 견조한 실적 지속

#비에이치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6,900원]

2024 년이 가장 기대되는 부품주

  • 목표주가 40,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 분기 영업이익은 100 억원으로 전망된다

#SK이노베이션

[SK증권 / 김도현 / 매수 / 목표가 260,000원 / 현재가 169,500원]

하반기 정유 회복, 배터리 실적 개선은 시간 문제

  • 2Q23 매출액 18.3조원, 영업이익 -1,498억원으로 적자전환 및 컨센 하회 전망
  • 2Q23 수요 둔화에 따른 정제마진 약세,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관련손실 확대
  • SK온 수율/가동률 정상화는 진행 중, 2Q23 영업적자 2,255억원으로 적자폭 축소

#이엔에프테크놀로지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박성순,김정은 / 현재가 25,550원]

하반기부터는 소재도 증가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업체
  • 감산으로 소재 수요 하락
  • 2분기 실적 저점으로 개선 기대

#KB금융

[미래에셋증권 / 박용대,박주연 / 매수 / 목표가 63,000원 / 현재가 48,150원]

안정감이 돋보인다

  • 2Q23 프리뷰
  • 목표주가 63,000원(기존 62,000원)으로 상향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메리츠증권 / 정지수,김민영 / Buy / 목표가 96,000원 / 현재가 73,200원]

긍정적인 단기 모멘텀

  • 2Q23 Preview: 시장 컨센서스 부합 전망
  • 2023년 연결 영업이익 906억원(+94.2% YoY) 전망
  • 베이비몬스터 데뷔 기대감 고조

#하이비젼시스템

[유진투자증권 / 박종선 / 현재가 19,990원]

NDR 후기: 실적으로 보여주는 내공. Valuation 매력 보유

  • NDR을 통해 확인된 3가지 변화: 전방사업 다각화, 제품 다양화, 고객 다변화
  • 당사 추정 2분기 예상실적(연결 기준)은 매출액 644억원, 영업이익 12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07.7%, 751.6%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주가는 2023년 실적 기준 PER 7.6배로, 국내 동종업체 평균PER 24.6배 대비 크게 할인되어 거래

#이마트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8,400원]

2Q23 Preview: 아직 회복의 시그널은 부족

  • 목표주가 10만원으로 9% 하향
  • 2023년 연결 매출액 +3%, 영업이익 +39% 전망
  • 2Q23 Preview: 영업적자 195억원 전망. 고정비 상승분을 상쇄하기엔 부족한 할인점/트레이더스 매출 성장률

#덴티움

[삼성증권 / 정동희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36,200원]

이대로도 좋지만 욕심이 난다

  • 2Q23 preview: 2분기 중국향 수출 회복과 함께 내수 및 유럽 매출 성장으로 컨센서스 부합 전망
  • 2023년 outlook

#하이로닉

[상상인증권 / 이소중 / N BUY / 목표가 N 15,500원 / 현재가 8,930원]

성장성 확인 완료, Top Pick 유지

  • 2Q23 호실적으로 모든 우려 해소

#한국콜마

[삼성증권 / 박은경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45,500원]

선케어, 긴축 소비 와중에도 꼭 사야 하는 필수템

  • 2Q23E 매출액 5,891억원 (+17% y-y; 이하 y-y), 영업이익 432억원 (+29%) 달성하며, 영업이익 기준, 시장 컨센서스를 9% 상회하는 호실적 기록 전망
  • 세계적인 중소형 브랜드 수요 상승 추세에 올라탄 한국 ODM

#NHN

[교보증권 / 김동우 / Buy / 목표가 36,000원 / 현재가 25,650원]

순조로운 수익성 개선을 기대

  • 2Q23 preview: 매출 &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예상
  • 투자의견 Buy & 목표주가 36,000원 유지

#코스맥스

[삼성증권 / 박은경 / BUY / 목표가 133,000원 / 현재가 95,100원]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소비자들에 시나브로 스며들다

  • 2Q23E 매출액 4,642억원 (+15% y-y; 이하 y-y), 영업이익 379억원 (+120%) 달성하며, 영업이익 기준, 시장 컨센서스를 20% 상회하는 호실적 기록 전망
  • 세계적인 중소형 브랜드 수요 상승 추세에 올라탄 한국 ODM

#RFHIC

[하나증권 / 김홍식,고연수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21,100원]

2Q 어닝 쇼크 전망, 반도체 성과는 기대치에 부합

  • 매수/목표가 4만원으로 하향, 단 전략상 매도 중지/장기 매수 관점 전환 추천
  • 삼성 부진/노키아 매출 지연으로 2023년 2분기 연결 영업이익 적자 예상
  • 올해 4Q부터 실적 호전, 반도체 부문 호재 출현 예상, 길게 봐야

#퓨쳐켐

[하이투자증권 / 이호철 / 현재가 8,140원]

전립선암과 알츠하이머의 교집합

  • 전립선암 치료: 플루빅토(노바티스) 대비 고효율 신약 개발
  • 알츠하이머 진단: 도나네맙(릴리) 3상의 PET scan 조영제 위탁생산
  • 주요 모멘텀: ① 전립선암 신약 기술수출 ② 알츠하이머 진단제 매출 성장

#심텍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5,750원]

하반기 실적주로 발돋움

  • 목표주가 50,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 분기 영업손익은 -191 억원으로 전망된다

#신테카바이오

[아이브이리서치 / 리서치센터 / 현재가 10,110원]

바이오 산업에 AI 혁신

  • 는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 는 항암백신, 세포치료제 등에 활용되는 신생항원 발굴 플랫폼
  • 새로운 국면의 시작

#엔비티

[대신증권 / 이석영 / 현재가 9,300원]

[콥데이 후기] 가파른 외형성장 기대

  • 국내 1위 오퍼월 네트워크 운영사
  • ‘18년 네이버웹툰을 고객사로 확보한 뒤 네이버페이, 토스, 카카오톡 및 기존 고객사 북미사업으로 고객사 다변화 진행중
  • 대형 고객사 확보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따른 가파른 외형성장 기대

#피엔에이치테크

[흥국증권 / 이의진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1,450원]

하반기는 아이폰, 내년 상반기에는 아이패드

  • 2Q23 Preview: 매출액 -19%, 영업이익 -17% YoY
  • 잠시 쉬어가지만, 앞으로 남은게 많다

#스튜디오드래곤

[유진투자증권 / 이현지 / BUY / 목표가 75,000원 / 현재가 51,500원]

상속보다는 자수성가

  • 2분기 매출액은 1,419억원(-9.9%yoy), 영업이익은 130억원(-51.8%yoy)으로 시장 컨센서스 하회 전망
  • 수목 슬랏 축소 영향으로 방영회차가 77편(-28.0%yoy)에 불과해 편성이 부진
  • 오리지널 작품이 많지 않아 외형 성장도 제한적
  • 디즈니플러스향 구작 판매가 분기별로 안분 반영됨에 따라 수익성 하락 불가피

#에이프로

[대신증권 / 신석환 / 현재가 19,900원]

[콥데이 후기] 수주와 실적 모두 레벨 업

  • LG에너지솔루션으로 활성화 장비를 공급, 2H23에는 고객사향 대규모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수주잔고는 증가 추세(21년 894억원 → 22년 1,774억원 → 23년 2,000억원 이상으로 추정)
  • GaN 기반의 전력/반도체 소자 개발 진행중, 23년 말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 EV용 급속충전기, 폐배터리 진단 등 신사업 보유

#BGF리테일

[KB증권 / 박신애 / BUY / 목표가 240,000원 / 현재가 164,100원]

2Q23 Preview: 견조한 실적, 과도한 주가 하락

  • 견조한 실적 흐름 감안 시 과도한 주가 하락. 현재 주가는 12M P/E 12배 수준
  • 2023E 기존점 매출 성장률 +3.4% 전망
  • 2Q23 Preview: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9%, 17% 성장하면서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디케이티

[NH투자증권 / 이규하 / 현재가 10,830원]

전기차 및 전장 신규 사업 확대 매력적

  • 전기차 충전소 모듈 및 전장부품 확대 본격화
  • 2024년 신규 사업 확대로 이익 증가세 가파를 것

#카카오게임즈

[삼성증권 / 오동환 / BUY / 목표가 38,000원 / 현재가 32,850원]

아레스 흥행으로 MMO 명가 이어갈까?

  • 시장 기대에는 못 미칠 2분기 실적:
  • 아레스 출시와 오딘 북미 출시가 하반기 반등의 열쇠
  • 눈높이 조정하나 반등 가능성에 주목

#HD현대중공업

[SK증권 / 한승한 / 매수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44,800원]

삼위일체: 견조한 수주 + 실적 개선 + 선박엔진

  • 23년 2분기 매출액 2조 9,800억원(+37.6%, YoY), 영업이익 620억원(흑전, YoY) 전망
  • 선박건조 확대 및 선가상승 영향에 따른 흑자 기조 계속 이어갈 전망
  • 견조한 수주세로 올해 수주목표 58% 달성, 1H25까지의 실적개선 방향은 가시화

#엔켐

[상상인증권 / 백영찬 / N BUY / 목표가 N 87,000원 / 현재가 68,300원]

공격적인 성장 전략, 절묘한 타이밍

  •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대규모 생산능력 확대
  • 점유율 상승을 위한 우호적 환경
  • 2Q23 실적 Preview: P의 하락과 C의 상승, 다만 Q의 증가는 머지 않았다

#하이브

[메리츠증권 / 정지수,김민영 / Buy / 목표가 350,000원 / 현재가 263,500원]

일회성에도 견조한 실적 전망

  • 2Q23 Preview: 일회성 비용 증가
  • 2023년 연결 영업이익 2,651억원(+11.5% YoY) 전망

#티엘비

[SK증권 / 박형우 / 매수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6,250원]

23 년, DDR5 비중 25%

  • 목표주가 35,000 원 상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2분기 영업이익은 17억원으로 전망된다

#DL이앤씨

[현대차증권 / 신동현 / BUY / 목표가 44,000원 / 현재가 31,200원]

2Q23 Preview: 비주택이 견인하는 실적

  • 2Q23 연결 매출액 2조 308억원(+8.2% YoY, +9.8% QoQ), 영업이익 856억원(-36.6% YoY, -4.9% QoQ)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 국면에서, 국내외 비주택 수주에 집중해 주택 익스포저를 줄여가는 중
  • 여전히 주택시장의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비주택부문의 성장은 하락한 건설업종 투자심리를 회복시킬 수 있는 주요 포인트임

 

 

리서치 : 네이버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테마시황

  • 삼성전자 ,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테마 상승.
  •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폐배터리 테마 상승.
  •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속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니켈, 리튬 테마 등도 상승.
  • AI, DDR5 등 기술변화 모멘텀 속 기판 산업 성장 기대감 등에 PCB(FPCB 등) 테마 상승.
  •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 속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여행 테마도 상승.
  •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영향 지속 등에 일부 사료/ 비료/ 농업/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 일라이릴리 치매 치료제 ‘도나네맙’ 임상시험 마지막 단계에서 긍정적인 결과 발표 모멘텀 지속 속 치매 테마 상승.
  • 애플, 자체적인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개발 소식 속 일부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애플 주가 상승 속 아이폰 테마도 상승.
  • 이 외 밥솥, LED장비, 화학섬유, 제4이동통신,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SI(시스템통합), 전력저장장치(ESS), NI(네트워크통합),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4대강 복원, 해저터널, 전선, 클라우드 컴퓨팅, U-Healthcare(원격진료), 태양광에너지, 3D 프린터, 소매유통, 탈모 치료, OLED, 철강 중소형, 미용기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넷플릭스, 매출 실망감 속 시간외 주가 약세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하락.
  • 최근 조선업 호황 속 강세를 보이던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 RFHIC 2분기 어닝 쇼크 전망 속 통신장비, 5G 테마 하락.
  • 中 LPR 동결 및 소비진작책 회의론 지속 등에 면세점, 카지노,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등 하락.
  • 이 외 탄소나노튜브(CNT), IT 대표주, 피팅(관이음쇠)/밸브, 그래핀, 우크라이나 재건, 바이오시밀러, 자동차 대표주, 출산장려정책, 모듈러주택, 핀테크,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손해보험, 웹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원자력발전, 캐릭터상품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사업부가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주목받는 반도체 스타트업과 칩 연구 과제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짐.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미국 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그로크와 칩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잇따라 개시했으며, 파운드리사업부 내 시스템반도체 설계팀인 파운드리디자인서비스(FDS)팀이 이 연구 과제를 담당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 삼성전자와 텐스토렌트·그로크는 첨단 정보기술(IT) 기기에 활용될 AI 반도체를 개발하며, 이 과제가 양산까지 이어지면 삼성전자가 구축한 5나노 이하 극자외선(EUV) 공정 라인, 2.5D 패키징 설비에서 칩을 생산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업계에서는 삼성이 두 회사와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파운드리 시장에 적잖은 파급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챗GPT로 촉발된 AI 시장 규모가 커져 두 스타트업의 입지가 강화된다면 일찌감치 협업을 진행한 삼성 파운드리가 상당한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으로 텐스토렌트는 애플·테슬라·인텔·AMD의 최첨단 반도체 설계를 주도해 이 분야의 전설로 통하는 짐 켈러가 최고경영자(CEO)라고 전해짐.
  • 한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위원회 회의에서 "반도체 2개(안성, 부산), 미래차 2개(광주, 대구), 바이오 1개(오송) 등 총 5개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한다"고 밝힘.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는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반도체 2개, 이차전지 4개, 디스플레이 1개 등 총 7개의 특화단지를 지정하고 600조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에이디테크놀로지 , 가온칩스, 한미반도체 등 시스템반도체 테마를 비롯해 제우스, 레이저쎌, 피에스케이홀딩스, 인텍플러스, 엘오티베큠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폐배터리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최근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최근 공개된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세계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은 연평균 17%씩 성장해 2023년 108억달러(13조6,264억원)에서 2030년 424억달러, 2040년 2,089억달러(263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언론에 따르면,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세계 각국 기업들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재활용) 산업에 잇달아 뛰어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도 유럽과 북미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세운다는 구상을 내놨으며,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를 비롯해 성일하이텍, 세빗켐, 영풍, 에너지머티리얼즈 등이 배터리 재활용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 테슬라 공동 창업자인 J.B 스트라우벨이 설립한 배터리 재활용 스타트업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의 기업 가치는 2021년 37억 달러(4조6,000억원)에서 최근 50억 달러(6조3,000억원)까지 성장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새빗켐 , NPC, 성일하이텍, 코스모화학, 이지트로닉스 등 폐배터리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속 상승

  • 테슬라는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 순이익은 차량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2분기보다 20% 늘어난 27억3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조정 주당순이익은 0.91달러로, 레피니티브가 조사한 월가 전망치인 주당 0.82달러를 훌쩍 뛰어넘었음. 큰 폭의 차량 판매량에 힘입어 매출액은 249억2,7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했으며, 직전 1분기보다도 7% 증가했음. 다만, 매출액에서 원가를 뺀 매출총이익은 45억3,300만달러(약 5조7천400억원), 매출총이익률 18.2%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25.0%)보다 6.8%포인트, 전 분기(19.3%)보다 1.1%포인트 각각 떨어졌음. 영업이익률도 9.6%로, 지난해 같은 기간(14.6%)보다 5%포인트 하락했음.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모두 지난 5개 분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임.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은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 콜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마진(이익)을 계속 희생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머지않은 미래에 극적인 가치 상승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더 많은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 마진을 희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그 가치는 엄청나다"고 밝힘.
  • 시장에서는 테슬라 이익률 하락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며, 테슬라 주가는 지난밤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4% 넘는 하락세를 기록.
  • 이 같은 소식 속 장초반 2차전기 투자 심리가 악화되기도 했지만, 이내 투자 심리가 회복되며 피엔티 , 에이프로, 광무, 유일에너테크, 코윈테크, 자비스, 엔켐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 한편, 최근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가 유럽 생산기지인 독일 공장의 규모를 2배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짐. 테슬라는 베를린 외곽 그뤼네하이데에 있는 기가팩토리의 생산 규모를 2배로 늘리는 내용의 부지 사용 확장 신청서를 브란덴부르크주 환경부에 제출했으며, 이 공장의 생산 능력을 지금의 연간 최대 50만대에서 100만대로 늘리고 배터리 생산량도 50기가와트시를 추가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PCB(FPCB 등)

AI, DDR5 등 기술변화 모멘텀 속 기판 산업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상반기 기판 주가 상승의 배경은 기술변화 모멘텀이었다고 설명. 아직 실적 회복을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주가는 AI(이수페타시스 , 코리아써키트 ), 어드밴스드패키지(대덕전자, 해성디에스 ), DDR5(티엘비 ) 등 기술변화 모멘텀을 이유로 업황을 선행하고 있다며, 다수의 기판 기업들은 과거의 주가와 밸류에이션을 넘어섰다고 밝힘.
  • 기술변화와 실적 개선 기여가 가장 뚜렷할 모멘텀은 AI와 DDR5라고 설명. 이수페타시스(MLB)는 AI 매출 비중이 올해 20%를 상회하고, 24년에 30~40%에 달할 것으로 전망. 티엘비(메인보드)는 국내 소부장 중 DDR5 관련 매출 비중이 가장 높고, 올해 DDR5 비중은 20~30%로 예상. 심텍 (패키징기판)은 위의 기술변화 모멘텀에서는 소외돼 있으나 반도체 업황 회복 시 실적과 주가 베타가 가장 클 것이라고 설명. 비에이치 (FPCB)는 다방면의 사업 확장으로 24년이 가장 기대되는 부품사라고 분석.
  • 이 같은 소식에 이녹스첨단소재 , 이수페타시스, 태성 등 PCB(FPCB) 테마가 상승.

항공/저가 항공사(LCC)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 속 호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요 항공사들의 실적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전통적인 비수기인 2분기에도 여행 수요가 강세를 보이며 성수기 같은 비수기를 보낸 가운데, 주요 항공사들의 2분기 실적이 기존 추정치를 크게 상회할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는 모습. 6월 국제선 여객 수는 전월대비 6% 증가한 558만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72% 증가한 수준임. 원유 가격이 하락해 연료비 부담이 줄어든 점도 실적 상승에 기여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아울러 3분기는 국제선 여객 계절적 성수기로 7~8월 여름 휴가와 9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있어 국제선 여객 수송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한편, 미국 3대 항공사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항공이 지난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유나이티드항공이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매출은 142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5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2.8% 급증했음. 일회성 항목을 제외한 주당 순이익(EPS)는 5.03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음. 이에 유나이티드항공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3% 넘게 상승.
  • 이 같은 소식에 대한항공 ,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사료/ 비료/ 농업/ 음식료업종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영향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지난 17일(현지시간)부로 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 종료를 선언한 가운데, 러시아 국방부가 금일(현지시간)부터 흑해에서 우크라이나 항구로 항해하는 모든 선박을 군용 화물의 잠재적 운반선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밝힘. 국방부의 이 같은 발표는 러시아 외무부가 흑해곡물협정에서 탈퇴함에 따라 러시아 정부가 흑해에서 안전한 항행에 대한 보 장을 철회한다고 말한 후 나온 것임.
  •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이번 협정 중단은 우크라이나의 선적에 크게 의존하는 북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국가의 식량 공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이는 식량 안보 전망을 악화시키고 전 세계 식량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위험이 있다"고 밝힘.
  • 한편, 외신에 따르면, 시카고 상품거래소에서 19일(현지시간) 밀 선물가격은 부셸당 7.28달러로 8.5% 급등한 것으로 전해짐. 밀 선물가격의 일간 상승률은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장 큰 폭이었으며, 옥수수와 대두 가격 등도 상승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한탑, 사조동아원, 우진비앤지, KG케미칼 등 일부 사료/비료/농업/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영상콘텐츠

넷플릭스, 매출 실망감 속 시간외 주가 약세 등에 하락

  • 19일(현지시간) 넷플릭스는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 2분기 매출액은 81억8,700만달러(약 10조3,700억원), 영업이익은 18억2,700만달러(약 2조3,1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7%, 15.8% 증가. 같은기간 조정 주당순이익은 3.29달러로 시장예상치(2.90달러)를 상회했지만, 매출액은 시장예상치(83억 달러)를 하회했음. 또한, 3분기 매출 전망치를 시장예상치(86억7,000만 달러)에 못 미치는 85억2,000만 달러로 제시했음. 이에 시간외 거래에서 넷플릭스의 주가는 한때 7% 넘는 급락세를 나타냈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 콘텐트리중앙 등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급등종목

  • 더코디 / 6,760원(+30.00%)
    최대주주 대상 2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 제이스코홀딩스 / 3,495원(+29.93%)
    파트너사 EVMDC, 필리핀 니켈광산 개발·운영권 추가 획득 소식에 상한가
  • 코스나인 / 1,650원(+21.77%)
    리튬 등 신사업 기대감 등에 급등
  • 제우스 / 50,700원(+20.57%)
    삼성전자 ,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퓨쳐켐 / 9,730원(+19.53%)
    전립선암 치료제 및 알츠하이머 진단제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레이저쎌 / 13,100원(+19.20%)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에이디테크놀로지 / 28,900원(+18.93%)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피에스케이홀딩스 / 27,350원(+17.13%)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윌링스 / 14,650원(+17.11%)
    최대주주 제이스코홀딩스, 파트너사 EVMDC 필리핀 니켈광산 개발·운영권 추가 획득 소식에 급등
  • 포스코DX / 31,050원(+16.07%)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이녹스첨단소재 / 48,250원(+15.02%)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수산화리튬 사업 진출 기대감 부각에 급등
  • 와이랩 / 10,350원(+15.00%)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제이엘케이 / 32,300원(+14.95%)
    뇌졸중 의료AI 솔루션 도입 상급종합병원 101곳 돌파 모멘텀 지속에 급등
  • 플리토 / 36,750원(+13.95%)
    기업용 번역 플랫폼 '플리토 엔터프라이즈', 일본시장 출시 소식에 급등
  • 모델솔루션 / 19,830원(+13.31%)
    애플GPT 구축 소식 속 애플 고객사 및 토탈 제작솔루션 제공 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 자비스 / 4,320원(+12.65%)
    일부 반도체 관련주 및 2차전지,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인텍플러스 / 46,000원(+12.20%)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광무 / 3,170원(+11.62%)
    테슬라 2분기 발표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한탑 / 2,035원(+10.06%)
    러시아 흑해곡물협정 종료 영향 지속 등에 일부 사료/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 급등
  • HLB / 34,050원(+9.84%)
    리보세라닙 美 FDA 본심사 진입 모멘텀 지속 및 무상증자 결정에 따른 숏커버링 매수세 유입에 급등
  • NPC / 6,980원(+9.40%)
    폐배터리 시장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폐배터리 테마 상승 속 급등
  • 엘오티베큠 / 19,490원(+9.07%)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보로노이 / 56,900원(+9.00%)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 성과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52주 신고가 종목

  • 제우스 / 20.57%
    삼성전자 ,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에이디테크놀로지 / 18.93%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피에스케이홀딩스 / 17.13%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윌링스 / 17.11%
    최대주주 제이스코홀딩스, 파트너사 EVMDC 필리핀 니켈광산 개발·운영권 추가 획득 소식
  • 포스코DX / 16.07%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드림텍 / 15.31%
  • 이녹스첨단소재 / 15.02%
    PCB(FPCB 등) 테마 상승 속 수산화리튬 사업 진출 기대감 부각
  • 제이엘케이 / 14.95%
    뇌졸중 의료AI 솔루션 도입 상급종합병원 101곳 돌파 모멘텀 지속
  • 이라이콤 / 11.21%
  • 엔바이오니아 / 10.51%
  • 엘오티베큠 / +9.07%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케이엔솔 / +8.45%
    반도체 관련주, 2차전지 테마 상승 및 소방청, 클린룸 규제 완화 소식 속 클린룸 전문업체로 지속 부각
  • 에이프로 / +8.04%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수주와 실적 모두 레벨업 전망
  • 피엔티 / +7.51%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3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 지속
  • 엘앤씨바이오 / +6.63%
    올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 기대감 지속
  • 하이로닉 / +5.94%
    해외 매출 성장에 따른 2분기 호실적 분석
  • 디엔에프 / +5.70%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디이엔티 / +4.63%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속 2차전지 테마 상승
  • 에코프로에이치엔 / +4.48%
  • 해성디에스 / +4.33%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업황 부진에도 Level-up된 수익성 확인 분석 모멘텀 지속
  • JW중외제약 / +3.78%
    혁신 탈모치료제 'JW0061' 호주 특허 등록 소식
  • 펩트론 / +3.78%
    GLP-1 작용제 기술 이전 기대감 지속
  • 주성엔지니어링 / +3.02%
    삼성전자, 美 텐스토렌트·그로크와 AI 칩 프로젝트 착수 소식 및 정부,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2개 추가 지정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영풍제지 / +1.64%
    전기차 사용후배터리 사업 신규 진출 본격화 기대감 지속
  • SK네트웍스 / +1.37%
    주가 재평가 분석 모멘텀 지속
  • 에코프로비엠 / +0.42%
    테슬라 2분기 실적 발표 속 2차전지 테마 상승
  • 케이아이엔엑스 / +0.26%
  • LX하우시스 / +0.19%
    2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기대감 지속

 

 

| 투자속보 | - 팍스넷 증권포털

이전 주 2023.07.20 목 달력보기 오늘 다음 주 내용보기 간략보기

www.paxnet.co.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