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3.07.21) 오늘의 리포트/테마종목 정리

by 미니토이 2023. 7. 27.

#하이트진로

[한화투자증권 / 한유정,조정현 / Buy / 목표가 23,500원 / 현재가 20,200원]

지금이 골든타임

  • 기대치를 하회할 2분기
  • 즐거운 컨텐츠가 된 주류

#대원강업

[삼성증권 / 임은영,강희진 / 현재가 7,720원]

탐방 Take-away: 전기차 부품 듀얼 소싱은 이제 시작

  • 대원강업은 자동차 현가 스프링, 스테빌라이저, 시트가 주력 제품
  • 현대차그룹과 미국, 멕시코, 인도 등에 동반 진출했으며, 구동모터 코어 수주 시작
  •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판매 목표는 2023년 60만 대 → 2026년 195만 대 → 2030년 360만 대로, 듀얼 소싱이 당연
  • 대원강업은 구동모터 코어의 해외 확장 가능성 높음

#현대건설

[KB증권 / 장문준 / 현재가 37,400원]

기대 이상의 국내외 매출 호조 지속. 향후 이익률 개선이 관건

  • 2Q23 Review: 국내 주택 일회성 반영에도 불구 외형성장과 안정적인 판관비로 시장 기대치 상회
  • 1H23 주택공급: 별도 1,227세대 / 연결 3,858세대
  • 1H23 해외수주: 별도 7.4조원 / 연결 11.4조원

[삼성증권 / 백재승 / BUY / 목표가 49,000원 / 현재가 37,400원]

매출 level-up 지속, 관건은 수익성

  • 2Q23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236억 원으로, 컨센서스 19% 상회
  • 국내 주택 매출 호조 영향. 현대엔지니어링도 올해부터 이익 개선 지속 중
  • 최근 성공한 대규모 EPC 수주와 현대엔지니어링의 그룹향 수주 등이 부동산 시황 불확실성을 방어해줄 것

#쌍용C&E

[유안타증권 / 김기룡 / Buy / 목표가 6,200원 / 현재가 5,080원]

환경 사업이 아쉽다

  • 2Q23 Preview : 낮아진 시장 예상치 부합 추정
  • 환경 사업의 아쉬운 행보, 시멘트 인상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

#롯데정밀화학

[대신증권 / 위정원 / Buy / 목표가 75,000원 / 현재가 65,700원]

롯데의 4번 타자

  • 2분기 예상 OP 565억원(QoQ +19.9%)으로 시장기대치 상회 전망
  • ECH 아시아 역내 공급 감소로 국제가격 대비 판가 방어 추정
  • 산업용 셀룰로스 성수기 효과 및 원가 하락으로 OPM 개선

#DB손해보험

[BNK투자증권 / 김인 / 매수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71,000원]

회계제도 변경 불확실성 해소와 주주환원 강화 확인 후 주가는 Level up 예상

  • 2Q23 Preview: 당기순이익 3,714억원 예상
  • 2023년(E) 당기순이익 1.5조원의 최대실적 예상

#삼성전자

[KB증권 / 김동원,유우형,박주영,이경아 / BUY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71,000원]

D램 수익성 개선 가시화

  • 4분기부터 HBM 공급 본격화
  • 2024E HBM 매출비중 18%로 확대
  • D램 바닥 확인, 4분기 반도체 흑자전환 예상

#녹십자

[신한투자증권 / 정재원 / 매수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12,200원]

삼 세번의 결실

  • 2Q23 Pre: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 달성 전망
  •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 유효
  • 1분기의 영향으로 하반기는 큰 이슈없을 것

#국도화학

[신한투자증권 / 이진명,최규헌 / 매수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3,600원]

국도화학 2Q23 실적발표

  • 2분기 영업이익 129억원(+24% QoQ)으로 컨센서스 142억원 하회
  • 하반기 영업이익 521억원(vs. 상반기 234억원)으로 실적 개선 지속
  • 목표주가 70,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한화솔루션

[한화투자증권 / 윤용식 / Buy / 목표가 62,000원 / 현재가 44,450원]

2Q23 Preview: 실적은 견조, 2H23부턴 증설 본격화

  • 2Q23 OP 2,396억원 전망(컨센대비 -3%)
  • 모듈 판가 하락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는 판단

#현대미포조선

[SK증권 / 한승한 / 매수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90,800원]

시간은 현대미포조선의 편

  • 23년 2분기 매출액 1조 250억원(+9.6%, YoY), 영업적자 170억원(적지, YoY) 전망
  •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 역시 과거 저가 수주물량을 소화하는 구간이 이어지는 중
  • 분기 흑전은 선종 Mix 개선 및 선가상승 영향 효과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하반기 예상

#화신

[삼성증권 / 임은영,강희진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9,900원]

배터리 케이스 신규 수주: 공장 완공 전에 완판

  • 신규 배터리 케이스 수주 공시
  • 현대차, 중대형 SUV 사이클 수혜

#롯데케미칼

[대신증권 / 위정원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48,900원]

수익성 개선 시점 지연

  •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미미. 전반적 화학 스프레드 하락
  • 첨단소재 2Q23 예상 OP 561억원(QoQ +23%) 수익성 개선 지속
  • 동북아 증설 물량이 해소되는 3Q23 이후 수익성 점진적 개선 전망

#HMM

[메리츠증권 / 배기연,오정하 / 현재가 20,300원]

정부, 전환권 및 신주인수권 행사 결정

  • HMM 주식 매각 공고
  • 상환을 전제로 인수 의사를 밝힌 SM그룹
  • 정부의 결정에도, SM 그룹의 인수 의지가 유지될 가능성

#KT

[현대차증권 / 김현용 / BUY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29,400원]

실적은 OKAY, 지배구조 결정되면 GO

  •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하는 호실적 예상
  • 유무선 성숙기 진입했지만 판매비 및 CAPEX 효율화로 이익 증가세 지속 전망
  • 드라마 시장 위축에도 스튜디오지니 중심으로 ENA 채널 콘텐츠 투자 지속

#LG디스플레이

[KB증권 / 김동원,유우형,박주영 / 현재가 14,440원]

삼성 OLED 공급 확대 전망

  •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패널 탑재 77, 83인치 OLED TV 출시
  • 내년 OLED TV 패널 예상 공급량 150만대, 전년대비 +10배 증가

#JYP Ent.

[신한투자증권 / 지인해,조영권 / 매수 / 목표가 165,000원 / 현재가 133,600원]

글로벌 끝판왕

  • 역대급 IP 정산으로 호실적 기대
  • 하반기 모멘텀 풀가동
  • 글로벌 끝판왕 엔터사로 긍정적 시각 유지

#디오

[미래에셋증권 / 김충현,이상원 / 매수 / 목표가 47,000원 / 현재가 33,400원]

실적 가시성이 상당히 높아졌음을 확인한 2분기

  • 시장기대치 상회하며 2분기 연속 사상최대 분기 매출 달성
  • 12개월 선행 P/E 14배로 글로벌 Peer(23배) 및 동사의 지난 5년평균(25배) 대비 저평가 상태

[삼성증권 / 정동희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33,400원]

계획대로 되고 있어

  • 2Q23 review: 미국 DSO향 매출 발생 및 중국 시장 회복세, 견고한 내수/이란 매출로 컨센서스 부합
  • 추정치 변동 미미하여 12MF EBITDA 기반 목표 주가 유지
  • 하반기부터 북미 DSO 전략 성과 가시화와 함께 밸류에이션 정당화 기대

[다올투자증권 / 박종현,이정우 / N BUY / 목표가 N 44,000원 / 현재가 33,400원]

확실한 방향성

  • 중국과 미국 매출 반등에 힘입어 2Q23E 매출액 및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 중국 VBP 개시 및 미국 DSO 계약에 따라 매출 확대 기대

#CJ프레시웨이

[메리츠증권 / 김정욱,이성우 / 현재가 27,700원]

탐방 Comment

  • 2Q23E 영업이익은 312억원으로 컨센서스 344억원 대비 하회할 전망
  • 푸드서비스와 급식식자재의 양호한 흐름에도 외식 경기 둔화 및 물류 관련 비용 지속되며 식자재유통 부문 실적 부진 영향

#한전KPS

[이베스트투자증권 / 성종화 / Buy / 목표가 48,000원 / 현재가 32,900원]

인건비 절감, 실적구조 개선인데 Multiple은 하락?

  • 2Q23 영업실적 Preview: 컨센서스 대폭 초과 전망
  • 2023년 OP, 전망치 소폭 하향하나 증가세 가파른 탄력은 변함 없다
  • 인건비 절감, 실적구조 개선은 충분히 Multiple 프리미엄 요인이다

#리노공업

[키움증권 / 박유악 / BUY / 목표가 200,000원 / 현재가 159,700원]

AI, XR 시장 확대 수혜, 예상보다 빠른 실적 회복

  • 2Q23 영업이익 275억원, 기대치 상회 예상
  • 3Q23 영업이익 337억원 전망, 실적 회복세 지속
  • 목표주가 20만원으로 상향, 비메모리 top pick 추천

#CJ CGV

[대신증권 / 김회재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9,740원]

24년은 19년 이상

  • 2Q23 Review: 4년 만의 반기 흑자 전환
  • 시리즈물을 중심으로 개봉작 증가에 따른 극장 회복. 특별관 선호도 증가
  • 23년 OP 19년의 54%, 24년 OP 19년의 120% 수준 전망

#엘오티베큠

[KB증권 / 김현겸 / 현재가 19,490원]

반도체의 빌드업, 태양광의 폭풍 질주!

  • 2Q23 예상 매출액 (연결) 1,295억원 (+53.8% YoY), 영업이익 165억원 (+166.6% YoY, OPM 12.7%)
  • 체크포인트 1) 반도체 P3향 매출 확대 및 미 테일러향 수주, 신규 고객사 매출 기대 2) 중국향 태양광 매출 확대 3) CAPA 증설 기대
  • 리스크요인: 전방 업체의 투자 지연 가능성

#동국제약

[신한투자증권 / 정재원 / 매수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3,730원]

꾸준한 담금질

  • 2Q23 Pre: 외형은 최대로 커졌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하락 전망
  • 신제품의 지속적인 추가는 긍정적이나, 수익성 회복이 관건
  • 동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동일

#비엠티

[유안타증권 / 권명준 / 현재가 15,610원]

누이가 좋으니 매부도 좋다!

  • 경쟁력: 다양한 전방산업, 수출 확대, R&D 투자 지속
  • 성장동력: 신공장
  • 2분기에도 호실적 기대

#네오위즈

[대신증권 / 이지은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8,000원]

대작 출시를 앞두고 너무 싸다

  • 2Q23 Preview: 탑라인은 비수기 + 신작을 위한 비용 증가
  • P의 거짓, 출시까지 아직 두달이나 남았다

#SK이노베이션

[한국투자증권 / 최고운 / 매수 / 목표가 240,000원 / 현재가 173,700원]

2Q23 Preview: 오래전처럼 느껴지는 2분기

  • 정유 시황은 하반기 본격적으로 턴어라운드할 전망
  • 2분기 실적은 기대를 크게 하회하나 이미 지나간 일
  • 정유가 회복된다는 것은 재무 불확실성이 줄어든다는 의미

#고영

[유진투자증권 / 박종선 / BUY / 목표가 19,000원 / 현재가 15,210원]

2Q23 Review: 기대보다 실적 부진했으나, 뇌수술 로봇 추가 판매 기대

  • 2Q23 Review: 매출액 535억원, 영업이익 3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7.9%, 67.7% 감소하였음
  • 3Q23 Preview: 당사 추정 3분기 예상실적(연결기준)은 매출액 729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으로 전년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우양

[이베스트투자증권 / 조은애 / 현재가 5,630원]

어쩌면 지금부터 시작

  • 국내 핫도그 OEM/ODM 시장점유율 1위 업체
  • 북미 대형마트로 핫도그 수출 중
  • 북미 수출 본격화로 외형 및 이익 성장 사이클 진입 예상

#코오롱인더

[대신증권 / 위정원 / N Buy / 목표가 N 75,000원 / 현재가 51,700원]

하반기 하입(Hype)

  • 2H23 이후에도 아라미드 영업이익률은 견조할 것으로 전망
  • 1H24 내 증설 완료되는 1) 아라미드 펄프, 2) PMR로 이익률 개선
  • 화학 업황 회복이 불투명한 가운데, 중소형주 유망주로 제시

#이마트

[삼성증권 / 박은경 / BUY / 목표가 107,000원 / 현재가 78,200원]

수익성 개선, 경쟁사가 할 수 있음 나도 할 수 있다

  • 2Q23E 매출액 7.20조원 (+1% y-y; 이하 y-y), 영업손실 234억원 (적자 확대)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산업의 구조적 수익성 개선 방향성에 초점을 맞출 것을 권유
  • 2023-2024E 이익전망 하향 조정

#옵티팜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이달미,양준호 / 현재가 7,240원]

국내 이종장기 선두주자

  • 국내 동물사업 및 이종장기 전문기업
  • 동물사업은 cash cow, 이종장기 사업이 주요 투자포인트
  • 이종장기 사업으로 기업가치 상승 가능

#동아에스티

[유진투자증권 / 권해순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4,100원]

구체화되는 중장기 성장 전략

  • 구체화되는 중장기 성장 전략: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신약 파이프라인 글로벌 임상 진행
  • 2개의 R&D 파이프라인(NASH 및 비만 치료제): 글로벌 임상 1상 및 임상 2a상 IND 신청 예정

#HK이노엔

[신한투자증권 / 정재원 / 매수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2,200원]

푸근한 하반기

  • MSD백신 역기저효과가 두드러진 2분기 실적 전망
  • 아쉬운 상반기를 뒤로 하고, 하반기 이후부터는 기대해볼만하다
  • 케이캡에만 쏠린 시선이 마냥 나쁘지는 않을 것

#우리산업

[하나증권 / 송선재,안도현 / 현재가 22,950원]

전기차용 히터와 열관리 부품의 성장

  • 자동차용 열관리 부품군 제조업체
  • PTC 히터와 쿨런트 히터를 위시로 열관리 부품군의 성장
  • P/E 13배. 히터류 성장이 주가 촉매

#천보

[DB금융투자 / 정재헌 / Buy / 목표가 350,000원 / 현재가 198,100원]

단기 실적 부진 보단 증설 규모 상향에 주목

  • 2Q23E 영업이익 13억원, 물량 회복에도 불구하고 ASP 급락과 고정비 반영에 부진 지속
  • 23년 연간 실적 역성장은 다소 아쉬우나 증설 규모를 대폭 상향했다는 점에 주목
  • 단기 실적 부진으로 인해 23년 추정치는 하향, 다만 새만금 프로젝트 본격화 이후 성장성은 여전히 매력적

#코윈테크

[미래에셋증권 / 박준서 / 매수 / 목표가 56,600원 / 현재가 39,750원]

강력한 수주 모멘텀과 사업 시너지

  • 매출액 940억원, 영업이익 91억원, OPM 9.6% 전망
  • 강력한 수주 모멘텀

#효성화학

[흥국증권 / 장현구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6,000원]

베트남 공장 풀가동 시작

  • 2Q23 Preview: 매출액 -16%, 영업이익 적자지속 YoY
  • 대규모 일회성 비용과 높았던 원재료비

#효성첨단소재

[대신증권 / 위정원 / Buy / 목표가 550,000원 / 현재가 452,500원]

저가 매수 기회

  • 타이어코드 이익 부진으로 2Q23 예상 OP 513억원(QoQ -23.9%)
  • 주가 모멘텀인 탄소섬유는 견고(기타 2Q23 205억원, QoQ+11%)
  • 전방 산업(항공우주) 확대 가능성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져

#하이브

[삼성증권 / 최민하 / BUY / 목표가 360,000원 / 현재가 269,000원]

차곡차곡 쌓인 준비, 빛을 발한다

  • 2분기 영업이익 725억원으로 낮아진 시장 눈높이에 부합할 전망
  • 눈에 띄는 아티스트들의 성과와 공고해지는 위버스
  • 짱짱한 하이브의 아티스트 파이프라인

#엔젠바이오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김태현,서지원 / 현재가 6,640원]

NGS제품 제조 및 판매 회사

  • NGS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
  • 투자포인트1. NGS제품 매출 성장 기대
  • 투자포인트2. DTC 사업 확장 기대

#디어유

[유안타증권 / 이환욱 / 현재가 39,000원]

P&Q 동반 상승 순항 중P&Q 동반 상승 순항 중

  • 2Q23 Preview: 매출액 +57.1% yoy, 영업이익 +100.3% yoy
  • Q의 안정적인 성장과 맞물린 P의 상승
  • 2023 연간 예상 매출액 +53.5% yoy, 영업이익 +76.4 yoy

 

 

리서치 : 네이버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테마시황

  •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존슨앤존슨 호실적 발표, SK케미칼-아스트라제네카 당뇨복합제 위탁생산 공급계약 체결 소식 등에 바이오시밀러,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매, 코로나19 관련주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기반 서비스 라인업 공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 CJ CGV 반기 흑자 달성 모멘텀 지속 속 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일부 영화 테마 상승.
  • 국제유가 상승 속 일부 LPG(액화석유가스)/정유 테마 상승.
  • 에스케이증권제9호스팩 신규상장 첫날 급등 속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 2차전지 소재 사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포스코그룹주 강세 속 일부 철강 주요종목 테마 상승.
  • 이 외 자전거, 2차전지(생산), 니켈, 통신, 폐배터리, 탈모 치료, 리튬, 마리화나(대마), 교육/온라인 교육, 석유화학, 종합상사, 손해보험, 마켓컬리(kurly), 홈쇼핑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TSMC 2분기 순이익 4년만에 첫 감소 소식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반도체 관련주 하락.
  • 테슬라 실적 실망감 속 주가 급락 등에 일부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다만, 이러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평가 속 대부분의 종목들이 오후들어 낙폭을 축소.
  • 아이폰15 프로/프로맥스, 공급 제한 가능성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애플페이 테마도 하락.
  • 넷플릭스 실적 실망감 속 주가 급락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하락.
  • 유럽 에너지회사 바텐폴(Vattenfall), 영국 해상 풍력 프로젝트 중단 소식 속 풍력에너지 테마 하락.
  • HMM이 매각 소식 속 영구채 주식 전환에 따른 지분 가치 희석 우려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해운 테마 하락.
  • 이 외 4대강 복원, 전자파, DMZ 평화공원, 그래핀, 마이크로 LED,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밥솥, 키오스크(KIOSK), 피팅(관이음쇠)/밸브, 국내 상장 중국기업, 갤럭시 부품주,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제약/바이오 관련주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코로나19가 재확산세를 보이고 있음. 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3주 연속 증가해 6개월 만에 하루 3만명이 넘는 등 재유행 조짐이 감지되는 데다, 전년과 달리 한여름까지 독감·감기가 유행하고 있음. 이에 현재 독감 감시 체계도 유행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데, 이 같은 감시 체계를 코로나19에도 적용하면 자칫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에 번지는 '멀티데믹(감염병의 동시유행)' 상황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전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7월 둘째 주 신규 확진자는 18만6,953명으로 전주보다 22.2% 늘었음. 또한, 국내 신규 확진자는 지난 2~6월 하루 1만~2만명대였지만, 7월 들어 연일 3만명을 오르내리고 있음.
  • 정부의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정부가 지난 19일 오는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규모 100조원, 수출 규모 500억달러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세부적으로 국가전략기술에 바이오의약품까지로 확대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고, 생산 공장 조기 준공에 필요한 인프라를 지원될 예정. 또한, 기획재정부는 전일 바이오 등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충북 오송(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을 소부장 특화 단지로 지정했음.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인 충북 오송에는 LG화학과 대웅제약 등이 1조6,000억원을 투자할 예정.
  • 지난밤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존슨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전망치도 상향 조정한 점과 SK케미칼이 아스트라제네카와 당뇨복합제 위탁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바이오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 이 같은 소식 속 에이프로젠 , 유한양행, 삼진제약, 대원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 제약/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및 오스코텍, 메드팩토, 지아이이노베이션, 진원생명과학, 고바이오랩 등 면역항암제/유전자 치료제/분석/마이크로바이옴 등 테마가 상승. 또한, 샤페론, 피씨엘, 진원생명과학, 큐라티스 등 코로나19 관련주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기반 서비스 라인업 공개 소식 등에 상승

  • 네이버는 자체 개발 초대규모 AI(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에이전트 클로바X를 8월에 출시할 예정인 가운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라인업과 연내 출시 일정 등을 공개했음. 8월에는 기존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고, 이와 함께 대화형 에이전트 ‘클로바X(CLOVA X)’가 베타 서비스로 출시될 것으로 알려짐. 이어 9월에는 생성형 AI 기반 검색 서비스 ‘큐:(Cue:)’도 베타 서비스 형태로 공개되며 10월에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에 더욱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하이퍼클로바X를 위한 뉴로클라우드’도 선보일 것으로 전해짐.
  • 현지시간으로 19일 외신에 따르면, 애플이 챗GPT에 대항할 자체 AI 언어모델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으며, 메타도 올 초 선보인 인공지능(AI) 초거대 언어모델(LLM) ‘라마’(Llama) 새 버전의 설계도를 공개했다는 소식도 전해진 바 있음.
  • 한편, 전일 AI 분야 세계 4대 석학으로 꼽히는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AI의 미래와 방향성'이라는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모든 사람이 코딩을 할 수 있고, 본인의 AI를 만들어 비서처럼 쓰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에 신테카바이오 , 솔트룩스, 라온피플, 셀바스AI, 데이타솔루션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TSMC 2분기 순이익 4년만에 첫 감소 소식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테슬라, 넷플릭스 실적 실망감 속 기술주 약세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TSMC의 부진한 실적 발표 등에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7.81(-3.62%) 하락한 3,663.85을 기록. 인텔(-3.16%), AMD(-5.31%), AMAT(-5.46%), TSMC(-5.05%), 엔비디아(-3.31%)가 하락세를 보였음.
  • TSMC는 전일 실적발표를 통해 2분기 순이익이 1,818억 대만달러(약 7조4,000억원)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3.3% 줄었다고 밝힘. TSMC의 분기 순이익이 감소한 것은 2019년 2분기 이후 4년 만에 처음임. 또한, TSMC 류더인(마크 리우) 회장은 "애리조나 공장에서의 반도체 생산이 2025년으로 연기될 것"이라고 밝히며, 이 공장에서 반도체를 공급받으려고 했던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음.
  • 특히, TSMC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수요가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밝힘. TSMC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AI 관련 수요 증가를 관찰했지만, 우리 사업의 전반적인 주기성을 상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밝히며, AI 특수가 전반적인 반도체 경기 침체를 만회할 정도는 아니라고 언급.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ISC, 마이크로컨텍솔, 덕산하이메탈, 하나머티리얼즈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2차전지/ 전기차

테슬라 실적 실망감 속 주가 급락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가 이익률 부진에 주가가 9% 넘게 급락세를 보였음. 테슬라는 지난 19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발표. 매출액과 순이익이 호조세를 보였지만, 매출액에서 원가를 뺀 매출총이익은 45억3,300만달러(약 5조7천400억원), 매출총이익률 18.2%를 기록하면서 전년동기(25.0%)보다 6.8%포인트, 전 분기(19.3%)보다 1.1%포인트 각각 떨어졌음. 영업이익률도 9.6%로, 전년동기(14.6%)보다 5%포인트 하락했음.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 모두 지난 5개 분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 아울러 테슬라 경영진들이 콘퍼런스콜에서 사이버트럭과 로봇택시에 대한 구체적인 사양과 인도 시점 등을 공개하지 않은 데다 3분기에 공장 개선을 위한 업무 중단으로 차량 생산이 느려질 것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레몬 , 이엔플러스, 우리산업, 알엔투테크놀로지, 브이원텍, 씨아이에스 등 일부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다만, 이러한 우려가 과도하다는 평가 속 오후들어 대부분의 종목들이 낙폭을 축소하는 모습을 나타냈음.

아이폰

아이폰15 프로/프로맥스, 공급 제한 가능성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애플이 아이폰15 프로, 아이폰15 프로 맥스 디스플레이 제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올 가을 제품 출시 때 공급량이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애플의 디스플레이 공급사는 두 모델의 디스플레이에 새로운 공정을 적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공정의 복잡성 때문에 제조사가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에 따라 아이폰15의 플래그십 모델인 프로와 프로맥스의 초기 공급량이 많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짐.
  • 한편,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의 미국 애리조나 공장 건설이 1년가량 늦어지게 된 것으로 전해짐. 이에 따라 이 공장에서 반도체를 공급받으려고 했던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의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졌으며, WSJ은 "TSMC 애리조나 공장 가동 지연은 미국산 반도체를 원하는 애플의 계획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며 해당 공장에서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3nm 칩은 애플의 차기 아이폰 15 모델과 맥(Mac) 등에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프로텍 , 하이비젼시스템, 덕산네오룩스, 인터플렉스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영상콘텐츠

넷플릭스 실적 실망감 속 주가 급락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넷플릭스가 실적 실망감 속 8% 넘는 하락세를 기록. 넷플릭스는 지난 19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2분기 매출액은 81억8,700만달러(약 10조3,700억원), 영업이익은 18억2,700만달러(약 2조3,1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7%, 15.8% 증가했음. 같은기간 조정 주당순이익은 3.29달러로 시장예상치(2.90달러)를 상회했지만, 매출액은 시장예상치(83억 달러)를 하회했음. 또한, 3분기 매출 전망치를 시장예상치(86억7,000만 달러)에 못 미치는 85억2,000만 달러로 제시했음.
  • 이 같은 소식 속 캐리소프트, 팬엔터테인먼트, 삼화네트웍스, 애니플러스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신테카바이오 / 12,870원(+30.00%)
    : 제약/바이오 관련주 및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K-멜로디 프로젝트 참여 소식 등에 상한가
  • 에이프로젠 / 1,389원(+29.93%)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황반변성 치료용 다중 수용체항체 융합체 개발 소식에 상한가
  • 지엘팜텍 / 1,086원(+29.90%)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안구건조증 신약, 3상 임상 승인 소식 등에 상한가
  • 유비온 / 2,145원(+29.84%)
    : 네이버클라우드와 하이퍼클로바X 기반 교육 서비스 개발 관련 업무 협약 체결 소식에 상한가
  • 에스케이증권제9호스팩 / 3,860원(+93.0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오스코텍 / 26,050원(+22.88%)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렉라자 추가 기술료 및 로열티 확보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지니너스 / 3,895원(+22.10%)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및 AI 신약 개발 플랫폼 가치 부각 속 삼성유전체 연구소 스핀오프 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 에이프로젠 H&G / 1,570원(+21.80%)
    : 에이프로젠, 황반변성 치료용 다중 수용체항체 융합체 개발 소식에 급등
  • 샤페론 / 5,060원(+17.67%)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코로나19 폐렴 치료제 '누세핀' 임상2b상서 효과 입증 사실 재부각에 급등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 397원(+16.42%)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에이프로젠, 황반변성 치료용 다중 수용체항체 융합체 개발 소식에 급등
  • 큐라클 / 15,920원(+14.70%)
    : 중증도 내지 중증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CU104의 제2상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IND) 모멘텀 지속에 급등
  • 노을 / 5,200원(+13.79%)
    : 세계 AI 신약 개발 시장 급성장 전망 속 AI결과 판독 등을 전과정 자동화한 세계 유일 탈중앙화 진단 플랫폼 기업인 점이 지속 부각되며 급등
  • 아센디오 / 830원(+13.70%)
    : KBS 드라마 '우당탕탕 패밀리' 제작 확정 소식에 급등
  • 엘앤케이바이오 / 6,250원(+13.22%)
    : '엑셀픽스-XTP', 미국 대규모 데이터 수집 프로젝트 개시 모멘텀 지속에 급등
  • 솔트룩스 / 33,500원(+12.04%)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기반 서비스 라인업 공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디이엔티 / 31,850원(+11.95%)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 셀바스AI / 19,700원(+11.93%)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및 교육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검정도서 구분 소식 속 교육부 디지털교과서 뷰어·플랫폼 운영 주관사로 부각되며 급등
  • CJ CGV / 10,900원(+11.91%)
    : 4년만의 반기 흑자전환 등에 급등
  • 조일알미늄 / 3,230원(+11.76%)
    : 300억원 규모 BW 발행 결정 속 급등
  • 유한양행 / 67,000원(+11.48%)
    :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한창 / 454원(+11.27%)
    : 최대주주 대상 100억원 규모 유상증자 및 11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등에 급등
  • 석경에이티 / 56,700원(+11.18%)
    : 122억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급등
  • 케이엔솔 / 20,200원(+10.87%)
    : 소방청, 클린룸 규제 완화 소식 속 클린룸 전문업체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 POSCO홀딩스 / 551,000원(+10.75%)
    : 포스코그룹, 2차전지 소재 사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삼진제약 / 23,700원(+10.23%)
    :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디오 / 36,800원(+10.18%)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및 높은 밸류에이션 정당화 기대감 등에 급등
  • TCC스틸 / 58,900원(+9.89%)
    : 2차전지 케이스용 니켈도금강판 증설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올릭스 / 17,600원(+9.38%)
    :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피씨엘 / 6,390원(+9.23%)
    :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라파스 / 26,800원(+9.16%)
    :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정부, 바이오 정책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투자속보 | - 팍스넷 증권포털

이전 주 2023.07.21 금 달력보기 오늘 다음 주 내용보기 간략보기

www.paxnet.co.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