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디앤디파마텍
127,000원(+29.99%)
: 대사이상지방간염(MASH) 치료제 미국 임상2상 결과 유효성 확인 소식 - 알체라
2,540원(+29.92%)
: 이재명 정부 AI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AI 테마 상승 - 롯데이노베이트
25,100원(+29.78%)
: 로봇AI 테마 상승 속 AI 혁신 및 팬덤 플랫폼 확장 기대감 지속 - 오브젠
20,400원(+29.77%)
: 이재명 정부 AI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AI 테마 상승 - 우리기술
3,380원(+24.04%)
: 원자력발전,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아이티센엔텍
1,268원(+22.04%)
: 이스라엘-이란 분쟁 여파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헥토파이낸셜
28,600원(+21.96%)
: 지역화폐 및 스테이블코인 등 차세대 결제 인프라 '선점' 기대감 지속 - 삼성에스디에스
166,900원(+21.65%)
: 이재명 정부 AI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로봇AI/AI 챗봇 테마 상승 - 흥구석유
19,170원(+20.11%)
: 이스라엘-이란 분쟁 여파 지속 등에 LPG 테마 상승 - 아이티센글로벌
26,500원(+19.37%)
: 퓨리오사AI 및 STO 테마 상승 - 한화시스템
64,200원(+18.01%)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한화그룹, 노스롭 그루먼과 '다계층 대공방어 시스템' 개발 협력 추진 소식 - JTC
5,270원(+17.24%)
: 日관광객 증가에 따른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 네오위즈홀딩스
32,850원(+15.67%)
: 김병기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코오롱
39,600원(+15.45%)
: 김병기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비큐AI
1,816원(+14.94%)
: 로봇AI 테마 상승 및 이재명 행정부, 소버린(Sovereign) AI 개발 정책 속 'RDP-Line' 기대감 - 더즌
4,195원(+14.93%)
: 카카오페이, 李 정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추진에 따른 수혜주로 지속 부각 속 카카오페이가 2대주주인 점 지속 부각 - 웅진
2,660원(+14.66%)
: 지주사 테마 상승 속 프리드라이프 인수 최종 완료 소식 - 플리토
30,500원(+13.81%)
: AI 챗봇 테마 상승 속 부산시와 함께 음식점 '다국어 AI 메뉴 번역 서비스' 제공 소식 - 우리산업홀딩스
3,690원(+13.71%)
: 김병기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한국석유
19,490원(+13.58%)
: 이스라엘-이란 분쟁 여파 지속 속 에너지 관련주로 지속 부각 - 효성중공업
771,000원(+13.38%)
: 글로벌 전력 부족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전력설비/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 한화
100,600원(+13.29%)
: 지주사,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서연
10,810원(+12.96%)
: 김병기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제룡전기
39,800원(+12.75%)
: 글로벌 전력 부족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 지니언스
21,250원(+12.67%)
: 美 월마트·아마존,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검토 소식 등에 보안정보 테마 상승 - 코오롱티슈진
41,350원(+12.21%)
: BIO 2025서 TG-C 등 발표 예정 소식 - 에스바이오메딕스
24,450원(+12.16%)
: 국제줄기세포연구학회서 파킨슨병 임상 행동개선과 뇌도파민영상 연관성 발표 소식 - HD현대
136,600원(+12.06%)
: 김병기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테마시황
- 글로벌 전력 부족 수혜 기대감 지속, 글로벌 원전 시장 확대 전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전력설비 테마는 K-변압기 대미 수출 증가 소식 등도 전해지며 상승.
- 주택공급 확대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건설 대표주 테마 상승.
- 美 월마트·아마존,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검토 소식 등에 STO/ 전자결제 등 테마 상승.
- 이재명 정부 AI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AI/ AI 챗봇/ 퓨리오사AI 테마 상승.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美 대통령과 회동 가능성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와 철강 중소형/ 강관업체/ 자원개발/ LNG 등 알래스카 LNG 관련주 상승.
- 민생 회복 지원금 정책 구체화 기대감에 지역화폐 테마 상승.
- 거래대금 급증, 상법·지배구조 개편 수혜 기대감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은행, 보험 등 여타 금융 테마도 상승.
- 이재명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남 가능성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테마 상승.
- 이스라엘-이란 분쟁 여파 지속 등에 LPG, 셰일가스 등 에너지 관련주와 방위산업/전쟁 테마 상승.
- 5월 인바운드 피부시술 고성장세 지속 등에 일부 미용기기/ 보톡스 테마 상승.
- 이재명 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기대감 지속 및 美 데이터센터연합, 재생에너지 세액공제 축소 반대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 티머니, 애플페이 연동 소식 속 애플페이 테마 상승.
- 반면, 테슬라 미국 판매 급감 소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등 테마 하락.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2.61%) 지수 급락 영향 등에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 하락.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글로벌 전력 부족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미국 AI시장을 주도하는 빅테크들은 에너지 기업과 협력을 강화해 다가오는 전력 부족 시대에 대비하고 나선 가운데, 지난 15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정격용량 1만㎸A 이상 대형 변압기의 대미 수출금액은 이달 1~10일 2,707만달러(약 370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40% 급증했다고 전해짐. 4월 109%, 5월 297% 등 크게 확대되는 추세로, 이는 현지 데이터센터 건설 붐과 노후 전력망 인프라 대체 수요가 이어진 결과라고 알려짐.
- 특히, K변압기 수출 물량은 대부분 미국으로 향하고 있는 가운데, JP모간 추정에 따르면, 미국의 대형 변압기 수요는 올해 1,400기에서 2028년 1,800기 수준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 AI 서비스를 뒷받침하기 위한 현지 데이터센터 건설 붐과 노후한 전력 인프라 대체 수요를 반영한 전망이며, 올해 274기인 현지 생산능력은 2028년 464기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정.
- 언론에 따르면, SK그룹이 세계 1위 클라우드 기업 아마존웹서비스와 손잡고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부지에 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고 전해짐. 데이터센터는 울산시 남구 황성동 일대 3만 6천㎡ 부지에 조성되며, 2027년 11월까지 1단계로 40여MW가 가동되고 2029년 2월까지 103MW 규모로 완공될 계획임. 100MW급 GPU 전용 설비를 갖춘 AI 인프라는 국내 최초이며, 약 6만 장의 GPU가 투입될 예정이라고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효성중공업, 비츠로테크, LS ELECTRIC, 제룡전기, 산일전기, LS, 이엠코리아, 우리기술, DL이앤씨, 한전KPS, 두산에너빌리티 등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건설 대표주
주택공급 확대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최근 언론에 따르면, 서울 집값이 9개월여 만의 최고치로 치솟은 데 이어 정책 수혜 기대까지 예상되면서 부동산 경기가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이와 관련, 이상호 교보증권 연구원은 "주요 건설사 매출은 내년부터 다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서울에서 내 집 마련 수요가 늘면서 청약 경쟁률이 치솟고 있다"며, "새 정부 정책은 건설사 실적에도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음.
-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원전 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정명령 서명한 가운데, 원전 건설 수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 이 같은 소식에 DL이앤씨, 대우건설, 현대건설, GS건설 등 건설 대표주 테마가 상승. 한편, 대우건설, 약 3,38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약 3.22%) 규모 강남원효성빌라 재건축정비사업 시공자 선정 공시.
STO/ 전자결제 등
美 월마트·아마존,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검토 소식 등에 상승
- 지난 13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유통체인 월마트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해 은행 및 신용카드에 기반한 전통적인 결제 시스템을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마존의 경우 논의 초기 단계로 전해졌으며, 관계자들에 따르면 유통업체 외에도 익스피디아그룹과 항공사 등 여행 분야의 대기업들도 스테이블코인 발행 논의를 진행했다고 알려짐. WSJ은 하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주도하는 가맹점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는 방식일 수 있다고 전했으며, 업계는 스테이블 코인 관련 규제 틀이 마련되면 관련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음.
- 아울러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발의하면서 일상 생활에서 일반 화폐 대신 결제·송금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음. 특히,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에 착수한 상태로, 한국도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지 않으려면 원화 스테이블코인 육성을 서둘러야 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 특히, 디지털자산 기본법의 최대 수혜주로 보안 솔루션 업체들이 주목되고 있음. 시장 전문가들은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단순히 디지털 자산 시장 활성화를 넘어 IT 보안 업계에도 강력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최근의 해킹 사건으로 인해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 만큼 관련 기업들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아이티센글로벌, 키움증권, 한국정보인증, 갤럭시아머니트리, 티사이언티픽, 다우데이타, 이스트소프트, 코나아이 등 STO/ 전자결제/ 보안정보/ 핀테크 테마가 상승.
지능형로봇/AI/ AI 챗봇/ 퓨리오사AI
이재명 정부 AI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이재명 대통령이 전일 대통령실 초대 AI미래기획수석에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혁신센터장을 임명했음. AI 수석은 이재명 정부에서 신설되는 직책으로, 이 대통령의 ‘AI 3대 강국 도약’ 공약을 체계화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예정. 특히, 대선 공약인 ‘AI 투자 100조원’ 시대 실현 방안으로 펀드 등 투자 로드맵, 10만명 인재 양성, AI 데이터센터 대규모 구축 등을 지휘하게 된다고 전해짐.
- 업계에선 예상을 깬 파격 인사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하 수석이 일찍부터 ‘소버린 AI’를 주창한 것이 낙점 이유로 꼽히고 있음. 강 비서실장은 “하 수석은 AI의 주권을 강조한 소버린 AI를 앞장서 제안한 인사이자, 국가가 지원하고 기업은 성과를 공유하는 AI 선순환 성장 전략을 강조한 AI 전문가”라고 설명. 하 수석은 최근 사석에서 “정부가 개당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AI 학습용 최신 GPU를 수만 개 확보해 챗GPT의 95% 정도 되는 수준의 AI 모델을 만든 뒤 이를 오픈소스 방식으로 수많은 스타트업에 무상으로 배포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음.
- 이 같은 소식 속 오브젠, 알체라, 비아이매트릭스, 시선AI, 플리토, 삼성에스디에스, DSC인베스트먼트 등 AI 테마가 상승. 특히, 비큐AI는 이재명 행정부, 소버린 AI 개발 정책 속 'RDP-Line' 기대감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지주사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상법개정 민생입법 1순위 언급 소식 등에 상승
- 더불어민주당이 전일 김병기 신임 원내대표를 필두로 한 이재명 정부의 첫 여당 원내대표단 구성을 완료. 원내운영수석부대표에는 원조 친명계 모임인 ‘7인회’ 출신의 재선 문진석 의원(충남 천안갑)이, 정책수석부대표와 소통수석부대표에는 재선의 허영(강원 춘천-철원-화천-양구갑), 박상혁 의원(경기 김포을)이 각각 임명됐음.
- 김 원내대표는 전일 오전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원내대표단 인선 발표 기자회견에서 "상법 개정안을 민생 법안 중 제일 먼저 생각하고 있다"며, "민생 법안 처리를 전담하기 위해 민생 부대표를 신설했다"고 밝힘. 이어 상법 개정안 처리에 대해 "여러 쟁점이 부딪히고 있지만 상법(개정안)은 코스피 5,000 시대로 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법안"이라고 언급.
-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 한화, 코오롱, 두산, LS, HS효성, 네오위즈홀딩스, GS피앤엘 등 지주사 테마가 상승.
조선/알래스카 LNG 관련주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美 대통령과 회동 가능성 등에 상승
- 이재명 대통령은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이날 출국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회의 기간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등 주요국 정상과 양자 회담을 조율 중이라고 밝힘. 위성락 대통령실 안보실장은 전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취임 10여 일 만에 G7 참석을 위해 16일부터 1박 3일간 첫 해외 방문길 오른다”며, “이재명정부는 이번 G7 참석을 계기 글로벌 번영에 기여하는 의무를 다하며 한-G7 파트너십 강화를 추진해갈 것”이라고 언급.
- 한편, 미국·일본과의 양자 회담은 17일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확대 세션’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 확대 세션은 G7 멤버 뿐 아니라 초청국까지 참석하는 회의로 트럼프 대통령과의 양자 회담이 열릴 경우 최대 현안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진전된 내용이 제시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음. 위 실장은 “양자 회담을 통해 국익과 실용의 관점에서 주요국과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통상 무역 등 현안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밝힘. 다만, 양자 회담의 구체적 일정에 대해선 현재 미·일과 실무적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세진중공업, 케이에스피, 오리엔탈정공 등 조선/조선기자재 및 동양철관, 넥스틸, 한일철강, 대동스틸,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알래스카 LNG 관련주가 상승.
지역화폐
민생 회복 지원금 정책 구체화 기대감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내수와 민생 경기 회복을 위해 1인당 최대 40만원대의 민생 회복 지원금을 지급하는 내용의 추가경정예산안을 조만간 마련해 발표할 것으로 알려짐. 산불 등 재해·재난 대응과 통상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지난달 1일 편성된 13조8,000억원의 ‘필수 추경’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추경으로, 전국 지자체의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위한 국비 지원액을 5,000억원 이상 추가로 편성하는 방안도 2차 추경안에 담길 것으로 알려졌음.
- 정치권과 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20조원대 규모의 2차 추경안을 대통령실 등과 협의하고 있으며, 협의가 끝나는 대로 국회에 제출할 방침으로 알려짐.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원금을 주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등 취약 계층에게는 1인당 추가로 10만원을 더 지급하는 ‘25만~35만원’ 방안을 제안했지만, 정부와 대통령실은 지급 대상을 더 세분해서 취약 계층에 대해 많게는 40만원 이상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나머지 계층은 소득수준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기로 가닥을 잡았음.
-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코나아이, 갤럭시아머니트리, 쿠콘 등 지역화폐 테마가 상승.
증권
거래대금 급증, 상법·지배구조 개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증시 기대감이 고조화되고 있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거래대금 급증, 상법·지배구조 개편 움직임은 증권업 전반적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들을 열어줄 동력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지난 13일 누적 기준 6월 일평균 거래대금 29.9조원(+45.8% MoM) 기록(ETF 제외)해 ‘동학개미운동’이 한창이었던 2021년 2월(32.4조원) 이후 최대치라고 설명. 이는 상법 개정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KOSPI 5,000pt 달성 및 내수 부양 정책 기대감 덕분이라고 분석.
- 최근 증가한 수급 주체는 대부분 개인 투자자로 추정되는데 당사가 추정하는 최근 3개월 간 개인 수급은 4월 11.9조원->5월 13.5조원->6월 19.3조원이라고 밝힘. 이에 개인 투자자 시장 점유율이 30%로 압도적으로 높은 키움증권, 비교적 적극적으로 외국인 투자자 대상 국내주식 영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아울러 하반기 일평균 거래대금(ETF 제외) 추정치를 21.3조원으로 기존 대비 17% 상향한다며, 이에 커버리지 증권사 실적 추정치도 일괄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상향한다고 밝힘.
- 금일 코스피 지수는 1.80% 상승했으며, 종가 기준으로 22년1월 이후 처음으로 2,940선을 넘어섰음. 코스닥 지수도 1.09% 상승.
- 이 같은 소식 속 키움증권, 상상인증권, 한양증권,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이재명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남 가능성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G7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만남이 성사될지도 주목되고 있음.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일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G7에 올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면서 “오게 되면 이 대통령과 조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밝힘. 그러면서 “기회에 따라서 대화할 수도 있기 때문에 관련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언급. 다만, G7 의장국인 캐나다는 젤렌스키 대통령을 공식 초청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의 참석이 확정된 건 아니라고 전해짐.
- 이 같은 소식 속 아이톡시, 현대건설, HD현대건설기계, 에스와이스틸텍, 현대에버다임, 전진건설로봇 등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에너지/방산
이스라엘-이란 분쟁 여파 지속 등에 상승
- 이스라엘 공군이 지난 13일 작전명 ‘사자들의 나라’를 가동하고 이란 군 및 핵 시설 수십 곳을 목표로 공습했음. 공습 직후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이란을 “선제 공격했다”는 입장을 밝히고 이스라엘 전역에 걸쳐 특별 비상사태를 선포.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 사흘째인 15일까지도 양측이 대낮에 상대국 대도시 도심을 직접 겨냥한 공습을 주고받으며 충돌 수위가 한층 높아지고 있음. 이란 수도 테헤란 한복판이 정오에 폭격당한 지 불과 한 시간 만에 이란도 이스라엘 주요 도시를 향해 미사일을 쏘며 보복에 나섰음.
-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충돌이 격화하면서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호르무즈 해협은 하루에 약 2,000만 배럴의 원유 및 석유가 통과하며, 이는 전 세계 석유 수송량의 20%에 달하는 규모임. 이에 지난 13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4.94달러(+7.26%) 급등한 72.98달러에 거래 마감.
- 이 같은 소식 속 흥구석유, E1, SK가스, 대성에너지, 지에스이 등 LPG, 셰일가스 테마 및 한화시스템, 이엠코리아, 우리기술, 비츠로테크, SNT모티브, 한화 등 방위산업/전쟁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등
테슬라 미국 판매 급감 소식 등에 하락
- 테슬라의 유럽 판매가 반토막 난 데 이어 미국 판매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음.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4월 테슬라 전기차 등록 대수가 전년 대비 16% 감소한 3만9,913대를 기록. 이에 비해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등록은 전년 대비 215% 급증했으며, 이는 테슬라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미국의 소비자들이 테슬라 대신 GM의 전기차를 선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음. 4월 전체 전기차 등록 대수도 전년 대비 4.4% 급감했으며, 이는 2024년 2월 이후 처음이임.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짐.
-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를 인용해 올해 1분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대수(PHEV 포함)에서는 BYD가 전년 대비 50.9% 증가한 87만5,000대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고 전해짐. 2위는 중국 지리그룹으로 작년 대비 79.7% 증가한 45만 대를 달성했으며, 테슬라는 오히려 전년 대비 판매량이 13% 줄어든 33만7,000대에 그치며 3위로 추락했다고 알려짐. BYD와 지리그룹 전기차 점유율은 31%를 넘었으며, 테슬라는 8% 수준까지 내려갔음. 이는 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하 및 머스크의 정치 활동으로 테슬라 이미지가 악화되기 때문임.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천보, POSCO홀딩스, 엘앤에프, 에코프로머티,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2.61%) 지수 급락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 지난 주말 뉴욕 주식시장이 이스라엘-이란 갈등 고조 등에 하락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6.91포인트(-2.61%) 하락한 5,112.24를 기록. 엔비디아(-2.09%), 브로드컴(-2.88%), 퀄컴(-2.51%), AMD(-1.97%) 등이 하락.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 등을 공습한 데 이어 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 수백기를 발사해 보복 공격을 가하면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차세대 AI 가속기 '루빈'의 샘플 공급을 앞두면서 SK하이닉스도 HBM4 출하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현재 루빈 샘플에 탑재될 HBM4 일부 물량이 소량 선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마이크론도 최근 엔비디아에 HBM4 샘플을 납품하며 추격에 나섰지만, 초도 물량은 SK하이닉스가 상당수 가져갈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라고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아스플로, 네온테크, 피엠티, 네패스, 덕산테코피아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반면, SK하이닉스는 상승세를 기록.
리포트요약
#현대지에프홀딩스
[현대차 / 김한이 / =BUY / 목표가 ▲8,900원 / 현재가 7,690원]
지주회사의 이상적인 기업가치 제고 추진, PBR도 아직 매력 보유
-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들과 동반하여 이상적인 기업가치제고 지속 추진 중
- 지주회사 체제 내 주요 자회사들의 주주환원, 기업가치제고 노력 꾸준히 이어지는 중.
- 매 분기 실적 발표될 때마다 새로운 제고방안이 기대되는 그룹
#서부T&D
[SK / 나승두 / =매수 / 목표가 ▲10,600원 / 현재가 7,920원]
탄탄한 수익성에 주주 친화 정책 더해진다
- 외국인 입국자 늘고, 우리 실적도 늘고
- 숨어있는 다크호스 신한서부티엔디리츠까지
#호텔신라
[한국투자 / 김명주,전유나 /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50,000원]
Welcome to Korea
- 시장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나는 인바운드
- 면세 산업의 회복이 더딘 점은 아쉽지만
- 여전히 단기 업사이드는 존재
#HD현대미포
[KB / 정동익,서준모 / =BUY / 목표가 ▲225,000원 / 현재가 184,000원]
신규수주 순항 속 실적개선도 가속화
- 2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 부합할 전망
- 생산성 향상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 지속
- 예상대로 4월 이후 신규수주 급증하면서 연간 목표치의 50% 달성
#S-Oil
[NH투자 / 최영광 / =Buy / 목표가 ▲78,000원 / 현재가 63,700원]
골이 깊은 만큼 강한 반등 전망
- 제한적인 공급 상황 바탕으로 정제마진 강세 지속
- 2분기 실적 부진, 3분기 실적은 크게 반등할 전망
#현대모비스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370,000원 / 현재가 282,000원]
사업장 탐방 Key- takeaways: 전장사업 흑자와 주주 환원
- 진천공장, 전장 사업부의 핵심
- 자율주행 기술은 테슬라, 중국 전기차 대비 열위
#에스원
[삼성 / 최민하,강영훈 / =BUY / 목표가 =78,000원 / 현재가 69,200원]
꾸준함의 가치
- AI 기반 보안 솔루션 확대로 보안 시장 선도
-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 높은 수익 안정성
#삼성에스디에스
[KB / 김준섭,차성원 / 현재가 137,200원]
우호적인 사업환경과 주주환원 정책 개선에 대한 기대
- 삼성SDS의 우호적인 사업환경에 대한 기대로 주가 급등
- 주주환원 정책 제시 기대감도 존재
#서울보증보험
[미래에셋 / 정태준 / 현재가 40,900원]
높은 배당수익률 지속 기대
- 2025년 예상 배당수익률 7.0%
#롯데관광개발
[SK / 나승두 / =매수 / 목표가 ▲21,000원 / 현재가 13,400원]
삼박자 갖춘 유일한 기업
- 2017년 수준 회복한 제주도 외국인 입도객
- 삼박자를 갖춘 유일한 기업
#파라다이스
[SK / 나승두 / =매수 / 목표가 ▲18,400원 / 현재가 13,590원]
하반기는 더 기대됩니다
- 방문객&드롭액 증가 중
- 상반기보다 더 좋은 하반기 기대
#SK
[현대차 / 김한이 / =BUY / 목표가 ▲223,000원 / 현재가 190,600원]
시장 기대 확산 중. 구체적 가능성도 함께 감안할 필요
- 1Q25 연결 순부채 전분기대비 증가하였으나 지주회사 SK의 순부채는 감소한 점은 이상적
#엔씨소프트
[스터닝밸류리서치 / 오준호 / 현재가 176,500원]
게임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 매출 2조원 글로벌 게임사로의 확고한 도약 목표
- 게임 산업 진흥정책 내세운 대통령
-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 여부가 관건
#태웅
[iM / 이상헌,장호 / 현재가 30,900원]
SMR 성장의 핵, 유럽해상풍력 실적향상의 핵
- 자유형단조 전문업체
- SMR 분야 글로벌 투자금액이 괄목상대하게 증가하는 환경하에서 동사 SMR 관련 수주 가시화로 성장성 가속화 될 듯
- 유럽해상풍력 관련 수주가 향후 실적향상을 이끌 것이다
#한국항공우주
[LS / 최정환 / =Buy / 목표가 ▲117,000원 / 현재가 97,700원]
재개되는 인도네시아와의 협력
- 그 동안 지연돼 왔었던 인도네시아와의 KF-21 공동개발 협력 재개
- 불확실성 완화에 따라 27년 적용 멀티플 상향 통해 목표주가 +8.3% 상향조정
#한전기술
[iM / 이상헌,장호 / 현재가 104,100원]
글로벌 SMR 확장성 및 해외원전 수주 지속성
- 3.5세대 SMR, 4세대 SMR 등 글로벌 SMR 시장 진입하면서 성장성 가시화 될 듯
- 동사 체코원전 관련 수주 1조원대 중후반 예상 ⇒ 중동지역 등으로 수출 확대 가능성 높아지면서 동사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될 듯
#현대로템
[LS / 최정환 / =Buy / 목표가 ▲230,000원 / 현재가 186,800원]
가시화되는 폴란드 K2전차 2차 계약
- 그 동안 지연됐던 폴란드 K2전차 2차 계약 2H25 중 체결될 것으로 전망
#유니퀘스트
[LS / 정홍식 / 현재가 6,300원]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 기업
- 1Q25 매출액 1,769억원(+2.7% yoy), 영업이익 99억원(+15.8% yoy, OPM 5.6%), 그리고 과거 10년 CAGR Sales 10.2%, OP 16.0%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 하반기 서버용 비메모리 반도체 공급 기대감
#LIG넥스원
[LS / 최정환 / ▼Hold / 목표가 ▲460,000원 / 현재가 526,000원]
중동향 방산물자 수요 증가 기대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따라 멀티플 상향 조정 통해 목표주가 +7.0% 상향하나 상승여력 부족으로 투자의견 Hold 하향조정
- 금번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에 따라 지상, 항공, 유도중 유도분야 방산물자가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 다만 단기 실적에 연결되지는 않을 것
#비에이치
[흥국 / 박희철 / =BUY / 목표가 N 17,000원 / 현재가 12,670원]
턴어라운드 관점에서 접근
- 2025년 매출액 1조 7,817억원, 영업이익 587억원
- OLED 탑재 확대가 턴어라운드를 야기
#비큐AI
[IBK투자 / 강민구 / 현재가 1,580원]
소버린 AI 개발 기대감 부각
- 국내 유일한 뉴스 기사 유통 대행 상장사
- 이재명 행정부, 소버린(Sovereign) AI 개발 기대감 부각
- 신규 서비스의 성과가 관건
#쿠쿠홀딩스
[NH투자 / 이승영 / =Buy / 목표가 ▲40,000원 / 현재가 30,800원]
올해도 안정적인 성장 기대
- 실적 성장과 함께 지주사 디스카운트 축소 기대
- 2Q25 Preview: 중국 매출 회복 본격화
#코스맥스
[DB / 허제나 / =Buy / 목표가 ▲290,000원 / 현재가 239,000원]
인니를 시작으로, 동남아로 넓혀가는 글로벌 무대
- 인도네시아 법인 애널리스트데이 후기
- 인니를 시작으로 확장될 시장 기회. Upside potential은 더욱 커진다
#코스맥스
[교보 / 권우정 / =Buy / 목표가 ▲290,000원 / 현재가 239,000원]
동남아로 뻗어 나가는 K-ODM (인도네시아 탐방 후기)
- 인도네시아 법인: ODM 선두주자, 독보적 경쟁력
- 태국 법인: 25년 매출 성장률 YoY 107%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SK / 나승두 / 현재가 10,860원]
이제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
- 대표적인 저평가 우량주
-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변신한 호텔
- 높은 배당수익률과 낮은 Multiple = 주가 상승
#해성디에스
[IBK투자 / 이건재 / 현재가 23,800원]
전기차 캐즘과 DDR4 단종, 극복 가능한 문제
- Leadframe 전문가 존재감 지속
- 패키지 기판 문제없이 성장 중
- 메모리 산업 방향에 예의주시 할 때
#알테오젠
[신한투자 / 엄민용 / =매수 / 목표가 =730,000원 / 현재가 385,500원]
ADC 판도 바뀐다. 엔허투SC 임상 개시
- 최초의 ADC SC를 글로벌 1등 ADC 기업과 개발 시작
- 엔허투는 유방암 최초의 ADC 1차 치료제 진입. SC는 큰 그림
- Valuation & Risk: 이제 ADC 판도 바뀐다
#아이에스티이
[KB / 이의진 / 현재가 9,280원]
FOUP 성장에 PECVD 매출이 시작된다
- Foup Cleaner와 PECVD 국산화 업체
- FOUP Cleaner의 매출확대 전망
- PECVD로 고부가 시장 진입
#클래시스
[다올투자 / 박종현 / =BUY / 목표가 =85,000원 / 현재가 60,000원]
클비어천가
- IMCAS2025 ASIA 후기
- 아시아 마케팅 팀 인터뷰 진행. 동사 사업 전략에 대한 Conviction BUY. 적정주가 8.5만원 유지
- IMCAS ASIA 2025 중 아시아 마케팅 팀과 인터뷰 진행
#파마리서치
[DB / 김지은 / =Buy / 목표가 =490,000원 / 현재가 433,500원]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코멘트
- 파마리서치 11월 1일 분할기일 설정, 인적분할 추진
- 논란이 되는 지점: 분할 비율 및 소통의 부재
- 2026 년 상반기까지 지주사 체제 전환 계획
#파마리서치
[미래에셋 / 김충현,박선영 / 현재가 433,500원]
지배주주의 눈높이로 보라
- 1.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및 지주회사 전환 발표
- 2. 인적분할 대응 전략: 지배주주처럼 생각하라
#파마리서치
[유진투자 / 조태나 / =BUY / 목표가 ▲540,000원 / 현재가 433,500원]
차가운 이성이 필요한 때
- 단기 조정 이후 저점 매수 전략 유효
- 파마리서치 인적 분할 개요
- Pros & Cons
-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 승계 가능성을 무시할 수는 없음
#파마리서치
[대신 / 한송협 / =Marketperform / 목표가 =430,000원 / 현재가 433,500원]
단기 노이즈는 호실적이 깨부순다
- 6/13, 지주사와 핵심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회사로 분할 발표
- 인적분할 뉴스 이후 주가가 급락했으나 이는 과도한 반응으로 판단
- 단기 노이즈보다는 결국 실적을 통한 펀더멘털 증명이 중요
#파마리서치
[한국투자 / 강시온,박정인 / =매수 / 목표가 =490,000원 / 현재가 433,500원]
인적 분할 관련 코멘트
- 인적 분할 후 홀딩스: 투자/자회사 관리, 신설 법인: 기존 사업 전담
- 분할 비율 홀딩스 0.74, 신설법인 파마리서치 0.26으로 책정
- 분할 후 1) 신설 법인 이익률 상승, 2) 주주환원 강화 기대
#파마리서치
[키움 / 신민수 / =BUY / 목표가 ▼550,000원 / 현재가 433,500원]
아오 파마리시치
- 인적분할 공시 후 당일 -17.1% 주가 하락
- 펀더멘탈 따라갈 주가, 지금 사나 나중에 사나 똑같다
- M&A 등 향후 모멘텀 기대감 소실
#파마리서치
[LS / 조은애 / =Buy / 목표가 ▲500,000원 / 현재가 433,500원]
미지의 인적분할, 미래의 리쥬란 성장성
- 인적분할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 vs 상향조정 필요한 예상 실적
- 여전히 높은 중장기 실적 모멘텀
#파마리서치
[다올투자 / 박종현 / =BUY / 목표가 =510,000원 / 현재가 433,500원]
막차는 타야지
- 인적분할로 인한 기업 가치 훼손 요소 없음
- 주주환원율 강화(30%) 및 신규 포트폴리오 및 해외 진출 전략 주목
#에코프로비엠
[삼성 / 장정훈,서지현 / =HOLD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92,000원]
수요 환경 변화와 출하 예상 눈높이 차이
- 전분기 대비 출하 증가로 2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 NCM9 출하 진척률 9%인 상황에서 연간 출하 전망치 하향 불가피
#에스바이오메딕스
[부국 / 유대웅 / 현재가 21,800원]
파킨슨병 치료 효과 확인, 3상 진입에 따른 재평가 기대
- TED-A9, 2026년 임상 3상 진입 기대
- 파킨슨병 치료제 PoC 검증, 남은 건 대규모 임상
#티움바이오
[아이브이리서치 / 리서치센터 / 현재가 5,570원]
매력적 밸류, 모멘텀을 기다리자
-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신약 연구개발 기업
- Merigolix 는 GnRH agonist 주사제가 장악하던 여성질환 시장에서 경구형 GnRH antagonist 로 전환되는 트렌드를 반영한 동사의 주력 신약 후보물질
- TU2218은 VEGF와 TGF-β 를 동시에 저해하는 기전의 면역항암제로, 고형암 대상 병용 임상에서 유의미한 반응률을 보이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젝시믹스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0,000원 / 현재가 5,930원]
중국 출점 Boost-up
- 중국 오프라인 매장 출점은 상반기 20개 이상 예상(6/16 기준 18개 오픈 완료). 연내 50개 출점 달성 가능성 높아짐
- 안타 산하 브랜드(데상트, 코오롱스포츠)와 자회사 아머스포츠(아크테릭스)의 인기는 러닝, 애슬레저, 아웃도어 트렌드 의미
- 2Q25E 매출액 778억원(+1.9%, 이하 yoy), 영업이익 122억원(-1.6%) 전망. 전년 높은 기저 영향으로 매출액은 소폭 신장, 프로모션 기간 확대와 판관비 증액 집행으로 영엉이익은 소폭 역신장 예상
#LX홀딩스
[BNK투자 / 김장원 / =매수 / 목표가 ▲12,000원 / 현재가 9,060원]
눈여겨 봐야 할 주주가치 개선 여력
- 배당 체력 개선
- 주주환원 확대 압력
#쓰리빌리언
[상상인 / 하태기 / 현재가 7,520원]
유니크한 희귀 유전질환 진단 강소기업
- 2025년 상반기 매출은 수출 중심으로 고성장 중
- Full Sevice 매출 고성장, 소프트웨어, 특정 질환 진단검사 유의미하게 증가
- 2025년 상반기에도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제이오
[한국투자 / 김예림 / 현재가 8,670원]
IPO 기업 업데이트: CNT 포트폴리오 확장과 회복의 시작
- 회복의 그림을 그리는 2025년
- 다양한 CNT 제품군을 기반으로 한 고객사 다변화
#시프트업
[하나 / 이준호 / =BUY / 목표가 ▼86,000원 / 현재가 56,100원]
모멘텀은 지나갔고, 퀄리티를 보자
- 상장 1년 후, 시프트업에 남은 것
- 스텔라 블레이드 서프라이즈, 차기작 기대감 상승
#닷밀
[한국IR / 채윤석,정수현 / 현재가 3,020원]
올인원 사업 역량을 갖춘 실감미디어 전문 기업
- B2B/B2G/B2C 역량을 모두 보유한 실감미디어 전문 기업
-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는 구간. 예상 실적은 매출액 346억원(+46.2%, YoY), 영업이익 44억원(+330.0%, YoY)으로 전망
#삼양엔씨켐
[KB / 이의진 / 현재가 18,880원]
EUV와 HBM 소재로 매출 다각화 전망
- PR 소재 국산화 업체
- ArF와 EUV 확대로 믹스 개선 예상
- HBM향 PR 소재 본격화
#JTC
[SK / 나승두 / =매수 / 목표가 =9,500원 / 현재가 4,495원]
비상식적 우려에는 매수로 대응
- 최고 이익 달성, 하지만 더 성장한다
- 외국인 면세제도 폐지? 기우에 그칠 것
[출처:KRX한국거래소/fnguide/infostock/네이버증권 등]
'재테크 스터디노트 > 주식요약(20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6-20.금]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9) | 2025.06.20 |
---|---|
[25-06-19.목] 테마 및 리포트 요약정리 (10) | 2025.06.19 |
[25-06-18.수]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5) | 2025.06.18 |
[25-06-17.화]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3) | 2025.06.18 |
[25-06-13.금]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10) | 2025.06.16 |
[25-06-12.목]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10) | 2025.06.12 |
[25-06-11.수]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13) | 2025.06.11 |
[25-06-10.화]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8) | 2025.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