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 재테크/오늘의 주식공부

(240621.FRI) 테마종목 및 리포트요약

by 미니토이 2024. 6. 21.

 

 

52주 신고가

 

 

테마시황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선/ 전력설비 테마 상승.
  • 글로벌 K-뷰티 열풍에 화장품 업계 호황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 한화그룹, 필리조선소 인수 소식 속 美 조선업 진출 기대감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 K-푸드 글로벌 흥행 지속 및 이른 폭염에 따른 빙과류 업체 2분기 실적 개선 전망 속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 정부,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재검토 소식 등에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국내 시장 개선 및 해외 시장 성장 전망 등에 일부 건강기능식품 테마 상승.
  • 이 외 자원개발, 미용기기, 종합상사, 보톡스, 카지노, 통신, 인터넷 대표주, 리츠, 백화점, 손해보험, 홈쇼핑, 치아 치료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및 엔비디아 약세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 테마 등 반도체 관련주 하락.
  • 밸류에이션 부담 및 전방 수요 부진, 테슬라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하락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리튬 테마 하락.
  • 中서 AI 아이폰 무산 위기 등에 아이폰 테마 하락.
  • 현대차·기아, 5월 유럽 판매 전년대비 감소 소식 속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 석유화학업계, 수익성 지속 악화 소식 등에 석유화학 테마 하락.
  • 전일 尹 대통령,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 등에 상승했던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는 금일 하락.
  • 이 외 CXL, 보안주, 유리 기판, AR, 온디바이스 AI, VR, 캐릭터상품, 스마트폰, 의료AI, 지능형로봇/AI, 영상콘텐츠, 로봇, 토스, 폴더블폰, AI 챗봇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전선/ 전력설비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핵심 산업이 이른바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첨단 AI(인공지능) 분야로 이동하면서, 전력 문제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최근 국제에너지기구는 당장 2년 뒤인 2026년 AI 연산의 핵심을 차지하는 데이터센터의 연간 전력 소모량이 최대 1050테라와트시(TWh)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는 2022년 한국 전체 전력 사용량의 2배에 달하는 수치로 알려짐.
  • 아울러 최근 정부가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한국은 2038년까지 AI 관련 산업을 위해 16.7GW(기가와트)의 전력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전해짐.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지금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부분도 점차 전기화되면서 전력 수요가 현재의 3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 한편, 전력난 해소 특별법 발의 추진 기대감과 한국전력공사의 41조원 규모 인도네시아 송전망 구축 사업 추진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
  • 일부 언론에 따르면,금일 관세청이 발표한 '6월 1일~20일 기간의 수출입 현황(잠정치)'에서 변압기(중대형) 수출 금액은 지난해 6월1~20일에 비해 133% 폭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AI 수요 급증에 따른 전력망 호황을 반영한 것으로 전해짐.
  • 이 같은 소식에 대원전선, 가온전선, LS, 제룡산업, 세명전기, 한전산업, 제일일렉트릭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가 상승.

화장품

글로벌 K-뷰티 열풍에 화장품 업계 호황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인기에 K-뷰티의 열풍이 거세지면서 화장품 업계가 나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을 수출한 한국 기업 수(재화성질별 수출기업 수)는 8,330곳(잠정)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으며, 특히 화장품(8.2%)은 수출 소비재 품목 중 자동차(58.9%)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아울러 올해 1~5월 화장품 수출액은 39억6,700만달러로 전년(33억4,300만달러) 대비 20% 증가.
  • 해외시장에서 K-뷰티, 특히 중소 인디브랜드의 주목도가 커지면서 화장품 대기업들은 M&A 시장에 적극 뛰어들고 있음. 업계 관계자는 "해외 시장에서 K-뷰티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국내 대기업들이 성장세를 꾸준히 이어 나가기 위해 인기 중소 브랜드의 M&A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경제침체 속 상황이 녹록지 않지만, 뷰티업계에서는 매각과 인수 양 측의 기업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라고 언급.
  • 이 같은 소식에 스킨앤스킨, 선진뷰티사이언스, 글로본, 에이피알, 메타랩스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한편, 메타랩스는 490.00억원 규모 에스메디 주식 신규 양수 결정에 상한가를 기록.

조선/ 조선기자재

한화그룹, 필리조선소 인수 소식 속 美 조선업 진출 기대감 등에 상승

  • 한화오션은 종속회사 Hanwha Ocean USA International LLC, 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 Inc.) 인수 참여 공시. 인수금액은 552.00억원으로 Philly Shipyard Inc.의 지분 40%를 인수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화시스템은 발행회사를 통하여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조선소인 Philly Shipyard Inc.의 지분 60%를 인수하여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 및 당사 해양시스템 기술력과의 시너지 사업 확대 목적으로 HS USA Holdings(가칭) 주식 64,000주를 883.71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4-11-11) 공시.
  • 국내 기업이 미국 조선산업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시장에선 미국 존스법(Jones Act)을 고려할 때 한화오션이 미국 해군과 해경의 군함을 비롯한 특수선 건조와 유지·보수·정비(MRO) 사업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HD현대중공업은 금일 언론을 통해 현지시간으로 20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된 '국제해양 안보포럼'에 참가해 폴란드 해양안보솔루션을 제시했다고 밝힘. HD현대중공업은 폴란드 해군 차기 잠수함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에 참여 의향서를 낸 세계 11개 조선업체 중 유일하게 3,000톤급 잠수함(KSS-Ⅲ PL)과 2,000톤급 개발 잠수함(HDS-2300) 등 두 가지 플랫폼을 동시에 제안하며 폴란드 관계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은 것으로 알려짐.
  • 한편, 다올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홍해 사태 등으로 항로가 길어지고 운임과 중고선가가 반등하며, 컨테이너 선대 리뉴얼이 앞당겨지고 있다고 밝힘. HD한국조선해양의 CMA-CGM 수주 사례로 볼때 꾸준한 컨테이너 교체 발주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어서 대단히 긍정적이라고 설명. 조선사들의 올해 수주도 매출(300억 달러)를 넘기는게 확실시 된다며, 백로그가 증가하는 호황기에 조선업종 비중 확대 의견을 견지한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에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태웅, 태광, 성광벤드 등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K-푸드 글로벌 흥행 지속 및 이른 폭염에 따른 빙과류 업체 2분기 실적 개선 전망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불닭볶음면, 냉동김밥 등 K-푸드의 글로벌 흥행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6월부터 때 이른 폭염이 이어지면서 빙과류 업체들의 2분기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0일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령됐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빠른 기록임.
  • LS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다음 달부터 9월까지 라니냐 영향권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태평양 인접 아시아, 오세아니아 국가들은 평년 대비 폭염과 폭우 현상이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1차적으로 냉방가전, 빙과류, 음료 등 수요 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힘. 특히, 라니냐로 인한 무역풍과 제트기류 영향은 기온과 강수량 변화를 일으켜 농산물 작황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전반적으로 식품 가격의 상방 압력이 확대되지만 중남미 동부 지역에서 주로 공급되는 설탕·커피 등은 작황 개선에 따른 상대적 가격이 안정될 수 있다며, 이에 설탕 원료 비중이 높은 빙과, 음료 등의 마진 개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이 같은 소식 속 빙그레, 해태제과식품, 남양유업, 우양, 롯데웰푸드 등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및 엔비디아 약세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엇갈린 지표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금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하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5.11(-2.69%) 하락한 5,610.01를 기록. 엔비디아(-3.54%), 마이크론테크놀로지(-6.03%), 인텔(-0.03%) 등이 하락 마감. 특히, AI 모멘텀 지속 속 전 거래일 시가총액 1위에 올라섰던 엔비디아가 차익실현 매물 등에 하락세로 돌아서며 하루만에 시가총액 2위로 내려왔음.
  •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케이씨텍, 지니틱스, 코미코, 네오셈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밸류에이션 부담 및 전방 수요 부진 등에 하락

  • 삼성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IRA 기대감은 선반영된 반면, 전방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로 관련 공급선의 가동률 조정과 메탈가 약세에 의한 판가 하락으로 인한 실적 부진 우려 확대 국면이라고 밝힘. 이로 인해 1년여 가까이 지속된 주가 조정에도 불구 밸류에이션 부담은 더 커진 상황으로 분석. 아울러 전방 수요 부진에 따른 OEM의 보수적 판매전략 변화와 메탈가격 반등 실패로 하반기에도 의미 있는 주가 반등을 자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힘. 여기에 미국의 대선 이벤트도 한국 2차전지에 대해 변동성을 키우는 리스크라고 밝힘.
  • 지난밤 美 증시에서는 테슬라(-1.78%), 리비안(-6.26%), 루시드 그룹(-1.17%) 등 전기차 업체들의 주가가 동반 하락.
  • 이 같은 소식에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하나기술, 필옵틱스, 에코프로머티, SK아이이테크놀로지, 이닉스, HL만도, 광무, 미래나노텍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하락.

아이폰

中서 AI 아이폰 무산 위기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가 최근 강세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등이 출회되며 혼조세로 장을 마감한 가운데, 애플(-2.15%)이 중국에서 인공지능(AI)폰 출시가 무산될 위기라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약세를 보였음.
  • 외신에 따르면, 애플이 AI 기능이 들어간 아이폰 출시를 앞두고 중국에서 협력 업체를 찾고 있다고 전해짐. 중국에서는 챗GPT 등 서구의 AI 모델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으로 애플은 중국 최대 검색업체 바이두, 알리바바 그룹, 스타트업 바이촨 AI 등 여러 중국 기업과 대화를 나눴지만, 차기 아이폰 모델 출시가 불과 몇 달 밖에 남지 않았음에도 아직 중국 업체와 거래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다고 알려짐.
  •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비젼시스템, 아이티엠반도체, LG이노텍, 비에이치, 프로텍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GS글로벌 3,210원(+29.96%)
    : 동해 가스전 개발 첫 전략회의에 포스코인터·SK E&S·GS에너지 참여 소식 속 GS에너지 계열사로 부각되며 상한가
  • 메타랩스 2,120원(+29.74%)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490.00억원 규모 에스메디 주식 신규 양수 결정에 상한가
  • 제룡산업 9,830원(+27.17%)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급등
  • GS 53,900원(+20.85%)
    : 동해 가스전 개발 첫 전략회의에 포스코인터·SK E&S·GS에너지 참여 소식 속 GS에너지 최대주주로 부각되며 급등
  • 콜마비앤에이치 18,510원(+18.50%)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하반기 실적 기대감 등에 급등
  • 제룡전기 84,500원(+17.20%)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급등
  • 미래산업 2,360원(+17.12%)
    : SK하이닉스와 12.90억원 규모 반도체 검사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그리드위즈 47,000원(+16.63%)
    : SK가스, 올해 하반기 1.2GW급 LNG·LPG 겸용 가스복합발전소 상업가동 앞두고 SK가스가 동사 2대주주라는 점이 부각되며 급등
  • 콜마홀딩스 9,870원(+15.30%)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상반기 기업가치 제고 계획 예고 및 종속회사 콜마비앤에이치, 하반기 실적 기대감 등에 급등
  • 선진뷰티사이언스 21,650원(+13.83%)
    : 화장품 테마 상승 및 美 규제 현대화법 완전 발효 예정 소식 속 국내 최초 화장품 소재 업체로 FDA 인증 사실 부각에 급등
  • 신성통상 2,295원(+13.05%)
    : 자진 상장폐지 위한 공개매수 결정에 급등
  • APS 7,680원(+11.95%)
    : 1,006.08억원 규모 넥스틴 주식 양도 결정에 급등
  • 피피아이 3,260원(+11.84%)
    : 일반공모 유상증자 청약 호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세명전기 5,770원(+11.39%)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급등
  • LS ELECTRIC 210,000원(+10.35%)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급등
  • 디아이 25,900원(+10.21%)
    : 종속회사 디지털프론티어, SK하이닉스향 반도체장비 수주 소식에 급등
  • 글로본 705원(+10.16%)
    : 글로벌 K-뷰티 열풍에 화장품 업계 호황 소식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 에이피알 399,000원(+9.47%)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홈뷰티 디바이스 및 화장품 매출 호조에 따른 중장기 성장성 부각 등에 급등
  • SK오션플랜트 14,650원(+9.41%)
    :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저평가 분석 및 동해 가스전 개발 첫 전략회의에 포스코인터·SK E&S·GS에너지 참여 소식 속 SK E&S 계열사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 HD현대일렉트릭 317,000원(+9.31%)
    : AI發 전력난 우려 지속 등에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급등
  • 국제약품 5,900원(+9.26%)
    : 화장품 테마 상승 및 최근 10년래 백일해 환자 수 최대치 기록 소식 속 어린이 백일해에도 적응증을 인정받은 디토렌세립 생산 사실 지속 부각 등에 급등

 

 

리포트요약

#DL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82,000원 / 현재가 57,300원]

Kraton, Polymer부문 판가 재차 인상 추진
  • 올해 2분기, 전 사업부문의 실적 개선 전망
  • Cariflex, 싱가포르 IR Latex 신공장 완공
  • Kraton, 실적 회복세 기록 중

#SK하이닉스

[DB금융투자 / 서승연 / Buy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237,500원]

더할 나위 없다
  • 2Q24 Preview: 더할 나위 없다
  • HBM 공급 순항 속 24·25년 영업이익 25조·35조원 전망
  •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300,000원으로 상향

#삼성전자

[다올투자 / 고영민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1,600원]

레거시는 타이밍
  • 레거시 수요 회복세에 기반한 실적 효과는 2H24부터 본격 확인
  • 장기 호황 Cycle에서 물량(캐파) 효과에 따른 실적 극대화는 25년 주요 관전 포인트
  • 레거시만을 감안해도 현 주가는 저평가, 2H24를 앞두고 비중확대 측면에서 유리하다 판단

#삼성전자

[KB증권 / 김동원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81,600원]

범용 메모리 실적 개선 주목
  • 하반기 메모리 수급 개선 지속
  • 2분기 추정 영업이익 8.1조원, 컨센 부합
  • Legacy DRAM, 하반기 실적 개선 주도

#S-Oil

[대신증권 / 위정원 / Buy / 목표가 90,000원 / 현재가 68,200원]

수요개선 vs 공급증가
  • 정유부문 적자로 2Q24 예상 영업이익 직전추정 대비 -77,1% 하향 조정
  • 중국의 등/경유 석유제품 수출증가로 정제마진 QoQ -4.5달러 추정
  • 24년 3월 이후 Dangote 원유처리량 증가하며 하반기 공급부담 요소로 작용

#HMM

[대신증권 / 양지환,이지니 / Marketperform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9,150원]

컨테이너운임 상승으로 2분기 깜짝 실적 예상
  • 2Q24 실적 매출액 2.96조원, 영업이익 7,890억원으로 깜짝 실적 기대
  • 영구채의 전환권 행사로 인한 주식수 증가 고려해도 글로벌선사대비 저평가

#현대위아

[신영증권 / 문용권 / 매수 / 목표가 66,000원 / 현재가 58,700원]

길고 길었던 삼재가 끝나가는 중
  • 삼재: 그동안 계획을 크게 빗나갔던 중국, 러시아, 멕시코 엔진 사업
  • 현대/기아 수출 거점이 된 중국, 멕시코는 전략적 가치 부각
  • 점진적인 실적 개선 지속될 것으로 예상

#신성이엔지

[유안타증권 / 권명준 / N Buy / 목표가 N 2,600원 / 현재가 2,060원]

풀리기 시작한 영켰던 실타래
  • 지연되었던 수주의 본격화
  • 해외 진출 통한 성장성 확대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6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SK텔레콤

[삼성증권 / 최민하,강영훈 / BUY / 목표가 63,000원 / 현재가 51,200원]

높은 안정감이 주는 매력
  • AI를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을 통한 체질 개선 추진. 우수한 주주 환원율
  • B2B 사업을 담당하는 엔터프라이즈 부문은 국내외 AI 사업 확대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매출 성장 이어갈 전망
  • 서비스 고도화 및 글로벌화를 통해 AI 서비스의 수익화 점진적으로 추진 예상

#제일기획

[대신증권 / 김회재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18,190원]

실적 먼저, 업황은 천천히
  • 2Q24 GP 4.4천억원(+4% yoy), OP 878억원(+4% yoy) 전망
  • 업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주요 광고주의 리테일/디지털 위주 집행 증가
  • 배당성향 60%, 24E DPS 1.3천원, 7.2%. 자사주 12% 중 일부 소각 가능성

#KT

[삼성증권 / 최민하,강영훈 / BUY / 목표가 48,000원 / 현재가 36,500원]

단계적인 빌드업을 통한 AICT 컴퍼니로의 전환
  • 양질의 사업 성과 확대 지속, BUY 유지
  • AI·클라우드 역량 강화 행보- MS와 제휴
  • 하반기에도 IDC 사업 개선세 지속 전망

#한글과컴퓨터

[유진투자 / 박종선 / BUY / 목표가 38,000원 / 현재가 22,700원]

한컴, 드디어 AI 사업 확대 나선다
  • News Comment: 공공기관 및 기업에 AI설루션을 적용하면서 본격적인 AI사업 확대에 돌입함
  • 2Q24 Preview: 안정적인 실적 성장과 함께 AI 사업 본격화를 위한 신제품 출시 전망
  • AI 사업 본격화 수혜 기대감 등으로 주가 상승 전환을 기대함

#LG유플러스

[삼성증권 / 최민하,강영훈 / HOLD / 목표가 11,500원 / 현재가 9,810원]

인내가 필요한 시간
  • 유·무선 사업 성장률 둔화 예상
  • 신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 돌파구 마련 타진- 전기차 충전 사업
  • AI를 접목한 서비스 역량 강화
  • 데이터센터 사업에 힘을 주다

#LG디스플레이

[NH투자 / 이규하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0,990원]

북미 고객사 물량 확대로 이익 개선세 본격화
  • 북미 고객사 물량 최대 생산능력에 가까운 수준으로 확대
  • 하반기 실적 시장 기대치 크게 상회할 전망

#파라다이스

[대신증권 / 임수진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4,020원]

2분기도 서프라이즈 기대
  • 2분기 영업이익, 기대 이상의 홀드율 개선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 일본 및 신규시장 VIP 성장세 지속. 실적 개선에 주목할 시기라는 판단
  • 향후 중국 VIP의 회복 및 코스피 이전 상장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 기대

#한화오션

[한국투자 / 강경태,남채민 / 매수 / 목표가 41,000원 / 현재가 32,050원]

Philly Shipyard 지분 인수 관련 코멘트
  • 미국 Philly Shipyard 인수 결정, 한화오션 지분율은 40%
  • Jones Act 상 미국산 선박 건조 시장 진출, 추가 M&A 기대감 상존

#포스코인터내셔널

[대신증권 / 이태환 / Buy / 목표가 76,000원 / 현재가 63,000원]

The last of the real ones
  • 2Q24 연결 영업이익 2,785억원(-22.0% yoy) 전망. 컨센서스 부합 예상
  • 미얀마가스전 판매량 정상화 및 계절적 CR 상승으로 에너지 실적 호조
  • 미얀마가스전 성공과 말련?인니 추가 탐사 예정 등 검증된 Upstream 개발업체

#LG화학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550,000원 / 현재가 361,500원]

올해 북미 배터리 점유율, 1위 탈환 전망
  • 석유화학부문, 올해 2분기 흑자전환 전망
  • 점진적으로 동사에 대한 비중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SNT모티브

[LS증권 / 이병근 / 현재가 47,850원]

2025년 구동모터 수주 기대
  • 감익 우려는 주가에 반영
  • 2025년 수주 기대감 유효

#하나마이크론

[삼성증권 / 류형근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2,600원]

과도기가 지나간다
  • 유상증자와 실적 부진 우려로 최근 주가는 부진. 성장의 과도기를 지나가는 국면
  • 하반기 이익 회복 예상. 삼성전자향 제품 다각화 (서버 DDR5, 모바일 AP) 효과와 SK하이닉스의 Legacy 제품 외주 확대 효과가 본격화될 것

#컴투스

[한화투자 / 김소혜,이다연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36,800원]

주가는 바닥권, 성과가 중요한 시점
  • 2Q24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 전망
  • 비용구조 개선은 긍정적, 게임 흥행이 반드시 필요
  • 목표주가 5만 원으로 하향하고 투자의견 BUY 유지

#맥쿼리인프라

[삼성증권 / 이경자,홍진현 / BUY / 목표가 15,300원 / 현재가 12,540원]

하남 데이터센터 매입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맥쿼리인프라가 하남 데이터센터 매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보도됨
  • 유상증자를 해도 과거 사례를 볼 때 공모액이 시가총액의 5%를 초과할 가능성 낮음
  • 데이터센터 시장은 수요가 공급을 초과, 매입 시 자산가치 상승으로 투자포인트 확장

#SK이노베이션

[현대차증권 / 강동진 / MARKETPERFORM / 목표가 128,000원 / 현재가 121,000원]

SK온 일병 구하기
  • 전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오는 28~29일 경영전략회의에서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 계획이 최종 승인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또한, 향후 SK온에 SK E&S 발전자회사와 LNG 판매사업을 붙이는 방안도 거론될 것으로 알려짐
  • 큰 그림에서 SK온 상장을 안정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획으로 판단

#브레인즈컴퍼니

[키움증권 / 김학준 / 현재가 6,920원]

인프라 관제에 기반한 사업영역 확장
  • 공공 디지털 전환에 수혜, 솔루션 매출 증가가 관건
  • AI 및 클라우드에 기반한 사업이 향후 성장성을 좌우
  • 2024년 실적 회복세 기대

#SK오션플랜트

[유진투자 / 한병화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13,390원]

주가 영향 미칠 펀더멘탈 이슈 없어, 경쟁사 대비 시가총액 1/3에 불과
  • 당사 코퍼레잇 데이 통해 회사를 둘러싼 부정적인 루머에 대해 입장 발표
  • 글로벌 오일 메이저용 해상 플랜트 수주 진행 중
  • 대만 시장 과점업체인 Century Wind Power 시가총액(2.6조원) 대비 1/3에 불과

#아나패스

[메리츠증권 / 양승수 / 현재가 27,800원]

탐방노트: AI PC 가 확대된다면
  • AI PC향 매출 확대
  • 모바일향 매출 확대
  • 관계회사 GCT Semiconductor Holdings(GCTS) 정상화

#율촌

[유안타증권 / 이현수 / 현재가 1,595원]

비용 부담 축소가 관건
  • 1Q24 실적: 매출액 192억원, 영업이익 5억원
  • 안정적 매출 속 비용은 증가
  • '24년 하반기, 수익성 소폭 개선 전망

#노바렉스

[DS투자 / 장지혜 / BUY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9,800원]

수출로 Super 노바-렉스
  • [업데이트] 중국향 건기식 수출 견조, 내수 업황 어려우나 2분기 회복
  • [투자포인트] 수출 매출 비중 확대 및 신규 원료 개발 통한 성장 기대
  • [밸류에이션] 높아진 밸류에이션 매력

#콜마비앤에이치

[DS투자 / 장지혜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5,620원]

한걸음씩 우직하게 글로벌 시장 진출
  • [업데이트] 1분기 유일한 외형 성장, 2분기도 지속
  • [투자포인트] 해외 지역 다변화, 중국 공장, 헤모힘G로 글로벌 진출 확대
  • [밸류에이션]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만원 유지

#콜마비앤에이치

[하나증권 / 심은주 / BUY / 목표가 37,000원 / 현재가 15,620원]

올해 실적 흐름 상저하고 전망
  • 연간 실적 저점은 지난 듯
  • 2Q24 Pre: 1분기와 유사할 듯
  • 하반기부터 회복 가시화

#HL만도

[신영증권 / 문용권 / 매수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45,600원]

‘25 년, 중국 매출 증가율 두 자릿수 회복 예상
  • NEV 시장 성장에 따라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중국 신차 시장
  • 중국 매출 성장했으나 중국 로컬향 매출은 지난 7년간 횡보
  • 중국 매출은 2025년부터 다시 고성장 진입 예상 (다음 페이지 계속)

#덕산네오룩스

[삼성증권 / 장정훈,서지현 / BUY / 목표가 56,000원 / 현재가 40,050원]

조삼의 리스크, 모사의 기회
  • 2분기 실적은 하향하나, 하반기는 상향 조정 국면
  • 2분기 실적 우려로 빠지는 것이라면 매수의 기회로 대응

#이노션

[한화투자 / 김소혜,이다연 / Buy / 목표가 31,000원 / 현재가 22,300원]

든든한 캡티브 물량으로 업황 부진 방어
  • 2Q24 실적은 시장 기대치 하회 전망
  • 올해는 디지털 마케팅 사업 확장 준비를 위한 시기
  • 목표주가 3만 1천 원으로 하향하고 투자의견 BUY 유지

#유투바이오

[신한투자 / 백지우 / 현재가 3,720원]

진단에 IT를 더하면
  • IT, BT 융합 진단 분석 플랫폼 강자
  • 1Q24 Review: 코로나 관련 매출 감소에 따른 적자 지속

#코스맥스엔비티

[DS투자 / 장지혜 / BUY / 목표가 6,000원 / 현재가 3,715원]

글로벌 건기식 ODM 대표 주자는 나야
  • [업데이트] 1분기 부진을 딛고 2분기 실적 개선 전망
  • [투자포인트] 원료 및 제형 경쟁력 상승으로 해외 실적 지속 성장 전망
  • [밸류에이션] 24년 하반기~25년 갈수록 실적 개선 폭 커질 것

#미래반도체

[신한투자 / 이경아 / 현재가 16,620원]

보호장벽 위 안정적 실적 회복
  • 반도체 업황 반등, 삼성전자 동반 실적 회복 기대
  • 2024년 높은 진입장벽 위 안정적 실적 회복 전망

#에이피알

[신한투자 / 박현진,주지은 / N 매수 / 목표가 N 500,000원 / 현재가 364,500원]

뷰티테크 트렌드 중심에 설 유망기업
  • 뷰티업계를 선도할 D2C 기업
  • 뷰티업계를 선도할 D2C 기업

#휴럼

[DS투자 / 장지혜 / 현재가 1,109원]

Healthy(건기식) & Beautiful(필러) Life를 위하여
  • [기업개요] 건기식 풀 밸류체인 확보 기업. M&A로 포트폴리오 확장
  • [투자포인트] 24년 연매출 1천억원 돌파 전망. 건기식 + 홍삼 + 필러 성장
  • [밸류에이션] 24년 자회사 통한 실적 성장과 기업가치 상승 기대

#탑머티리얼

[한국투자 / 이승연,박상현 / 현재가 51,500원]

아쉬웠던 1분기 그 이후
  • 단비 같았던 4월 수주
  • 고성능 LFP 양극재 사업도 거의 다 왔다
  • 하이망간계 양극재로 부품소재 사업 확장

#디어유

[한국투자 / 안도영 / 현재가 24,000원]

글로벌 문턱에 들어서다
  • 주가 부진으로 이어진 일본 서비스 지연. 드디어 런칭
  • 글로벌이 부러워하는 케이팝의 강도 높은 수익화. 버블이랑 해요
  • 2분기 실적은 주의가 필요하나, Q 성장은 끝나지 않았다

#지앤비에스 에코

[삼성증권 / 류형근 / 현재가 5,290원]

반도체의 반등, 올해도 지속 가능할 성장
  • 2023년 반도체 불황기에도 견조한 태양광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 성장 사이클은 올해도 이어질 가능성. 반도체의 반등이 성장의 주요 배경
  • 주력 고객사인 SK하이닉스의 설비 투자 확대 수혜 기대

#에이프릴바이오

[한국투자 / 위해주,이승우 / 매수 / 목표가 33,000원 / 현재가 19,470원]

베스트 시나리오
  • 우수한 임상 결과가 총규모 6,558억원의 Deal로 이어지다
  • 목표주가 10% 상향, 적정 기업가치 7,144억원
  • 이런 바이오텍은 없었다. 상장 2년 만에 연간 흑자 전망

#에이프릴바이오

[DS투자 / 김민정 / BUY / 목표가 33,000원 / 현재가 19,470원]

R3와 A1, 양 날개를 달고 진격
  • APB-R3 기술 수출, 가치산정 필요
  • APB-A1, 경쟁 파이프라인의 마일스톤+로열티 권리 7,200억원 거래

#핑거스토리

[유안타증권 / 이환욱 / 현재가 3,385원]

무협 특화 플랫폼 '무툰' 콘텐츠 다각화 기대
  • 웹툰/웹소설 플랫폼 운영
  • 무툰 콘텐츠 다각화에 집중
  • 자체 IP 확보를 통한 중장기 성장 기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