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스터디노트/주식요약(2025~)

[25-05-29.목] 테마 종목 및 리포트 요약 정리

by 미니토이 2025. 5. 30.
반응형

 

 

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대웅 25,050원(+29.99%)
    : 코로나19 관련주 및 지주사 테마 상승
  • 상상인증권 685원(+29.9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코스피 5,000 시대 실현' 강조 등에 증권 테마 상승
  • 일신바이오 1,670원(+29.96%)
    : 아시아 중심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 삼륭물산 7,550원(+29.95%)
    : 생분해 플라스틱 정책 추진 소식
  • 나이벡 28,950원(+29.82%)
    : 미국 소재 제약바이오 기업과 약 5,952.95억원 규모 NP-201 기술이전 계약 체결
  • HS효성 52,700원(+29.80%)
    : 지주사 테마 상승 속 이론적 배당수익률 200% 가능 분석 등
  • 미래에셋증권 16,560원(+23.2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코스피 5,000 시대 실현' 강조 등에 증권 테마 상승
  • 크라운해태홀딩스 7,450원(+19.97%)
    :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한국앤컴퍼니 19,890원(+18.68%)
    :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 1심 법정구속 소식
  • 국전약품 4,295원(+18.65%)
    : 아시아 중심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 서연 10,070원(+18.05%)
    :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코오롱 34,450원(+17.78%)
    :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유진투자증권 3,445원(+16.5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코스피 5,000 시대 실현' 강조 등에 증권 테마 상승
  • 이스타코 1,105원(+14.75%)
    :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개시 소식 속 이재명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펨트론 10,600원(+14.72%)
    : 엔비디아 1분기 호실적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광명전기 2,170원(+14.21%)
    : 전력설비 및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 태웅 22,100원(+13.92%)
    :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대규모 초대형 링 단조 설비 독자 구축 및 올해 말부터 본격 가동 돌입 기대감 지속
  • 동신건설 39,800원(+13.55%)
    : 이재명 및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 서린바이오 8,390원(+13.07%)
    : 아시아 중심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 에브리봇 17,850원(+12.48%)
    : SK그룹과 웰니스로봇 공동 개발 속 웰니스 로봇 'A1' 7월 출시 예정 기대감 등
  • 손오공 970원(+12.01%)
    : 합계출산율 반등 및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엔젤산업 테마 상승
  • 롯데지주 30,450원(+11.74%)
    :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테마시황

  • 한국은행 금리 인하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코스피 5,000 시대 실현" 강조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등 테마도 상승.
  •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밸류업 관련 테마도 상승.
  • 아시아 중심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코로나19 테마 상승.
  •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 합계출산율 반등 및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 美 국제무역법원(CIT),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 대통령 월권 판결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 상승.
  • 엔비디아 1분기 호실적 등에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개시 소식 속 이재명 테마 상승. 지역화폐, 일부 탈모 치료, 일자리 등 테마도 상승.
  • 한전, 베트남·사우디·튀르키예 등과 원전 수출 논의 소식 및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I 전력 수요 여전' 언급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 韓, 美 알래스카 에너지 회의 참석 예정 소식에 알래스카LNG 관련 테마 상승.
  • 美 엔비디아 실적 호조 속 데이터센터 매출 급증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상승.
  • 해외 사업 성장 유효 및 하반기 국내 사업 개선 전망 등에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기대감 지속 및 한국은행 금리 인하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증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코스피 5,000 시대 실현' 강조 등에 상승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유세 17일차인 강남구 신사동 한 스튜디오에서 1,400만 개인투자자들과 만났다"며, "경제는 합리성과 예측 가능성을 먹고 살지만, 보수정부 동안 시장은 불공정했다"고 지적했음. 이어 "투명한 기업 지배구조 개혁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사슬을 끊고, 주식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며, "그 결과로 ‘코스피 5000’이라는 새로운 희망을 실현하겠다"고 강조.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연 2.50%로 0.25%포인트 인하했음.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사이 네 번째 인하임.
  • 이에 코스피지수가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속 1.8% 넘게 상승, 2,720선을 회복했으며, 코스닥지수도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730선을 넘어서는 모습.
  • 상상인증권, 미래에셋증권, 다올투자증권, LS증권, 대신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지주사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상승

  • 대선 주요 후보들이 국내 증시 부양을 위해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주주 친화적인 공약을 쏟아내면서 PBR이 낮은 지주사들이 관련 공약의 수혜주로 지속 부각되고 있음.
  •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한화, SK스퀘어, 롯데지주, HD현대 등 주요 지주회사 중 15개사가 전일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며, 이 중 한화, SK스퀘어 등 10개사는 104주 신고가를 함께 기록했다고 밝힘. 올해 들어 지주회사 주가가 상승한 이유는 정책적 기대감에 기인한다며,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별로 증시부양에 대한 정책이 발표되면서 오랜기간 저평가에 머물렀던 지주회사 리레이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
  • 대선을 앞두고 정당별로 증시관련 공약을 발표한 가운데, 국내 증시부양 과정에서 대표적인 저 PBR 섹터인 지주회사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지주회사의 저평가는 자회사 중복상장, 상속/승계 과정에서의 주가 부진, 소극적인 자사주 소각 등이 주요 원인이였는데 정책적으로 지주회사 할인요인에 대한 축소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지주회사에 적용되는 PBR도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어 저 PBR 상태인 지주회사의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고 설명.
  • HS효성, 코오롱, 대웅, HD현대, 한국앤컴퍼니, LX홀딩스, 두산 등 지주사 테마가 상승.

코로나19 관련주

아시아 중심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상승

  • 최근 중국, 태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환자가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좡런샹 대만 위생복리부 질병관제서(CDC) 서장은 "앞으로 2개월여간 코로나19 환자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오는 8월 초까지 코로나19 환자가 171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내달 말부터 7월 초 사이에 환자가 최고 정점인 2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설명했음.
  •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5월 4일까지 한 주 동안 일부 공립병원에서 실시한 모든 코로나 검사 중 15.8%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알려짐. 이는 3월 30일 주간의 6.3%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임. 중국에서는 현재 XDV와 XDV.1 변이가 지배적으로 유행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전문가 중난산은 "이 변이들이 더 강력한 면역 회피를 보여 이전에 감염되었거나 백신을 맞은 사람들도 똑같이 위험하다"고 경고했음.
  • 태국 당국은 1월부터 5월 중순까지 187,031명의 코로나19 확진자와 46명의 사망자를 보고했다고 밝힘. 특히, 방콕에서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4월 송크란 물 축제가 부분적 원인으로 지목됐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아누쿨 프루사누삭 태국 정부 대변인은 "재출현하는 바이러스로부터 사람들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마스크, 항원 검사 키트, 손 소독제를 적절한 가격으로 충분히 공급하도록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언급.
  • 대웅, 수젠텍, 일신바이오, 서린바이오, 대한과학, 녹십자엠에스, 그린생명과학, 압타바이오, 휴마시스, 신풍제약, 더바이오메드, 오텍, 우정바이오 등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주택 Mix 개선에 따른 실적 턴어라운드, 원전 밸류체인(해외 원전, SMR), 수소/암모니아 등 신사업(Energy Transition) 가시성 확대, 2024년12월, 계엄 사태 이후 이어졌던 정치적 불확실성 축소를 건설 업종 투자포인트로 판단한다고 밝힘.
  • 2025년, 주요 대형 건설사의 주가는 현대건설의 2024년 4분기 대규모 비용 반영을 기점으로 상승하며 지수를 아웃퍼폼했다고 밝힘. 단기 주가 급등으로 인한 부담 요인은 상존하나, 멀티플 상단을 논하기는 이른 시점으로 판단. 2025년 하반기 보다 뚜렷하게 나타날 주택 마진율 회복과 해외 신사업 부문의 가시성 확대는 추가적인 업사이드 요인이라고 밝힘.
  • 6.3 조기대선 결과는 차기 정부에 따른 섹터 내 유불리보다는 계엄 사태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힘. 각 당의 최종 대선 후보들이 제시한 부동산 공약에는 공통적으로 주택 공급 확대, GTX 확대 개편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밝힘.
  •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DL이앤씨, 동신건설, 아이에스동서 등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가 상승.

은행

건전성 지표 개선 소식 등에 상승

  •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국내은행 17곳의 총자본비율은 15.68%로 작년 말 대비 0.08%포인트 상승했음. 보통주자본비율은 13.20%, 기본자본비율은 14.53%로 전분기 말 대비 각각 0.13%포인트, 0.14%포인트 올랐으며,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5%로 전분기 말 수준을 유지했음.
  • 하나증권은 은행업종에 대해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하고, 일부 은행지주사들의 목표주가를 상향한다고 밝힘. 목표가 상향은 CET 1 비율 추가 상승 예상 등 밸류업 신뢰도가 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목표가 산정시 그동안 다소 높게 적용해 왔던 리스크프리미엄을 정상화시키면서 자기자본비용률을 추가 하향 적용했기 때문으로 분석. 은행들의 목표주가 상향폭은 평균 약 10% 정도이며, 변경 후 평균 목표 PBR은 약 0.6배 내외라고 밝힘.
  • 우리금융지주, iM금융지주,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상승.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합계출산율 반등 및 저출산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1분기 출생아 수가 2015년 1분기 이후 10년 만에 증가하며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 증가율(7.4%)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1분기 합계출산율도 10년 만에 늘어나 0.82명을 기록했으며, 이는 최근 혼인이 늘어나는 가운데 30대 인구가 증가하고 출산과 관련한 긍정적인 인식 역시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되고 있음.
  •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3월 출생아 수는 2만1,041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8% 늘어났음. 3월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5년(6.1%) 이후 10년 만으로, 증가율은 역대 3월 기준으로 1993년(8.9%) 이후 최고 수준임. 올해 1, 2월을 포함한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7.4% 증가했으며, 합계출산율은 지난 3월 기준으로 0.4명 증가한 0.77명, 1분기에는 0.05명 늘어난 0.82명을 기록해 역대 1분기 기준으로 2022년(0.87명) 이후 최대를 기록.
  • 아울러 이날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개시된 가운데, 여야 주요 대선 후보들의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공약에 대한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세제 혜택과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을 내놓은 바 있으며,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주거비 지원과 금융지원 확대를 중심으로 한 정책을 제시한 바 있음.
  • 손오공, 캐리소프트, 삼익악기, 매일유업, 아가방컴퍼니, 메디앙스, 꿈비 등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부품

美 국제무역법원(CIT), 트럼프 상호관세 정책 대통령 월권 판결 소식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인 CIT는 28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 차단 명령을 내렸음. 국제무역법원은 문제가 된 상호관세 시행을 영구히 금지하며, 원고 외 다른 소송에도 적용된다고 밝힘.
  • 법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구매하는 것보다 더 많이 판매하는 국가의 수입품에 일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행위는 대통령의 권한을 넘어선 것으로 판단. 재판부는 미국 헌법에 따르면 다른 나라와의 무역을 규제할 독점적인 권한은 미국 의회에 있으며, 미국 경제를 보호하겠다며 발동하는 대통령의 비상 권한이 의회 권한보다 우선하지 않는다고 설명.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국제무역법원의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한 것으로 전해짐.
  • 기아, 현대차, 한온시스템, 현대모비스, 모티브링크, 한국단자, 한국무브넥스, 화신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엔비디아 1분기 호실적 등에 상승

  • 엔비디아는 지난밤 뉴욕증시 장 마감 후 2026회계연도 1분기(2~4월) 실적을 발표. 1분기 매출은 440억6,2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9% 급증했으며, 전분기대비로는 12% 증가했다고 밝힘. 이는 LSEG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는 각각 433억1,000만 달러를 웃도는 수치임. 일회성 비용 및 세금 영향 등을 제외한 주당순이익도 96센트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93센트)를 상회. 특히, AI칩 및 관련부품을 포함하는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73% 급증한 391억 달러를 기록.
  •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엔비디아의 AI 인프라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여전히 매우 강력하다"고 밝힘. 또한, 엔비디아는 2분기에는 45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LSEG 예상치 459억 달러에는 못 미치는 수치이지만, 시장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對中) 수출 제재에도 선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이에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엔비디아 주가는 4.87% 상승세를 보임.
  • 한편,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인 국제무역법원(CIT)은 28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 차단 명령을 내렸음. 국제무역법원은 문제가 된 상호관세 시행을 영구히 금지하며, 원고 외 다른 소송에도 적용된다고 밝힘.
  • SK하이닉스, 펨트론, 사피엔반도체, 코미코, 오로스테크놀로지, 티씨케이, 유진테크, 원익IPS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이재명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개시 소식 속 상승

  •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이날 오전 6시 전국 3,568개 사전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됐음. 사전투표는 이날부터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될 예정.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금일 오전 11시 기준 투표율이 7.00%로 역대 최고 기록을 이어가고 있음.
  • 한편,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6일부터 27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9.2%,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36.8%,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10.3% 지지율을 기록. 이번 조사 결과는 여론조사 공표 금지 직전 실시된 마지막 여론조사임.
  • 동신건설, 오리엔트정공, 에이텍, 비비안, 오리엔트바이오 등 이재명 테마가 상승. 반면, 넥스트아이 등 이준석평화홀딩스, 평화산업 등 김문수 테마는 하락.

원자력발전

한전, 베트남·사우디·튀르키예 등과 원전 수출 논의 소식 및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I 전력 수요 여전' 언급 등에 상승

  • 한국전력은 언론을 통해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등 원전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들과 신규 원전 사업을 논의 중이라고 밝힘. 특히, 올해로 해외사업 진출 30주년을 맞은 한전은 2009년 총 5,900MW 규모의 UAE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4기를 수주하며 국내 최초 원전 수출 성과를 달성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한전 관계자는 "UAE 바라카 원전 사업 수행 경험과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등 국가들과 신규 사업을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다"라며, "조만간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힘.
  • 아울러 엔비디아가 기대 이상의 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AI 인프라 관련 전력 수요가 여전함을 보여준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28일 미국 AI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는 이번 분기(2∼4월) 실적 발표에서 440억6천만 달러(60조6천억원)의 매출과 0.96달러(1천320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올해 1분기 기대 이상의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AI 인프라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여전히 매우 강력하다"고 언급.
  • 광명전기, 태웅, 효성중공업,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 우진, 에너토크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알래스카LNG 관련주

韓, 美 알래스카 에너지 회의 참석 예정 소식에 상승

  •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오는 6월3일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개최되는 ‘제4회 알래스카 지속가능한 에너지 컨퍼런스’에 참석할 예정. 이 실장은 미 에너지부(DoE)가 주관하는 라운드테이블에 한국 대표로 참여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등을 직접 확인할 계획으로 전해짐.
  • 앞서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이번 행사에 한국, 일본, 대만 정부 관계자 등을 초청했으며, 알래스카주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풍력, 태양광, 수력 등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 에너지 산업과 함께 최근 추진 중인 대형 LNG 프로젝트를 소개할 예정으로 알려짐. 정부는 당초 행사 참석 여부를 놓고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관련 정보를 직접 수집하고 사업성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참석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짐.
  • 하이스틸, SK오션플랜트, 대동스틸, 세아베스틸지주, 삼천리, HD현대인프라코어, HD한국조선해양, 태웅, HD현대마린엔진 등 알래스카LNG 관련주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美 엔비디아 실적 호조 속 데이터센터 매출 급증 등에 상승

  • 28일 美 AI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는 이번 분기(2∼4월) 실적 발표에서 매출 440억6,200만 달러(60조6천억원), 주당순이익 0.96달러(1천320원)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수준으로 매출은 시장조사 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433억1천만 달러를 웃돌고, 주당 순이익도 예상치 0.93달러를 넘어섰음. 특히, AI칩 및 관련 부품을 포함한 데이터센터 사업이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음.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73% 이상 증가한 391억 달러로, 전체 매출의 88%를 차지했음. 이와 관련,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엔비디아의 AI 인프라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여전히 매우 강력하다"고 강조.
  • IBK투자증권은 일진전기에 대해 향후 3년치 이상 변압기 공급 물량을 확보한 가운데, 수주잔고 내 고마진 북미 비중이 70%를 상회하며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 또한, 하반기부터 홍성 제2공장에서 초고압변압기 생산이 본격화되고, 내년에는 생산능력이 전년 대비 약 67% 증가할 예정이어서 글로벌 전력기기 시장에서의 사업 확대 및 수주 경쟁력 강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에이루트, 광명전기, 효성중공업, 일진전기, LS, 산일전기 등 전력설비/ 전선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해외 사업 성장 유효 및 하반기 국내 사업 개선 전망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음식료 업종 커버리지 기업 7개(삼양식품, 오리온, CJ제일제당, 농심, 롯데웰푸드, 롯데칠성, 하이트진로)의 해외 사업 합산 매출액은 2024년 13.3조원에서 2027년 17.0조원까지 연평균 6.3% 증가하며 해외 매출액 비중은 2024년 46.2%에서 2027년 51.3%까지 5.1%p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아울러 가공식품 수출은 2025년 1~4월 누적 기준으로 39.8억달러(+8.0% YoY)를 기록중이라며, 2025년 1~4월 누적 기준 가공식품 수출 금액 중 12.0%의 비중을 차지하는 차지하는 라면 수출은 4.8억달러(+26.4% YoY)를 기록하며 더욱 빠르게 성장 중에 있다고 언급. 특히, 미국과 유럽향 수출 비중 증가가 돋보이는데, 미국과 유럽은 기존 주요 수출 국가였던 동남아와 중국 대비 ASP가 높아 라면 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에도 긍정적이라고 설명. 삼양식품은 미국과 유럽(네덜란드)향 수출 금액의 각각 83.1%, 83.8%를 차지하며 한국산 라면 수출 증가를 주도중이라고 밝힘.
  • 한편, 최근 국내 음식료품과 외식 산업은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내수 소비 회복을 위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까지 고려한다면 내수 소비심리의 점진적인 회복을 기대할 수 있기에 하반기로 갈수록 내수 소비 회복과 가격 인상 효과 반영을 통한 음식료 업체들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힘.
  • 한울앤제주, 롯데웰푸드, 하이트진로, 동원F&B, CJ프레시웨이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리포트요약

#하이트진로

[한국투자 / 강은지 / 매수 / 목표가 29,000원 / 현재가 19,530원]

해외 모멘텀을 기다리자
  • 내수는 비용 절감을 통한 증익
  • 베트남 공장을 기다리며

#두산

[키움 / 김소원,조재원 / N BUY / 목표가 N 620,000원 / 현재가 469,500원]

준비된 자에게 오는 기회
  • CCL, AI와 함께 고성장 궤도 진입
  • 어플리케이션 및 고객사 다변화로 성장 모멘텀 지속. Capa 증설과 함께 실적 눈높이 상향 예상

#두산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580,000원 / 현재가 469,500원]

대전환
  • 전자 BG 실적 급증으로 수익성 구조 대전환
  • 2Q 엔비디아 매출 비중 50% 추정
  • 26년 루빈과 블랙웰 동시 납품 예상

#두산

[메리츠 / 양승수 / Buy / 목표가 590,000원 / 현재가 469,500원]

‘Special One’
  • 전자BG, 2분기에도 고공행진
  • AI 하드웨어, 초과수요 구간 지속 전망

#기아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89,000원]

하반기 전망: 근거 있는 자신감
  • 글로벌 완성차업체 중 가장 높은 수익성으로 중저가 전기차 판매 확대 여력 충분. 2026년에는 하이브리드 풀라인업 구축으로 10%대의 OPM 이어갈 전망
  • 미국 시장은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 유럽 시장은 중저가 전기차와 셀토스 하이브 리드로 M/S 확대 전망.
  • 관세 충격에도 주주 환원 규모 상향으로 시클리컬 주식에서 벗어나, 배당 성장주로 자리매김할 전망. 하반기 Top-pick으로 제시

#기아

[한국투자 / 김창호,최건 /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89,000원]

실적 개선을 이끌었던 ASP 둔화 시작
  • 원화 강세와 함께 ASP 증가율 둔화 시작

#삼일제약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14,500원 / 현재가 11,040원]

점안제 CMO 기대감 유효
  • 점안제 CMO 사업 램프업 기대감 상승 중
  • 신경정신과 라인업 강화, 견조한 본업 탑라인 성장세

#동아쏘시오홀딩스

[DB / 이명선 / Buy / 목표가 145,000원 / 현재가 108,000원]

안전성은 동아제약으로 성장은 에스티젠으로
  • 동아제약의 비용증가에도 배당수익과 CMO사업의 이익개선으로 호실적
  • 에스티젠바이오 성장에 주목
  • 이뮬도사로 인한 수익성 개선 주목 필요

#현대건설

[미래에셋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73,000원 / 현재가 60,800원]

실적 턴어라운드, 비교 우위의 원전 모멘텀
  • 강조되고 있는 원전 사업과 모멘텀
  • 실적 턴어라운드, 하반기 본격화

#CJ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35,100원]

인바운드대장, 올리브영
  • 정관 변경 / 사옥 매입 ? 기업가치 제고
  • IPO 대신 CJ와의 합병 가능성 부각
  • 올리브영 적정 가치 최소 6~7조원 이상

#세아베스틸지주

[유진투자 / 이유진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1,200원]

이번에는 진격할 차례
  • 본업 판매량 반등 중
  • 한층 가까워진 미국 Superalloy Technologies
  • 유일하게 “미국”과 관련된 철강주 중 오르지 못한 베스틸

#삼화콘덴서

[KB / 이창민 / BUY / 목표가 34,000원 / 현재가 24,400원]

정속주행
  • 2분기 실적은 MLCC/FC 중심으로 1분기 대비 소폭 개선될 전망
  • 연말/연초 소비심리 회복 효과 기대,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전력용 MLCC 수요 성장도 긍정적

#삼양식품

[한국투자 / 강은지 / 매수 / 목표가 1,430,000원 / 현재가 1,106,000원]

여전히 매수할 때
  • 하반기에도 이어질 최대 실적 경신
  •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라면 업체

#진양산업

[한국IR / 현재가 5,840원]

기술분석보고서
  • 플라스틱 발포 성형 제품 생산
  •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6.08%로 예측
  • 에너지 효율과 기술 경쟁력을 겸비한 지속가능 소재 기업

#롯데정밀화학

[iM / 전유진 / Buy / 목표가 55,000원 / 현재가 37,300원]

글리세린 강세에 에폭시 반덤핑까지 더해진 ECH 반사수혜
  • 1분기 정기보수로 물량 감소가 일부 있었음에도 환율상승과 해상운임 하락, 그리고 무엇보다 ECH 판가 상승 및 이에 따른 적자축소로 시장 기대치 상회하는 영업이익 기록
  • 그러나 3분기는 ECH 적자 축소와 그린소재 이익 증가로 287억원(+76.6%QoQ)의 큰 폭 성장 전망

#현대제철

[유진투자 / 이유진 / BUY / 목표가 54,000원 / 현재가 27,950원]

4년 뒤의 미국 제철소에게
  • 미국 제철소 구체적인 지분율 발표 기대
  • 철근 감산, 그리고 구조조정 기대감
  • 미국 제철소에 POSCO 외 다른 철강사가 들어올 것인가

#한솔홀딩스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3,600원 / 현재가 2,610원]

턴어라운드 본격화
  • 연결 실적 턴어라운드 본격화
  • NAV 기준 70% 이상 저평가 상태
  • 포트폴리오 재편 + 지배력 강화 드라이브

#농심

[한국투자 / 강은지 / 매수 / 목표가 520,000원 / 현재가 416,000원]

이제 시선은 툼바로
  • 신라면 툼바가 중요하다
  • 국내는 최악을 지났다

#녹십자홀딩스

[삼성 / 정동희,서근희 / 현재가 14,070원]

수익성 전환 중인 종합 헬스케어 지주사
  • 진단-제약-뷰티-디지털 헬스케어를 포괄하는 종합 헬스케어 지주사
  • 녹십자, 녹십자웰빙 등 핵심 자회사의 실적 성장을 통한 수익성 개선 중
  • 안정적 배당수익률과 최소 18% 이상의 순자산 가치 대비 할인율 고려 필요

#현대차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5,900원]

하반기 전망: 이제 토요타와 정면 대결할 시간
  • 하반기 미국 시장에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출시로 토요타 독점 시장에 진입. 2026년에는 제네시스 하이브리드 라인업으로 확대 예정
  • 미국 시장에서 경쟁사 판매 감소에 따른 반사 이익으로 M/S 확대 예상. 미국 관세 25% 유지 시 7월 초 가격 인상으로 대응 예상
  • 2025년 관세 타격에도 DPS 유지(12,000원) 및 자사주 매입(7천억원 → 1.33조원) 확대로 배당 성장주로서 자리매김할 전망

#현대차

[한국투자 / 김창호,최건 / 중립 / 목표가 없음 / 현재가 185,900원]

관세 불확실성 확대되는 가운데 관세 불확실성 가중
  • 최소 2026년까지는 감익 사이클 예상

#POSCO홀딩스

[유진투자 / 이유진 / BUY / 목표가 390,000원 / 현재가 249,500원]

미래를 향한 전진 중
  • 포스코퓨처엠 유상증자 Risk off
  • 판재류 수출 및 내수 점유율 확대에 대한 기대감
  • 현대제철의 미국 조강 가져올 수 있나

#에스엘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30,550원]

올해는 상저하고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에 부합한 견조한 실적
  • 2분기에는 미국향 CKD 부품 수출에 대한 25% 관세 부담으로, 수익성 둔화 예상. 완성차와 비용 분담 협상 중이며, 하반기에 반영 예상
  •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와 인도공장 가동률 향상, 보스톤 다이나믹스 매출 증가, 현대모비스의 램프 사업부 매각 가능성에 대한 수혜로, 2H25 이후 성장성 부각

#에스엘

[한화투자 / 김성래,김예인 / Buy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30,550원]

하반기 북미 생산 비중 확대, 내년 대규모 수주 물량의 매출 전환 시작
  • 1Q 북미/인도 매출 성장 둔화를 견조한 국내 매출 실적을 통해 만회
  • 하반기 북미 비중 점진적 증가, 국내는 신차 중심 매출 통해 영향 최소화
  • 관세 불확실성 속 26년부터 대규모 수주 물량의 매출 전환 시작

#LS

[유진투자 / 이유진 / BUY / 목표가 192,000원 / 현재가 154,200원]

아무것도 버리지 않고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어
  • LS전선 재구축 중
  • TC 하락을 어느정도 방어할 수 있을 것인가

#이수페타시스

[키움 / 김소원,조재원 / BUY / 목표가 58,000원 / 현재가 40,550원]

2H25부터 강화될 네트워크 모멘텀
  • 2Q25 영업이익 488억원 전망
  • 2H25부터 강화될 네트워크 모멘텀 주목. 업종 최선호주 유지

#삼성전기

[키움 / 김소원,조재원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23,300원]

Physical과 AI를 다 잡는다
  • 2Q25 영업이익 2,180억원, AI가 견인할 실적
  • 2H25, Physical + AI의 모멘텀 주목. 주가는 역사적 저점 수준

#한화솔루션

[iM / 전유진 / Buy / 목표가 38,000원 / 현재가 28,400원]

반신반의했던 것의 소멸과 그나마 확실했던 것마저 약화
  • 미국 하원에서 통과된 IRA 개정안에 따르면 더 이상 TPO 업체들은 세제혜택 수령 불가
  • 다만, 상반기 실적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고 상원에서 세부내용이 또 변화될 가능성이 남아 있는 만큼 최종 법안 통과된 이후에 실적 추정치 조정할 예정

#LG이노텍

[키움 / 김소원,조재원 / Outperform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47,900원]

2H25 휴머노이드 로봇 모멘텀 부각
  • 2Q25 영업이익 750억원 전망
  • 2H25, Physical AI 모멘텀 부각

#롯데케미칼

[iM / 전유진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9,500원]

저유가 어부지리 속 적자규모 축소 예상
  • 유가 하락으로 최근 주요 제품 스프레드 바닥에서 소폭이나마 반등하는 모습
  • 금번 목표주가 조정은 25년 이익 추정치 변경과 좀처럼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익 체력 반영해 기존 대비 멀티플 20% 할인 적용함에 따른 것이며, 25년 예상 BPS 329,499원에 PBR 0.24배 적용해 산출한 값임

#금호석유화학

[iM / 전유진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14,100원]

1분기 미국 Glove 수입에서 명확히 확인되는 중국산 관세 인상 효과
  • 1분기 환율상승과 고무/합성수지/페놀 등 전 사업부에 걸친 이익 개선으로 컨센서스를 큰 폭 상회하는 영업이익 창출했음에도 2분기 감익 우려로 주가는 조정
  • 한편, 미국의 중국산 Glove 관세 인상효과는 1분기 수입 데이터에서 뚜렷하게 확인

#현대모비스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370,000원 / 현재가 254,000원]

하반기 전망: 10년 만에 잘나가는 시기
  • A/S 부문 호실적에 전장 부품 흑자 전환이 겹쳐진 시기
  • 전동화 부문은 서배나 공장 가동과 스텔란티스 납품에 따른 AMPC 보조금(2025년 1.5~1.8천억원), 국내의 전기차 생산 증가로 2026년 흑자 전환 예상
  • 보스톤 다이나믹스는 2028년 E-Atlas와 Spot 2세대 양산을 위해 Value Chain을 확정 중이며, 현대모비스는 액추에이터를 담당

#유니드

[iM / 전유진 / Buy / 목표가 126,000원 / 현재가 87,200원]

2~3분기 더욱 뚜렷하게 목격할 스프레드 확대
  • 25년은 UHC 가동에 따른 Q 증가와 중국 KCI 강세 cost-push로 인한 P 상승을 확실히 목격하는 시기가 될 것.
  • 1분기 환율상승 속에서 가성/탄산칼륨 판가 상승, UHC 신규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 등으로 컨센서스를 큰 폭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는데, 2~3분기에도 눈높이 상회하는 이익 체력 보여줄 것으로 전망

#삼성증권

[현대차 / 장영임 / BUY / 목표가 68,000원 / 현재가 57,100원]

안정감이 주는 미덕
  • 실적, 배당, 발행어음 인가 신청 등 3박자 모두 갖추고 있어 매력적
  • 두 자릿수대 ROE 대비 업종 내 밸류에이션은 상대적으로 낮아 매력적

#한국단자

[SK / 윤혁진,박준형 / N 매수 / 목표가 N 90,000원 / 현재가 58,500원]

열배 확대되는 시장에 올라타자
  • 자동차용 커넥터: 차량당 10~20만원에서 EV 에서는 100만원 이상
  • 전기차 전환과 고객사 확대 수혜 + 주주환원 강화 중

#삼성물산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51,200원]

바이오/반도체/SMR, 미래 산업의 실소유주
  •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 분할의 핵심 수혜
  • 최대 20조원 규모의 자금 확보 여력
  • 그룹 바이오 / 반도체 지배구조의 정점으로 부상
  • 모멘텀 발생으로 보유자산 대비 현저히 저평가 된 점 부각될 것

#유나이티드제약

[유안타 / 하현수 / N Buy / 목표가 N 30,000원 / 현재가 20,350원]

높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저평가
  • 만성 질환 중심 매출로 안정적
  • 개량 신약 중심 매출로 높은 수익성

#피노

[한국IR / 현재가 4,940원]

기술분석보고서
  • 신재생에너지 배터리 전구체 개발 및 생산 전문업체
  •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으로의 확장 진행 중
  •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가파른 성장 및 생산기지 구축

#LG디스플레이

[키움 / 김소원,조재원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8,390원]

2H25, 달라질 결심
  • 2Q25 비수기 통과 후 2H25 흑자 전환 예상
  • 2H25부터 증명할 체질 개선 주목.

#SK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56,200원]

자산 재정비 마무리 국면
  • 자산 매각 및 실적 개선 ? 순차입금 축소 기대
  • NAV 대비 높은 할인율, 자산 가치 재평가 여지 확대
  • 주주환원 강화 추세

#한국토지신탁

[한화투자 / 송유림,김예인 / Buy / 목표가 1,600원 / 현재가 1,134원]

1Q25 Review
  • 1분기 실적은 영업수익 372억 원, 영업이익 -46억 원, 지배주주순이익 86억 원을 기록

#대우건설

[미래에셋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5,600원 / 현재가 4,190원]

해외 수주 공백 만회, 할인 요인 축소 전망
  • 투르크메니스탄 수주 성과, 해외 수주 공백 만회
  • 2025년 실적 : 매출 둔화 불가피, 이익 개선은 유효

#SNT모티브

[삼성 / 임은영,김현지 / BUY / 목표가 35,000원 / 현재가 28,900원]

하반기 전망: 방산과 하이브리드
  • 하반기 중동향 소총 수출로 방산 매출 급증 전망. 현대차/기아 신차 사이클의 Key Word는 하이브리드의 전 모델 확산. SNT모티브는 하이브리드 시동 모터 납품
  • 높은 수익성과 순현금(4,860억원/시총 대비 현금 비중 63%) 구조로, 주주 환원 강화 여력 충분. 자사주 비중 10.2%로, 정부 정책에 따라 소각 가능성
  • 성장 모멘텀 재점화로 관심이 필요한 시기

#LG전자

[키움 / 김소원,조재원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71,200원]

관세 우려만 반영된 주가
  • 2Q25 연결 영업이익 8,907억원 전망
  • 주가는 12개월 Forward P/B 0.6배. 모멘텀 대기 구간

#셀트리온제약

[DB / 이명선 / 현재가 47,650원]

PFS공장 가동율 증가로 영업이익 개선 구간
  • 셀트리온의 주요자회사로 케미컬부터 바이오의약품까지 사업영위
  • PFS공장 가동률 증가로 영업이익 개선 구간
  • 2030년 PFS라인 증설로 글로벌 CMO 기업으로 성장

#디지털대성

[지엘리서치 / 박창윤,김범태 / 현재가 7,710원]

기숙학원 인수 완료, 온/오프 동반 성장세 기대!
  • 주력 브랜드 대성 마이맥, 국내 고등부 온라인 교육업계 양강 체제 구축
  • 패스 상품 객단가 상승 본격화에 따른 고등 온라인 부문 실적 성장세 주목
  • 강남대성기숙 의대관 지분 50% 인수 따른 탑라인 성장세 지속 전망

#유엔젤

[한국IR / 현재가 5,040원]

기술분석보고서
  • 스마트러닝과 통신솔루션을 아우르는 디지털 융합기업
  • 통신 코어 솔루션 및 스마트러닝 융합형 ICT 기술 보유
  • 5G 특화망,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 수요 확대에 따른 성장 기대

#지에이이노더스

[한국IR / 현재가 5,400원]

기술분석보고서
  • 수중공사에서 육상공사로, 사업영역 확장
  • 인프라 투자 수요 확대에 따른 지속적인 성장 기대
  • ESG 경영 강화를 통한 수주 경쟁력 확보

#제우스

[LS / 차용호 / Buy / 목표가 16,000원 / 현재가 13,320원]

포토닉 디본딩 개화를 기다리며
  • 1Q25 Review: J.E.T의 부진
  • 포토닉 디본딩 개화를 기다리며

#전진건설로봇

[흥국 / 최종경,유준석 / N BUY / 목표가 N 58,000원 / 현재가 48,150원]

글로벌 성장을 향해 쏘다
  • 글로벌 TOP-tier 콘크리트 펌프카 전문기업
  • 1Q25 Review: 매출액 +17%, 영업이익 +8% YoY

#선진뷰티사이언스

[KB / 성현동,전소희 / 현재가 13,680원]

진정한 뷰티의 시작은 자외선 차단부터
  • 기업 개요: 화장품 소재 전문 기업
  • 2025년 1분기 매출액 225억원 영업이익 37억원 기록
  • 체크포인트: 수직통합 뷰티 플랫폼 완성 1) 원료: 글로벌 First & Only 제품 선도적 출시 2) 생산: 스마트팩토리로 생산효율 극대화, ODM 비즈니스 시작 3) 임상시험 연구: 수직통합 플랫폼의 마지막 퍼즐
  • 리스크 요인: ODM 개시에 따른 단기적인 비용 증가

#제주항공

[유진투자 / 양승윤 / BUY / 목표가 8,000원 / 현재가 6,670원]

딛고 일어설 때
  •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847억원(-31%yoy), 영업손익 -326억원(적자전환yoy). 실적 부진 요인으로는 연초 사고 이후 운항 감축에 따른 사업량 감소 영향과 운임 하락이 가장 컸음
  • 2분기도 비수기로 사업량 회복이 더뎌, 영업 손실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나, 3분기 성수기에 전년비 사업량 정상화를 가정할 때 영업 흑자 전환 예상

#ISC

[흥국 / 손인준 / N BUY / 목표가 N 66,000원 / 현재가 51,300원]

SAM 확대와 M&A 통한 성장
  • 실리콘 러버 소켓 채택 증가 및 후공정 포트폴리오 확대
  • AI 시장 성장과 동행

#풍산

[유진투자 / 이유진 / BUY / 목표가 86,000원 / 현재가 62,300원]

싸우지 않으면 이길 수 없어
  • 우려 대비 굳건한 탄 수요
  •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는 신동 부문
  • 폴란드에 진출하게 된다면

#일진전기

[IBK투자 / 김태현 / 매수 / 목표가 38,000원 / 현재가 29,050원]

북미 중심 수주잔고 확대
  • 수출 비중 확대 흐름
  • 북미 사업 강화, 수익성 개선 기대감 여전

#LX세미콘

[IBK투자 / 강민구 / N 매수 / 목표가 N 78,000원 / 현재가 60,200원]

우려는 이미 반영, 이익률 개선을 주목하자
  • 2025년 영업이익률 개선 이어질 것
  • OLED DDI 시장 확대 전망
  • 저평가 매력 부각, 외국인지분율 상승

#KX

[유진투자 / 박종선 / 현재가 3,670원]

1Q25 Review: 레저 부문, 성수기 진입
  • 1Q25 Review: 골프장 운영일수 감소 및 떼제베CC 매각 등으로 레저 부문 실적 부진, 당사 추정치 하회함
  • 2Q25 Preview: 레저 부문의 성수기 진입, 제조 부문의 신규 고객 확보 등으로 실적 회복을 기대
  • 현재주가는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PER 4.4배로, 국내 유사 업체 평균 PER 14.4배 대비 크게 할인되어 거래 중

#한국자산신탁

[한화투자 / 송유림,김예인 / Buy / 목표가 3,100원 / 현재가 2,370원]

1Q25 Review
  • 1분기 영업수익은 519억 원, 영업이익은 177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1%, -40.0%를 기록

#한미약품

[상상인 / 이달미 / BUY / 목표가 400,000원 / 현재가 300,500원]

R&D 모멘텀이 2025년 주가 상승 driver
  • 2025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909억원(-3.2%YoY), 영업이익 589억원(-23.2%YoY, OPM 15.1%)를 시현, 북경한미에서의 실적부진(영업이익 -70%YoY)으로 전체 실적이 감소
  • 2025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1.6조원(+9.7%YoY), 영업이익 2,516억원 (+16.4%YoY, OPM 15.3%) 시현이 전망

#파수

[한국IR협의회(리서치센터) / 이새롬,권지승 / 현재가 4,970원]

올해의 키워드는 AI, 글로벌 성과, 클라우드 전환
  • sLLM 기반 AI 사업 본격화, 랩소디와 시너지 기대
  • Mac·CAD 중심 보안기술로 글로벌 시장 공략. 2025년 수출 비중 11% 전망
  • M365 확산 따른 클라우드형 DRM(FED) 수요 확대

#SK디앤디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12,000원 / 현재가 9,360원]

부동산 운용·서비스 확장의 수혜
  • 개발·운용·운영의 Value Chain 확장

#덕산네오룩스

[키움 / 김소원,조재원 / BUY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5,750원]

강력한 본업, 더해지는 자회사 모멘텀
  • 2Q25 영업이익 182억원,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인수 효과 본격화
  • COE 기술 대세화의 최대 수혜 업체. 2026년 OLED 사이클 재개 + 자회사 모멘텀 주목

#토니모리

[흥국 / 이지원,송지원 / BUY / 목표가 10,500원 / 현재가 8,750원]

돋보이는 신규 채널, ODM 성장세
  • 1Q25 Review: 컨센서스 상회 호실적
  • 신규 채널 성장세 + ODM 수주 증가 긍정적

#인크로스

[유안타 / 권명준 / 현재가 7,160원]

높은 실적개선 기대감에도 낮은 밸류에이션
  • SKT 해킹 수혜 기대
  • 1분기 실적의 의미
  • 기대되는 2025년 실적

#플럼라인생명과학

[한국IR / 현재가 6,960원]

기술분석보고서
  • 반려동물 관련 DNA 혁신신약을 연구개발/제조하는 기업
  • 주요 제품 상용화 임박 및 파이프라인 다각화로 성장 모멘텀 강화 중
  • 고성장 반려동물 헬시에이징 시장 내 경쟁력 확보 기대

#심텍

[키움 / 김소원,조재원 / BUY / 목표가 25,000원 / 현재가 19,190원]

안갯속 빛을 찾아서
  • 수주 증가 추세 고무적
  • 2Q25 영업이익 흑자전환
  •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점증

#케이엠제약

[한국IR / 현재가 642원]

기술분석보고서
  • 캐릭터 마케팅과 제형 기술 기반 오랄, 뷰티케어 제품 생산
  • 소비량의 큰 변화는 없으나 지속적인 시장 성장 전망
  • 중장기적 실적 개선을 위한 사업 다각화 전략 수립

#솔루엠

[미래에셋 / 박준서 / 매수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5,370원]

하반기 성장 기대
  • 1Q25 리뷰: 해외 영업 강화에 따른 고정비 증가로 수익성은 둔화
  •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가시성 확보와 북미 모멘텀이 긍정적 요인
  • POC 확대를 통한 글로벌 고객사 확장 본격화

#롯데웰푸드

[한국투자 / 강은지 / 매수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14,400원]

아직은 안심할 수 없지만
  • 코코아 원가 부담 영향 지속
  • 인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

#케이씨텍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34,000원 / 현재가 25,500원]

반도체는 견조한 실적 예상
  • 2025년 영업이익 392억원(-21%YoY) 전망
  • 2Q25 영업이익 95억원 예상

#신한알파리츠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8,700원 / 현재가 5,660원]

지역 다변화 시도
  • GBD 자산 비중 확대와 중장기 전략

#HDC현대산업개발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23,550원]

Stock 비즈니스로의 전환
  • 자산을 가진 자의 특별함

#롯데리츠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5,100원 / 현재가 3,690원]

非리테일 자산 확대
  • DPS 반등 시작

#타스컴

[한국IR / 현재가 3,490원]

기술분석보고서
  • 현장진단용 체외진단의료기기 개발 및 제조에 특화된 전문기업
  • 글로벌 체외진단 및 현장진단 시장 규모 확대
  • 글로벌 진단 플랫폼 도약을 위한 전략적 전환

#미쥬

[한국IR / 현재가 6,680원]

기술분석보고서
  • 여성캐쥬얼 의류 제조기업
  • 수요 정체의 위협이 존재하나, 친환경·디지털 전환이 기회
  • 온라인 채널 강화 및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N 6,600원 / 현재가 4,505원]

리파이낸싱 파고 넘기기
  • 적극적 자산 매각 및 개발로 극복

#ESR켄달스퀘어리츠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6,500원 / 현재가 4,345원]

신뢰의 Capital Recycling
  • 전략적 자산 편출입

#DL이앤씨

[미래에셋 / 김기룡 / 매수 / 목표가 61,000원 / 현재가 48,450원]

인적분할 이후 첫 이익 증가 시현
  • 2025년, 인적분할 이후 첫 전년대비 이익 증가
  • 2025년, 뚜렷한 주택 착공 실적

#디앤디플랫폼리츠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4,800원 / 현재가 3,225원]

궤도에 오르고 있는 개발 리츠
  • 수송스퀘어 자산 편입

#SK리츠

[신영 / 박세라,권혁 / 매수 / 목표가 6,100원 / 현재가 4,800원]

Income 자산의 매력에 부합
  • 연환산 수익률 5%의 자산

#SK스퀘어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130,000원 / 현재가 108,200원]

본격적인 저평가 해소 구간 진입
  • 실적 정상화 + 자회사 턴어라운드 -> 본업 체력 회복
  • NAV 대비 여전히 과도한 할인율 -> 자산가치 재평가 구간 진입
  • 풍부한 현금, 구조적 리레이팅 가능

#아이씨티케이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19,040원]

펀딩 우려보단 매출 확대 기대감이 더 크다
  • 매수/TP 2.8만원 유지, 양자 관련주 재부상 중/국내에서 살만한 몇 안 되는 주식
  • EPS 희석 효과보단 M&A를 통한 성장 스토리가 중요, 곧 호재 나올 것
  • WIPO 글로벌 어워드 최종 후보 선정은 호재, 관공서/통신사 매출에 영향 줄 것

#시프트업

[NH투자 / 안재민,이호승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9,100원]

장기 흥행의 발판 마련
  • 6월 반등 기대
  • 실적 추정치 변경은 없음

#HS효성

[IBK투자 / 이동욱 / 현재가 40,600원]

이론적 배당수익률 200% 가능
  • 자본준비금 감소 안건 승인으로 배당가능이익 급증
  • 주요 자회사 실적 개선 전망

 

[출처:KRX한국거래소/fnguide/infostock/네이버증권 등]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