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스터디노트/증시 및 리포트요약

[25-05-28.수] 테마종목 및 리포트 요약정리

by 미니토이 2025. 5. 30.
반응형

 

 

52주 신고가

 

 

외국인/기관 순매수 Top20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 대보마그네틱 18,120원(+29.99%)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 빛과전자 1,254원(+29.95%)
    :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상한가
  • 자이글 4,735원(+29.90%)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 애경케미칼 11,470원(+25.91%)
    : 2차전지 및 석유화학 테마 상승
  • 비큐AI 1,623원(+23.61%)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퓨리오사AI 투자 펀드 참여 소식
  • MDS테크 1,393원(+19.16%)
    :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퓨리오사AI 투자 펀드 참여 소식
  • 시지트로닉스 6,100원(+18.22%)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38%)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 온코크로스 13,880원(+17.63%)
    : ASCO2025서 AI 기반 암 조기 진단 기술 공개 예정 소식
  • 엘앤에프 56,100원(+16.88%)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 코오롱 29,250원(+15.16%)
    : 상법 개정 재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비트맥스 3,640원(+15.01%)
    : 500억원 규모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모멘텀 지속 속 국내 비트코인 보유량 1위 기업으로 도약 전망 등
  • 파워넷 2,685원(+14.99%)
    :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신사업 효과 본격화 기대감 등
  • 셀루메드 1,050원(+14.13%)
    : 치과용 골이식재 '라퓨젠 덴탈' 판매 호조 모멘텀 지속
  • 포스코퓨처엠 114,100원(+13.99%)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 메가터치 4,180원(+13.74%)
    : 반도체 관련주 및 2차전지 테마 상승
  • 포바이포 19,110원(+12.88%)
    : 퓨리오사AI, 오는 7월 국내 대기업에 AI 반도체 ‘레니게이드’ 공급 소식 등에 퓨리오사먀 테마 상승
  • KG케미칼 4,250원(+12.58%)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 HD현대 97,700원(+12.43%)
    : 상법 개정 재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하나기술 21,250원(+11.90%)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테마시황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으로 관련 테마 상승.
  •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38%) 급등 등에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 퓨리오사AI, 오는 7월 국내 대기업에 AI 반도체 ‘레니게이드’ 공급 소식 등에 퓨리오사AI 테마 상승.
  • 유가 하락에 따른 원가 경쟁력 증대, 관세전쟁 완화 등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감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 상법 개정 재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게임 테마 상승.
  • 하반기 철강 업황 개선 전망 등에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 상승.
  • 경기 부양책 및 금리 인하 기조 등에 따른 건설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 상승.
  • 하이브, 에스엠 지분 텐센트에 매각에 따른 한한령 해제 기대감 부각 등에 일부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 반면, 체코 정부, '한수원 원전계약 10월 총선 이후로 연기 가능성' 발언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하락.
  •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하락, 피팅/밸브, 셰일가스, LNG 등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테마 등도 하락.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비만치료제, 코로나19, 바이오시밀러, 치매, 유전자 치료제/분석, 제약업체, 보톡스, 탈모 치료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도 하락.

2차전지 /전기차 등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美 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 설치 소식, 테슬라(+6.94%) 급등 영향 등에 상승

  • 전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와 GM은 2027년 완공 예정인 미국 인디애나 합작공장에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이 공장은 당초 니켈이 80% 이상 들어간 삼원계 배터리만 생산하도록 설계됐지만, LFP 배터리도 병행 생산하기로 한 것으로, 삼성은 이를 위해 소재 조달과 장비 도입 계획을 짜고 있다고 알려짐. 이어 LG에너지솔루션도 GM과 합작한 테네시주 공장의 일부를 LFP 생산라인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이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설립하는 미국 공장에 합작 투자한 GM이 차값을 내리기 위해 당초 계획한 삼원계 대신 값싼 LFP 배터리로 교체해달라고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프리미엄 전기차는 삼원계, 중저가 전기차는 LFP로 미국 배터리 시장이 빠르게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 지난밤 美 증시에서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정치 대신 회사 업무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한 영향으로 테슬라의 주가가 6.94% 급등 마감했음. 이와 관련, 머스크는 지난 24일 자신의 SNS 기업인 X에 "엑스와 인공지능 기업 xAI, 테슬라에 초집중(super focused)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이어 "대대적인 운용 개선이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라면서 "업무에 1주일 내내(24/7), 하루 24시간을 쓰는 이전 관행으로 복귀하겠다"고 다짐했음.
  • 27일 美 자율주행차(로보택시) 업체인 포니AI는 두바이 교통국과 로보택시 운영에 합의했다고 밝힘. 두바이는 '2030 스마트 시티 비전'에 따라 2030년까지 전체 택시의 25%를 로보택시로 전환하는 야심 찬 목표를 세운 바 있음. 이에 지난밤 포니AI는 22.63% 급등 마감하는 모습.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자이글, 탑머티리얼, 엘앤에프,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코윈테크, 메가터치, 애경케미칼, 하나기술, 대보마그네틱 등 2차전지 등/전기차 테마가 상승했으며, LG이노텍, 유니퀘스트, 삼성전기, 텔레칩스, HL만도 등 자율주행차, 나우로보틱스, 티엑스알로보틱스, 싸이맥스, 스맥, 위세아이텍 등 로봇AI, 로봇 테마도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3.38%) 급등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시점을 유예하기로 하면서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이 커진 데다 미국의 소비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상승.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8.71(+3.38%) 상승한 4,861.09를 기록. 애플(+2.53%), 마이크로소프트(+2.33%), 아마존(+2.50%), 알파벳A(+2.63%), 메타(+2.43%), 암 홀딩스 ADR(+5.33%), 마이크로칩 테크놀러지(+4.43%), 엔비디아(+3.21%) 등 여타 대형 기술주 및 반도체 관련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음.
  • 아울러 28일 컴퓨터 그래픽용 칩 제조업체인 엔비디아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 블룸버그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이번 분기(2~4월) 실적 컨센서스는 조정 주당순이익(EPS) 0.88달러, 매출 433억달러로, 전년 동기(조정 EPS 0.61달러, 매출 260억달러) 대비 각각 44%, 66% 증가한 수준. AI 서버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에서 높은 성장률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며, 월가에서는 엔비디아가 데이터센터와 AI 반도체 수요를 바탕으로 또 한 번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음.
  •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 4분기부터 HBM4 12단 제품을 대량 양산해 엔비디아에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엔비디아가 루빈 플랫폼의 출시 일정 및 공급 물량을 확정하는 대로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SK하이닉스는 올 하반기 완공되는 청주M15x 팹에도 양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임. 이와 관련,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수요에 발맞춰 생산능력을 확충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르면 10월 양산에 돌입할 수도 있어 7~8월에 장비 발주를 진행할 수도 있다"고 밝힘.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시지트로닉스, 디아이, 메가터치, 엘케이켐, 자람테크놀로지, 네패스, 테크윙, GST, 미래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퓨리오사AI

퓨리오사AI, 오는 7월 국내 대기업에 AI 반도체 ‘레니게이드’ 공급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퓨리오사AI가 오는 7월 국내 대기업에 자사 AI 반도체 ‘레니게이드’ 공급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전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에서 가진 특별강연에서 “빅테크 기업들 중에서 엔비디아에만 모든 운명을 맡기겠다는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다”며 우리나라도 엔비디아에서 벗어나 자체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 질의응답 과정에서 퓨리오사AI가 오는 7월 국내 대기업에 자사 AI 반도체 ‘레니게이드’를 공급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백 대표는 해당 고객사를 밝히지 않았으나 업계에선 LG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 퓨리오사AI의 레니게이드가 국내 대기업에 본격 공급의 물꼬를 트게 되면 향후 국내외 시장에서 추가 고객사 확보도 한층 더 수월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아울러 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는 AI 반도체 생태계에서 국산 AI 칩의 독립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음.
  • 언론에 따르면, 제이더블유자산운용과 코난인베스트먼트는 공동 운용하는 'JW-코난 AI 넥스트리더 펀드'(JW-코난 펀드)와 퓨리오사AI 간 투자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투자는 국내 AI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기술 혁신을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퓨리오사AI의 기술력과 성장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특히, 이번 JW-코난 펀드를 통한 투자에는 코스닥 상장사인 'MDS테크'와 '비큐AI'가 주요 출자자로 참여한 가운데, 'MDS테크'와 '비큐AI'는 국내 AI 반도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퓨리오사AI와의 협력을 통해 신사업 발굴은 물론, 국내 AI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포바이포, DSC인베스트먼트, 엑스페릭스, 나우IB, 토마토시스템 등 퓨리오사AI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

유가 하락에 따른 원가 경쟁력 증대, 관세전쟁 완화 등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유가 하락 및 천연가스 강세로 국내 업체(NCC)의 ECC 대비 원가 경쟁력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5월 납사/에탄 배수는 저유가로 호황기(15~17년)였던 시기와 유사한 5배까지 하락했으며, 다운사이클을 야기했던 원인 중 하나인 고유가가 저유가로 전환되며 원가 경쟁력이 중요한 범용 화학 산업에서 NCC 경쟁 열위는 해소됐다고 분석.
  • 아울러 무역 구조(韓 중간재→中 완제품→美 수입)상 화학은 미-중 분쟁의 피해 산업이라며, 단기간 내 갈등이 완화되기 어렵지만 우려의 정점을 통과한 상황에서 상호관세 인하 등 분쟁 완화라는 방향성만 보인다면 위축됐던 수요/심리는 회복될 것으로 분석. 중국은 관세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18년과 달리 강한 부양책(재정/통화)을 실시할 예정으로, 수요 회복이 반등에 필수적인 상황에서 이구환신(자동차/가전)뿐만 아니라 의류/신발 등의 분야도 회복되며 관련 화학 제품군 개선이 기대된다고 설명.
  • 한편, 공급 부담은 여전(25년 증설 880만톤 vs. 수요 증가 510만톤)하므로 추세적 반등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불황이 장기화됨에 따라 원가 경쟁력 열위에 있는 설비들의 폐쇄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밝힘. 단기간 내 유의미한 수급 밸런스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최악을 통과한 상황에서 공급과잉 정도는 점차 완화될 것으로 전망.
  • 애경케미칼, SK이노베이션, 코오롱인더, LG화학, 이수화학, 롯데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지주사

상법 개정 재추진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대선 주요 후보들이 국내 증시 부양을 위해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주주 친화적인 공약을 쏟아내면서 한화, 삼성물산 등 PBR이 낮은 지주사들이 관련 공약의 수혜주로 꼽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특히, 이날 공개된 정책 공약집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해 주주 전체의 이익이 고려될 수 있도록 원칙을 제시하겠다"며, 상법 개정 재추진을 공식화했음.
  • 지난 26일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자본시장법 시행령이 지난해 12월31일 시행되면서 자사주 보유 비율이 높은 지주회사의 리레이팅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올해 상반기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되며 양호한 주가를 기록했던 지주회사의 주가 상승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또한, 6월3일 대선을 앞두고 국내 증시 부양을 위한 정책이 발표되고 있다며, 국내 증시 부양을 위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전제돼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이사 충실 의무 확장, 소액주주의 주주권 확대, 중복 상장에 따른 더블 카운팅 이슈 등이 해결되면 지주사의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 코오롱, HD현대, 한진칼, 한화, SK, SK스퀘어, 삼양홀딩스, LS 등 지주사 테마가 상승.

게임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2~24년 비효율적인 인력 구조와 마케팅비 규모 등 구조조정을 통해 체질을 바꾼 국내 게임사들의 하반기 계단식 이익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힘. 커버리지 11개사의 작년 분기 평균 매출은 2.48조원에서 올해 2.83조원으로 14%, 영업이익은 3,330억원에서 5,906억원으로 7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불안정한 거시환경 속 방어주 역할을 해냄에 따라 실적 성장을 앞두고 있는 지금이 투자의 적기라고 판단된다고 언급.
  • 아울러 美 법원 판결로 구글/애플 결제 독점이 해제됐다며, 외부결제를 막거나 수수료를 매길 수 없어 자체결제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은 플랫폼 수수료(기존 30%→7.5%안팎) 절감 효과를 얻게된다고 밝힘. 이에 모바일 MMO처럼 순위 노출이 필수인 장르를 제외하고 PC런처나 웹 결제를 즉시 지원할 수 있는 기업들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
  • 또한, 하반기 국내 개발사들이 기대되는 이유는 각자의 주력 장르에서 대형작을 출시할 예정이기 때문으로, 넷마블의 <몬길:스타다이브>, 엔씨소프트의 <아이온2>, 펄어비스의 <붉은사막>, 네오위즈의 등 자체 IP들의 글로벌 성과가 나타날 수 있기에 주가는 강하게 기대감을 반영할 것으로 분석.
  • 위메이드맥스, 조이시티, 시프트업, 위메이드, 웹젠, 카카오게임즈, 데브시스터즈 등 게임 테마가 상승.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하반기 철강 업황 개선 전망 등에 상승

  •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상반기는 정치적 불확실성, 글로벌 통상무역 악화 등 직간접적으로 악재가 철근 수요에 영향을 줬지만, 하반기는 대선 이후 계엄 및 탄핵 국면에서 지연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SOC 투자 재개, 감산 노력에 따른 수급 안정화, 주택 시장 분위기 전환 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이에 올해 4분기는 비용 부담 완화, 스프레드 개선 등으로 분기 중 가장 좋은 수익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 언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한국에 수출하는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하기로 한 가운데, 올해 들어 철강 생산을 줄이는 감산 조치까지 내리면서 4월 조강 생산량이 7.4% 감소했다고 전해짐. 중국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철강 생산을 줄인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이후 4월 조강(쇳물) 생산량은 8,602만 톤으로 전월 대비 7.3% 감소. 하반기 이후부터 좀 더 적극적인 조치가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의 감산에 따른 체감 효과는 서서히 나타날 것으로 전망.
  •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POSCO홀딩스, 동국제강, 포스코스틸리온 등 철강 테마가 상승.

건설 대표주/중소형

경기 부양책 및 금리 인하 기조 등에 따른 건설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한국은행 금리 인하 및 대통령 선거 이후 추가 경정 예산 편성 등 경기 부양책이 나오면 건설시장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음. BNK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건설업종 상승 반전의 계기는 무엇보다 턴어라운드 기대감이라며, 주택 부문의 실적 개선이 추세적으로 이어질 수 있느냐가 중요한데, 긍정적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실물경제, 금리, 정부정책, 수요, 공급 등 5가지 변수로 전망해 보면 향후 주택경기는 상승기조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주요 변수 중에서 실물경제는 부정적이지만, 실물경제가 침체될수록 정부의 경기부양 유인도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또한, 금리는 속도의 문제일 뿐 인하 기조는 분명해 보이기 때문에 주택경기에 우호적이며, 주택경기에 가장 중요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급도 집값을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특히, 공급 부족의 영향은 시간이 갈수록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
  • 한편, IBK투자증권은 GS건설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주택, 건축 부문에서의 대규모 도급 증액과 신사업 부문의 입주 확대 흐름이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 또한, 이니마 매각으로 중장기적인 주가 재평가이 기대된다고 밝힘.
  • GS건설, 대우건설, KCC건설, 아이에스동서, 동부건설, 금호건설, 코오롱글로벌 등 일부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가 상승.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하이브, 에스엠 지분 텐센트에 매각에 따른 한한령 해제 기대감 부각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하이브, 전일 장 마감 후 투자 자산 관리 효율화 목적으로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지분 전량(2,212,237주)을 2,433.46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예정일:2025-05-30) 공시. Tencent Music Entertainment Hong Kong Limited에 매각하는건으로, 해당 주식은 이사회 결의 후 오는 30일 장 종료후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처분될 예정. 이로써 하이브는 2023년 SM 인수전에 참여한 이후 2년여 만에 SM과 지분 관계를 정리하게 됐으며, 카카오와 카카오엔터가 공동체인 점을 감안하면 텐센트는 사실상 SM엔터의 2대 주주로 올라서게 될 예정.
  • 하나증권은 에스엠에 대해 텐센트 뮤직이 2대 주주로 올라서면서 중국 시장에서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15만원에서 17만원으로 상향 조정. 하이브의 공개매수가(12만원)보다 낮은 가격에 블록딜이 이뤄질 경우 오버행 우려가 불가피했던 점을 감안하면, 해당 물량을 텐센트에 매각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고 밝힘. 향후 한한령 완화 시 높은 수혜 기대감을 키우는 요소이자, 기존의 오버행 이슈를 동시에 해소한 긍정적 신호라고 분석.
  • YG PLUS, 알비더블유, 에프엔씨엔터, SM C&C, CJ ENM 등 일부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체코 정부, '한수원 원전계약 10월 총선 이후로 연기 가능성' 발언 등에 하락

  • 27일 체코 정부는 한국수력원자력과의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 계약 체결이 올해 10월 전까지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음. 체코 CTK통신에 따르면,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는 두코바니 원전 사업과 관련해 "2036년 신규 원전 가동 일정은 여전히 유효하나, 계약 시점은 총선 이후가 될 수 있다"고 밝혔음. 이어 "현 정부가 계약을 체결할 수 있길 여전히 희망한다"면서 "하지만 이젠 이뤄질지 모르겠다. 우리가 아니라 법원 손에 달려있다"고 언급.
  •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은 체코 신규원전 계약이 10월 이후로 연기될 수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가능한 빨리 체결하겠다'는 체코 정부의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힘.
  • 우리기술, 우진엔텍, 비에이치아이, 일진파워, 에너토크, 서전기전,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리포트요약

#하이트진로

[현대차 / 하희지 / BUY / 목표가 27,000원 / 현재가 19,280원]

비용효율화 중심으로
  • 하이트진로 1Q25 연결 기준 매출액은 6,128억원(-1.3%yoy), 영업이익 627억원(+29.7%yoy, OPM 10.2%)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
  • 하이트진로 비우호적인 영업 환경 속 내수 수요 회복 더디게 나타나는 점 아쉬움. 다만, 이익 측면 마케팅비 축소 및 맥주 가격 인상 통한 수익성 개선 기조 지속 기대

#유한양행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05,200원]

글로벌 매출액 3조, 경영효율화 부재가 허들
  • 레이저티닙 글로벌 매출액 3조 가정 시(2027년 하반기 도달 예상) 유한양행에게 유입되는 예상 수익은 약 3,000억원 (환율 1,400원/달러)
  • 유한화학 이익은 연평균 300억원 수준 달성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두산

[BNK투자 / 김장원 / 매수 / 목표가 600,000원 / 현재가 474,000원]

기대치를 더 높여도 될 사업 경쟁력
  • 전자BG 중심의 자체사업 수익 호조
  • 주력 자회사의 기세

#한국앤컴퍼니

[현대차 / 장문수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6,690원]

ES 개선 vs. 사업회사 인수후 부담
  • 지난 1Q25 영업이익은 사업회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당기순이익 감소 영향으로 지주부분 이익 감소했지만, ES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사업계획대비 크게 상회해 전년동기비 각각 19%, 50% 증가한 실적 기록
  • ES 부문은 AGM 배터리 시장 호조로 물량 증가, 대응을 위한 CAPA 확대(‘23년 0.91억대→‘30년 1.84억대, CAGR 11%)와 테네시 정상화로 수익성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

#기아

[유진투자 / 이재일 / BUY / 목표가 120,000원 / 현재가 88,200원]

불확실성 감안하더라도
  • 관세 리스크 완화
  • 불확실성 감안해도 너무 싼 주가
  • 확실한 이익 창출 능력

#SK하이닉스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260,000원 / 현재가 202,500원]

닫혀있는 주가 상단
  • 재고 증가 속, DRAM 투자 확대
  • 단기 호조 vs. 장기 불확실성 확대

#SK하이닉스

[현대차 / 노근창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202,500원]

수요의 Upside에 주목할 때
  • Sovereign AI, Stargate, GPU as a Service 등 수요 Upside에 주목할 때

#CJ

[유안타 / 이승웅 / Buy / 목표가 157,000원 / 현재가 134,000원]

믿을맨, 올리브영
  • 1Q25 Review: 상장 자회사 부진
  • 끝나지 않는 성장

#세아베스틸지주

[다올투자 / 이정우 / N BUY / 목표가 N 28,000원 / 현재가 20,350원]

신사업으로 시선을 돌려보면
  • 국내 특수강 1위 기업.
  • 항공방산소재 및 원전 CASK등의 신사업 진행 중으로 건설경기 회복 이후의 성장세 기대.

#KCC

[LS / 정경희 / N Buy / 목표가 N 342,000원 / 현재가 283,000원]

기업가치 제고 기대주
  • 안정적인 수익성을 구축한 삼각편대 포트폴리오
  • ’25년 기업가치 제고는 비영업수익에서, 삼성물산과 HD한국조선해양 보유 지분 활용에 대한 시장 기대
  • 기업가치 제고 정책이 강화된다면 관심을 가져야 할 회사

#대웅

[다올투자 / 박종현,이정우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19,320원]

2026부터는 그림이 달라질 수도
  • 1Q25 주요 자회사인 대웅제약과 대웅바이오의 견조한 실적을 기반으로 호실적 달성, 적정주가 2.8만원 유지
  • 2026년 주요 자회사의 생산 거점 완성

#삼양식품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1,400,000원 / 현재가 1,129,000원]

해가 지지 않는 공장
  • 관세 우려보다는 수출 모멘텀이 반영될 시기
  • 하반기에도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

#대한항공

[하나 / 안도현 / BUY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2,550원]

과도기에 확인해야 할 것들
  • 식구가 많아졌어요
  • 아시아나항공의 퍼포먼스도 중요
  • 경쟁 완화 가능성

#LG

[유안타 / 이승웅 / Buy / 목표가 86,000원 / 현재가 67,900원]

자회사 실적 개선 지속
  • 1Q25 Review: 자회사 실적 개선
  • 그룹 AI의 핵심, AI 연구원

#삼영

[하나 / 권태우,손호성 / 현재가 3,900원]

저마진 정리 끝, 신라인 시동, 실적 모멘텀 본격화 기대
  • 1분기 리뷰: 제품 믹스 개선과 고정비 절감 효과로 수익성 개선
  • 커패시터 필름: 시생산 안정화와 신규 수요 확대가 동시에 나타나는 구간
  • 구라인 안정화 + 신라인 가동 → 복합 성장 가속 전망

#현대제철

[유안타 / 이현수 / Buy / 목표가 41,000원 / 현재가 26,200원]

정상화 그리고 집중
  • 중국발 호재 기다리는 중
  • 봉형강, 업황 정상화 위한 행보 지속
  • 미래와 주력 사업에 집중

#현대제철

[다올투자 / 이정우 / N BUY / 목표가 N 37,000원 / 현재가 26,200원]

Make Hyundai Steel Great Again
  • 미국 전기로 가치 30억 달러 추정. 25% 지분율 가정 시 시총의 약 29% 수준.
  • 기 발표된 중국산 후판 이외 열연 관세 부과도 기대.

#신세계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73,2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1.66조원(+3.2%, 이하 yoy), 영업이익 1,004억원(-14.6%), 2025E 매출액 6.83조원(+4.0%), 영업이익 5,065억원(+6.2%) 전망
  • 백화점: 2분기까지 큰 폭의 매출 회복 어렵지만 하반기부터 리뉴얼 매장 오픈 효과 및 대선 이후 정치·경제 상황 안정화되며 소비 심리 강화 예상
  • 면세점: 남은 영업 면적을 단가 높은 명품으로 채우며 매출 신장 기대. 임차료 감면 협상은 긍정적으로 진행중이며 이에 따라 적자폭 개선 가능

#성신양회

[한국IR / 김선호,이희경 / 현재가 8,610원]

천마표 시멘트 제조사
  • 천마표 시멘트 제조
  • 시멘트 업황 턴어라운드 시기에 매력 상승
  • 순환연료 대체율 상승

#현대차

[유진투자 / 이재일 / BUY / 목표가 280,000원 / 현재가 181,900원]

하반기 기회는 온다
  • 관세 리스크 완화
  • 휴머노이드 로봇
  • 핵심은 미래차 기술 경쟁력

#POSCO홀딩스

[다올투자 / 이정우 / N BUY / 목표가 N 370,000원 / 현재가 237,000원]

쌍바닥은 이미 모두 경험했다
  • 중국 후판 잠정관세 부과 시작.
  • 리튬사업 2027E 흑자전환 기대.

#에스엘

[유진투자 / 이재일 / BUY / 목표가 36,000원 / 현재가 30,050원]

관세 피크아웃을 기다리며
  • 단기 수익성 리스크
  • 신공장 가동과 로보틱스 수혜
  • 장기 성장 전망은 양호

#삼성전자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3,900원]

칠전팔기
  • 재고 증가 속, DRAM 투자 확대
  • DRAM 기술 경쟁력 회복 중
  • 반도체 업종 Top Pick 유지

#삼성전자

[현대차 / 노근창 / BUY / 목표가 71,000원 / 현재가 53,900원]

HBM 체질 개선 필요 / Box권 접근 유효
  • 원화 강세와 Foundry 수익성 회복 지연으로 연간 이익 전망 하향 / Box권 접근 유효

#GS건설

[IBK투자 / 조정현 / 현재가 21,000원]

펀더멘털이 바뀔 것이다. 이제는 리레이팅을 기대할 시점
  • 2Q25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음
  • 이니마 매각 예정. 아쉬움보다는 무엇이 바뀔수 있는지를 지켜보자

#서부T&D

[iM / 이상헌 / 현재가 7,660원]

드래곤시티호텔 Q 증가가 P 상승을 이끈다
  • 인바운드 관광 수요 양적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OCC 증가 ⇒ ADR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매출증가로 인한 레버리지 효과 본격화 되면서 실적개선 가속화

#GS리테일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8,000원 / 현재가 14,8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3.04조원(+3.6%, 이하 yoy), 영업이익 524억원(-35.4%) 전망, 2025E 매출액 12.0조원(+3.2%), 영업이익 2,468억원(+3.2%) 전망
  • 편의점: 편의점 전체 객수 하락과 당사 매장수 순감 진행되며 실적 부진 기록. 연간 매장수 출점 하향(500~600->250~300개) 되며 실적 타격 불가피
  • 슈퍼: 연간 매장수 출점은 70개 유지. 전년 높은 기존점 성장률 기저로 올해는 성장 다소 둔화될 것
  • CEO 변경되며 사업 재정비 기간 갖는 중. 당분간은 주요 사업부의 외부/내부적 상승 모멘텀 부재하나 재정비 이후 다시 관심 필요

#호텔신라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56,000원 / 현재가 48,9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10,452억원(+4.2%, 이하 yoy), 영업이익 79억원(-71.4%) 전망, 2025E 매출액 4.07조원(+3.2%, 이하 yoy), 영업이익 517억원(흑전) 전망
  • 전체 면세 매출은 비효율 도매 매출 하락을 공항점 소매 매출 증가가 상쇄하며 연간 flat 추정
  • 면세 수익성은 개선 여지(도매 고객 할인율 하락, 공항 임차료 2~30% 감소 협상, 비효율 인력 인력 감축, 비주력 사업 정리)

#HD한국조선해양

[유안타 / 김용민,조혜빈 / N Buy / 목표가 N 420,000원 / 현재가 296,000원]

제한적인 리스크, 열려있는 상방
  • 조선업체 실적 개선의 최종 수혜주
  • HD현대의 추가 지분확대 가능성 존재

#삼성중공업

[유안타 / 김용민,조혜빈 / N Buy / 목표가 N 22,000원 / 현재가 16,350원]

FLNG야 부탁해 - pure value pick
  • FY25F 매출 가이던스 부합, 영업이익 가이던스 상회 예상
  • 아쉬운 점은 방산의 부재와 상대적 달러 강세
  • 실적도, 주가도, FLNG가 차별화 요인
  • SOTP-based 목표주가 22,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HD현대미포

[유안타 / 김용민,조혜빈 / N Buy / 목표가 N 229,000원 / 현재가 189,300원]

하던 일 잘 하는 중입니다
  • FY25-26F OPM 성장세 두드러질 것
  • 방산과는 관계없지만, 가스선의 추가수주가 관건

#S-Oil

[LS / 정경희 / N Hold / 목표가 N 48,000원 / 현재가 56,500원]

약세 사이클에 추가되는 화학 설비
  • 동사 정제마진 ‘25년 하반기 개선 가능성 높지 않을 듯
  • Shaheen이 완공되지만, 약세 사이클이라는 점이 문제
  • 위에 따라 배당주로의 회복 당분간 지연, Hold의견 제시

#롯데케미칼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매수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57,900원]

4분기 흑자전환 기대
  • 하반기 회복 방향성은 유효
  • 2분기 조정 이후 개선 흐름 지속
  • 우려보다 기대를

#HMM

[하나 / 안도현 / Neutral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21,750원]

잔치 아직 안 끝났다
  • 미- 중 관세 유예 이후 SCFI 반등
  • 불확실성 중첩
  • 2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이 기다린다

#금호석유화학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매수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12,400원]

일시적 조정에 불과
  • 하반기 펀더멘탈 개선세는 유효
  • 주요 사업부별 개선 포인트 有
  • 업종 내 차별화된 주가 기대

#금호석유화학

[LS / 정경희 / N Hold / 목표가 N 127,000원 / 현재가 112,400원]

안정적 수익 창출 장점이나 추가 모멘텀 부재
  • 합성고무, EPDM/TPV, 기타부분 안정적 수익성 예상
  • 성장하려면 1)타이어 수요의 유의미한 개선, 2)수지 턴어라운드, 혹은 3)Specialty 확장 전략 필요
  • 공식적인 주주환원 정책(배당금 및 자사주) 긍정적이나 신성장 전략 부재 아쉬워

#금호석유화학

[IBK투자 / 이동욱 / 매수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12,400원]

기초유분 공급 과잉에 따른 반사수혜 지속
  • 부타디엔 가격 안정화로 원가 개선 전망
  • EPDM 증설 완료로 세계 3위 지위 유지 전망
  • 국내 타이어 업체 화재로 인한 영향 제한적

#현대모비스

[유진투자 / 이재일 / BUY / 목표가 325,000원 / 현재가 243,000원]

새로운 기회
  • A/S 부문의 고수익성 지속
  • 로보틱스의 새로운 기회
  • 하반기 Top Pick

#SK텔레콤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1,800원]

6월 전략 - 이젠 매수해도 됩니다
  • 매수 의견/12개월 목표가 7만원 유지, 단기 낙폭 과대를 매수 기회로 활용
  • 펀더멘털 훼손 크지 않을 것, 2분기 및 2025년 실적 우려 과도한 상황
  • 외국인 매도 물량 줄어들면서 SKT 주가 반등 예상

#삼성SDS

[하나 / 이준호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33,700원]

하반기 차선호주 제시
  • 1Q25 Re: 컨센서스 상회
  • AI 에이전트 보급화 수혜 기대

#롯데쇼핑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77,3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순매출액 3.50조원(+2.1%, 이하 yoy), 영업이익 701억원(+25.0%) 전망, 2025E 순매출액 14.15조원(+1.2%), 영업이익 5,989억원(+26.6%) 전망
  • 백화점: 2분기는 본점, 잠실점, 전주점 리뉴얼 오픈으로 1분기 대비 실적 개선 가능할 것/ 그로서리: 경쟁사 영업 종료 반사 수혜, PB/가성비 제품 매출 성장 예상
  • 해외 백화점은 기존 운영점인 하노이, 호치민, 자카르타 영업이익률 5%수준 연간 유지 가능, 최근 오픈한 웨스트레이크 1분기 흑자는 연간 유지 기대

#삼성물산

[DS투자 / 김수현,강태호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50,500원]

바이오/반도체/SMR, 미래 산업의 실소유주
  •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 분할의 핵심 수혜
  • 최대 20조원 규모의 자금 확보 여력
  • 그룹 바이오 / 반도체 지배구조의 정점으로 부상
  • 모멘텀 발생으로 보유자산 대비 현저히 저평가 된 점 부각될 것

#팬오션

[하나 / 안도현 / BUY / 목표가 4,800원 / 현재가 3,620원]

조금만 기다려 보세요
  • 시황 낮으나, 안정적 이익 흐름 이어갈 것
  • 2027년을 기다리며
  • P/B 0.3배, P/E로도 5배 대

#KT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51,300원]

6월 전략 - 잠깐만 쉬다 갈게요
  • 통신서비스 업종 12개월 Top Pick 유지
  • 2분기 실적 더 좋고 DPS 추가 상향 가능성 있어 주가 고점 아직 멀었다
  • 단 6월만 보면 재료 부족한 시점, 7월 주가 다시 오를 것

#신세계인터내셔날

[대신 / 유정현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10,910원]

실적 회복 예상되나 속도는 다소 더딜 전망
  • 브랜드 집객력 하락, 경기 요인과 맞물리며 실적 악화
  • 다수의 브랜드들의 코어 경쟁력 희석
  • 하반기 실적 회복 예상되나 타사 대비 회복 속도 더딜 것으로 전망

#LG유플러스

[하나 / 김홍식,이상훈 / BUY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2,860원]

6월 전략 - 단기 오버 슈팅 나올 수 있다
  • 올해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자사주 발표하면서 신정권 출범 이후 주가 오를 것
  • 아직 주가 고점 아님에 주의, 재료 남아 있어 매도 타이밍 늦춰야

#KT&G

[iM / 이경신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23,500원]

2H25 Outlook
  • 2H25 Outlook

#SK

[유안타 / 이승웅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40,100원]

리밸런싱 진행 중
  • 1Q25 Review: 비상장, 자체사업 이익 개선
  • 올해도 재무구조 개선 지속

#NAVER

[키움 / 김진구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3,800원]

AI 차별화 요구
  • 쇼핑 밸류 확장 필요

#NAVER

[하나 / 이준호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183,800원]

에이전트 시대에도 경쟁력 유효
  • AI 에이전트 시대에서도 강점 유지
  • 광고와 커머스, 둘 다 든든

#카카오

[키움 / 김진구 / BUY / 목표가 70,000원 / 현재가 40,950원]

서드파티 확장 잠재력
  • 인터넷 업종 최선호주
  • 자율형 에이전트 주목
  • 서드파티 잠재력 주목 필요

#카카오

[하나 / 이준호 / BUY / 목표가 50,000원 / 현재가 40,950원]

하반기 카카오톡 개편, 통합 에이전트 성과가 중요
  • 에이전트를 위한 재료는 넘친다
  • 하반기 카카오톡 개편 예정

#한국가스공사

[현대차 / 강동진,김성훈 / MARKETPERFORM / 목표가 43,000원 / 현재가 41,200원]

저유가와 요금 인상이라는 변수
  • LNG도매판매 관련 이익은 요금 기저 축소, 미수금 이자 감소 등으로 전년비 감소
  • 해외 광구 이익은 모잠비크 증산이 있겠지만, 저유가로 전년비 감소 전망
  • 미수금 축소는 결국 요금 인상이 관건이 될 전망
  • 저유가 환경에 따른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 혼재. 요금인상이 중요한 모멘텀

#엔씨소프트

[키움 / 김진구 / BUY / 목표가 300,000원 / 현재가 157,600원]

내부 자신감을 이해할 필요
  • 게임 업종 최선호주
  • 26년 매출 가이던스 함의

#파워넷

[한양 / 이준석 / 현재가 2,335원]

실적을 보라, 신사업의 파워는 강력했다
  • 안정적인 기존 사업에 EMS 및 배터리 신사업 추가
  • 2025년 1분기, OP 44.2억 원 기록

#에스엠

[하나 / 이기훈,김현수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29,900원]

텐센트 뮤직 2대주주 등극
  • 하이브 보유 지분을 텐센트뮤직이 전량 인수
  • 텐센트 뮤직과의 다양한 시너지 예상

#한화오션

[유안타 / 김용민,조혜빈 / N Buy / 목표가 N 102,000원 / 현재가 78,800원]

방산의 한화 - 안 비쌉니다
  • 2H25F 지속적인 영업이익률 개선 예상
  • 방산 관점의 대장주
  • SOTP-based 목표주가 102,000원 제시. Sector top pick

#LG생활건강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420,000원 / 현재가 324,5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1.76조원(+0.2%, 이하 yoy), 영업이익 1,365억원(-13.9%), OPM 7.7%전망, 2025E 매출액 6.84조원(+0.5%), 영업이익 4,958억원(+8.0%)
  • 2분기 다소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나 하반기부터는 기저 낮아지며 실적 반등 기대. 국내 뿐만 아니라 중국 외 미국, 일본 등의 매출 성장 예상
  •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해 현지 시장 대응 강화. 1) 북미: CNP, TFS, 닥터그루트의 신성장 채널(아마존) 고성장에 힘입어 아마존 직접 운영을 통한 적극적 마케팅으로 매출 모멘텀 강조, 2) 일본: CNP, 힌스 일본 매출 안정적 성장 흐름. 수익성 역시 한자릿수 이상 기대

#LG화학

[LS / 정경희 / Hold / 목표가 174,000원 / 현재가 182,900원]

이차전지+화학+CAPEX 부담
  • 동사는 연결 기준 이차전지 업황 영향 높아
  • 화학 및 배터리외 사업, 지금은 CAPEX 집행기
  • 회사는 CAPEX 투입중, 이에 따른 수익 성장과 환원은 시차를 두고 발생할 듯

#스카이라이프

[현대차 / 김현용 / BUY / 목표가 5,400원 / 현재가 4,560원]

실적 바닥 확인 vs 감소하는 매출
  • 1분기 상각비 부담 줄어들며 51억원 영업이익 기록
  • 1분기 가입자 동향: 전분기 대비로는 개선되었지만 전년동기대비로는 악화세 뚜렷
  • 견조한 별도 실적을 기반으로 올해부터 계단식 이익 정상화 가시권

#엠로

[하나 / 이준호 / 현재가 48,750원]

하반기 추가 레퍼런스 기대
  • 글로벌향 SaaS 기대
  • 케이던시아, 3번째 계약 체결
  • 성장과 주가의 트리거는 케이던시아

#NHN KCP

[한국IR / 김태현,박규연 / 현재가 7,330원]

적극적인 해외 진출과 종합결제서비스사로의 도약
  • PG중심의 종합결제회사
  • 해외 진출을 통한 매출 성장 기대
  • 신규 사업을 통한 종합결제서비스사로의 도약에 대한 기대

#KH바텍

[대신 / 박강호 / Buy / 목표가 15,000원 / 현재가 9,560원]

2025년, 2026년 최고 매출을 예상!
  • 2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153%(qoq), 310%(qoq) 증가 추정
  • 2025년 매출(3,914억원)으로 최고 예상. 힌지모듈의 ASP 상승
  • 2026년 최고 매출 경신 전망 : 전장부품 매출의 본격화, 재평가 전망

#현대로템

[BNK투자 / 이상현 / 매수 / 목표가 180,000원 / 현재가 141,200원]

K2 전차 수출 본격화로 하이틴 마진에 돌입
  • K2전차 수출 본격화로 1분기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달성
  • 폴란드향 2차 이행계약 및 그 외 해외 수주 플로우 기대감 유효

#현대로템

[DB / 서재호 / Buy / 목표가 190,000원 / 현재가 141,200원]

아직도 늦지 않았다
  • 전차 수요가 급증하는 구간, K2의 화력은 이제부터다
  • 상저하고의 흐름, 27년까지 계속되는 성장

#티씨케이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7,100원]

중화권 매출 비중 확대
  • 고객 대변화 성공 중
  • 10세대 V-NAND 장비 변화에 주목
  • 반도체 업종 Top Pick 유지

#셀트리온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220,000원 / 현재가 155,600원]

4분기 신제품 효과를 기대해볼까?
  • 2025년 1분기 재고조정과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뚜렷한 상승 추세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됨
  • 향후 매출 성장률 회복이 셀트리온의 이익 성장의 핵심 동력
  • 셀트리온은 하반기로 갈수록 신제품 매출 기여도 상승에 따른 매출 성장률 상승을 전망함

#현대백화점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87,000원 / 현재가 69,7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1.05조원(+2.7%, 이하 yoy), 영업이익 833억원(+94.4%) 전망, 2025E 매출액 4.34조원(+3.5%), 영업이익 3,988억원(+40.4%) 전망
  • 백화점: 2분기보다는 하반기부터 국내 외부 소비 심리 회복되며 실적도 턴어라운드 예상. 더현대서울점 임차료 구조에 따른 기저 부담은 2분기부터 상쇄
  • 면세점: 면세 산업 경쟁 강도 완화로 대량 판매 마진율 개선 및 부진점 폐점을 통한 운영 비용 효율화로 연간 흑자 전환 기대

#현대백화점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80,000원 / 현재가 69,700원]

낭중지추
  • 업종 내 가장 편안한 선택지가 될 것
  • 백화점 실적 개선과 면세점 적자 축소
  • 더욱 높아진 주주환원 정책 이행 의지로 하방 탄탄

#제주항공

[미래에셋 / 류제현,김주희 / 중립 / 목표가 7,000원 / 현재가 6,630원]

시장 입지 축소
  • 1Q25 Review: 사고 여파 불가피
  • 사고 여파에서는 벗어나겠지만 여전히 남은 고민

#아모레퍼시픽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36,3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1.0조원(+10.5%, 이하 yoy), 영업이익 696억원(+1575%) 전망, 2025E 매출액 4.29조원(+10.5%), 영업이익 3,835억원(73.9%) 전망
  • 화장품 해외(서구권): 북미 +79%, 유럽 +219% 고성장 시현하며 해외 내 서구권 비중 45% 달성하며 중국 외 국가로의 다각화 성공
  • 인수한 코스알엑스 뿐만 아니라 자체 브랜드(라네즈, 이니스프리, 설화수, 에스트라)가 고르게 온오프라인 채널 확장과 신제품 출시 호조 지속되고 있음

#칩스앤미디어

[현대차 / 박준영 / BUY / 목표가 22,000원 / 현재가 15,020원]

꾸준한 성장, 견조한 이익 체력
  • 중국 AI 굴기 & 온디바이스 AI 수혜 점진적으로 진행중

#네오위즈

[신한투자 / 강석오,고준혁 / 매수 / 목표가 30,000원 / 현재가 25,050원]

<브라운더스트> 역주행과 DLC
  • 호실적과 신작 기대감 반영 중
  • 1Q25 Review: <브라운더스트2> 역주행 효과
  • 기존작 역주행 및 신작 기대감 반영 중

#SK이노베이션

[LS / 정경희 / Hold / 목표가 71,000원 / 현재가 82,000원]

배터리와 정유, 당분간 저수익성 예상
  • ’24년 SK E&S 합병 등 수익기반 강화 추진, ’25년 비배터리부문에서 수익 규모 증가
  • 시장 기대를 하회하는 북미/유럽 시장의 BEV 판매에 따라 SK온의 수익성 개선 더딜 듯
  • 현 시점은 이차전지 및 정유 약세 시점, ROE 대비 PBR 수준이 낮다고 하기 어려워

#아이센스

[다올투자 / 박종현,이정우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5,950원]

그 관심을 돌릴 수 있다면
  • 1Q25 매출액 아크레이향 판매 증가로 YoY +11%. CGM 매출액 31억원 달성
  • YoY +79%. 파트너십 지연으로 추정치 및 적정주가 하향

#한세실업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4,000원 / 현재가 10,4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4,721억원(+5.4%, 이하 yoy), 영업이익 312억원(-26.7%) 전망, 2025E 매출액 1.92조원(+6.9%), 영업이익 1,270억원(+8.7%) 전망
  • 경기 민감도 높고 매출 비중 높은 마트 오더 단가 하락과 매출 부진은 미국의 상호 관세 이슈 해결 전까지 지속 예상하나 최저점 지나는 중이라고 판단. 고단가 브랜드 (에어로포스텔, 칼하트, 갭/올드네이비) 오더는 비교적 나은 수준
  • 베트남 공장 라인 증설과 인도네시아 우븐 공장 가동 시작으로 운영 비용 증가하며 당분간 영업이익 하락 요소로 작용. 가동률 안정화 이후에는 실적 기여 요인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나 / 이기훈,김현수 / BUY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1,000원]

예전의 YG가 아닙니다
  • 블랙핑크 월드 투어는 직전 대비 회당 2배 규모
  • 너무 늦었기에 더욱 반가운 변화

#코리아에프티

[LS / 이병근 / Buy / 목표가 6,900원 / 현재가 4,370원]

실적 좋고, 관세 리스크 없고
  • 1Q25 매출액 1,957억원(+10.4% YoY, +1.3% QoQ), 영업이익 115억원(+45.5% YoY, +13.5% QoQ, OPM 5.9%)을 기록
  • 하이브리드향 제품 매출 확대 진행 중

#코리아에프티

[하나 / 송선재,강민아 / 현재가 4,370원]

산업 트렌드가 유리한 방향으로 진행
  • 1Q25 Review: 영업이익률 5.9% 기록
  • 2025년 매출액/영업이익 4%/7% 증가할 것으로 예상
  • P/E 4배 이하의 Valuation 기록 중

#한미약품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380,000원 / 현재가 306,000원]

연말 Re-rating 가능성에 기대
  • MK-6024(에피노페그듀타이드): 2020년 MSD에 기술이전한 MASH 치료제, 2025년 말 글로벌 임상2상 결과가 발표될 예정
  • MSD는 MK-6024 글로벌 임상 4개를 진행 중이며, 2024년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서도 연내 긍정적 임상 데이터를 발표할 것 으로 언급함

#두산테스나

[현대차 / 박준영 / BUY / 목표가 32,000원 / 현재가 22,300원]

전방 수요 회복을 기다리며
  • 점진적 실적 개선 기대

#에스디바이오센서

[다올투자 / 박종현,이정우 / N REDUCE / 목표가 N 9,000원 / 현재가 12,070원]

탈줄구 필요
  • 여엉ㅂ 적자 추이 지속
  • RAPID 진단의 한계를 직판이나 M&A 통해 해소 시도하지만 비용 부담이 부각받는 구간

#이마트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110,000원 / 현재가 87,500원]

숫자로 증명한다
  • 대선과 추경, 그리고 이마트
  • 상반기는 체질 개선, 하반기는 외형 성장 기대
  • 본업 경쟁력 강화 초점

#리가켐바이오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16,000원]

Sustainable Growth
  • 상업성이 높은 신약 파이프라인들의 개발과 임상이 진전되고 있어 지속적인 기업가치 상승 기대할 수 있는 유망 바이오텍
  • 리가켐바이오의 핵심 파이프라인 LCB84, LCB14, LCB71, LCB97의 가치, 기타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가치를 합산하여 산출

#뉴파워프라즈마

[IR큐더스 / 배주화 / 현재가 4,920원]

해외 고객사 다변화로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국내 유일의 플라즈마 공정 핵심 모듈 제조사
  • 미세화 트렌드에 발맞춰, 반도체/디스플레이 업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2025년 1분기 별도 기준으로 매출액 391억원, 영업이익 72억원, 당기순이익 56억원을 기록

#한국콜마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15,000원 / 현재가 83,9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7,353억원(+11.4%, 이하 yoy), 영업이익 817억원(+13.9%), 2025E 매출액 2.76조원(+12.4%), 영업이익 2,537억원(+30.9%)
  • 국내(간접수출 포함)는 시장의 K-Beauty 트렌드 하락 우려 불식시킬 정도. 2분기는 선케어 성수기 감안 시 화장품 ODM(국내, 미국, 중국)은 양호한 실적 전망
  • 미국 연간 가이던스 상향 기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후 잠재 고객사들의 미국 생산 문의 폭주.일부 고객은 하반기 생산 시작하고 대다수는 내년 시작될 것

#더블유게임즈

[신한투자 / 강석오,고준혁 / 매수 / 목표가 74,000원 / 현재가 50,800원]

외형 성장과 주주환원 동시에 기대
  • 단기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
  • 신사업 성장 순항 중
  • 외형 성장과 주주환원이 이끌 밸류에이션 확장

#코스맥스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270,000원 / 현재가 207,5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6,539억원(+18.6%, 이하 yoy), 영업이익 645억원(+38.2%), 2025E 매출액 2.52조원(+16.2%), 영업이익 2,214억원(+26.2%)
  • 국내 매출(인디 브랜드)의 견조한 성장세와 더불어 동남아의 고성장 지속되며 다소 아쉬운 미국과 중국의 실적 상쇄시킬 것. 늘어나는 선케어 비중도 실적 받쳐줄 것
  • 미국 트럼프 관세 우려에 따른 미국 생산 수요는 현재 브랜드들과 협상 중으로 하반기 혹은 내년 가시적인 성과 발생 가능

#데브시스터즈

[신한투자 / 강석오,고준혁 / 매수 / 목표가 53,000원 / 현재가 38,500원]

다시 <쿠키런>을 주목해야 할 때
  • 하반기에도 호실적과 신작 성과 기대 가능
  • 높아진 기초체력은 신작 기대감을 높인다
  • 운영 역량, 글로벌 IP 가치 다시 반영할 시점

#알테오젠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400,000원 / 현재가 344,000원]

이제는 실적주
  • 2024년부터 흑자 전환하며 지속적인 이익 창출 예상
  • 특허 소송 및 SC 제형에 대한 프리미엄 축소 가능성 등의 우려가 제기되며 높은 주가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
  • 이제는 실적주. 2026년부터 실적 성장에 따른 펀더멘탈이 강화되는 기업가치 상승을 기대하며 투자할 시점

#제이앤티씨

[유진투자 / 박종선 / BUY / 목표가 26,000원 / 현재가 17,050원]

1Q25 Review: 4분기 신사업 양산 기대
  • 1Q25 Review: 주요 고객의 판매 부진 등으로 인하여 4분기 연속 강화유리 매출 부진, 당사 추정치 크게 하회함
  • 2Q25 Preview: 하반기에 강화유리 매출 회복 및 신사업(유리기판, HDD 등)의 양산 본격화로 실적 반영 기대

#HL만도

[흥국 / 최종경,송지원 / BUY / 목표가 45,000원 / 현재가 33,200원]

믹스 개선 지속, 외부 변수는 부담
  • 1Q25 Review: 매출액 +8%, 영업이익 +5% YOY
  • 다변화된 고객사를 통해 실적 방어

#유바이오로직스

[상상인 / 하태기 / N BUY / 목표가 N 19,000원 / 현재가 13,280원]

2025년 실적 대폭 성장 전망
  • 콜레라 백신 매출증가, 영업이익 대폭 증가
  • 2025년 공급계약 대폭 증가, 매출은 하반기에 60% 몰려
  • 콜레라 백신 생산 CAPA 대폭 증대

#삼성바이오로직스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1,300,000원 / 현재가 1,026,000원]

인적분할을 통한 가치 상승 예상
  • 삼성바이오로직스
  • - 견조한 CDMO 산업의 성장성 및 수익성이 돋보일 것
  • - 생산 능력 확대 및 생산 모달리티 확장, 바이오시밀러 신제품들의
  • 삼성바이오에피스
  • -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공격적인 확장 기대
  • - 신약 및 투자 부문의 성과 가시화 기대

#심텍

[현대차 / 박준영 / BUY / 목표가 23,000원 / 현재가 18,660원]

터널을 지나는 중
  • 1분기 예상외 호실적, 하반기 반도체 수요 주시 필요

#심텍

[대신 / 박강호 / Buy / 목표가 28,000원 / 현재가 18,660원]

GDDR7 성장이 높다, 비메모리 믹스 효과도 확대
  • 2025년 2Q 영업이익 53억원으로 흑자전환(qoq) 추정, 하반기 확대 전망
  • 서버향 GDDR7 수요 확대, AI 인프라 투자에서 경쟁력 부각
  • 비메모리(FC CSP, SiP) 매출 증가, 믹스 효과가 3Q25 본격화 예상

#피엔에이치테크

[현대차 / 김종배 / MARKETPERFORM / 목표가 5,500원 / 현재가 5,460원]

단기적인 모멘텀 부재, 시선은 저 멀리
  • 1분기 매출액은 70억원(yoy -33%), 영업이익은 5억원(YoY -262%, OPM 6.6%) 수준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매출과 이익 모두 감소하였음
  • 실적 감소의 주된 원인은 1) Tablet향 소재 매출 부진, 2) 고객사의 발광층 소재 수요 감소 등임
  • 이러한 상황은 단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올해는 실적부진이 이어질 것

#원익IPS

[키움 / 박유악 / BUY / 목표가 33,000원 / 현재가 21,550원]

메모리 전공정 장비 투자 재개
  • 삼성전자 평택 4공장 투자 확대
  • 원익IPS, 1cnm DRAM 및 HBM 수혜
  • 반도체 업종 Top Pick 추천

#화승엔터프라이즈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3,000원 / 현재가 7,61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 매출액 4,584억원(+17.0%, 이하 yoy), 영업이익 276억원(+47.1%) 전망, 2025E 매출액 1.95조원(+21.2%), 영업이익 1,157억원(+40.1%) 전망
  • 주요 바이어인 아디다스의 가이던스는 매출액 통화 중립 기준 +mid-single-digit 성장(이지 제외 시 +10%), 영업이익률 5%대 중반 제시로 긍정적
  • 올해부터는 주요 모델(삼바, 스탠스미스, 슈퍼스타, 가젤 등) 생산 시작되며 매출 및 믹스 개선에 따른 수익성 상승 기대. 위 모델들은 저단가지만 생산 효율성 높음

#솔루엠

[흥국 / 박희철 / BUY / 목표가 20,000원 / 현재가 15,470원]

분위기 반전 기대
  • 1Q25 Review: 매출액 3,974억원, 영업이익 115억원
  • ESL 매출 성장세에 힘입어 분위기 반전 기대

#넷마블

[신한투자 / 강석오,고준혁 / 매수 / 목표가 79,000원 / 현재가 51,300원]

신작 연전연승
  • 여전히 저평가된 역량, 상승 여력 충분
  • 출시하는 신작마다 연전연승
  • 저평가 해소되며 밸류에이션 확장 전망

#크래프톤

[키움 / 김진구 / Marketperform / 목표가 390,000원 / 현재가 381,000원]

인력 투자와 신작 리스크 고려
  • AI와 신작 변수

#펄어비스

[흥국 / 김지현 / BUY / 목표가 47,000원 / 현재가 38,300원]

미지의 세계
  • SGF부터 TGA까지 게임페스티벌 기대감
  • 의외로 편안한 선택지(였던 것)

#AP시스템

[한국IR / 박성순,김혜빈 / 현재가 16,330원]

반도체로 천천히 이동 중
  •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 업체
  • 반도체 매출 비중 점진적 확대
  • 실적 개선 기대되는 2025년

#HD현대

[LS / 정경희 / N Buy / 목표가 N 130,000원 / 현재가 86,900원]

차근차근 성장하는 배당주
  • 명확한 배당 정책 보유
  • 변동성이 큰 정유중심에서 고성장이 예상되는 조선/전력기기로 포트폴리오 중심축 이동
  • Royalty 및 자회사 배당수익 증가 가시적, 주주 환원과 차입금 감축으로 내실을 다지며 성장중

#에브리봇

[유화 / 고승범 / 현재가 15,890원]

SK그룹과 나무엑스 AI 서비스로봇 출시
  • 청소 서비스 로봇 전문기업
  • SK그룹과 나무엑스 출시
  • 자율주행 AI 전동휠체어

#오리온

[iM / 이경신 / Buy / 목표가 170,000원 / 현재가 111,700원]

2H25 Outlook
  • 2H25 Outlook

#오리온

[신한투자 / 조상훈,김태훈 / 매수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11,700원]

일시적인 부진을 뒤로 하고
  • 약속의 2025년 진입, 기다렸던 반등 시작
  • 우리 잘못은 아닌데…아쉬운 4월 실적
  • 업종 최선호주 의견 유지

#진에어

[하나 / 안도현 / BUY / 목표가 12,000원 / 현재가 9,210원]

제고된 실적 가시성에 주목할 것
  • 비정상적인 경쟁 상황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수익성
  • 2분기보다는 하반기에 주목
  • 통합으로 가는 길

#BGF리테일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140,000원 / 현재가 101,2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2.30조원(+4.5%, 이하 yoy), 영업이익 808억원(+6.0%) 전망, 2025E 매출액 9.13조원(+4.9%, 이하 yoy), 영업이익 2,686억원(+6.8%) 전망
  • 1분기 객수 감소가 매출 둔화로 이뤄졋던 만큼. 2분기~하반기는 객수 증가를 위한 노력 펼칠 것
  • 건기식, 뷰티, 음반 등 중장기 카테고리 강화하며 신규 고객 창출과 식품 외 매출 다각화 노력

#카카오게임즈

[키움 / 김진구 / Outperform / 목표가 19,000원 / 현재가 16,000원]

새로운 시도와 변화 긍정적
  • 새로운 시도/변화

#HDC현대산업개발

[IBK투자 / 조정현 / 현재가 23,800원]

두려워 말라, 우리는 성장할 것이다.
  • 2건의 사고에 대한 행정처분 흐름 정리
  • 2027년까지 확보된 탑라인/수익성 성장

#효성티앤씨

[신한투자 / 이진명,김명주 / 매수 / 목표가 350,000원 / 현재가 255,000원]

글로벌 1위, 지금은 사야할 때
  • 전 사업부가 좋아진다
  • 체질 개선 완료, 업황 회복과 드러날 차별화된 경쟁력
  • 주가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

#에이비엘바이오

[유진투자 / 권해순 / BUY / 목표가 100,000원 / 현재가 82,600원]

Grabody B 가치 신규로 반영, 목표주가 상향
  • Grabody-B 를 통해 BBB 셔틀 플랫폼 분야에서 Dark Horse로 부상, 중장기 기업가치 상승을 전망함
  • 2025년은 ABL 2.0 단계가 만개하는 시기, 차세대 도약의 시대를 준비하는 기간이 될 것
  • 바이오 기업 중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Top pick으로 제시

#세아제강

[다올투자 / 이정우 / N BUY / 목표가 N 210,000원 / 현재가 167,500원]

나 혼자만 가격 상승
  • 미국 OCTG 가격 상승에 따른 ASP 상승 수혜
  • 전망. 내수 전방 수요 회복 시 레벨업된 수출 ASP가 이익성장 견인 가능.

#현대오토에버

[유진투자 / 이재일 / BUY / 목표가 215,000원 / 현재가 144,300원]

스마트팩토리와 로보틱스의 결합
  • 차량용 소프트웨어 시장 확대
  • 스마트팩토리와 로보틱스의 결합
  • 장기 성장에 대한 기대 유효

#딥노이드

[SK / 허선재 / 현재가 6,380원]

사업 순항 중
  • 25 년 매출 성장은 비전검사/보안 솔루션 부문이 견인할 전망
  • 하반기부터는 생성형AI 신제품 ‘M4CXR’에 주목
  • 내년부터 본격 침투할 국내 원격판독 시장

#HD현대중공업

[유안타 / 김용민,조혜빈 / N Buy / 목표가 N 502,000원 / 현재가 412,000원]

다 가진 회사 - 이유 있는 대장주
  •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이후 수익성 추가상승 예상
  • 선종 믹스 또한 긍정적. 가스선의 힘

#케이카

[현대차 / 장문수 / BUY / 목표가 17,500원 / 현재가 15,160원]

시가 배당률 8%
  • 지난 1Q25 영업이익은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
  • 지난 케이카 1Q25 실적은 영업이익 기준 전년동기비 21.8% 증가한 21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실적 기록
  • Key Takeaways: 시장 볼륨 감소에도 질적 개선 지속하며 경쟁력 지속 강화

#F&F

[유진투자 / 이해니 / BUY / 목표가 95,000원 / 현재가 76,600원]

실적 추이 및 전망
  • 2Q25E 매출액 3,922억원(+0.2%, 이하 yoy), 영업이익 905억원(-1.4%) 전망, 2025E 매출액 1.98조원(+4.5%), 영업이익 4,678억원(+3.8%) 전망
  • 중국: 디스커버리 매장 25년 100개 출점 목표로 대부분 하반기 집행 예정(현 기준 8개). 올해부터는 현지화된 제품 비중 대거 늘어나며 매출 촉진 예상
  • MLB 내수: SS 시즌 특화 제품 구성 탄탄히 마련. 여름 시즌 덥고 습할수록 당사의 기능성 제품 메리트 가지며 실적 회복 가능성 높음

#우듬지팜

[KB / 임상국 / 현재가 1,700원]

K- 작물과 K- 스마트팜의 으뜸기업
  • 국내 최고 수준의 스마트팜 기업
  •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스마트팜 밸류체인 매출을 통한 성장 준비
  • 투자포인트 1) K- 농작물과 K- 스마트 팜의 최고 기업 2) 작물 다변화 및 수익성 개선 기대 3) 최대 스마트팜 농업단지 조성 기대
  • 리스크 요인: 작물 포트폴리오 확대 필요

#KT밀리의서재

[KB / 한제윤 / 현재가 17,360원]

P 인상과 Q 성장으로 역대급 실적이 기대되는 2025년
  • 기업개요: 도서 (책) IP를 기반으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 투자 포인트 1) 1Q25 분기 역대 최대 실적 경신, 연간 실적 레벨 한단계 상승을 전망 2) 6월 구독료 인상을 기점으로 중장기적인 실적 개선 예상 3) KT 가입자 증가, 콘텐츠 확장 본격화로 펀더멘털 레벨업
  • 리스크 요인: 반사 수혜 강도, 신규 콘텐츠 런칭의 효과

#HD현대마린솔루션

[KB / 정동익,서준모 / BUY / 목표가 210,000원 / 현재가 174,600원]

조선주가 아니고 성장주
  • 양호했던 1분기 실적에 이어 2분기 이후에도 실적호조 지속될 전망
  • 조선주가 아니라 성장주, 중장기 성장성 견조할 전망
  • 2차례의 블록딜로 오버행 이슈도 크게 완화

#HD현대마린솔루션

[유안타 / 김용민,조혜빈 / N Buy / 목표가 N 220,000원 / 현재가 174,600원]

업황 무관 중장기 고속 성장 - 길게 봐야 한다
  • 조선업종내 유기적 장기 성장성은 단연 1위
  • 핵심 성장 동력은 본격적 영업 전개와 친환경 엔진 채택 트렌드

#동국제강

[유안타 / 이현수 / N Buy / 목표가 N 12,000원 / 현재가 8,340원]

극복도 해본 자가 더 잘한다
  • 봉형강(철근&H형강) 및 후판 제조업체
  • 어려운 국면 통과 중인 봉형강, 개선 가능성 보이는 후판

#토모큐브

[신한투자 / 최승환,이병화 / 현재가 28,000원]

CEO NDR 후기: 기대 이상으로 순항
  • 기대보다 빠르게 다가오는 사업 성과
  • 의료 AI, IT 부문의 가시적 성과가 빨라질 듯
  • 종전 기대보다 빠른 매출성장

#엠앤씨솔루션

[KB / 정동익,서준모 / BUY / 목표가 160,000원 / 현재가 131,200원]

청출어람이청어람(靑出於藍而靑於藍)
  • 1분기 호실적에 이어 2분기 이후에도 양호한 실적 이어질 것
  • 사상 첫 방산부품 직수출 계약 체결로 수익성 더욱 높아질 전망
  • 매각 본격화될 경우 투자자들의 관심도 증가할 전망

 

[출처:KRX한국거래소/fnguide/infostock/네이버증권 등]
728x90

댓글